KR0162202B1 -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202B1
KR0162202B1 KR1019920022905A KR920022905A KR0162202B1 KR 0162202 B1 KR0162202 B1 KR 0162202B1 KR 1019920022905 A KR1019920022905 A KR 1019920022905A KR 920022905 A KR920022905 A KR 920022905A KR 0162202 B1 KR0162202 B1 KR 0162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un
length
decoded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222A (ko
Inventor
김은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2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202B1/ko
Publication of KR94001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0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 H03M7/42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using table look-up for the coding or decoding process, e.g. using read-only memory
    • H03M7/425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using table look-up for the coding or decoding process, e.g. using read-only memory for the decoding proces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using cascaded computational arrangements for performing a single operation, e.g.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는 배럴시프터를 이용하여 데이타전송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한 프레임의 전체화상을 다수의 분할화상으로 분할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병렬처리에 이용하여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로직(TTL)계의 회로로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화하며, 실시간처리를 위해 배럴시프터 및 배럴시프터에 자리이동제어데이타를 공급하는 조사테이블의 집적도를 삭제 및 프로그램가능한 로직디바이스(EPLD)계의 수준은 갖게 함으로써 부호화된 데이타의 복호화를 실시간처리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부호화된 데이타의 런/레벨복호화에서 런의 길이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데이타전송을 지연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타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레이 앤드 선(Lei Sun)의 개선된 가변길이복호화 알고리즘을 구현한 회로도.
제2도는 화상분할 및 영상데이타블록의 단위 를 나타낸 개념도.
제3도는 영상데이타 및 오버 헤드데이타의 결합배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현한 가변길이복호화 장치의 블록도.
제5도는 가변길이복호화부의 상세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디멀티 플렉서 42∼45 : 버퍼
46 ~ 49 : 가변길이복호화부 51 : 접속기
52 : 데이타전송제어부 53, 54 : 래치
55 : 배럴시프터 56 : 조사테이블
57 : 런/레벨복호화기 58 : 순차제어기
본 발명은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은 데이타전송율을 갖는 완전 디지탈방식의 고품위 텔레비젼(HD-TV)나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TR)의 영상압축시스템의 복호화부에서 영상데이타를 가변길이복호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완전 디지탈방식의 HD-TV시스템이나 기타 영상관련 데이타압축시스템은 차분펄스부호변조(Discrete Pulse Code Modulation)루프인 비 복원 부호화(Lossy Coding)와, 복원부호화(Lossless Coding)기법인 가변길이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VLC)를 함께 이용한다. 가변길이부호화는 그 알고리즘이 간단하면서 좋은 데이타압축율을 지닌 방법이지만, 실제 하드웨어 구현시 실시간처리가 힘들며 특히 가변길이복호화(VLD)하는 경우 실시간처리(real time processing)문제가 보다 심각하다.
따라서, 데이타의 실시간처리를 위한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인 레이 앤드 선(Lei Sun)의 배럴시프터(Barrel Shifter)를 이용한 알고리즘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레이 앤드 선(Lei Sun)의 개선된 가변길이복호화 알고리즘을 구현한 회로도이다.
제1도의 장치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버퍼로부터 16비트 병렬 데이타를 입력받는 단자(a)를 구비하며 소정의 읽기신호(READ)를 상술의 버퍼로 출력하는 데이타전송제어부(1)와, 데이타전송제어부(1)에 데이타 입출력단이 서로 연결되며 가변길이복호화된 데이타를 양자화부(도면에 표시되지 않음)로 출력하는 복호화제어부(2)로 구성된다.
상술의 데이타전송제어부(1)는 데이타입력단(3)을 통과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입력데이타를 출력하는 단자들을 구비한 제1래치(11)와, 제1래치(11)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2래치(12)와, 상술의 데이타입력단(a)과 제1래치(11) 및 제2래치(12)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아 소정의 제어신호(C1)에 따라 16비트 병렬데이타로 출력하는 제1배럴시프터(13)와, 복호화제어부(2)의 소정출력단에 소정입력단을 연결하며 출력데이타를 제1배럴시프터(13)의 제어신호(C1)로 출력하도록 연결된 누산기(14)와, 누산기(14)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누산기(14)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아 버퍼에 데이타읽기신호(READ)를 출력하는 제3래치(18)와, 제1배럴시프터(13)의 출력데이타를 저장하도록 연결된 제4래치(15)와, 제4래치(15)의 출력데이타 및 다른 입력데이타를 소정의 제어신호(C2)에 따라 자리이동(Shifting)시켜 출력하는 제2배럴시프터(17) 및 제2배럴시프터(17)의 출력데이타를 저장하며 다시 제2배럴시프터(17)로 출력하도록 연결된 제5래치(16)를 구비한다.
