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091B1 - High lift work vehicle - Google Patents

High lift work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091B1
KR0156091B1 KR1019960003737A KR19960003737A KR0156091B1 KR 0156091 B1 KR0156091 B1 KR 0156091B1 KR 1019960003737 A KR1019960003737 A KR 1019960003737A KR 19960003737 A KR19960003737 A KR 19960003737A KR 0156091 B1 KR0156091 B1 KR 0156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vehicle
bucket
fram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31204A (en
Inventor
가도가끼 마사노리
하마오까 기요따까
마쓰시마 히로유끼
오꾸다 유이찌
호리노우찌 요시까즈
기요까미 다께노부
Original Assignee
시꼬 사이까와
신마이와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꼬 사이까와, 신마이와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꼬 사이까와
Publication of KR96003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2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0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기복 붐의 높이 방향의 스페이스를 낮게 한 고소 작업차가 개시된다. 고소 작업차는, 차량(1)과, 기복 붐(2)과, 버킷(3)을 구비한다. 기복 붐(2)은, 선회장치(6)의 상단부에 기복 간능하게 장착된 기단 붐(21)과 기단 붐(21)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선단 붐(25)과를 구비한다. 기단 붐(21)은, 간격을 열고 평행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붐 부재를 포함한다. 선단 붐(25)의 기단부(25)는, 한 쌍의 붐 부재의 사이에 위치된다. 기복 붐(2)의 격납시에 있어서, 기단 붐(21)은, 차량(1)의 위쪽에서, 거의 수평으로 위치하고, 선단 붐(25)은 기단 붐(21)쪽에 접어 개여진다. 선단 붐(25)의 기단부는, 기단 붐(21)의 한 쌍의 붐부재간에 들어간다.The aerial work vehicle which lowered the space of the relief boom in the height direction is started. The aerial work vehicle includes a vehicle 1, a relief boom 2, and a bucket 3. The boom 2 is provided with the base boom 21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end part of the turning device 6, and the front end boom 25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boom 21. As shown in FIG. The base boom 21 includes a pair of boom members arranged in parallel at an interval. The base end 25 of the tip boom 25 is located between the pair of boom members. At the time of storage of the boom 2, the base boom 21 is position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bove the vehicle 1, and the front end boom 25 is folded and opened on the base boom 21 side. The proximal end of the distal end boom 25 enters between a pair of boom members of the proximal boom 21.

Description

고소 작업차Aerial work vehicl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高所 作業車)의 일실시례를 표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차량의 앞부분 양쪽에 배치되는 잭(jack) 장치를 표시한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a jack devic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제3도는 차량의 앞부분 양쪽에 배치되는 잭 장치를 표시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jack devic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제4도는 차량의 뒤부분 양쪽에 배치되는 잭 장치를 표시한 측면도.4 is a side view showing a jack device disposed on both rear portions of a vehicle.

제5도는 기복 붐(boom)을 표시한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a relief boom.

제6도는 기복 붐을 표시한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 relief boom.

제7도는 수평유지수단을 표시한 측면도.7 is a side view showing the horizontal holding means.

제8도는 제7도중의 A-A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제9도는 버킷(bucket)을 표시한 측면도.9 is a side view showing a bucket.

제10도는 고정수단의 일례를 표시한 확대측면도.10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xing means.

제11도는 위 프레임이 접어 개여진 상태의 버킷을 표시한 측면도.Figure 11 is a side view showing a bucket with the upper frame folded open.

제12도는 커버로 외변이 씌워진 버킷을 표시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et covered with an outer edge of the cover.

제13도는 제1 및 제2실린더를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회로도.13 is a hydraulic circuit diagram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제14도는 차량의 앞부분 양쪽에 배치된 잭 장치를 표시한 정면도.14 is a front view showing jack device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제15도는 버킷을 표시하는 평면도.15 is a plan view showing a bucket.

제16도는 버킷을 표시하는 측면도.16 is a side view showing a bucket.

제17도는 위 프레임이 작업위치에 놓은 상태의 버킷을 표시한 측면도.17 is a side view showing the bucket with the upper frame in the working position.

제18도는 마찰 접촉부재를 장치한 유도부재를 표시한 평면도.18 is a plan view showing an induction member equipped with a friction contact member.

제19도는 제18도중의 선 A-A선에 따라서 본 단면도.FIG. 1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8. FIG.

제20도는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걸림핀과 걸림구멍과를 표시한 부분 확대도.2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engaging pin and the engaging hole constituting the fixing means.

