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929B1 -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929B1
KR0158929B1 KR1019940039557A KR19940039557A KR0158929B1 KR 0158929 B1 KR0158929 B1 KR 0158929B1 KR 1019940039557 A KR1019940039557 A KR 1019940039557A KR 19940039557 A KR19940039557 A KR 19940039557A KR 0158929 B1 KR0158929 B1 KR 015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formation element
atm
called party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907A (ko
Inventor
이규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3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929B1/ko
Publication of KR96002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04L2012/5653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 H04L2012/5658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using the AAL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85Addressing iss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망으로부터 신호적응계층을 통해 수신된 메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카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세지에 저장된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를 찾아 NSAP 어드레스 옥텟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메세지의 길이 정보(Ls)를 구하는 제1단계;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증가시키면서 11210과 비교하여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를 구하는 제2단계; 상기 카운터값이 상기 메세지 길이를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로부터 정보요소의 제5옥텟을 읽어와 번호 타입이 0이고 어드레싱/넘버링 플랜이 2이면, 제6옥텟부터 소정의 NSAP 어드레스 옥텟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4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프로토콜 참조모델을 도시한 개념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PDU의 매핑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ATM 셀의 포맷을 도시한 구조도.
제4도는 ATM 사용자망접면(UNI)에서의 호처리 관련 메시지의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ATM UNI에서 호처리 관련 메시지의 일반적인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5도와 같은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요소의 일반적인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이 수행되는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NSAP 어드레스 옥텟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TM부 20 : AAL5 수신기
30 : 마이컴 40 : 메모리
본 발명은 비동기 전달 모드(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방식의 사용자망접면(UNI:User-Network Interface)에서 호 및 접속(Call and connection)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측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처리 관련 메시지(Signalling message)들을 분석하여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를 찾아 통신망서브번지절차(NSAP) 어드레스 옥텟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발전으로 사용자의 통신서비스 요구가 증가하여 차세대 통신망으로 B-ISDN이 출현하였는 바, B-ISDN에서는 협대역뿐만 아니라 광대역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대역 및 속도에 관계없이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비동기 전달 모드인 ATM 방식을 기본전달수단으로 하고 있다. ATM 방식의 신호처리를 위하여 신호적응계층(Signalling AAL)과 Q.2931, B-ISUP등과 같은 드래프트(draft)안이 제안되어 있다.
즉, 종래의 ISDN(이를 협대역(N)-ISDN이라고도 한다)에서는 사용자의 정보를 운반하는 채널의 전송속도가 대략 64Kbps에서 2Mbps 정도이었기 때문에 동화상과 같은 광대역의 서비스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이에 대해 B-ISDN은 100Mbps 이상의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ATM 기술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 문서, 영상 등 다양한 정보 소스를 동등하게 처리할 수 있다.
종래의 N-ISDN에서 접속제어를 실현하는 신호방식은 가입자선 구간에서는 디지탈 가입자선 신호방식1(DSS1:Digital Subscriber Signalling System 1)을 사용하고, 국간중계 구간에서는 No.7 공통선 신호방식을 적용한다. DSS1은 D 채널상에 레이어 2와 레이어 3의 프로토콜을 실현한 것으로,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channel)라고도 불리며 ITU-T의 규격 Q.921 및 Q.931로 권고되었고, 현재 추진중인 B-ISDN에서는 사용자 망인터페이스(UNI)의 신호절차로서 Q.931에 비동기 전달 모드(ATM)의 기능요소를 추가하여 확장한 Q.93B가 드래프트안으로 제안되었고, 망-노드 인터페이스(NNI)의 신호절차로서 B-ISUP(ISDN User Part)가 드래프트안으로 제안되었다.