복호화제어부(2)는, 데이타전송제어부(1)의 제2배럴시프터(17)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는 단자를 구비하며 복호화된 데이타 및 제2배럴시프터(17)에서 자리 이동된 데이타의 길이정보(SL)를 출력하는 단자들을 구비한 프로그래머블로직어레이(Programmable Logic Array; PLA)(22)와, 상술의 데이타길이정보(SL)을 입력받아 제2배럴시프터(17)에 자리이동제어신호(C2)를 출력하는 제6래치(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술의 데이타전송제어부(1)의 누산기(14)에는 제6래치(21)의 출력데이타가 입력되도록 연결한다.
버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는 입력단(a)을 통하여 제1래치(11)와 제2래치(12) 및 제1배럴시프터(13)에 공급된다. 제1배럴시프터(13)로 부터 출력하는 데이타는 누산기(14)의 제어신호(C1)에 따라 출력되어 제4래치(15)에 저장된다. 제2배럴시프터(17)는 제5래치(16)의 출력데이타 및 제4래치(15)의 출력데이타를 제6래치(21)의 제어신호(C2)에 따라 자리 이동시킨 다음, 제5래치(16)로부터 공급받은 데이타중 자리이동된 길이 만큼의 소정 데이타를 복호화제어부(2)로 출력하고, 제4래치(15)로부터 다시 새로운 데이타를 입력받는다.
복호화제어부(2)의 프로그래머블로직어레이(22)는 제2배럴시프터(17)로부터 출력하는 부호어(Codeword)에 대응하는 런/레벨데이타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입력데이타를 가변길이복호화시켜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부호어데이타의 길이정보(SL)를 제6래치(21)로 출력한다. 제6래치(21)에 저장되는 데이타길이정보는 제2배럴시프터(17)의 자리이동비트수 결정에 이용되며, 누산기(14)로 공급되어 누산된다. 제2배럴시프터(17)는 입력하는 제어신호(C2)에 따라 복원된 데이타의 길이 만큼 저장하고 있던 데이타를 자리 이동시키며, 자리이동된 데이타중 제5래치(1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타를 프로그래머블로직어레이(22)로 출력한다.
누산기(14)는 제6래치(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누적연산하고, 매 클럭마다 누적된 결과를 이용한 제1배럴시프터(13)의 데이타출력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버퍼로부터의 새로운 데이타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새로운 데이타를 읽기 위한 독출명령(READ)을 제3래치(18)를 통해 버퍼로 출력한다.
가변길이부호화를 이용한 기존의 하드웨어 설계방법은, 부호화기에서 비트단위로 각각의 부호어(Codeword)를 연결시키고, 복호화기에서 한 비트씩 자리이동(Shifting)시키면서 디코딩을 하는 직렬처리방식이었다. 이러한 기존방식은 낮은 전송율로 데이타를 처리하는 경우, 또는 초대규모집적회로(Very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s;VLSI)를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처리회로의 구성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로직(TTL)계의 프로그램가능한 논리회로(Programmable Logic Device;PLD), 메모리소자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1배럴시프터(13)를 통과한 데이타가 제2배럴시프터(17) 및 프로그래머블로직어레이(22)에서 처리되는 전체시간이 HD-TV시스템의 병렬처리시간인 13.5MHz를 초과하게 되어 가변장복호화의 실시간처리가 곤란하다. 특히, HD-TV와 같은 고속의 전송율을 갖는 시스템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병렬처리방식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타를 처리하며, 상대적으로 긴 데이타처리시간을 요구하는 배럴시프터 및 조사테이블(Look up Table)의 데이타처리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부호화된 데이타의 복호화를 실시간 처리하는 가변길이 복호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복호화되는 데이타에서 발생하는 런(RUN)의 길이에 대응하는 시간동안 전송되는 데이타를 지연시킴으로써 오류없이 데이타를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의 데이타처리속도향상을 이용한 가변길이 복호화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한 프레임의 전체화상을 다수의 분할화상으로 분할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한 데이타를 입력받아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하는 오버헤드데이타 및 영상데이타를 각 분할화상별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여 출력하는 