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470B1 - 접근하기 어려운 벽면에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접근하기 어려운 벽면에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470B1
KR0157470B1 KR1019940701649A KR19940701649A KR0157470B1 KR 0157470 B1 KR0157470 B1 KR 0157470B1 KR 1019940701649 A KR1019940701649 A KR 1019940701649A KR 19940701649 A KR19940701649 A KR 19940701649A KR 0157470 B1 KR0157470 B1 KR 0157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lange
wall
nozzle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렌터 알렌
Original Assignee
베렌터 알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렌터 알렌 filed Critical 베렌터 알렌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2/009613 external-priority patent/WO199301031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470B1/ko

Links

Landscapes

  • Dowels (AREA)

Abstract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10)는 축방향 통로, 개방 단부 및 단부중 하나에 있는 반경방향 수축가능한 절두 원추형 플랜지(16)를 가지고 있는 가늘고 긴 슬리브(15)를 포함한다. 이 슬리브(15)는 슬리브의 선단부에 있는 플랜지(16)가 벽 또는 보오내에 삽입된 외관에 의해 플랜지(16)가 수축된 상태로 벽내에 보어를 통해 삽입된다. 플랜지(16)는 벽의 원격 표면을 지나 돌출할 때 팽창 이완된 상태로 복귀하고 슬리브(15)가 뒤로 잡아당겨질 때 원격 표면과 함께 밀봉부(20)를 형성한다. 수나사부(34)를 가지고 있는 노즐(36), 후크 또는 아이등과 같은 물품이 축방향 통로에 삽입되어 슬리브(15)에 대해 고정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접근하기 어려운 벽면에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접근하기 어려운 벽면에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면위 고소인, 달리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빌딩의 외부표면에는 여러가지 물품을 고정할 필요가 종종 있다. 그예로서 홈통, 와이어, 및 간판이 있다. 이러한 물품을 빌딩의 외부에 장착하는 것은 통상 사다리, 비계 또는 관련 빌딩의 높이 및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보다 정교한 지지 시스템이 사용을 수반한다. 이러한 기구의 사용은 비용과 시간을 낭비하며 위험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전적으로 벽의 한측면에서 물품을 벽에 설치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이는 벽의 한 측면이 매우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 예컨대 한측면이 지면위 수층의 빌딩 외부벽일 때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한 사람이 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금속 또는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로된 중공 원통형 슬리브를 포함하고 있는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고, 슬리브의 길이는 관련벽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슬리브의 한 단부에 부착된 것은 슬리브의 외주 둘레에서 절첩 자세를 취하도록 그 자체로 반경 방향으로 수축 및 절첩될 수 있는 탄성 가요성 박막(membrane)의 우산형상 플랜지이다. 상기 절첩 자세로 있는 플랜지는 통상 적어도 슬리브의 또다른 부분에 의해 한정된 보다 큰 외부 둘레내에 놓이는 환형 공간내에 끼워진다. 이는 슬리브를 벽내에 미리 드릴 가공된 보어내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벽을 관통시켜 밀어넣어 벽밖으로 연장시킬 때, 플랜지 재료의 탄성은 슬리브의 바깥 둘레보다 더 큰 둘레로 플랜지를 벌어지게 한다. 플랜지를 개방위치로 편의시킬 때 플랜지의 탄성을 돕기 위하여 토글 볼트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편의 기구가 채용될 수 있다. 편의 기구내의 스프링은 박막을 바깥쪽으로 편의시켜 플랜지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때 플랜지 박막의 탄성 편의를 도와준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의 하면에 부착된 것은 벽내의 보어안으로 습기, 먼지 등 다른 요소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벽의 외부 표면에 애해 개방한 플랜지를 밀봉하는 엘라스토머 재료이다. 이 재료는 예컨대 접착제로 플랜지의 내면에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의 더큰 단부에 있는 상기 재료는 플랜지와 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시일(seal)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두께를 더 두텁게 할 수 있다. 슬리브를 보어내에 고정하고 플랜지를 벽에 대하여 후방으로 끌어당기어 벽의 외부에 대하여 기밀을 형성하기 위하여 슬리브의 나사진 후단부에 와셔를 구비한 너트가 나사 체결된다. 편의 기구는 플랜지가 뒤로 당겨질 때 플랜지가 접혀지거나 역전되는 것을 도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를 사용하므로써 벽의 외부에 특히 양호하게 장착되는 물품은 노즐이다. 이러한 노즐은 미국 특허 제 4,848,82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기 조절기로부터 응축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과 결합하여 채용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슬리브내에 장착된 노즐을 포함하여 벽을 관통하는 개방구멍내에 위치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 슬리브 조립체의 좌측 단부도.