한편, ITU-T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B-ISDN의 표준화와는 별도로, ATM 기술의 발전을 촉진시키고, ATM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을 가속화하고자 컴퓨터 및 통신 산업체, 학계, 정부기관 및 연구소등이 참여하는 ATM 포럼(ATM Forum)이 1991년 10월에 설립되어 표준화단체(ANSI, IEEE, ITU-T등)와 긴밀한 협조하에 ATM UNI Specification V3.0(93.9), ATM B-ICI Specification V1.0(93.8), ATM DXI Specication V1.0(93.8)등과 같은 드래프트안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ATM 포럼의 역할은 국제표준화 단체의 일을 중복하려는 것이 아니고, 단기간내에 실행될 수 있는 규격을 제정함으로써 표준화절차를 보완하고 가속화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표준의 제정에 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ATM 포럼에서 발표한 ATM 사용자망접면 규격(User-Network Interface Specication)에 따라 ATM망에서 호 및 접속제어를 위해 Q.93B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ATM망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를 찾아 NSAP 어드레스 옥텟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NSAP 어드레스 옥텟 식별방법은, 프로토콜 분별자 필드와 호번호치 필드와 메시지타입 필드, 메시지길이 필드, 정보요소 식별자 필드를 포함하는 미리 정의된 포맷의 메시지들을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와 비동기 전달 모드(ATM)망 사이에 교신하여 사용자와 비동기 전달 모드(ATM)망간의 접속을 생성하기 위한 비동기 전달 모드 사용자망접면(UNI)의 호 및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신호적응계층(SAAL5)을 통해 수신된 소정 포맷의 메시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메시지길이 필드의 데이터를 읽어와 수신된 메시지의 길이정보(Ls) 값을 구하는 제2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정보요소 식별자 필드의 데이터를 읽어와 소정의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 식별자값(11210)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착신자 번호 정보요소를 구하는 제3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옥텟단위의 전체 길이를 카운터로 카운트한 값과, 상기 제2단계에서 구한 메시지의 길이 정보값을 비교하여 길이 에러를 검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구한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로부터 번호 타입 필드의 데이터를 읽어와 그 값이 언노운값(0)이고, 어드레싱/넘버링 플랜 식별 필드의 데이터를 읽어와 그 값이 ISO 통신망 서브번지 절차값(2)이면,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로부터 통신망 서브번지절차(NSAP) 어드레스 옥텟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5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프로토콜 참조모델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참조모델은 관리평면(management plane), 제어평면(control plane), 사용자평면(user plane)으로 구성되고, 관리평면은 다시 계층관리와 평면관리로 구분된다. 여기서, 평면관리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를 의미하고, 계층관리는 자원 및 사용변수의 관리와 OAM 정보관리를 말한다.
또한 제어평면에서는 호 제어 및 접속제어 정보를 관장하고, 사용자평면에서는 사용자정보의 전달을 관장한다. 제어평면 및 사용자평면의 프로토콜은 상위계층, ATM적응계층, ATM계층, 물리계층으로 구분되고, 이들 각 계층의 기능은 다음 표<1>과 같다.
상기 표<1>에서와 같이 ATM 방식은 물리계층, ATM계층, ATM적응계층(AAL:ATM Adaptation Layer),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같이 수직적인 구조로 구분되고, AAL계층은 분할 및 재결합 부계층(SAR:Segmentation And Reassembly sublayer)과 수렴(CS:Convergence Sublayer) 부계층으로 다시 구분되며, 물리계층은 물리매체(PM)와 전송수렴(TC:Transmission Convergence) 부계층으로 다시 구분된다.
또한, 제어평면의 3 계층(layer 3)은 Q.93B로 구현되어 ATM망과 사용자간의 호(call) 및 접속(connection)을 제어하는 바, Q.93B는 ISDN의 레이어 3 프로토콜인 Q.931을 확장하여 B-ISDN용 사용자-망 인터페이스(UNI)에서 사용되는 호(Call)/베어러(Bearer) 제어 프로토콜(B-ISDN User-network Interface Layer 3 Specification for Basic Call/Bearer Control)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방식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PDU)의 매핑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레이어 3의 Q.93B 메시지가 신호적응계층(Signalling AAL 5)의 SSCF, SSCOP, CPCS를 거쳐 48바이트(Byte:이하 옥텟(Octet)이라고도 한다) 길이로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되어 ATM 계층에서 5바이트의 헤더가 부가된 후 다수의 53바이트의 ATM 셀들로 매핑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ATM 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5바이트의 헤더(header)와 48바이트의 유료부하(Payload)로 구분되고, 사용자망접면(UNI)에서 사용되는 5바이트의 헤더구조는 제1바이트가 4비트의 일반흐름제어(GFC:Generic Flow Control)와 4비트의 가상경로 식별자(VPI:Virtual Path Identifier)로 이루어지고, 제2바이트가 4비트의 가상경로 식별자(VPI)와 4비트의 가상채널 식별자(VCI:Virtual Channel Identifier)로 이루어지며, 제3바이트는 8비트의 가상채널 식별자(VCI)로 이루어지고, 제4바이트는 4비트의 가상채널 식별자(VCI)와 3비트의 유료부하형태(PT:Payload Type)와 1비트의 셀포기순위(CLP:Cell Loss Priority)로 이루어지며, 제5바이트는 8비트의 헤더오류제어(HEC:Header Error Control)로 이루어진다.
