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165B1 -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165B1
KR0158165B1 KR1019950050602A KR19950050602A KR0158165B1 KR 0158165 B1 KR0158165 B1 KR 0158165B1 KR 1019950050602 A KR1019950050602 A KR 1019950050602A KR 19950050602 A KR19950050602 A KR 19950050602A KR 0158165 B1 KR0158165 B1 KR 015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ans
vehicle
pressure control
actuato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888A (ko
Inventor
천병관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5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165B1/ko
Publication of KR97003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1Seat suspension devices actively controlled suspension, e.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 B60N2/52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characterised by damp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절 가능한 현가 장치를 좌석에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주행 시간 체크 장치와, 차량의 외부 전면에 설치되는 노면 거칠기 감지 센서와,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차속 센서와, 제동 장치에 설치되는 제동 및 급가속 감지센서와, 상기한 센서들 및 주행 시간 체크 장치의 신호를 받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압력 제어 수단과, 상기한 압력 제어 수단에 의하여 조절되고 좌석 쿠션 아래와 베이스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는, 주행 중에 승객의 안락함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안전한 운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편리함을 제공하며, 특히 좌석의 각각 다른 부분을 독립하여 조절함으로써 승객에게 더 나은 안락함을 제공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의 액츄에이터를 적용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 상황에 따라 감쇠 변화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차량은, 차량의 바퀴에 설치되는 현가 장치와, 바퀴의 공기압에 의한 쿠션과, 좌석 자체의 쿠션으로 운전자의 안락함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좌석은 수동 좌석과 동력 좌석이 있으며, 수동 좌석은 시트 프레임위에서 앞 뒤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시트백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동력 좌석은, 상기한 수동 좌석에서 조절하는 것을 구동력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승객의 체구에 맞추어 스위치로 쉽게 좌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운전 상황에 대한 좌석의 쿠션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추어 승객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승객이 최종적으로 전달받은 매체는 좌석 쿠션이므로, 거친 노면 주행시의 진동, 충격, 또는 흔들림을 좌석을 통하여 받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좌석 쿠션의 감쇠 기능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승객의 안락함을 극대화할 수 없다.
또한, 장기 운전에 대한 조건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종적으로 승객에게 영향을 미치는 좌석에 가변성 현가 장치를 보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승객의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외부 전면에 노면 거칠기 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차속 센서를 설치하고, 제동 장치에 제동 및 급가속 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차량에 주행 시간 체크 장치를 장치하고, 상기한 센서들 및 주행 시간 체크 장치의 신호를 받아서 변환하여 다시 보내는 전자 제어 장치를 설치하고, 이 전자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압력 제어 수단을 설치하고, 이 압력 제어 수단에 의하여 조절되는 액츄에이터를 좌석 쿠션 아래와 베이스 패널 사이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작용]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액츄에이터를 좌석 쿠션 아래와 베이스 패널 사이에서 차량 진행 방향으로 일렬씩 필요한 수만큼 설치하며, 각각의 열에 하나의 압력 제어 수단을 달고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차량의 운전 상황 조건에 따라 전자 제어 장치에서 압력 제어 수단에 신호를 보내면, 압력 제어 수단의 작용으로 액츄에이터의 감쇠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장치는 노면 거칠기 감지 센서(1), 차속 센서(3), 제동 및 급가속 감지 센서(5), 주행 시간 체크 장치(7), 전자 제어 장치(9), 압력제어수단(11), 액츄에이터(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노면 거칠기 감지 센서(1)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하여 주행중에 노면의 거칠기를 감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차속 센서(3)는 통상의 설치 방법과 마찬가지로 변속기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회전수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전자 제어 장치(9)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동 및 급가속 감지 센서(5)는 제동 장치에 설치하여 제동할 경우와 가속할 경우에 작동하여 전자 제어 장치(9)에 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주행 시간 체크 장치(7)는 연속적인 주행 시간을 체크하여 전자 제어 장치(9)에 보낸다.