제3도는 제1도 슬리브 조립체의 우측 단부도.
제4도는 플랜지가 벽을 관통하는 개방 구멍 내부에서 수축된 상태로 있는 제1도 슬리브 조립체의 부분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후크 부재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부재(eye member)의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의 제3실시예를 벽을 관통하는 개방 구멍에 위치시켜 노즐이 슬리브 조립체내에 정착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제8도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의 우측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에서 슬리브의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 슬리브의 우측 단부도.
제12도는 제8도 관통-벽 슬리브의 노즐관 너트의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 노즐관 너트의 좌측 단부도.
제14도는 제8도 슬리브 너트의 확대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 슬리브 너트의 좌측 단부도.
제16도는 제8도 커버의 확대 단면도.
제17도는 제8도 슬리브 조립체의 토글 아암중 하나의 확대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 토글 아암의 평면도.
제19도는 제8도 트글 아암 코일 스프링의 확대 측면도.
제20도는 제8도 슬리브 조립체의 토글 지지체의 확대 좌측 단부도.
제21도는 제8도 트글 아암 지지체의 확대 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 트글 아암 지지체의 플랜지 프로텍트의 확대 단면도.
제23도는 제20도 트글 아암 지지체의 기둥중 하나의 부분 확대도.
제24도는 제23도 트글 아암 지지체의 기둥의 측면도.
제25도는 제8도 슬리브 조립체의 플랜지의 우측 단부도.
제26도는 제25도 플랜지를 선26-26에 따라 취한 단면도.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는 참조번호 10으로 도시되어 있고 벽(14)을 관통하는 보어(12)내에 위치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슬리브 조립체(10)는 벽(14)에 있어서 보통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좌측면에서 삽입되어 정상적으로는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벽의 우측면으로 돌출한다. 예컨대, 벽(14)의 좌측면은 빌딩의 상부 바닥에서 접근할 수 있지만, 벽의 우측면은 빌딩의 외부, 일정 지지 표면에서 높이 위치해 있다.
슬리브 조립체(10)는 그 선단부(보어(14)안으로의 슬리브 삽입 방향에 의해 결정됨)에 탄성 플랜지(16)를 가지고 있는 슬리브(15)와, 그 후단부에 수나사부(18)를 포함한다. 플랜지(16)는 슬리브(15)의 선단부에 최소의 직경으로 부차되고 그 바깥 방향 및 후방쪽으로 나팔꽃 모양으로 벌어져 있는 탄성재의 절두원추형의 박막 형태이다. 압축가능한 탄성 재료의 환형 밀봉 부재(20)가 접착제등에 의해 플랜지의 후단부에 그 안쪽 주변을 따라 부착된다. 선단부에 있는 슬리브(15)의 한 부분(22)은 감소된 외직경을 가지며, 이에 의해 슬리브(15)의 완전한 외직경부(26)와 함께 쇼올더(24)를 형성한다. 감소된 외직경부(26)의 축방향 길이는 적어도 절두원추 플랜지(16)의 모선길이, 즉 플랜지를 따라 그 최대 직경의 원에서 그 최소 직경의 원까지 연장하는 치수이다. 너트(28)와 일체적일 수 있는 와셔(30)를 가지고 있는 너트(28)는 벽(14)의 내부 표면을 맞물기 위하여 슬리브(15)의 후단부상에 나사체결된다.