제4도는 ATM 사용자망접면(UNI)에서의 호(call) 처리관련 메시지의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발신자(calling user)와 네트웍(Network)과 착신자(called user) 사이의 호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호 및 접속 제어를 위해 신호적응계층(Signalling ALL)을 통해 항시 가상채널접속(VCC:virtual channel connection)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가상채널을 통해 호/접속 제어 메시지들이 오가면서 유료부하 전달을 위한 접속을 제어하는 바, 호/접속 제어에 사용되는 메시지는 다음 표<2>와 같이 ATM 호(Call)/접속 제어에 대한 메시지와, 다음 표<3>과 같이 글로발 호 번호(Global Call Reference)에 사용되는 메시지와, 다음 표<4>와 같이 ATM 다지점(multipoint) 호/접속 제어에 사용되는 메시지로 구분된다.
제4도에 있어서, 호/접속 제어 과정을 살펴보면, 발신자는 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셋업(SETUP)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웍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타이머 T303을 스타트하고 호 초기화(Call Initiated state) 상태가 된다. 이때, 셋업 메시지에는 호 번호(Call reference), 호처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 요소들(예를 들면, 착신자 번호(called part number), ATM 사용자 셀속도, 광대역 베어러 능력, 서비스 품질 파라메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만일 타이머 T303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응답이 없으면, 셋업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소정 횟수 반복해도 응답이 없으면 호처리를 중단한다.
네트웍은 셋업 메시지를 수신한 후 유효한 접속 식별자(VPCI/VCI)를 선택하여 할당하고, 이어서 착신자에게 다시 셋업(SETUP) 메시지를 전송한다.
착신자는 셋업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접속을 허락하고 싶으면 콜 프로시딩(CALL PROCEEDING) 또는 커넥트(CONNECT)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웍에 전송하고, 접속을 허락하지 않고 싶으면 릴리즈 완료(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콜 프로시딩 메시지는 셋업 메시지를 받은 후 타이머 T303의 만료시간까지 접속을 할 수 없을 때 착신자가 네트웍으로 전달하고, 네트웍은 콜 프로시딩 메시지를 받으면 타이머 T303을 중지시킨 다음 타이머 T310을 스타트하고 Incoming Call Proceeding 상태가 되며, 착신자가 커넥트 메시지를 전송할 때는 타이머 T313을 스타트하고 접속요구(Connect Request state) 상태가 된다.
커넥트 메시지를 받으면 네트웍은 타이머 T303 또는 T310을 중지시키고, 커넥트 어크놀리지 메시지를 착신자에게 전달하고, 이어서 커넥트 메시지를 발신자측에 전달하며 액티브(Active) 상태가 된다.
착신자는 커넥트 어크놀리지 메시지를 받으면 타이머 T313을 중지하고 액티브(Active) 상태가 되고, 발신자는 커넥트 메시지를 받으면 커넥트 어크놀리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액티브(Active)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호처리 과정을 통해서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에는 접속 식별자(VPCI/VCI)로 주어진 통신경로(접속)가 형성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데이터 전송이 끝나거나 전송중에, 접속을 해제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착신자 또는 발신자)는 릴리즈(RELEASE) 메시지를 생성함과 아울러 타이머 T308을 스타트하여 네트웍에 접속의 해제를 요구한 후 릴리즈 요구(Release Request staste) 상태가 되고, 네트웍은 릴리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가상채널 접속을 해제하고 상대측에도 이를 알리며 릴리즈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측에 전달하고 널(NULL) 상태로 된다.
접속 해제를 요구한 사용자(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릴리즈 완료(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이머 T308을 중지시키고, 가상채널, 호번호 등을 해제하고 널(NULL)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 또는 네트웍은 언제든지 상태 요구(STATUS ENQUIRY)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웍 또는 다른 사용자의 상태(status)에 대한 정보를 요구할 수 있고, 상태 요구(STATUS ENQUIRY) 메시지를 받은 사용자 또는 네트웍은 상태(STATUS)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신의 상태를 알려준다.