제21도는 고소 작업차의 뒤부분 붐 위치 확인부재를 장치한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2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rear boom positioning member of the aerial work vehicle is installed,

제22도는 붐 위치 확인부재를 표시한 사시도.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m positioning member.

제23도는 붐 위치 확인부재를 표시한 측면도.23 is a side view showing the boom positioning memb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차량 2 : 기복 붐1: vehicle 2: ups and downs boom

3 : 버킷 4,5 : 잭 장치3: bucket 4,5: jack device

6 : 수평 유지수단 12 : 브래킷6 leveling means 12 bracket

21 ; 기단 붐 22 : 브래킷21; Podium boom 22: bracket

23, 27 : 실린더 25 : 선단 붐23, 27: cylinder 25: tip boom

32 : 지지핀 33, 34, 35, 36 : 프레임32: support pin 33, 34, 35, 36: frame

61,62,64,65 : 스프로킷 63,66 : 체인61,62,64,65: Sprocket 63,66: Chain

본 발명은 높은 장소에서의 작업을 가능케 하는 장치를 구비한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ial work vehicle having a device for enabling work in a high place.

일본의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4-77593호에 개시된 고소 작업차는, 차량에 선회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장착된 선회장치와, 이 선회장치에 기복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장착된 기단(基壇)붐과, 기단 붐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선단 붐과, 선단 붐의 선단부에 설치된 버킷을 구비한다.The aerial work vehicl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4-77593 includes a swing device mounted to allow the vehicle to swing, a base boom mounted to the swing device to perform a swing operation; A front end boom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boom and a bucket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boom are provided.

이 종류의 고소 작업차에서는, 작업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선단 붐을, 기단 붐과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기단 붐쪽으로 회동시킨다. 붐 격납상태에 있어서는, 선단 붐과 기단 붐과는 거의 평행으로 늘어서서 위쪽을 향하여 일어서있다. 그래서, 격납상태에 있는 붐위 높이가 상당히 커지며, 차량의 높이 제한 등의 규제를 받는 일이 있다. 또, 붐을 위쪽에 기립시킨 상태에서 격납하는 것은, 차량의 안정 주행의 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특히, 운전석부와 적재함부와를 일체의 상자모양으로 형성한 원 박스 타입(one box type) 차량에 있어서는, 붐을 차량의 덮개위에 배치하므로, 상기 문제는 보다 현재화(顯在化)한다. 또, 작업차가 버킷 내에 간단히 또한 안전하게 타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In this type of aerial work vehicle, the tip boom is rotated toward the base boom centering on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base boom in the state where the work is not performed. In the boom containment state, the front end boom and the proximal boom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stand upward. Therefore, the height above the boom in the stored state becomes considerably large, and the vehicle may be subject to restrictions such as height restrictions. In addition, storing the boom in an upright position also has a problem in terms of stable running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in a one box type vehicle in which the driver's seat and the loading compartment are formed in an integral box shape, the boom is disposed on the cover of the vehicle, which makes the problem more present. It is also desirable to allow the work vehicle to simply and safely ride into the bucket.

본 발명의 목적은, 격납상태에 있는 붐의 높이를 작게하고, 안정주행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lifting vehicle in which the height of a boom in a stored state is reduced and stable driving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버킷과 지상과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erial work vehicle that allows an operator to easily get on and off between a bucket and the grou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킷에 탄 작업자를 안전하게 고소위치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erial work vehicle capable of safely transporting a worker in a bucket to an aerial lo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킷 내의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erial work vehicle that enables a worker in a bucket to perform aerial work safely.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고소 작업차는, 차량과 차량에 선회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장착된 선회장치와, 선회장치에 기복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장착된 기복 붐과, 기복 붐위 선단에 장착된 버킷과, 차량의 전후의 양쪽에 장착되어 차량을 지상에 지지하기 위한 잭 장치와를 구비한다.The aerial work vehicle, which is a premi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ng device mounted to perform a swinging operation on a vehicle and a vehicle, a relief boom mounted to perform a swinging operation on the swinging device, a bucket mounted on the tip of the swing boom, It is provided with both the front and rear of a vehicle, and the jack apparatus for supporting a vehicle on the ground.

상술한 바와 같은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아래의 사항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erial work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matters,

기복 붐은, 선회 장치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기단 붐과, 기단 붐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선단 붐과를 구비한다. 기단 붐은, 간격을 열어 평행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붐부재를 포함한다. 선단 붐의 기단부는, 한 쌍의 붐부재간에 지지된다. 버킷은, 선단 붐의 선단부에 설치된다.The ups and downs boom is provided with the base boom rotatably supported by the turning device, and the tip boom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base boom. The proximal boom includes a pair of boom members arranged in parallel with open intervals. The base end of the tip boom is supported between the pair of boom members. The bucket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tip boom.