수단과, 역다중화되어 출력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각각의 분할화상에 대응하는 다수의 버퍼들로 이루어진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아 부호화된 데이타를 런/레벨복호화하며 런/레벨복호화되는 데이타 길이만큼 새로운 데이타를 입력받아 자리이동시키는 배럴시프팅(Barallel shifting)방식의 실시간처리로 복호화시켜 출력하는 다수의 가변길이복호화수단구성되며, 상술의 가변길이복호화수단은 부호화할 때의 기호(symbol)와 부호어(codeword)의 대응관계가 유지되는 복호화방식으로 부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순차제어부와, 순차제어부의 제어신호 및 소정의 부호화된 데이타를 입력받아 복호화되는 데이타의 부호어 길이와 상기 부호어에 의한 소정의 데이타보류(data hold)제어신호 및 상기 복호화되는 데이타인 부호어를 출력하는 데이터전송제어부와, 상기 순차제어부의 제어신호와 데이타전송제어부로부터 출력하는 부호어 및 데이타보류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런/레벨복호화된 데이타 및 다른 소정의 데이타보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런/레벨복호화부, 및 소정 버퍼로부터 부호화된 데이타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타전송제어부 및 런/레벨복호화부의 데이타보류제어 신호와 복호화되는 데이타의 부호어길이를 입력받아 입력하는 부호어 길이 만큼의 데이타를 데이타보류제어신호에 맞추어 데이타전송제어부로 출력하는 접속기(interfacer)을 구비하도록 한 복호화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프레임의 전체화상을 다수의 분할화상으로 분할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한 데이타를 입력받아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데이타를 런/레벨복호화하여 런/레벨복호화되는 데이타길이 만큼 새로운 데이타를 입력받아 자리이동시키는 배럴시프팅 방식을 이용하여 각 분할화상의 가변길이 부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를 구현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호화시스템은 고속의 시스템 클럭을 처리하기 위해 4개의 병렬처리 기(4 Way Parallel Processor)로 구성되고, 각 처리기는 화상분할하여 생성된 4개의 분할화상중의 하나씩을 처리하며 13.5MHz에서 동작한다.
제2도는 화상분할 및 영상데이타블록의 단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2도에서 각 분할화상은 전체 화면을 수직으로 4등분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제2도(a)의 각 분할화상은 4개의 슬라이스(Slice)로 이루어진 다수의 매크로블록군(Mass of Macro Block;MM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슬라이스는 매크로블록군(MMB)내에서 점선으로 구분되며 제2도(b)에서 보인 바와 같이 11개의 매크로블록(MB)로 구성된다. 각 매크로블록은 8개의 휘도블록(Y1 ∼ Y8)과 8개의 휘도블록에 대응하는 색신호블록(U, V)으로 구성되고, 그것은 제2도(c)에 도시되었다.
제3도는 영상데이타 및 오버 헤드데이타(overhead data)의 결합배열도로서, 제2도의 영상데이타블록단위로 양자화 및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를 비트스트림(bit stream)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제3도(a)는 한 슬라이스의 전체 데이타배열을, 제3도(b)는 프레임 시작부분인 제2도(a)의 A슬라이스에서의 오버헤드데이타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제3도(c)는 제2분할화상의 매크로블록군 시작부분인 제2도(a)의 B슬라이스에서의 오버헤드데이타를, 제3도(d)는 제1분할화상의 첫번째 매크로블록군(MMB)내에 있는 C슬라이스의 오버헤드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제3도(e)는 제2도(b)의 매크로블록(MB)영역에 들어가는 오버헤드데이타배열을 표시하며, 제3도(f)는 제2도(c)의 10블록영역의 데이타배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2도 및 제3도의 화상분할 및 오버헤드데이타삽입형태를 갖는 영상데이타를 일정한 전송율의 비트스트림 형태로 입력받아 가변길이 부호화하는 것으로서, 다음의 제4도 및 제5도의 구성을 갖는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현한 가변길이복호화장치의 블록도로서, 13.5MHz의 클럭 주파수를 갖는 4개의 병렬처리기를 이용하여 입력데이타를 가변길이복호화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는 가변길이복호화부의 상세블록도로서, 제4도의 장치에서 거의 동일한 회로구성을 갖는 가변길이복호화부들 중의 하나에 대한 상세블록도이다.
