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479B1 -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 Google Patents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479B1
KR0156479B1 KR1019940012980A KR19940012980A KR0156479B1 KR 0156479 B1 KR0156479 B1 KR 0156479B1 KR 1019940012980 A KR1019940012980 A KR 1019940012980A KR 19940012980 A KR19940012980 A KR 19940012980A KR 0156479 B1 KR0156479 B1 KR 015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open
unit
liquid
gr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365A (ko
Inventor
스미요 가나이
Original Assignee
스미요 가나이
유니월드쟈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요 가나이, 유니월드쟈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요 가나이
Priority to KR101994001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479B1/ko
Priority to JP7177918A priority patent/JPH105291A/ja
Publication of KR96000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인 노인 혹은 환자등의 불쾌감을 없애고, 배설행위가 용이하고, 배출물이 비산할 염려도 없고 따라서 다른 성기에 배출물이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다른 병기를 유발시키거나 유니트 외부로 배출물이나 세척을 위한 액체가 누설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뇨변의 세척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유니트본체(A)는 정면이 개방된 수직단면 대략「L」자형이고, 수직부분(2)을 사용하는 자의 고간부에 끼워 수평부분을 이 고간부에서 엉덩이의 하측에 맞닿도록 한 것으로,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의 양측은 이것을 사용하는 자의 내측 대퇴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각각의 내측방향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중간부(4)로 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용기본체(1)로 되며, 이 용기본체(1)의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 상측은 수평면방향을 향하여 약간 만곡되어 있고, 그 단면의 최대폭은 상기 중간부의 수평폭보다 큰 폭의 대략 계란형을 이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측 선단부분은 하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 개방부분(3) 하측은 상기 중간의 개방부분(4)보다 하측방향으로 확대된 경사진 대략 환형의 형상을 띠고 있는 것, 용기본체(1)내에는 상기 개방부분(3)과 대칭하는 용기내의 배면위치에 남성 사용자의 항문부분에 물 또는 미즈근한 물 혹은 약액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5) 및 여성 사용자의 성기부분에서 항문부분에 이르는 종방향으로 상기액체를 분사하는 노즐(6)을 종방향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여성겸용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Description

배뇨변(排尿便)의 세척유니트
제1도는 여성의 배설시에 있어서의 척추와 항문을 포함하는 성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여성이 척추를 곧게 편 상태에서의 설명도.
제2도는 누운채로 배설하는 상태에서의 설명도.
제3도는 삽입변기를 이용하여 배설하는 상태에서의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유니트본체의 종단면도.
제5도는 상기 유니트본체를 침대에 장치한 상태의 종단설명도.
제6도는 상기 유니트본체의 정면설명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8도는 상기 유니트본체의 배면도.
제9도는 상기 유니트본체의 측면도.
제10도는 상기유니트본체의 평면도.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유니트본체의 정면도.
제12도는 제3실시예의 유니트본체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유니트본체의 확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C : 유니트본체 2 : 수직부분
3 : 개방부분 4 : 중간부
5,6 : 분사노즐
본 발명은 특히 노쇠하여 병들어 누워있는 노부인등의 환자를 위하여 발명된 것이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소위 「비데(bidet)」로서의 사용은 물론, 남녀 및 병상의 유무를 불문하고 배뇨 혹은 배변후의 해당부분을 물 혹은 미즈근한 물 혹은 약액(藥液)의 분사에 의하여 세척하는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가 됨에 따라, 특히 노쇠하여 병들어 누워있는 노인들이 사회적으로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다. 즉, 노인에게 있어서는 병원에서 연명 처리를 한 것 보다 가족과 함께 천명을 다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노인들은 타인의 손을 빌리지 않고서는 배설행위를 할 수 없다는 것이 불안한 요인으로 되고 있다.
이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노인이나 심장병이나 혈관장해나 척추손상등 안정이 요구되는 환자가 침대에 누운상태에서 자신이 배설물을 처리하는 용기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 배설시의 배설물이나 처리를 위한 세척수가 신체에 묻거나 등쪽으로 누설될 염려가 전혀 없는 배뇨변의 세척유니트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었고,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배설행위 그 자체를 생리학적으로 구명할 필요가 있다.