슬리브(15)는 노즐(36)상에 있는 수나사부(34)와 정합하기 위하여 선단부에 인접한 곳에 암나사부(32)를 가진다. 노즐(36)은 대체로 실린더 형상이며, 그 실린더의 외직경은 슬리브(15)의 내직경에 매우 가깝다. 노즐(36)의 수나사부(34)는 노즐 개방구멍(38)에 인접해 있고 노즐(36)의 수나사부(34)가 슬리브(15)상의 암나사부(32)와 맞물릴 때까지 노즐(36)이 슬리브 조립체(10)의 내부를 통해 활주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때, 슬리브(15)에 대한 노즐(36)의 최소 회전량은 단지 노즐을 적소에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만큼이다. 노즐(36)의 후단부는 공지된 형식의 연결구에 의해 유체를 노즐에 전달하기 위한 유체 라인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10)는 노즐(36)과 결합하여 사용될 때 공기 조절 시스템으로부터의 응축물을 노즐에 전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이 경우, 응축물은 대체로 본 발명자의 미국 특허 제 4,848,821호에 개시된 방식으로 빌딩의 외벽에서 바깥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사용시, 보어(12)는 적절한 크기의 드릴로 벽(14)을 관통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슬리브(15)의 선단부는 보어(12)안으로 삽입되어 보어를 둘러싸고 있는 벽(14)의 재료가 슬리브(15)의 감소된 직경부(22)에 대하여 플랜지(16)의 탄성가요성 박막을 수축하므로써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 우산의 주름과 유사한 플랜지(16)의 주름을 형성한다. 비부착된 플랜지(16)의 후단부가 벽(14)의 외부표면을 지나 보어(12) 밖으로 통과할 때, 플랜지(16)의 탄성은 플랜지를 외반경 방향으로 가압하여 절두 원추형을 취하게 한다. 이때, 슬리브(15)의 후단부의 수나사부(18)는 벽(14)의 내부면상에 노출되어 있다. 너트(28)와 와셔(30)는 와셔(30)가 벽(14)의 내부면을 맞물때까지 슬리브(15)의 수나사부(18)에 나사체결된다. 슬리브(15)를 축방향 안쪽으로 잡아당기고 환형 밀봉 부재(20)를 벽의 외부면에 대항하여 압축하도록 너트(28)와 와셔(30)를 더 회전시키므로써, 외부 환경에 대한 밀봉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플랜지(16)의 절두 원추형 표면은 안쪽으로 휘게된다. 노즐(36)은 노즐(36)의 수나사부(34)가 슬리브(15)의 선단부에 있는 암나사부(32)와 접촉할 때까지 슬리브(15)를 통해 활주하며, 노즐(36)은 슬리브와 확고하게 나사 결합될 때까지 회전된다. 노즐(36)의 후단부에서의 유체 접속은 노즐을 사용하기가 쉽도록 벽의 내측에서 이루어진다.
제5도에 예시된 실시예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플랜지(16)가 슬리브의 잔여부와 분리되어 구비도리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이 실시예에서, 절두 원추형 박막(16)은 슬리브(44)의 선단부에서 감소된 직경부(42)상의 수나사부(41)와 정합하는 암나사부(40)를 가지고 있는 원통형 부재(38)에 부착되며, 상기 감소된 직경부(42)는 슬리브(44)의 완전한 직경부(48)와 함께 쇼울더(46)를 형성한다. 감소된 직경부(42)는 플랜지가 원통형 부분 둘레에서 수축된 자세로 있을 때 원통형 부재(38) 및 플랜지(16)의 박막 양자가 완전한 직경부(26)의 바깥 둘레내에 있을 만큼 작은 직경을 가진다. 제5도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른 형식의 플랜지는 슬리브와 분리된 설치 장소에 보내질 수 있고 슬리브 설치시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10)는 노즐과 결합하여 사용되는데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요소들이 슬리브(15)안으로 삽입될 수 있어 접근하기 어렵거나 접근 불가능한 벽의 외부 표면에 그러한 요소들을 정착하는데 편리한 기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후크 부재(48)와 아이 부재(50)를 도시하며, 이것들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15)안으로 삽입되어 벽(14)의 외부표면을 지나 돌출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후크 부재(48)와 아이 부재(50)상에 있는 수나사부(52, 54)는 각각 그것들이 슬리브와 최종 나사 결합을 위해 회전될 때, 슬리브(15)의 선단부에 있는 암나사부(32)를 맞물때까지 슬리브(15)를 통해 활주할 수 있을 만큼의 직경을 가진다. 후크 부재(48)상에서 나사부(52)와 후크(56) 사이의 거리 및 아이 부재(50)상에서 나사부(54)와 아이(58) 사이의 거리는 후크(56)와 아이(58)가 슬리브(15)의 선단부를 지나 연장하도록 선택된다.