제4도의 장치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채널복호기로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아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는 디멀티플렉서(41)와, 디멀티플렉서(41)의 출력단에 데이타입력단이 연결되는 4개의 버퍼(42, 43, 44, 45)와, 각 버퍼의 데이타출력단에 연결되며 입력데이타를 가변길이복호화하여 양자화부로 출력하는 4개의 가변길이복호화부(46, 47, 48, 49)로 구성된다.
채널복호기에 의해 에러 정정된 비트스트림 형태의 데이타 즉,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오버헤드데이타 및 영상데이타가 디멀티플렉서(41)로 입력하면, 디멀티플렉서(41)는 입력 데이타에 들어 있는 오버헤드데이타를 이용하여 4개의 버퍼(42 ~ 45)들에 동일한 분할화상에 속한 데이타를 동일한 버퍼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역다중화시켜 출력한다. 데이타처리방식이 선입선출메모리인 버퍼 및 가변길이복호화부로 구성되는 4개의 병렬처리기에 대해 거의 동일하므로, 이후의 설명에서는 소정 버퍼(42) 및 가변길이복호화부(46)의 데이타처리만을 이야기한다.
제5도의 장치는, 버퍼(42)로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다른 입력단으로 입력하는 소정의 데이타(SHC)를 누산하여 소정 데이타 이상이 누산되면 버퍼에 독출명령(READ)을 출력하는 접속기(Interfacer)(51)와, 접속기(51)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아 접속기(51)제어신호(SHC, HD1) 및 입력데이타의 런(run)/레벨(level)복호화를 위한 소정의 부호어(codeword)를 출력하는 데이타전송제어부(52)와, 데이타전송제어부(52)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아 가변길이복호화된 데이타를 출력하며 가변길이 복호화된 데이타의 런(run)의 길이 에 관련한 소정 제어신호(HD2)를 데이타전송제어부(52) 및 접속기(51)로 출력하는 런/레벨복호화기(57), 및 전송되는 데이타의 형태, 예를 들어, 가변길이부호화되는 영상데이타 및 고정길이 부호화되는 오버헤드데이타 또는 색신호, 휘도신호인지에 따라 정확히 복호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CTL)를 데이타전송제어부(52)와 런/레벨복호화기(57)로 출력하는 순차제어기(Sequence Controller)(58)를 포함한다.
상술의 데이타전송제어부(52)는 배럴시프팅(barrel shifting)기능과 영상데이타 및 움직임벡터등에 관련한 조사테이블(look-up table)을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논리(TTL)계보다 집적도가 높은 삭제 및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회로(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 EPLD)로 이루어진 하나의 칩(chip)에 구현한 것으로서, 배럴시프팅 기능과 조사테이블을 이용한 제어신호(SHC, HD1)출력을 실시간처리되도록 하였다. 데이타전송제어부(52)는, 순차제어기(58)의 제어신호(CTL)에 따라 런/레벨복호화되는 부호어 길이 및 런/레벨복호화에 의한 런(run)의 길이중에서 런의 길이 1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하는 조사테이블(56)과, 조사테이블(56)의 출력데이타들을 입력받아 런의 길이 1에 해당하는 데이타보류(data hold)제어신호(HD1) 및 런/레벨복호화되는 부호어의 길이정보(SHC)를 출력하는 제2래치(53)와, 접속기(51)로부터 21비트의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1래치(54), 및 제1래치(54)의 출력데이타와 런/레벨복호기(57)의 제어신호(HD2) 및 상술의 다른 제어신호(SHC,HD1)들을 입력받아 자리이동된 데이타를 출력하거나 데이타를 보류(hold)하는 배럴시프터(55)를 구비한다. 상술의 구성에서 제1래치(54)와 배럴시프터(55)와 조사테이블(56) 및 제2래치(53)가 이 피 엘 디(EPLD)로 된 하나의 칩에 구성된다.
디멀티플렉서(41)에 의해 버퍼(42)에 저장되는 데이타는 영상데이타, 프레임내/프레임간 결정신호(Intra/lnter decision code), 및 움직임벡터(motion vector) 등의 가변길이부호화된 데이타와 가변길이부호화되지 않고 전송되는 나머지 오버헤드데이타로 구성되며, 가변길이복호화부(46)에 의해 런/레벨복호화되어 출력된다.
