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417B1 - 냉장고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417B1
KR0160417B1 KR1019950019707A KR19950019707A KR0160417B1 KR 0160417 B1 KR0160417 B1 KR 0160417B1 KR 1019950019707 A KR1019950019707 A KR 1019950019707A KR 19950019707 A KR19950019707 A KR 19950019707A KR 0160417 B1 KR0160417 B1 KR 0160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frigerator
switch mounting
fixing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263A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417B1/ko
Publication of KR97000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냉장고 내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내부에 냉동 또는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고의 본체(10),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되 일면이 본체의 외부로 개구된 수용부(20), 수용부에 슬라이딩하여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결합되며 냉장고의 운정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스위치설치부(40), 스위치설치부의 일차 압착시 고정하여 수반되도록 하고, 재 압착되면 해제하여 인출되도록 한 고정수단(50), 스위치설치부가 고정수단에서 해제되었을 때 스위치설치부를 수용부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스프링(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 냉장고의 조절장치를 보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종래 조절장치의 보호커버로 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가 채용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서 따른 조절장치의 발췌분해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측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고정수단을 평면방향으로 단면하여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삽입시를 도시한 것이며, b는 밀착시를 도시한 것이고, c는 고정시를 도시한 것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채용된 감속수단의 뒤집은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감속수단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핸들 20 : 수용부
30 : 스위치 40 : 스위치설치부
50 : 고정수단 51 : 고정돌기
52 : 잠금부 53 : 케이스
56 : 파지부 60 : 감속수단
61 : 래크 62 : 피니언
65 : 제동날개 70 : 스프링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절장치가 사용자의 눈 아래 설치될 때 조절장치에 설치되어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냉장고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식품을 저장하는 냉동실이 상측에 설치되고 냉장실이 냉동실의 하측에 설치되어 냉동 또는 냉장식품을 보관하는 것으로서, 냉장고의 일측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에는 상하고 냉동실(미도시)과 냉장실(미도시)을 개폐하는 도어(11)(12)가 설치되고, 냉동실도어(11)의 하측에는 냉동실(미도시)가 냉장실(미도시)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수개의 스위치(1)가 설치된다.
스위치(1)는 냉동실도어(11)의 하측 핸들(14)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핸들(14)에는 다수개의 카운터형 스위치(1)와 스위치(1)의 제어값과 냉동실(미도시)이나 냉장실(미도시)의 온도를 표시하는 계기판(13)이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카운터형 스위치(1)의 전면에는 상하회동하여 스위치(1)들을 덮는 보호커버(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냉장고 스위치는 보호커버(2)를 열고 카운터형 스위치(1)를 조작하여 냉동실(미도시)이나 냉장실(미도시)의 온도 등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종래 전면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된 카운터형 스위치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즉, 스위치가 사용자의 눈보다 낮게 설치될 경우, 허리를 구부려서 조절하고자 하는 것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찾아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였다. 특히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냉동실보다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사용하는 냉장실의 상측에 배치한 냉장고의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 내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 내부에 냉동 또는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고의 본체,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되 일면이 본체의 외부로 개구된 수용부, 수용부에 슬라이딩하여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결합되며 냉장고의 운정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스위치설치부, 스위치설치부의 일차 압착시 고정하여 수반되도록 하고, 재 압착되면 해제하여 인출되도록 하는 고정수단, 스위치설치부가 고정수단에서 해제되었을 때 스위치설치부를 수용부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3도는 냉장실이 상측에 배치된 냉장고의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냉동 또는 냉장식품을 저장하는 본체(10)의 정면 상하측에는 냉장실도어(12)와 냉동실도어(11)가 각각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된 냉장실(미도시)과 냉동실(미도시)을 개폐한다. 그리고 냉동실도어(11)의 하측 핸들(14)부위에는 냉장고의 운전상태, 즉 냉동실(미도시)이나 냉장시(미도시) 내부의 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가 설치되는데, 조절장치는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다수개의 카운터형 스위치(제4도의 30)와 스위치(30)의 제어값과 냉장고 내부의 온도 등을 계시하는 계기판(13)으로 구성된다.
스위치(30)는 도어의 핸들(14)부위의 내부에 내장설치되어 필요시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그 구조를 제4도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발췌분해사시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과 상면은 개방되되 입설된 좌우측면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과 상면을 개방되되 입설된 좌우측면(22')(22'')과 후면(24)을 갖는 수용부(20)가 도어(11)(12)의 핸들(14)에 나사결합을 통하여 내장설치되고, 그 내부에 다수개의 스위치(30)가 설치된 스위치설치부(40)가 수용부(20)의 전면측으로 전후 미끄럼운동하여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스위치설치부(40)를 원터치형식으로 수용부(20)에 수납 또는 인출시키기 위하여 스위치설치부(40)의 전후 미끄럼운동을 안내하는 홈(41) 및 턱(23)과 스위치설치부(40)를 외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70)의 전후 미끄럼설치부(40)의 수납시 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50)과 스위치설치부(40)의 전후 미끄럼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60)이 마련된다.