제1도∼제3도는, 특히 여성의 배설시에 있어서의 척추와 항문을 포함하는 성기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즉, 제1도에 있어서 a는 척추이고, b는 성기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c는 요도구에서 요(尿)가 배설되는 부위, d는 질구, e는 항문에서 변(便)이 배설되는 부위, 이와 관견하여 f는 미골(尾骨)의 말단붕위를 나타내며, g는 배설물이 떨어지는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1도는 가상적으로 기립한 상태, 즉 척추(a)를 곧게 펴고 정좌하도록 한 건강한 상태의 경우로서, 요도구(c)에서 배설된 요 및 항문(e)에서 밸설된 변은 질구(d)나 그외 신체부분에 접촉되는 일이 없이 낙하부 위치(g)에 도달하기 때문에 신체를 더럽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환자나 노인등과 같이 침대에 누운채로 배설하는 경우를 나타낸 제2도의 경우, 이것이 남성일 경우에는 그 음경이 가동성이 있기 때문에 여성에 비해 누운상태에서도 이러한 배설행위가 비교적 용이하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요도가 상향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요도구도 상향으로 되기 때문에, 방광괄약근(膀胱括約筋)이 발달되어 있는 젊은 여성의 경우에는 괜찮지만, 노인이나 그 부분에 장해 있는 환자와 같이 근력이 떨어지면 요도구(c)에서 질구(d)등의 성기, 항문(e), 미골[둔열(臀裂)](f)을 거쳐 등으로 흐르게 된다.
또, 젊은 여성이라 하더라도 누운상태에서의 배뇨행위의 최후에는 이 요(尿)가 항문(e)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누운상태에서 배뇨변의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삽입변기(소위 요강)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인데 이 경우를 제3도에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h는 삽입변기이다. 이 삽입변기(h)가 사용자의 엉덩이의 하측에 삽입되기 때문에 척추(a)는 미골(f)방향으로 올라간 경사상태로 되고, 이 경사상태는 특히 배설물이 등방향으로 쉽게 흐르는 상태이므로 배설물이나 세척액이 신체는 물론 의류나 침구를 더럽히는 최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여기서, 본원 발명자는 침대에 누운상태에서 타인의 손을 빌리지 않고 배뇨, 배변행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배뇨, 배변후의 당해부분을 세척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을 이루어 대단한 호평을 받았다.
이것은, 배뇨, 배변의 세척유니트를 적절한 전동수단의 스위치를 작도시키는 것만으로 상승(필요에 따라서는 측동)시켜 누운상태에 있는 노인이나 환자의 고간부(股間部:두 다리가 갈린 곳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것은 여성이 사용할 경우의 성기부분을 세척하는 노즐과 남성이 사용할 경우의 항문부분만을 세척하는 노즐을 하나의 승강가능한 유니트에 형성한 것이고, 특히 여성용의 경우, 예를들면 요도구에 분사된 액체가 질구등에 접촉하여 다른 병상(病狀)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배려한 노즐도 제공한 것이다.
즉, 여성의 경우, 요도구, 질구, 항문이 대체로 종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것들을 동시에 또한 일회의 세척에 제공된 액체가 다른 성기에 접촉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요도구에서 항문근방에 이르는 사이를 수직평면에 있어서 종방향(대략 부채꼴형상)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노즐이 필요하고, 이 노즐을 발명하게 되었으나, 반면에 상기 세척액을 비교적 넓은 각도로 분사시키는 것은 배설물이나 세척액이 유니트 외부로 누설되는 원인이 되기 쉬운 결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이 배뇨, 배변의 세척유니트의 형상을, 의사로서의 입장 또 사용하는 자의 입장에 서서 생리학, 의한, 해부학적 견지에서 산출하고, 시행착오를 거듭한 결과, 타인의 손을 빌려서 배뇨배변을 하는 노쇠하여 병들어 누워있는 노인이라 하더러도 그 신체의 형상과 완전히 밀착하는 형상을 가진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결과, 사용자인 노인 혹은 환자등의 불쾌감을 없애고, 배설행위가 용이하고, 배출물이 비산하는 것 같은 염려도 없어 따라서 다른 성기에 배출물이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다른 병을 유발시키거나 유니트 외부로 배출물이나 세척을 위한 액체가 누설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남녀겸용 배뇨변의 세척유니트는, 이 유니트 본체(A)를 정면이 개방된 수직단면 대략「L」자형상으로 하고, 그 수직부분(2)을 사용하는 자의 고간부에 끼워 수평부분을 이 고간부에서 어덩이의 하측까지 맞닿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 맞닿는 조작만으로 유니트본체(A)가 확실하게 신체의 형상과 밀착되어 배설물이나 세척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의 양측은 이것을 사용하는 자의 내측 대퇴(大腿)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각각 내측방향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중간부(4)로 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용기본체(1)로 되며, 이 용기본체(1)의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 상측은 수평면방향을 향하여 약간 만곡되어 있고, 그 단면의 최대폭은 상기 중간부(4)의 수평폭보다 큰 폭으로 된 대략 계란형을 이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측 선단부분은 하측으로 만곡되어 있고, 또 개방부분(3) 하측은 상기 중간의 개방부분(4)보다 하측방향으로 확대된 경사진 대략 환형(丸形)의 형상의 띄고 있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또 용기본체(1)내에는 상기 개방부분(3)과 대칭하는 요기내의 배면위치에 남성 사용자의 항문부분에 물 또는 미즈근한 물 혹은 약액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5) 및 여성 사용자의 성기 부분에서 항문부분에 이르는 종방향으로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6)을 종방향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한 것이다.