기복 붐을 접어 갠 상태에 있어서는, 기단 붐은 차량의 위쪽에서 거의 수평에 위치한다. 선단 붐은, 위쪽으로부터 기단 붐위에 겹치도록 위치한다. 선단 붐의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은, 한 쌍의 붐 부재간에 들어가 있다.In the folded boom state, the base boom is located almost horizontally above the vehicle. The tip boom is located so as to overlap the base boom from above. The portion near the proximal end of the tip boom enters between the pair of boom members.

상기 특징을 보유하는 고소 작업차에 의하면, 기단 붐이 거의 수평으로 연재(延在)하고, 선단 붐이 부분적으로 기단 붐내에 들어가 기단 붐위에 접어 개어져 있으므로, 격납시의 기복 붐의 높이를 상당히 작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차량의 높이 제한 등의 규제를 용이하게 클리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정 주행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같은 효과는, 특히 운전석부와 적재함부와를 일체의 상자 모양으로 형성한 원 박스 타입 차량에 있어서 현저하다.According to the aerial work vehicle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base boom extends almost horizontally, and the tip boom partially enters the base boom and is folded over the base boom so that the height of the relief boom during storage is considerably increased. It can be made small. In this way, the regulation such as the height limitation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cleared, and stable running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This effect is particularly remarkable in a one box type vehicle in which the driver's seat and the loading compartment are formed in an integral box shape.

바람직하기는, 기단 붐이 차량의 위쪽에서 거의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선단 붐만을 회동시키므로서 버킷을 지상에 접근시켜서 작업자의 타고 내림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단 붐 및 버킷의 치수가 선택된다.Preferably, the dimensions of the tip boom and the bucket are selected so that in a state where the base boom is positioned almost horizontally above the vehicle, only the tip boom is rotated to bring the bucket close to the ground to allow the operator to ride down. .

바람직하기는, 지상 부근에 내려진 버킷은, 기단 붐의 선회 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전 주위를 선회가능하도록 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기재(機材)의 짐 내리기 등을 할 경우에, 버킷을 차량의 후방 이외의 다른 장소에 배치할 수 있으며, 효율좋게 기재의 짐 내리기를 행할 수 있고, 또 버킷내의 타고 내림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차량의 주위의 일부에 장해물 등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ucket lowered near the ground is capable of turning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vehicle by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base boom. In this way, when unloading the substrate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he bucket can be placed at a place other than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unloading of the substrate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nd I can get on and off easily. Moreover, even if an obstacle etc. exist i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a vehicle, it can respond easily.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고소 작업차는, 기단 붐의 기복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1실린더와, 선단 붐의 회동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2실린더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실린더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실린더의 피스톤 실쪽에 연통된 유로(流路) 및 로드실쪽에 연통된 유로에 파일럿 체크 밸브(pilot check valve)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실린더의 작동 정지시에 있어서의 관성력(慣性力)에 의한 실린더의 신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붐을 소망 위치에 정확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붐 격납시에 붐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aerial work vehicle includes a first cylinder for performing the ups and downs of the base boom and a second cylinder for the rotation of the tip boom. Pilot check valves are arranged in the flow passage communicated to the piston seal side of the at least one cylinder and the flow passage communicated to the rod chamber si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In this wa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ylinder due to the inertia force when the cylinder is stopped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boom mov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tion of the cylinder can be stopped exactly at a desired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boom is stored, the boom can be easily positioned.

바람직하기는, 선회장치, 기단 붐 및 선단 붐이 하나의 유니트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유니트화하면, 각종 차량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汎用性)에 뛰어난 것으로 된다.Preferably, the turning device, base boom and tip boom are configured as one unit. By uniting in this way, since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various vehicles, it is excellent in versatility.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고소 작업차는, 기단 붐 및 선단 붐의 동작중에 있어서도 버킷을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수평유지 수단을 구비한다. 수평유지 수단은, 선단 붐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지지핀과, 제1지지핀에 고정하여 지지된 제1스프로킷(sprocket)과 기단 분과 선단 붐과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지지핀에 고정하여 지지된 제2스프로킷과 제1 및 제2스프로킷의 둘레에 감아 돌려진 제1체인과, 제2스프로킷과 일체로 설치되어 제2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3스프로킷과, 기단 붐의 기단부에 제3지지판을 개재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4스프로킷과, 제3 및 제4스프로킷의 둘레에 감아 돌려진 제2체인과를 구비한다. 버킷을 지지하는 브래킷(bracket)은, 제1지지핀에 고정되어 있다.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includes a level holding means for always keeping the bucket in a horizontal state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base boom and the tip boom. The horizontal holding means includes a first support pin rotatably supported at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boom, a second sprocket fixed to the first support pin and a second end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proximal end and the distal end boom. A second sprocket fixed to the support pin and a first chain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a third sprocket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second sprocket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late; A fourth sprocket rotatably supported via a third support plate at the proximal end of the base boom, and a second chain wound around the third and fourth sprockets. A bracket supporting the bucket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in.