먼저, 스위치설치부(40)에는 다수개의 카운터형 스위치(30)가 설치된 회로기판(15)이 내장설치되는데, 스위치(30)는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스위치설치부(40)의 상면(42)에 설치되며, 상면(42)에는 스위치설치부(40)에 착탈가능하도록 턱(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20)의 좌우측면(22')(22'')의 내측과 하면(21)에는 전후로 장설된 턱(23)이 각각 설치되고, 이에 대향하는 스위치설치부(40) 좌우측면(44')(44'')의 외측과 하면(45)에는 턱(23)이 삽입되는 레일형상의 홈(41)이 형성됨으로써 스위치설치부(40)가 전후 미끄럼운동하여 수용부(20)에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한다. 또한 수용부(20)의 후방양측에는 스위치설치부(40)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70)이 고정구(71)에 지지된 채로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수단(50)은 스위치설치부(40)의 후면(47)과 수용부(20)의 후면(24)에 설치되어 일차 압착시 스위치설치부(40)를 고정하고, 이차 압착시 스위치설치부(40)의 고정을 해제하여 스위치설치부(40)가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하여 수용부(20)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스위치설치부(40)의 후면(47)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돌기(51)와 수용부(20)의 후면(24)에 설치되어 고정돌기(51)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잠금부(52)로 이루어진다. 잠금부(52)는 제6도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즉 고정돌기(51)측면이 개구된 채로 수용부(20)에 고정결합된 케이스(53)와 이 케이스(53)의 내부에 전후운동 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된 몸체(54)와 몸체(54)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고정돌기(51)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파지부(56)와 파지부(56)를 전면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55)과 몸체(54)의 전후운동을 구속하는 돌기(58)와 고정홈(59)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파지부(56)는 그 후단부는 몸체(54)에 결합되고, 전단은 고정돌기(51)를 좌우양측에서 파지하도록 좌우로 분기되며, 그 끝단부에는 고정돌기(51)와 결합되는 턱(5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58)는 그 일측단(후단부)는 케이스(53)에 결합되고 타측단(전단부)는 고정홈(59)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데, 돌기(58)의 후단은 돌기(58)가 좌우유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5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설치된다. 고정홈(59)은 역 하트형으로서 삽입된 돌기(58)의 타측단이 시계방향으로 유동하여 원래의 자리로 복귀하도록 형성되는데, 고정홈(59)의 밑면(59')은 몸체(54)가 일차로 후진운동할 때 돌기(58)를 고정하여 스위치설치부(40)의 수납상태를 고정한 후 이차 후진시 돌기(58)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스위치설치부(40)를 인출시키도록 다수번 단층져 있다.
그리고 제4도와 제8도 및 제9도 도시한 감속수단(60)은 스프링(70)의 탄성력을 감소시켜 스위치설치부(40)의 전후미끄럼운동이 부드럽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래크(61)와 피니언(62) 및 오일댐퍼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먼저 수용부(20)의 하면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래크(61)가 고정설치되고, 스위치설치부(40)에는 래크(61)에 이물림되는 피니언(62)과 피니언(62)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오일댐퍼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오일댐퍼는 그 내부에 점성유체가 수용된 원통형상의 하우징(66)과 상단은 피니언(62)에 결합되고 하측단은 하우징(66)의 내부까지 연장된 회전축(64)과 하우징(66)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전축(64)에 설치되어 점성유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감속작용을 수행하는 제동날개(6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조절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위치설치부(40)는 수용부(20)에 수납되어 스위치(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고정돌기(51)와 파지부(56)가 결합되어 스위치설치부(40)가 수용부(20)에 고정된 상태이며, 돌기(58)의 위치는 제7도의 다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냉장고의 운전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위치설치부(40)를 인출시키기 위하여 스위치설치부(40)의 가압, 즉 이차 압착시키면 돌기(58)가 고정홈(59)을 반시계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스프링(55)에 의하여 탄지되는 몸체(54)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파지부(56)가 케이스(53)의 전방으로 빠져나옴으로써 고정돌기(51)와 파지부(56)는 분리된다. 이로써 고정이 해제된 스위치설치부(40)는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수용부(20)와 스위치설치부(40)에 형성된 턱(23)과 홈(41)이 스위치설치부(40)가 좌우유동없이 인출되도록 한다. 이후 전방으로 미끄럼운동하여 인출된 스위치설치부(40)의 상면에 설치된 스위치(30)를 조절하여 냉장고의 운전상태를 조절하면 된다.