플랜지의 하부면에 부착된 것은 엘라스토머 재료(20)이며, 이것은 벽내의 보어안으로 습기, 먼지 및 기타 다른 요소들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의 외부 표면에 대항하여 개방된 플랜지를 밀봉한다. 상기 재료는 예컨대 접착재에 의해 플랜지의 내면에 부착된다. 슬리브를 보어내에 고정하고 플랜지를 잡아당기고, 또 밀봉 요소를 벽에 대항하여 뒤로 잡아당겨 벽의 외부에 대하여 기밀을 형성하도록 와셔를 가진 너트가 나사진 슬리브의 후단부에 나사체결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통-벽 슬리브 조립체의 제3실시예는 대체로 참조번호 60으로 지시되어 있고, 예컨대 벽돌 벽일 수 있는 벽(64)을 관통한 보어(62)내에 위치되어 있다. 외관(outer tube)(65)은 그 외직경이 보어(62)의 직경보다 약간 작도록 치수화되어 있다. 슬리브 조립체(60)의 다른 요소가 삽입되기 전에 얇은 플라스틱 관일 수 있는 외관(65)을 보어(62)안으로 삽입하는 것은 보어(62)가 슬리브 조립체(60)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넓다는 것을 보증한다. 외관(65)은 매끄러운 내표면을 갖고 있는 벽돌일 수 있는, 보어(62) 형성 재료와의 활주 접촉에 기인한 마멸로부터 슬리브 조립체(60)의 다른 요소들을 보호한다. 슬리브 조립체(60)는 외관(65)의 내직경보다 아주 약간 작은 외직경을 한정하는 복수의 반경방향 연장판(fin) 또는 리브(58)를 가진 슬리브(66)를 포함한다.
슬리브(66)는 보어(62)로의 슬리브(66) 삽입 방향에 의해 결정되는 슬리브의 선단부에 탄성 플랜지(70)를, 후단부에 수나사부(71)를 가진다. 플랜지(70)는 네오프렌과 같은 탄성 재료의 박막이며, 팽창된 위치에서 절두 원추형 부분(72)을 한정한다. 절두 원추형 부분(72)의 더작은 단부에서 플랜지(70)는 축방향 개방구멍(76)을 한정하고 있는 원통형 부분(74)을 포함한다(제25도 및 제26도 참조). 플랜지(70)는 기본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는 지지부재(78)위로 끼워질 수 있도록 원통형 부분(74)을 신장시키므로써 지지부재(78)에 부착된다. 플랜지(70) 재료의 탄성에 기인하여 원통형 부분(74)은 지지부재(78)상에 긴밀하게 유지된다. 지지부재(78)는 슬리브상의 나사부(80)와 지지부재(78)상의 나사부(82)(제21도)에 의해 슬리브(66)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플랜지(70)는 원통형 부분(74)에서 플랜지(70)의 최대 직경을 한정하고 있는 후미 가장자리쪽으로 외측 및 후방쪽으로 벌어져 있다. 플랜지(70)를 한정하는 박막은 벽(64)의 외부 표면에 대한 후미 가장자리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도록 후미 가장자리(84)에서 양호하게 더 두텁게 되어 있다. 슬리브(66)는 슬리브의 단부에서 핀(68)을 지나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환형 공간(86)이 대체로 핀(68)의 외반경 방향 표면으로 한정된 직경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86)은 플랜지가 슬리브(66)의 돌출부분(88)에 대항하여 절첩된 자세로 있을 때 플랜지(70)의 절두 원추형 부분(72)을 수용한다. 선단부에 있는 슬리브(66)의 축방향 돌출부분(88)의 축방향 길이는 적어도 플랜지(70)의 절두 원추형 부분(72)의 모선길이와 원통형 부분(74)의 길이를 합한 정도이다.
와셔(90)는 슬리브(66)의 후단부에 있는 축방향 돌출부분(92) 위로 배치되어 벽(64)의 내부 표면을 맞문다. 너트(94)는 슬리브(66)의 축방향 후방으로 돌출하는 부분(92)의 외측면상에 있는 나사부(71)를 나사식으로 맞물고, 이 너트(84)를 조이므로써 와셔(90)를 벽의 내부 표면에 대항하여 가압하고 슬리브(66)를 내부쪽으로 끌어당긴다.