그리고,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9)는 압력제어수단(11)로 신호를 보내서 압력을 제어하며, 이때 액츄에이터(13)의 감쇠력은 변환되는 것이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장치가 적용되는 좌석을 도시한 것으로, 장치를 설치하려면 종래의 두터운 좌석 쿠션의 내부에서 쿠션의 두께를 줄이고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 장치(13)로써 차량 좌석의 횡으로 설치되는 일렬의 액츄에이터 장치(13)이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한 액츄에이터장치(13)는 좌석의 앞에서 뒤로 여러 열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액츄에이터(13)는, 베이스 패널(25)위에 실린더(15)를 설치하고, 이 실린더(15)에 미끄럼 작용하도록 개재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가 헤드 면에 뚫려 있고 헤드와 로드의 가운데를 잇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가 뚫려 있고 로드의 끝부분에는 로드의 원주면에 관통구를 뚫려있는 피스톤(17)을 설치하고, 이 피스톤 로드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관통구와 연결되는 유로(19)를 각각 이어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액츄에이터(13)는, 상기한 피스톤 로드위에 결합되고 유연한 탄성력을 가지는 가로대(21)와, 상기한 피스톤 로드에 개재되어 상기한 실린더(15)의 위면과 상기한 가로대(21)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한 가로대(21)의 위에 쿠션(27)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유로(19)에 압력제어수단(11)를 설치하고, 이 압력제어수단(11)에 지령 전류를 보내는 전자 제어 장치(9)가 있다.
물론, 압력제어수단(11)의 다른 쪽에는 오일탱크(29)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쪽은 이 오일탱크(29)의 오일을 수송하는 펌프(31)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액츄에이터(13)는, 압력제어수단(11)의 통과 유량의 제어에 의하여 감쇠력이 조절되는 것으로, 이 밸브(11)에 유량을 많이 흐르게 하면 감쇠력은 떨어지고 유량을 적게 흐르게 하면 감쇠력이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압력제어수단(11)는 전자 제어 장치(9)에 의하여 기준치가 설정되며,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에 펌프(31)가 작동하여 오일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유체가 그대로 흐르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압력제어수단(11)에 의하여 액츄에이터(13)가 일정한 감쇠력을 보유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노면 거칠기 감지 센서(1)에서 노면의 상태를 전자 제어 장치(9)에 보내면, 전자 제어 장치(9)에서는 액츄에이터(13)가 적절한 감쇠력을 가지도록 압력제어수단(11)를 조절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면이 거칠면 좌석이 소프트(SOFT)기능을 가지도록 조절된다.
그리고, 차속 센서(3)에서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 속도를 전자 제어 장치(9)에 보내면, 이 전자 제어 장치(9)는 액츄에이터(13)가 적절한 감쇠력을 가지도록 압력제어수단(11)를 조절한다.
그리고, 제동 및 급가속 감지 센서(9)에서 차량의 제동 상태와 급가속도를 감지하여 이 데이터를 전자 제어 장치(9)에 보내면, 이 전자 제어 장치(9)는 액츄에이터(13)가 적절한 감쇠력을 가지도록 압력제어수단(11)를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제동시에는 다리 허벅지 부분이 소프트해야 하며, 급가속시에는 뒤쪽이 하드(HARD)해야 한다.
그리고, 주행 시간 감지 장치(7)에서 차량의 주행 시간을 감지하여 이 데이터를 전자 제어 장치(9)에 보내면, 이 전자 제어 장치(9)는 액츄에이터(13)가 적절한 감쇠력을 가지도록 압력제어수단(11)를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주행 시간이 길면 좌석에 하드 기능을 제공하고, 주행 시간이 짧으면 좌석에 소프트 기능을 제공한다.
더우기, 각각의 상태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각각의 액츄에이터 장치(13)의 열은 독립하여 작동한다.