그리고, 남성이 누운상태에서 사용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이 유니트본체(A)의 상측에 둔부(臀部)를 위치시키면, 이 유니트본체(A)는 고간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며, 유니트본체와 신체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된다.이 경우 용기본체(1)내의 상측은 남성의 생식기를 삽입하는 부분으로서, 그 상측은 수평면방향을 향하여 약간 만곡되어 있고, 그 단면의 최대폭은 상기 중간부의 수평폭보다 큰 폭으로 된 대략 계란형을 이룬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생식기가 삽입되기 쉽도록 고안이 이루어진 것이다.
또, 배변후에는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하측의 노즐(6)을 개방하여 항문부에 액체를 분사시켜서 세척을 완료하는 것인데,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유니트본체(A)의 개방부분(3)의 윤곽과 신체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설물이나 세척액체가 등방향으로 누설되는 불상사를 사전에 방지시킨 것이다.
또한, 여성이 사용하는 경우도 남성과 대체로 같으나, 누운상태에 있는 여성의 배뇨시에는 여성의 요도가 약 12°각도로 상향되어 있고 따라서 요도구도 상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방광괄약근이 발달되어 있는 비교적 젊은 여성의 경우는 앞측방향으로 세차게 커브를 그리면서 낙하지만, 상기 근력이 떨어지면 음부를 거쳐서 항문방향으로 흘러 떨어질 우려가 있다.
여기서, 여성의 배뇨시에 있어서는, 적절한 조작에 의하여 상측의 노즐(5)를 개방하는 것인데, 이 경우 분사되는 세척액체는 요도구에서 항문에 이르는 여성의 성기 전체에 걸쳐서 세척이 동시에 행해지게 된다.
이것은 여성의 요도구에서 항문에 이르는 부분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의 세척에 제공된 세척액이 성기의 상측에서 음부를 거쳐서 항문방향으로 흘러 떨어지는 종래의 세척수단과는 달리, 항상 새로운 세척액체를 분사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 결과 요도염이나 방광염을 유발시키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특징은, 예를 들면 남성 병동(病棟)에 배부되는 경우와 같이 남성전용의 배뇨변의 세척유니트도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구성은 상술한 남녀공용의 유니트본체(A)의 경우와 비교하면, 그 구조적인 차이는 상측의 여성용 노즐(6)이 없는 유니트본체(B)를 가지는 것으로, 작용효과는 상술한 남성이 누운상태에서 배설행위를 하는 경우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특징은, 예를들면 여성 병동에 배부되는 경우와 같이 여성전용의 세척유니트도 제공되는 것이다. 이 유니트본체(C)는 상기 남녀겸용의 경우와 비교하면, 그 구조적인 차이는 용기본체(2)의 상츠겡 남성의 생식기를 삽입하는 계란형을 이루는 형상이 없는 것, 따라서 용기본체(2)의 상측은 단지 산(山)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용기본체(1)내에는 남성용 항문세척의 노즐(6)이 없는 것으로, 작;용효과는 상술한 여성이 침대에 누운상태에서 배설행위를 하는 것우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특징은, 상기 유니트본체가 침대의 수평선상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된 구멍에 끼워맞춰지며, 통상은 침대의 표면과 평활하고, 사용시에는 구멍에서 상승시켜 사용하는 자의 고간부에 상기 유니트본체(A)의 수평부분을 상기 고간부에서 엉덩이의 하측에 맞닿게 하는 승강기구와, 사용자의 고간부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는 측동기구중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을 갖는 기구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 유니트본체는 침대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누운상태에서 사용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이 유니트본체의 상측에 둔부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다리를 벌린상태에서 유니트본체를 적절히 승강기구로 상승시키면, 이 유니트본체는 고간부에 끼워진 상태가 되며, 유니트본체와 신체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지 승강기구의 스위치등을 누르는 조작만으로 유니트본체를 고간부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또 이때, 만일 유니트본체를 사용자의 고간부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키려 한다면, 측동기구의 스위치조작으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본체는 그 바닥면에 적절한 흡인기구와 접속한 흡인관(12)
을 설치한 것도 그 특징의 하나이다.