노즐관(96)은 슬리브(66)의 내직경보다 약간 작은 외직경을 갖고 있어서 슬리브 내측에 미끄럼식 끼워맞춤될 수 있다. 노즐관(96)의 선단부는 노즐(100)상의 수나사부(98)와 정합하기 위한 암나사부를 가진다. 노즐관(96)의 후단부에서 약간 전방에 위치하는 것은 슬리브(66)의 후미 단부를 맞닿으도록 노즐의 외측 표면에서 반경방향 돌출하는 스톱 플랜지(102)이다. 이 스톱 플랜지(102)는 슬리브(66)의 후단부와 맞닿을 때 노즐(100) 이 슬리브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노즐관(96)상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노즐관 너트(104)는 스톱 플랜지(102)의 후미 표면을 맞물고 슬리브(66)의 후단부상에 있는 수나사부(71)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106)(제12도)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노즐관 너트(104)는 슬리브(66)상의 소정의 고정 위치에서 노즐관(96)을 유지한다. 노즐관(96)의 후단부에서 스톱 플랜지(102)로부터 약간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구성은 분산될 응축물을 운반하는 가요성 관등과 같은 라인에 노즐관(96)을 연결하는, 복수의 환형 리지(108)등과 같은 것이다.
제10도 및 제11도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슬리브(66)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네개의 리브(68)를 가진다. 본 발명에는 상이한 개수의 리브(68)를 사용하는 구성도 적합하다는 것이 예상된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관 너트(104)는 슬리브(66)의 후단부에 있는 수나사부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106) 뿐만 아니라 노즐관(96)의 스톱 플랜지(102)상의 후방 표면과 결합하도록 내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110)도 갖고 있다. 제14도 및 제15도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 너트(94)는 암나사부(112) 및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손으로 파지하고 조이기에 매우 적합한 슬리브 너트를 구성하는 슬리브 너트의 반경방향 외측 및 후방면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114)를 갖고 있다.
지지부재(78)의 원주 둘레에 이격된 별개의 부위에 복수의 토글 아암(116)이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플랜지를 절첩된 자세에서 펼쳐진 자세로 편의시키기 위해 플랜지(70)에 연결되어 있다. 제8도의 하반부에 있어서, 토글 아암(116)은 슬리브(66)의 리브(68)에 의해 한저오딘 외직경내에 한정되는 공간(86)내에 절첩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노즐관(96) 및 슬리브(66)는 플랜지의 후미 가장자리(84)와 토글 아암(116)의 후단부가 외관(65)의 선단부와 벽(64)의 외부 표면을 지나 외향 이동할 때까지 외관(65)에 대해 함께 전방 이동된다. 이 시점에, 플랜지(70) 재료의 고유 탄성과 함께 토글 아암(116)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118)의 작용에 의해 플랜지와 토글 아암이 외향 이동한다. 플랜지(70)가 팽창된 상태로 되었을 때, 슬리브(66) 및 플랜지(70)는 벽(64)의 내부 표면에서 슬리브 너트(94)를 조이므로써 내부쪽으로 뒤로 당겨진다. 슬리브 너트(94)는 플랜지(70)의 후미 가장자리(84)가 벽의 외부 표면과 확고히 접촉할 때까지 조여지며 이로써 제8도의 상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과 함께 밀봉을 형성한다. 물론, 실제에 있어서 모든 토글 아암(116)은 동시에 절첩 위치에 있을 것이며 동시에 팽창 위치에 있을 것이다.
제8도 및 제16도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사(120)는 플랜지(70)의 원통형 부분(74)위의 커버(122)를 슬리브(66)의 선단부에 체결된 지지부재(78)에 고정한다. 이 커버(122)는 노즐(100)상에 형성된 쇼율더(126)를 맞무는 내반경 방향 돌출 플랜지(124)를 가진다.