버퍼(42)로부터 출력하는 데이타가 21비트의 비트스트림 형태로 가변길이복호화부(46)의 접속기(51)로 입력하면, 접속기(51)는 데이타전송제어부(52)의 제2래치(53)로부터 출력하는 제어신호(SHC)를 누산하며 입력제어신호(SHC)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제1래치(54)로 출력한다. 디-플립 플롭(D-FF)의 기능을 갖는 제1래치(54)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소정 래치신호에 따라 소정 비트수의 저장데이타를 배럴시프터(55)로 출력한다. 배럴시프터(55)는 저장하고 있던 데이타와 제1래치(54)로부터 새로 입력하는 데이타를 제2래치(53)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SHC)에 따라 자리이동시킨 다음, 먼저 입력된 21비트의 데이타를 조사테이블(56) 및 런/레벨복호화기(57)로 출력한다.
순차제어기(58)는 제3도 형태의 비트스트림이 복호화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버퍼(4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들이 상술의 부호화된 형태들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복호화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CTL)를 출력한다. 이 제어신호(CTL)는 조사테이블(56)에 입력하는 데이타를 어떤 테이블을 이용하여 복호화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조사테이블(56)은 입력하는 21비트의 데이타중에서 런/레벨복호화될 데이타에 대한 길이정보와 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것으로서, 순차제어기(58)의 제어신호(CTL)에 따라 가변길이부호화된 데이타인지 고정길이 부호화된 데이타인지를 결정하고, 가변길이부호화된 데이타인 경우 런(run)값 1에 대한 데이타를 제2래치(53)로 출력한다. 제2래치(53)는 런의 길이 1에 해당하는 시간동안의 데이타보류를 위한 제어신호(HD1)를 접속기(51) 및 배럴시프터(55)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2래치(53)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제어신호(HD1)가 런/레벨복호화기(57)로 인가되면, 런/레벨복호화기(57)는 부호어에 대응하는 런/레벨데이타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입력데이타를 런/레벨복호화시켜 출력한다. 런/레벨복호화되는 데이타의 런길이가 2이상인 경우, 런/레벨복호화기(57)는 런-1의 시간에 해당하는 보류신호(HD2)를 출력시켜, 배럴시프터(55) 및 접속기(51)가 데이타를 출력하지 않고 대기상태에 있도록 한다.
제2래치(53) 및 런/레벨복호화기(57)의 제어신호(HD1, HD2)에 의한 데이타보류가 완료되면, 배럴시프터(55)는 제2래치(53)로부터 입력하는 제어신호(SHC)에 따라 저장하고 있던 데이타를 자리이동시킨 다음 출력하는 데이타처리과정을 다시 시작한다.
제2래치(53)로부터 접속기(51)로 인가되는 제어신호(SHC)의 경우, 접속기(51)는 제어신호(SHC)의 데이타를 21비트가 될 때까지 누산한다. 누산된 데이타가 21비트가 되면, 접속기(51)는 버퍼(42) 독출명령(READ)을 출력 하여 새로운 21비트의 데이타를 읽어들인다. 접속기(51)에 저장되는 데이타는 데이타전송제어부(52)로부터 출력하는 제어신호(SHC) 즉, 배럴시프터(55)에서 자리이동된 비트수를 입력받아 그 비트수만큼의 데이타를 제1래치(54)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는, 배럴시프터를 이용하는 알고리즘을 화상분할하여 병렬처리하는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로직(TTL)계에 이용하며 배럴시프터 및 배럴시프터의 자리이동(shifting)결정을 위한 조사테이블을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로직계보다 집적도가 높은 회로로 구현함으로써 영상데이타의 병렬처리 및 실시간처 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부호화된 데이타의 런/레벨복호화에서 런의 길이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데이타전송을 지연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타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한 프레임의 전체화상을 다수의 분할화상으로 분할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한 데이타를 입력받아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하는 오버헤드데이타 및 영상데이타를 각 분할화상별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여 출력하는 수단과; 역다중화되어 출력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각각의 분할화상에 대응하는 다수의 버퍼들로 이루어진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아 부호화된 데이타를 런/레벨복호화하며 런/레벨복호화되는 데이타길이만큼 새로운 데이타를 입력받아 자리이동시키는 배럴시프팅(Baralell shifting)방식의 실시간처리로 복호화시켜 출력하는 다수의 가변길이복호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복호화수단은 부호화할 때의 기호(symbol)와 부호어(codeword)의 대응관계가 유지되는 복호화방식으로 부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순차제어부와, 순차제어부의 제어신호 및 소정의 부호화된 데이타를 입력받아 복호화되는 데이타의 부호어길이와 상기 부호어에 의한 소정의 데이타보류(data hold)제어신호 및 상기 복호화되는 테이타인 부호어를 출력하는 데이타전송제어부와, 상기 순차제어부의 제어신호와 데이타전송제어부로부터 출력하는 부호어 및 데이타보류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런/레벨복호화된 