그리고, 이 흡인관(12)은 배출물 및 세척액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이 배출물 및 세척액이 사용자의 등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항시 강제적으로 배출물 및 세척액을 배출시킴으로써 유니트본체를 항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니트본체의 세정작업이 필요없고 또 악취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집약할 수 있다.
1. 사용자(노인 혹은 환자등)에 있어서의 장점으로서는,
① 건강하였을 때에 화장실에서 배설행위를 하는 것 같이 사용자 자신이 언제라도 사용하기 적당한 때(배설을 하고자 할 때)에 배설행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인의 손을 빌릴 필요가 없다.
② 배설물이 신체에 묻지 않기 때문에 불쾌감이 없다. 특히 여성의 경우, 구조상 오물을 닦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세척함으로써 성기나 항문등이 청결하게 유지된다.
③ 종래에는 배설행위의 부담이 있어 병원등에 계속 입원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유니트본체를 사용함으로써 퇴원하여 가족과 온화하게 접촉하면서 요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병원에서 단지 연명처리를 받지 않더라도 장수를 즐길 수 있다.
2. 간호하는 측에서의 장점으로서는,
① 보호자들은 환자의 배설행위에 대하여 걱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여유를 갖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정신적인 간호에 힘을 기울일 수 있다.
② 환자 자신의 배설행위에 대한 부담이 없게 됨으로써 환자에게는 자립정신을 앙양할 수 있고, 의사, 간호원의 경우 의료행위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3. 병원측에서의 장점으로서는,
① 특히 수술후, 인공투석, 순화기질환등 안정을 유지하기 않으면 않될 때의 배설행위를 비교적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② 간호의 일을 경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기저귀 그외 쓰레기가 경감되고 악취도 제거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요강』등의 순회사용에 의한 청결도의 불안을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4도∼제10도에 나타낸 「남녀공용의 세척유니트」로 설명한다.
유니트로서 사용되는 유니트본체(A)는 수직단면이 대략 「L」자형(도면에서는 역「L」자형)의 공동체(空胴體)로서 전체적으로는 머리부분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유니트본체(A)의 정면은 하측부분을 제외하고 대략 전면적으로 개방부분(3)으로 되어 있으며, 그 수평중심선 부분의 양측은 이것을 사용하는 자의 양 내측 대퇴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내측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개방부분(3)의 형상은 배설물이나 세척액체가 누설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특히 중요하고, 정면에서 볼 때 「표주박」형상이고, 그 폭이 좁은 중간부(4)는 약 4∼5cm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이 부분의 개방부분(3)의 폭은, 여성이 배설행위를 할 때를 고려한 상기 성기를 대는 부분으로서, 여성의 경우 대둔근(大臀筋)이 있어 이 폭을 크게 하면 신체와 용기본체의 밀착성이 나빠지게 되므로 대음순(大陰脣)을 덮는 폭으로 충분하고, 이 대음순의 폭은, 예를들면 살찐사람 혹은 야윈사람이하 하더라도 평균 약 7cm 전후이므로 이 수치는 6∼7cm가 선택되는 것이다.
또 개방부분(3)의 상측의 최대폭 부분은 약 8∼9cm, 하측의 최대폭 부분은 약 11∼12cm가 적당하다.