한편, 이미 존재하는 채널 접속(connection)에 다른 사용자(party)를 부가할 경우에 애드 파티(ADD PARTY) 메시지로 이를 요구하고, 현존하는 지점-다지점 접속(point to multipoint connection)에서 사용자의 접속을 해제할 경우에 드롭 파티(DROP PARTY)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5도는 ATM 사용자망접면(UNI)에서 호처리 제어 관련 메시지의 일반적인 포맷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단의 1,…, 8은 비트를 나타내고, 우측 변의 1,2,…,9, etc는 바이트(옥텟)를 나타낸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이트는 프로토콜 분별자(Protocol Discriminator)로서 ATM UNI에서는 1001이고, 제2바이트의 비트 5 내지 8은 0이고, 비트 1 내지 4는 호 번호(Call reference)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내며 통상 11이다. 제3바이트 내지 제5바이트는 호 번호를 나타내며 특히, 제3바이트의 비트 8은 플래그(flag)로서 0이면 발신자측으로부터(from) 보내지는 메시지를 나타내고, 1이면 발신자측으로(to) 보내지는 메시지를 나타낸다. 제6 및 7바이트는 메시지 타입을 나타내며 제6바이트 값에 따라 메시지가 다음 표<5>와 같이 할당된다.
또한, 제8 및 제9바이트는 메시지 길이를 나타내며 최대 64K(2 ) 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10바이트부터는 가변 길이의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가 뒤따른다.
제6도는 ATM UNI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요소의 일반적인 포맷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단의 1,…,8은 비트를 나타내고, 우측 변의 1,2,…,5, etc는 바이트(옥텟)를 나타낸다.
제6도에 있어서, 제1바이트는 정보요소 식별자(Information element identifier)로서 그 값에 따라 다음 표<6>과 같이 정보요소가 구분된다.
또한, 제2바이트에서 비트 8은 1이고, 비트 6 및 7은 코딩 표준(Coding Standard)이고, 비트 1 내지 5는 IE 명령필드(IE Instruction Field)이다. 제3바이트 및 제4바이트는 정보요소의 길이(Length of information element)를 나타내며, 제5바이트 이후에 정보요소의 내용이 이어진다.
제7도는 본 발명이 수행되는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로서, ATM망으로부터 ATM 셀을 수신하는 ATM부(10)와 ATM부(10)로부터 수신된 셀들을 처리하여 에러를 검사하고 조립하여 메시지를 복원하는 AAL5 수신부(20)와, AAL5 수신부(20)로부터 조립된 메시지를 메모리(40)에 저장하고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독출하는 마이컴(30)으로 이루어진다.
제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는 호의 상대방인 착신자를 식별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제8도에 있어서, 제1옥텟은 1110000으로 상기 표<6>에서와 같이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임을 나타내고, 제5옥텟에 번호의 종류(Type of number)와 어드레싱/넘버링 플랜 식별 정보가 실려 있고, 어드레싱/넘버링 플랜에 따라 제6옥텟 이상이 부가되어 어드레스/번호 디짓(Address/Number Digits) 또는 NSAP 어드레스 옥텟(NSAP Address Octets)이 실린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라 수신된 셋 업(SETUP) 또는 애드 파티(ADD PARTY) 메시지의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로부터 NSAP 어드레스 옥텟을 식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9도에 있어서, 단계100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드웨어에 의해 ATM망에서 셋업(SETUP) 또는 ADD PARTY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어서 임시변수 a에 8번째 옥텟 데이터(m[7])를 저장한 후, 8번 좌로 시프트하여 그 결과를 9번째 옥텟 데이터(m[8])와 가산하여 메시지 길이(Ls)를 구한다. 여기서,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는 제1옥텟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m[0],m[1],m[2],…로 표시하는 바, 제8옥텟과 제9옥텟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의 길이(Ls) 정보가 실려있다(100∼110).
이어서, 카운터에 9를 로딩한 후 1씩 증가시키면서 카운터가 가리키는 옥텟의 데이터가 112인지를 판단하여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를 찾은 다음, 이때 카운터값이 110단계에서 구한 메시지의 길이에 9를 더한 값(Ls+9)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에러를 검출한다(120∼150). 즉, 본 발명의 목적인 NSAP 어드레스 옥텟은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에 있으므로, 먼저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를 찾는다.
이어서, 현재의 카운터는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의 제1옥텟인 정보요소 식별자(IEI:Information elememt identifier)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현재의 카운트값에 2를 증가시켜 카운터가 지시하는 옥텟의 데이터를 임시변수 a에 저장하고, 8번 좌로 시프트한 후 임시변수 a값을 다시 카운트값이 1 증가된 카운터가 지시하는 옥텟의 데이터와 가산하여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의 길이(La)를 구한다(160). 즉,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의 길이(La)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요소 식별자(IEI)보다 2옥텟 뒤에 위치하므로 카운터값을 2증가시켜 정보길이의 첫번째 바이트를 독출하고, 이어서 카운터를 1증가시켜 정보길이의 두 번째 바이트를 독출한다.