데이터 및 다른 소정의 데이타보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런/레벨복호화부, 및 소정 버퍼로부터 부호화된 데이타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타전송제어부 및 런/레벨복호부의 데이타보류제어신호와 복호화되는 데이타의 부호어길이를 입력받아 입력하는 부호어길이 만큼의 데이타를 데이타보류제어신호에 맞추어 데이타전송제어부로 출력하는 접속기(interfacer)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데이타전송제어부는 접속기로부터 출력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1래치와, 데이타보류제어신호 및 복호화되는 부호어의 길이를 입력받아 상기 제1래치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타를 보류(hold) 및 자리이동시켜 출력하는 배럴시프터와, 상기 순차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데이타의 복호화되는 부호어 길이를 출력하며 복호화되는 부호어에 대응하는 런/레벨데이타에 소정의 길이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하는 조사테이블과, 조사테이블로부터 출력하는 부호어길이 및 소정의 런길이데이타를 입력받아 상기 소정의 데이타보류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접속기와 런/레벨복호화부 및 배럴시프터로 출력하며 상기 부호어길이를 배럴시프터 및 접속기로 출력하는 제2래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장치.
  4. 한 프레임의 전체화상을 다수의 분할화상으로 분할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한 데이타를 입력받아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데이타를 런/레벨복호화하여 런/레벨복호화되는 데이타길이만큼 새로운 데이타를 입력받아 자리이동시키는 배럴시프팅방식을 이용하여 각 분할화상의 가변길이 부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방법.
KR1019920022905A 1992-11-30 1992-11-30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016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905A KR0162202B1 (ko) 1992-11-30 1992-11-30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905A KR0162202B1 (ko) 1992-11-30 1992-11-30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222A KR940013222A (ko) 1994-06-25
KR0162202B1 true KR0162202B1 (ko) 1998-12-15

Family

ID=1934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905A KR0162202B1 (ko) 1992-11-30 1992-11-30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2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222A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6279A (en) Scramble apparatus and descramble apparatus
US5220325A (en) Hierarchical variable length decoder for digital video data
US5852469A (en) Moving picture coding and/or decoding systems, and variable-length coding and/or decoding system
KR0134299B1 (ko) 가변장디코딩장치의 동기 복원방법 및 장치
US5838597A (en) MPEG-2 decoding with a reduced RAM requisite by ADPCM recompression before storing MPEG-2 decompressed data
KR0180169B1 (ko) 가변길이 부호기
KR100203246B1 (ko) 고속의 가변장복호화장치
EP2271103A2 (en) Video Signal Compression
US5706001A (en) Run-length decoding apparatus for use in a video signal decoding system
US6011498A (en) Dual-speed variable length decoding architecture for MPEG-2 video data
KR0154010B1 (ko) 가변길이 복호화 장치
JP3153404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ビットストリームコーダ
KR0162202B1 (ko) 가변길이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249235B1 (ko) 에이치디티브이 비디오 디코더
KR0154011B1 (ko) 가변길이 복호화 장치
KR0166721B1 (ko) 가변장 복호화기
JP2820630B2 (ja) 画像復号装置
KR0162201B1 (ko) 영상데이타의 직류성분-차분펄스부호변조시스템
Park et al. Area efficient fast Huffman decoder for multimedia applications
KR950014019B1 (ko) 디지탈 동영상 복호 시스템에서의 가변 길이 복호화 장치의 제어방법
KR100209913B1 (ko) 고속 mpeg 복호화장치 및 그의 런길이 에러 처리방법
KR970003803B1 (ko) 디지탈 압축 영상신호의 씨비피 처리 회로
KR950010766B1 (ko) 디지탈 복호시스템에서의 가변길이 복호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0195727B1 (ko) Mpeg 복호기에서 양자화기 스케일 코드의 최적 타이밍 장치
KR0162200B1 (ko) 오버헤드데이타삽입기능을 구비한 영상데이타압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