즉, 상기 개방부분(3)의 형상은 살찐사람이나 야윈사람이라 하더라도 또 남녀를 불문한 평균적인 수치로서, 이것을 사용하는 자의 신체와 틈이 생기지 않도록, 즉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많은 실험결과에 의하여 설계된 것이다. 또한 개방부분(3)의 높이는 약 20cm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의 상측(7)은 수평면에 대하여 하측으로 향하여 약간 만곡되어 있으며, 약간 하측에서 볼 때 대략 계란형의 형상을 이루며, 그 후방에 상방실(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부분의 하측(9)은 하단방향이 확대된 후방으로 경사지는 대략 환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 형상부분(9)은 신체의 둔부가 삽입되어 얹어 놓여진 경우, 이 둔부의 형상과 완전히 밀착되어 배설물이나 세척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고안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후방은 상방실(8)과 연이어 통하는 하방실(10)로 되어 있다. 이 하방실(10)의 하측에는 바닥판(11)이 용기본체(1)와 일체로 조형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에는 흡입관(배출관)(1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유니트본체(A)는 배설물을 하방실(10)내에 축적하여 두었다가 적당한 시기에 이것을 버리도록 하여도 되나, 통상 상기 흡입관(12)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한 흡인장치(13)와 연결하여 배설물을 강제적으로 흡인하는 수단이 채용된다.
또, 상기 용기본체(1)내에는 물 또는 미즈근한 물 혹은 약액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5,6)이 용기본체(1)내의 상기 개방부분(3,4)과 서로 대향하는 벽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된다.
상측의 노즐(6)은 여성이 배설행위등을 할 경우에 적절한 조작에 의하여 항문을 포함하는 성기부분을 상기 액체를 분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약 12°각도로 액체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6)은 예를 들면 세로방향으로 긴 슬릿을 가진 것으로서, 분사되는 액체가 수직평면에 있어서 종방향으로(대략 부채꼴형상으로) 분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여성의 경우 요도구, 질구, 항문이 대략 종방향으로나열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것들을 동시에 또한 일회의 세척에 제공된 액체가 다른 성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하측의 노즐(5)은 남성이 배설행위를 할 경우에 적절한 조작에 의하여 항문부에 상기 액체를 분사시킬 수 있는 위치에 용기본체(1)내에 부착된 것이다.
또, 상기 용기본체(1)의 개방부분(3)의 윤곽부 주변은 용기본체(1)의 내측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지는 만곡부를 가진 가장자리부(14)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상기 개방부분(3)과 사용자의 신체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고, 또 상기 배설물 혹은 세척후의 액체가 용기외부로 비산하지 않도록 고려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가장자리부(14)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몰트플렌(폴리우레탄수지제 스폰지의 상표명)과 같은 발포성 테이프 혹은 비교적 경질의 고무등을 부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이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이러한 테이프등을 부착하지 않더라도 상기 개방부분(3)과 신체가 잘 맞닿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형상에 고안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제4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니트봉체(A)는 침대(15)의 중심부에서 약간 하측에 형성된 구멍(16)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이 구멍(16)내에서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상하이동 혹은 필요에 따라서 축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작용효과]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지금 유니트본체(A)는 제 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대(15)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여기서 남성이 침대(15)에 누은상태에서 사용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유니트본체(A)의 상측에 둔부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다리를 벌린 상태에서 유니트본체(A)를 적절한 조작에 의하여 상승시키면, 이 유니트본체(A)는 고간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며, 유니트본체(A)와 신체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가 상향으로 침대에 누워있는 경우, 침대(15)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유니트본체(A)의 하측의 개방부(3)에 둔부가 얹어놓여지게 되고, 이 경우 항문에서 둔열부(臀裂部)까지가 오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배설물이 신체에 묻을 염려는 없으나, 이상적으로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척추를 세워서 수평면에 대하여 45도 가까운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이 경우, 용기본체(1)내의 상방실(8)은 남성의 생식기가 삽입되는 곳으로서, 이 상방실(8)의 형상 및 개방부분(3)의 상측의 형상은 소위 만곡형상으로 하여 생식기가 삽입되기 쉽도록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남성이 배뇨할 경우 남성의 음경에는 가동성이 있기 때문에, 방뇨는 하측으로 향하게 되어 용기본체(1)의 상측으로 배설물이 누설될 우려가 거의 없다. 또, 배변후에는 적절한 수단으로 하측 노즐(5)을 개방하여 항문부에 액체를 분사시킴으로써 세척을 완료하고, 이 배설행위중에 흡인수단(13)에 의하여 흡입관(12)을 통하여 배설물 및 세척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유니트본체(A)를 여성의 고간부 사이에 맞닿게 하여 사용할 경우도 남성과 대체로 같으나, 누은 상태에 있는 여성의 내뇨시에는 여성의 요도가 약 12°각도로 상향되어 있고 따라서 요도구도 상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방광괄약근이 발달되어 있는 비교적 젊은 여성의 경우에는 전방으로 세차게 커브를 그리면서 낙하하지만, 상기 근력이 떨어지면 음부를 거쳐서 항문방향으로 흘러 떨어질 우려가 있다.