이어서, 임시변수 b1에 번호의 종류 데이터를 위한 마스크값 1110000을 저장하고, b2에 어드레싱 및 넘버링 플랜을 위해 1111을 저장한 후 카운터 값을 1증가시켜 카운터가 지시하는 옥텟의 데이터를 읽어와 임시변수 b1와 앤드연산을 수행(masking)하여 번호의 종류(Type of number)를 구해 이를 임시변수 a에 저장한다(170,180,190). 이때 번호의 종류 데이터가 0이면 Unknown을 나타내고, 1은 국제번호(international number)를 나타낸다.
이어서, 임시변수 a의 값을 0과 비교하여 0이면, 카운터가 지시하는 옥텟의 데이터를 다시 읽어와 임시변수 b2와 앤드연산을 수행(masking)하여 어드레싱/넘버링 플랜 정보를 구하고, 그 결과가 2인지를 판단하여 2이면 임시변수 i를 0으로 초기화 한 후 카운터를 1씩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가면서 데이터를 읽어와 변수 S[i]에 저장하고, 카운터값이 정보요소의 길이(La)와 같아지면 임시변수 S[i]에 저장된 NSAP 어드레스와 i를 출력한다(200∼280). 이때, 어드레싱/넘버링 플랜이 1이면 ISDN/telephony numbering plan(권고 E.164)을 나타내고, 10이면 ISO NSAP를 나타내는 바, 번호 타입(Type of number)이 0이 아니거나 어드레싱/넘버링 플랜이 2가 아니면 i에 0을 라이트하여 출력한다(290). 여기서, 어드레싱/넘버링 플랜이 권고 E.164에 따른 경우 번호타입은 1이고, 어드레싱/넘버링 플랜이 OSI NSAP일 경우에는 0이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ATM망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호 및 연결제어관련 정보들을 독출함으로써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Q.93B 프로토콜에 따른 호 및 연결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통신망 서브번지절차(NSAP) 어드레스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Claims (1)

  1. 프로토콜 분별자 필드와 호번호치 필드와 메시지타입 필드, 메시지길이 필드, 정보요소 식별자 필드를 포함하는 미리 정의된 포맷의 메시지들을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와 비동기 전달 모드(ATM)망 사이에 교신하여 사용자와 비동기 전달 모드(ATM)망간의 접속을 생성하기 위한 비동기 전달 모드 사용자망접면(UNI)의 호 및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신호적응계층(SAAL5)을 통해 수신된 소정 포맷의 메시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메시지길이 필드의 데이터를 읽어와 수신된 메시지의 길이정보(Ls) 값을 구하는 제2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정보요소 식별자 필드의 데이터를 읽어와 소정의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 식별자값(11210)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착신자번호 정보요소를 구하는 제3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옥텟단위의 전체 길이를 카운터로 카운트한 값과, 상기 제2단계에서 구한 메시지의 길이 정보값을 비교하여 길이 에러를 검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구한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로부터 번호 타입 필드의 데이터를 읽어와 그 값이 언노운값(0)이고, 어드레싱/넘버링 플랜 식별 필드의 데이터를 읽어와 그 값이 ISO 통신망 서브번지 절차값(2)이면, 착신자번호(Called Party Number) 정보요소로부터 통신망 서브번지 절차(NSAP) 어드레스 옥텟을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5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통신망 서브번지절차(NSAP) 어드레스 식별방법.
KR1019940039557A 1994-12-30 1994-12-30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5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557A KR0158929B1 (ko) 1994-12-30 1994-12-30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557A KR0158929B1 (ko) 1994-12-30 1994-12-30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907A KR960027907A (ko) 1996-07-22
KR0158929B1 true KR0158929B1 (ko) 1998-12-01

Family

ID=1940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557A KR0158929B1 (ko) 1994-12-30 1994-12-30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9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907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929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58926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58925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33785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58918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58928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58924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58923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58917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58927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58916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KR0133796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33789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33784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33787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33788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33790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33793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33794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33783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33786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0133795B1 (ko)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 방법
KR100233677B1 (ko) Atm교환기에서 인입호 에뮬레이션 방법
KR100233676B1 (ko) Atm교환기에서 가입자호 발생방법
KR100221328B1 (ko)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방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분할 및 재결합 부계층에서의 연결별 수신 버퍼 사용을 통한 메모리 활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