그래서, 여러가지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전자 제어 장치(9)는 센서들의 신호를 받아서 적절하게 보상하여 독립된 액츄에이터 장치(13)에 연결되어 결합되는 각각의 압력제어수단(11)에 보상된 값을 보낸다.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주행 중에 각각의 상태에 따라 좌석의 현가 장치를 조절하여, 승객의 안락함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안전한 운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편리함을 제공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좌석의 각각 다른 부분을 독립하여 조절함으로써 승객에서 더나은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의 외부 전면에 설치되는 노면 거칠기 감지 센서(1)와,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차속 센서(3)와, 제동 장치에 설치되는 제동 및 급가속 감지 센서(5)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주행 시간 체크 장치(7)와, 상기한 센서들(1,3,5) 및 주행 시간 체크 장치(7)의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를 전환하여 전환된 신호를 보내는 전자 제어 장치(9)와,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9)에 연결되어 상기한 전환된 신호를 받아서 작동하는 압력제어수단(11)와, 상기한 압력제어수단(11)에 의하여 조절되고 좌석 쿠션 아래와 베이스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13)로 구성되는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베이스 패널(25)위에 설치되는 실린더(15)와, 상기한 실린더(15)에 미끄럼 작용하도록 개재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가 헤드 면에 뚫려 있고, 헤드와 로드의 가운데를 잇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가 뚫려 있고, 로드의 끝부분에는 로드의 원주면에 관통구를 뚫려 있는 피스톤(17)과, 상기한 피스톤 로드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관통구와 연결되는 유로(19)와, 상기한 피스톤 로드 위에 결합되고, 유연한 탄성력을 가지는 가로대(21)와, 상기한 피스톤 로드에 개재되어 상기한 실린더(15)의 위면과 상기한 가로대(21)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압력제어수단(11)는, 피스톤에 연결되는 쪽의 다른 쪽에는 오일을 보내도록 연결되는 오일탱크(29)와, 또 다른 쪽은 이 오일탱크(29)의 오일을 수송하는 펌프(31)를 포함할 수 있는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9)는 주행 시간 체크 장치(7)의 신호에 따라 주행시간이 길면 액츄에이터(13)가 하드하도록 압력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고, 주행시간이 짧으면 액츄에이터(13)가 소프트되도록 압력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는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KR1019950050602A 1995-12-15 1995-12-15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KR015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602A KR0158165B1 (ko) 1995-12-15 1995-12-15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602A KR0158165B1 (ko) 1995-12-15 1995-12-15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888A KR970036888A (ko) 1997-07-22
KR0158165B1 true KR0158165B1 (ko) 1998-12-01

Family

ID=1944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0602A KR0158165B1 (ko) 1995-12-15 1995-12-15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1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888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297B1 (en) Integrated active seat suspension and seat lockup device
US5454451A (en) Process for controlling vibration damping force in a vibration damping device
EP0850156B1 (en) Controllable seat damp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210217B1 (ko) 차량 완충기의 감쇠력 특성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584258B2 (ko)
JPS60234015A (ja) 車両のばね装置の硬さ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EP0559197B1 (en) Arrangement of suspens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EP2072323A1 (en) Cushioned intermediate system for seat, in particular for vehicle seat
US6834865B1 (en) Horizontal balance control system of motor vehicle
US6209887B1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vehicle suspension
KR0158165B1 (ko) 차량용 좌석 현가 시스템
US5954149A (en) Vehicle cab motion control
JPH0612136B2 (ja) キャブの弾性支持装置
KR100418616B1 (ko) 자동차의 에어 스프링 전자 제어장치
KR100435345B1 (ko)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시스템
JP2934371B2 (ja) 車体角度の制御装置
KR100443964B1 (ko) 차량용 시트의 선회 쏠림방지구조
KR19980073357A (ko) 자동차 시트의 현가장치
KR20020052595A (ko) 차량 현가장치
KR100387631B1 (ko) 차량의 능동 제어형 시트
KR19990057517A (ko) 차량용 전자제어 현가장치
KR19980030176A (ko)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KR20030021928A (ko) 자동차용 에어 시트 구조
KR19980010408U (ko) 자동차의 전자제어 틸팅 현가장치
KR19980041622A (ko) 전자석을 이용한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