여기서, 여성이 배뇨할 때에 적절한 조작으로 용기본체(1)의 상측 노즐(6)을 개방시키게 되는 데, 이 경우 분사되는 세척액체는 요도구에서 항문에 이르는 여성 성기의 전체에 걸쳐서 세척이 동시에 행해지게 된다.
또, 용기본체(1)의 바닥판(11)의 표면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위 깔때기형상으로 함으로써 배설물이나 세척액체가 하측으로 흐르기 쉽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또 비교적 소량의 세척액체로 세척할 수 있도록 적절한 흡인기구(13)에 의하여 용기본체(1)내를 흡인하여 세척액이나 배설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한편 탈취(脫臭)시키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2]
제11도에 나타내는 제2실시예는 남성병동등에 배포되는 남성용의 유니트본체(B)로서, 상술한 남녀공용의 경우와 비교하면, 그 구조적인 차이는 여성용의 상측 노즐(6)이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작용효과는 상기 남성이 침대에 누운상태에서 배설행위를 하는 경우와 같다.
[실시예 3]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내는 제3실시예는 예를 들면 여성 병동등에 배포되는 여성용의 유니트본체(C)로서, 상술한 남녀공용의 경우와 비교하면, 그 구조적인 차이는 용기본체(1)내에 상방실(8)이 없다는 것, 따라서 용긴체(2)의 상측은 단지 산(山)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용기본체(1)내에는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남성용 항문세척을 위한 하측 노즐(5)이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작용효과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여성이 침대에 누운상태
에서 배설행위를 하는 경우와 같다.

Claims (5)

  1. 유니트본체(A)는 정면이 개방된 수직단면 대략 「L」자형이고, 수직부분(2)을 사용하는 자의 고간부에 끼워 수평부분을 이 고간부에서 엉덩이의 하측에 맞닿도록 한 것으로,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의 양측은 이것을 사용하는 자의 내측 대퇴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각각의 내측방향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중간부(4)로 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용기본체(1)로 되며, 이 용기기본체(1)의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 상측은 수평면방향을 향하여 약간 만곡되어 있고, 그 단면의 최대폭은 상기 중간부의 수평폭보다 큰 폭의 대략 계란형을 이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측 선단부분은 하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 개방부분(3) 하측은 상기 중간의 개방부분(4)보다 하측방향으로 확대된 경사진 대략 환형의 형상을 띠고 있는 것, 용기본체(1)내에는 상기 개방부분(3)과 대칭하는 용기내의 배면위치에 남성 사용자의 항문부분에 물 또는 미즈근한 물 혹은 약액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5) 및 여성 사용자의 성기부분에서 항문부분에 이르는 종방향으로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6)을 종방향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여성겸용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2. 유니트본체(B)는 정면이 개방된 수직단면 대략 「L」자형이고, 수직부분(2)을 사용하는 자의 고간부에 끼워 수평부분을 이 고간부에서 엉덩이의 하측에 맞닿도록 한 것으로,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의 양측은 이것을 사용하는 자의 내측 대퇴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각각의 내측방향으로 만곡 시킨 형상의 중간부(4)로 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용기본체(1)로 되며, 이 용기본체(1)의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 상측은 수평면방향을 향하여 약간 만곡되어 있고, 그 단면의 최대폭은 상기 중간부의 수평폭보다 큰 폭의 대략 계란형을 이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측 선단부분은 하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 개방부분(3) 하측은 상기 중간의 개방부분(4)보다 하측방향으로 확대된 경사진 대략 환형의 형상을 띠고 있는 것, 용기본체(1)내에는 상기 개방부분(3)과 대칭하는 용기내의 배면위치에 남성 사용자의 항문부분에 물 또는 미즈근한 물 혹은 약액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5)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3. 