제17도 및 제18도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이 토글 아암(116)은 상면(128)과 두개의 측면(130)을 가지고 있는 채널 부재이며, 한 단부에서 다른 단부까지의 폭과 높이에 있어서 끝이 점차 가늘어져 있다. 토글 아암(116)에서 더 높고 더 넓은 단부에는 정렬된 개방구멍(132)이 양측면(130)내에 형성되어 있다. 토글 아암(116)은 지지부재(78)상에, 더욱 상세히는 제20도 및 제21도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에서 반경방향 돌출하는 토글 아암 장착 기둥(134)상에 장착된다. 제23도 및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착 기둥(134)은 대향 돌출하는 너브(136)를 가진다. 토글 아암(116)이 장착 기둥(134)위에 위치될 때, 상기 너브(136)는 토글 아암이 장착 기둥상에서 피봇 회전하도록 토글 아암(116)의 측면내에 있는 정렬된 개방구멍(132)을 통해 돌출한다. 코일 스프링(118)은 장착 기둥(134)과 토글 아암(116)의 측면(13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너브(136) 둘레에 위치되어 토글 아암(116)이 슬리브(66)로부터 일정 각도로 돌출하는 위치로 토글 아암을 편의시킨다. 제8도 및 제19도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코일 스프링(118)은 토글 아암(116)의 상면(128)의 하면을 따라 돌출하고 그것과 접촉하는 제1레그(138) 및 스프링의 코일에서 돌출하고 지지부재(78) 상의 표면과 맞물림하는 또다른 레그(140)를 가진다.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토글 아암 지지 기둥(134)은 지지부재의 후단부에 인접한 평면에서 지지부재(78)의 실린더 축선에 교차하는 평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평면에서 약간 전방으로 이격된 것은 플랜지 프로텍터(142)이며, 이것은 그 자체가 지지부재(78)의 원통형부분에서 바깥 방향 및 후방으로 벌어져 있는 플랜지이다. 플랜지 프로텍터(142)는 지지부재(78)의 길이방향 축선과 교차하는 평면과 예컨대 30°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플랜지 프로텍터(142)는 플랜지(70)의 재료가 토글 아암(116)의 상대 이동 표면과 지지 기둥(134) 사이에 붙잡히는 것을 방지한다. 각 토글 아암(116)을 형성하고 있는 채널의 상면(128)은 정렬된 개방구멍(132)을 지나 토글 아암(116)의 더큰 단부쪽 방향으로 충분히 돌출하므로써 토글 아암의 더 큰 단부가 지지부재(78)를 맞물어서 코일 스프링(118)이 토글 아암을 지지부재(78)와 이루는 예각을 초과하여 편의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플랜지(70)가 슬리브 너트(94)에 의해 벽(64)의 외부표면에 대항하여 끌어 당겨질 때 플랜지(70)의 절두 원추형 부분(72)이 역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4도 및 제26도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70)의 후미 가장자리(84)는 콘의 내측 표면쪽으로 절곡되어 헴(144)을 형성한다. 따라서, 플랜지(70)의 절두 원추형 부분(72)의 후미 가장자리(84)에 두께부가 형성된다. 더욱이, 헴(144) 안에는 토글 아암(116)의 후단부를 수용하는 포켓(146)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플랜지(70)와 토글 아암이 함께 이동한다.
노즐(100)은 황동으로, 플랜지(70)는 네오프렌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부재(78), 토글 아암(116), 코일 스프링(118), 및 나사(122)는 카드늄 도금 강철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슬리브 조립체의 다른 부분들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 없이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행해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Claims (19)

  1. 상재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표면과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대향 표면을 가지고 있는 벽을 관통하는 개방 구멍내에 물품을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접근하기 쉬운 표면으로부터 상기 개방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접근하기 쉬운 표면으로부터 상기 물품을 수용하고 슬리브의 대향 개방 단부를 형성하도록 슬리브 전체를 통해 연장하는 축방향 통로와 외주 경계부를 가지고 있는 가늘고 긴 슬리브, b) 상기 슬리브의 상기 개방 단부중의 하나에 있고,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접근하기 어려운 표면을 맞물도록 상기 슬리브의 상기 외주 경계부를 지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반경 방향 수축 가능한 탄성 플랜지, c)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슬리브의 외주 경계부내에 전부 있는 반경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로 상기 플랜지를 상기 슬리브의 상기 외주 경계부내에 수용하기 위한 상기 슬리브의 반경 방향으로 감소된 치수부분, 및 d) 상기 통로가 상기 물품을 수용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고서 상기 접근하기 쉬운 표면에서 상기 벽에 상기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슬리브를 제2개방 단부에 인접한 맞물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탄성 변형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2항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절두 원추형 박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3항 있어서, 상기 박막은 상기 슬리브의 상기 단부중 하나에 연결된 최소 직경의 제1단부와 상기 슬리브의 상기 한단부로부터 이격된 최대 직경의 제2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상에 밀봉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복수의 반경 방향 돌출하는 축방향 리브를 가지며, 상기 슬리브의 상기 외면은 상기 리브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외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외관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단부중 하나에 인접한 수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는 암나사부를 가진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부재는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슬리브에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수단은 상기 개방 단부중 제2개방 단부에 인접한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와 맞물림 가능한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에 연결된 복수의 토글 아암과, 상기 슬리브에 평행한 위치에서 상기 토글 아암이 상기 슬리브와 예각을 이루는 위치까지 상기 토글 아암을 편의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아암이 상기 예각을 이루는 위치를 지나 피봇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가늘고 긴 관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슬리브를 관통하는 축방향 통로의 직경에 가까운 외직경을 가진 노즐관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5. 