이후 인출된 스위치설치부(40)를 수납시키기 위하여 스프링(70)의 탄성력을 이기고 스위치설치부(40)을 후측으로 밀게 되면(일차 압착) 스위치설치부(40)는 턱(23)과 홈(41)을 미끄럼운동하여 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후측으로 이동하는 스위치설치부(40)에 설치된 고정돌기(51)가 고정수단(50)의 몸체(54)를 후측으로 밀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돌기(58)와 고정홈(59)은 제7도의 가와 나와 다에 도시한 순서대로 운동하여 몸체(54)를 고정한다. 동시에 파지부(56)도 몸체(54)와 일체로 후진하여 케이스(53)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고정돌기(51)를 파지하여 스위치설치부(40)의 수납상태를 고정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감속수단(60)은 전후 미끄럼운동하는 스위치설치부(40)의 미끄럼운동속도를 감속하여 스위치설치부(40)의 운동이 부드럽게 하는 것으로, 특히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인출되는 스위치설치부(40)이 인출속도의 감속은 다음과 같다. 인출되는 스위치설치부(40)와 일체로 이동하는 피니언(62)은 래크(61)에 의하여 스위치설치부(40)의 인출속도에 상응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피니언기어(62)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점성유체가 수요된 하우징(66)내를 회전하는 제동날개(65)가 점성유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서서히 회전하게 됨으로써 스위치설치부(40)도 서서히 인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조절장치는 스위치가 상면을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스위치가 냉장고의 하측에 설치되더라도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쉽게 조작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는 원터치형식으로 손쉽게 수납 또는 입출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그 내부에 냉동 또는 내장식품을 저장하는 냉장고의 본체(10),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되 일면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개구된 수용부(20),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딩하여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냉장고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스위치설치부(40), 상기 스위치설치부의 일차 압착시 고정하여 수반되도록 하고, 재압착되면 해제하여 인출되도록 하는 고정수단(50), 상기 스위치설치부가 상기 고정수단에 해제되었을 때 상기 스위치설치부를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스프링(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스위치설치부에는 상기 스위치설치부의 미끄럼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설치부의 운동방향으로 형성된 홈(41)과 턱(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과 턱은 상기 스위치설치부와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절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위치설치부의 후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돌기(51)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일차 압착시 고정하고 이차 압착시 해제하는 잠금부(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고정돌기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된 케이스(53)와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어 스프링(55)에 의하여 상기 고정돌기측으로 탄지되어 전후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54)와 상기 몸체와 일체로 운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몸체의 후진시 상기 고정돌기를 파지하고 전진시 파지된 상기 고정돌기에서 분리되는 파지부(56)와 마련된 돌기(58)와 상기 돌기의 타측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일차 후진운동시에는 상기 몸체를 고정하고 이차 후진시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된 고정홈(5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절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스위치설치부사이에는 상기 수용부에 전후로 마련된 래크(61)와 상기 래크에 이물림된 채로 상기 스위치설치부와 일체로 전후운동하도록 마련된 피니언(62)과 상기 피니언기어와 일체로 마련된 회전축(64)고 상기 회전축의 일축이 그 내부에 수용된 점성유체안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된 하우징(66)과 상기 점성유체안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된 제동날개(65)를 구비하는 감속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조절장치.
KR1019950019707A 1995-07-06 1995-07-06 냉장고의 조절장치 KR0160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707A KR0160417B1 (ko) 1995-07-06 1995-07-06 냉장고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707A KR0160417B1 (ko) 1995-07-06 1995-07-06 냉장고의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263A KR970007263A (ko) 1997-02-21
KR0160417B1 true KR0160417B1 (ko) 1999-01-15

Family

ID=1941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707A KR0160417B1 (ko) 1995-07-06 1995-07-06 냉장고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4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263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305B2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CN110873502B (zh) 冰箱
EP2940411A1 (en) Refrigerator
EP3545246B1 (en) Refrigerator
KR20060081921A (ko) 냉장고
KR20180049725A (ko) 냉장고
WO2008050986A1 (en) Refrigerator with home bar
KR102579885B1 (ko) 냉장고
CN113167527B (zh) 冰箱
JPH02106686A (ja) 引出しケースの自動開閉装置
KR0160417B1 (ko) 냉장고의 조절장치
EP1630503B1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KR102607011B1 (ko) 냉장고
CN112212574B (zh) 冰箱
KR20070034330A (ko) 냉장고의 슬라이딩 홈바
KR100232849B1 (ko) 냉장고용 병 보관장치
KR20020029506A (ko) 모니터장치를 갖춘 냉장고
EP4206589A1 (en) Refrigerator
KR100229192B1 (ko) 냉장고
KR200148054Y1 (ko) 쇼케이스의 도아장치
JPH11118338A (ja) 電気冷蔵庫
KR19990034052A (ko) 냉장고
KR910003460Y1 (ko) 콘트롤 스위치보드의 도아(door)개폐장치
KR0175492B1 (ko) 냉장고의 좌우개폐도아
KR0142006B1 (ko) 양측개방가능한 도어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