유니트본체(C)는 정면이 개방된 수직단면 대략 「L」자형이고, 수직부분(2)을 사용하는 자의 고간부에 끼워 수평부분을 이 고간부에서 엉덩이의 하측에 맞닿도록 한 것으로,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의 양측은 이것을 사용하는 자의 내측 대퇴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각각의 내측방향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중간부(4)로 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용기본체(1)로 되며, 이 용기본체(1)의 상기 수직부분(2)의 개방부분(3) 상측은 대략 「산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측 선단부분은 하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 개방부분(3) 하측은 상기 중간의 개방부분(4)보다 하측방향으로 확대된 경사진 대략 환형의 형상을 띠고 있는 것, 용기본체(1)내에는 상기 개방부분과 대칭위치의 용기(1) 배면에 여성 사용자의 성기부분에서 항문부분에 이르는 종방향으로 물 또는 미즈근한 물 혹은 약액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6)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니트본체(A)는 침대의 수평선 상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된 구멍에 끼워맞춰지며, 통상은 침대 표면과 평활하고 사용시에는 구멍에서 상승시켜 사용하는 자의 고간부에 상기 세척유니트본체(A)의 수평부분을 상기 고간부에서 엉덩이의 하측에 맞닿게 하는 승강기구와, 사용자의 고간부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킬 수 있는 측동기구중 어느 일방 혹은 쌍방을 가진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니트본체(A)는 그 바닥면에 적절한 흡입기구와 접속하는 흡입관(12)을 설치한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KR1019940012980A 1994-06-09 1994-06-09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KR0156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980A KR0156479B1 (ko) 1994-06-09 1994-06-09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JP7177918A JPH105291A (ja) 1994-06-09 1995-06-09 排尿便の洗滌ユニ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980A KR0156479B1 (ko) 1994-06-09 1994-06-09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365A KR960001365A (ko) 1996-01-25
KR0156479B1 true KR0156479B1 (ko) 1998-11-16

Family

ID=1938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980A KR0156479B1 (ko) 1994-06-09 1994-06-09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5291A (ko)
KR (1) KR0156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059B1 (ko) * 2000-08-17 2003-02-05 한메딕스 주식회사 소변 집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6482B (zh) * 2011-11-08 2013-05-22 李学华 移动式座便器
CN110269765B (zh) * 2018-03-18 2021-08-03 王振牛 一种适应久卧不能自理排便失禁方便洗浴的多功能病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059B1 (ko) * 2000-08-17 2003-02-05 한메딕스 주식회사 소변 집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291A (ja) 1998-01-13
KR960001365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1484A (en) Women's urine conducting apparatus
US4994051A (en) External urine catheter for males
US5077845A (en) Bed with built-in commode
KR20200117808A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0156479B1 (ko) 배뇨변의 세척유니트
KR102224322B1 (ko) 남성 환자용 소변기
KR102287819B1 (ko) 팬티에 부착되는 환자용 소변기
CN214909459U (zh) 一种病人卧床用排便床垫
CN2491003Y (zh) 特护尿便收集器
KR102300942B1 (ko) 여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
GB2039565A (en) Lavatory pan and seat
CN110881887A (zh) 一种老年患者集便护理装置
CN211095544U (zh) 一种卧床男女患者通用大小便器
KR102300944B1 (ko) 환자용 배변기
CN211985861U (zh) 一种妇产科护理专用导尿装置
KR100836783B1 (ko) 환자의 배설물 처리용 팬티
CN205339392U (zh) 一种男女通用免移动小便器
KR102224345B1 (ko) 환자용 배변기
KR102422475B1 (ko) 여성 환자용 신체 소변기
KR102308417B1 (ko) 와상 환자용 자동 배변 장치
CN2225853Y (zh) 女性尿失禁患者方便裤
KR102329622B1 (ko) 와상 환자용 자동 배뇨 장치
CN213759896U (zh) 一种粪便收集袋
CN211022941U (zh) 一种方便处理粪嵌塞的装置
CN2579384Y (zh) 一种护理兜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