원격 표면 및 이에 대향하는 인접 표면을 한정하고 있는 벽의 상기 원격 표면에 물품을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인접 표면에서 원격 표면까지 벽에 관통 개방 구멍을 뚫는 단계와, b) 선단부, 후단부, 슬리브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하는 축방향 통로, 및 플랜지가 상기 관통 개방 구멍의 외연을 지나 반경 방향 연장하는 팽창된 상태를 갖고 있는 탄성 반경 방향 수축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를 상기 벽의 인접 표면에서 상기 벽의 원격 표면을 지난 지점까지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 개방 구멍을 통과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를 반경 방향으로 수축시키고 상기 플랜지가 벽의 원격 표면을 지나 위치되어 플랜지가 그 이완된 상태로 팽창하도록 슬리브를 충분히 삽입시키는 단계와, c) 상기 슬리브를 관통 개방 구멍내에 고정하는 단계와, d) 상기 물품을 상기 슬리브내에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장착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를 상기 원격 표면에 대항하여 뒤로 잡아 당기므로써 원격 표면에서 상기 관통 개방 구멍 둘레에 밀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플랜지를 뒤로 잡아당겨진 위치에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장착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 후단부에 인접한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단계는 벽의 상기 인접 표면에 노출된 나사부중 일부를 남겨두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를 상기 관통 개방 구멍내에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사부와 너트를 맞물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을 형성하고 플랜지를 뒤로 잡아당겨진 위치에 유지시키는 단계는 나사부에 너트를 돌려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장착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탄성 압축가능한 밀봉 요소를 가지며 상기 밀봉 형성 단계는 상기 밀봉 요소를 벽의 원격 표면에 대항하여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장착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암나사부를 가지며 물품은 수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슬리브내에 물품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장착 방법.
KR1019940701649A 1991-11-13 1992-11-13 접근하기 어려운 벽면에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0157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126591A 1991-11-13 1991-11-13
US791.265 1991-11-13
PCT/US1992/009613 WO1993010316A1 (en) 1991-11-13 1992-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items at an inaccessible wall su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7470B1 true KR0157470B1 (ko) 1999-10-01

Family

ID=2678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649A KR0157470B1 (ko) 1991-11-13 1992-11-13 접근하기 어려운 벽면에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47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60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items at an inaccessible wall surfaces
US6543629B1 (en) Decorative curtain rod end cover
US4411458A (en) Stem securing means for conduits
CA2199447C (en) Locking device for telescopic rods
US4316301A (en) Paint roller assembly
US6773036B1 (en) Saddle tee, saddle tee and tap, and fluid connection for irrigation lines
EP0381979A3 (de) Anschlussarmatur für umfangsgerippte Schläuche oder Rohre
SE9100268D0 (sv) High pressure coupling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same
US5775743A (en) Nut and split ring assembly
US6062785A (en) Anchoring fastener
US5344193A (en) Sprinkler head water damage control device
US6511028B1 (en) One-piece connector for elongated object holder
JPH05214749A (ja) カランの取付構造
KR0157470B1 (ko) 접근하기 어려운 벽면에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07466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items at an inaccessible wall surface
US4638544A (en) Plastic covered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US10914334B2 (en) Wall mounting assembly
GB2190164A (en) Anchoring device
GB2381562A (en) Temporary closure plug for covering the bore of a set blind rivet nut
JPH06193151A (ja) 拡開アンカー
GB2547623A (en) An apparatus for cleaning elevated windows and gutters
AU2002100038A4 (en) Cable fastener
JP2834718B2 (ja) 把持具の取付構造
US4934319A (en) Combination bird feeder and post with connection device
JP3508093B2 (ja) ホ−ス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