상기 구성을 보유하는 실시례에 있어서는 기단 붐 및 또는 선단 붐이 동작하고 있을 때에도, 버킷을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하므로, 버킷에 탄 작업자를 안전하게 고소 위치까지 운반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when the base boom and / or the tip boom are in operation, the bucket is always kept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worker on the bucket can be safely transported to the height of the height.

바람직하기는, 붐 부재는 C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보유하고 있다. 제3스프로킷 및 제4스프로킷은, C자 형상의 붐 부재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3 및 제4스프로킷을 용이하게 또한 간단히 배치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om member has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The third sprocket and the fourth sprocket are accommodated in the C-shaped boom member. In this way, the third and fourth sprockets can be easily and simply arranged.

바람직하기는, 고소 작업차는, 적재함 부내에 고정하여 설치된 역(逆) U자 형상의 프레이과, 적재함부의 지붕면을 사이에 끼고 역 U 자상의 프레임에 지지된 유지대와를 구비한다. 유지대는, 격납위치에 마련된 기단 붐을 아래로부터 안정되게 떠 받친다.Preferably, the aerial work vehicle includes an inverted U-shaped frame provided by being fix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holding table supported by an inverted U-shaped frame with the roof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nterposed therebetween. The holding table supports the base boom provided in the storage position stably from below.

바람직하기는, 차량의 후부(後部)의 양쪽에 장착된 잭 장치는, 적재함부내에 배치된 잭 본체와, 잭 본체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적재함부의 밑면을 관통하고 있는 신축부(伸縮部)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신축부를 축소했을 때, 신축부의 하단만 또는 잭 본체의 하단부만이 적재함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게만 되고, 신축부 등이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일없이 그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Preferably, the jack devic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vehicle includes a jack main body disposed in the loading compartment and an elastic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jack main body and penetr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compartment. do. In this way, when the elastic part is reduced, only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part or only the lower part of the jack body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compartment, and the elastic part or the like can protect them safely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members. .

바람직하기는, 차량의 앞부분의 양쪽에 장착된 잭 장치의 신축부는, 차량의 측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고, 동시에 서로 멀어지도록 비스듬이 아래쪽으로 걸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차량의 헤드라이트나 방향지시기에 대하여 잭 장치가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또 양쪽에 위치하는 신축부를 끝쪽이 점점 넓어지게 경사시키고 있으므로, 차량의 지지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s of the jack devic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are located inwar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the slant is bent downward so as to move away from each other. In this way, the jack devic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eadlights or direction indicators of the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ends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arts located on both sides are gradually inclined, the support range of the vehicle can be secured.

바람직하기는, 버컷은 아래 프레임과, 아래 프레임위에 설치되는 위 프레임과를 구비한다. 위 프레임은, 아래 프레임쪽에 접어 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을 행하지 않을 때에 버킷의 높이를 낮게 한 상태에서 격납할 수 있다. 또 작업자는, 지상으로부터 버킷 내로 용이하게 동시에 안전하게 올라탈 수 있다.Preferably, the buckle has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The upper frame is configured to fold on the lower frame side. In this way, when the work is not performed, the bucket can be stored with the height of the bucket lowered. In addition, the worker can easily and safely climb from the ground into the bucket at the same time.

바람직하기는, 아래 프레임은, 커버에 의하여 바깥쪽으로부터 덮혀진다. 이와 같이 하면, 공구 등이 부주위로 낙하하는 일이 없어지며,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ttom frame is covered from the outside by a cover. In this way, tools and the like do not fall to the periphery, and the aerial work can be safely performed.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버킷은 그 주위를 피복체(服體被)로 덮혀진 아래 프레임과, 아래 프레임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스쳐 움직이기 가능하게 지지된 위 프레임과, 위 프레임을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위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위 프레임을 간단하게 작업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작업위치로부터 격납위치로의 이동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작업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버킷의 높이를 낮게한 상태에서 격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상으로부터 버킷으로의 작업자의 올라탐을 용이하고 동시에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ucket has a lower frame covered with a covering around the upper frame, an upper frame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nd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is moved upward.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frame. In this way, the above frame can be easily moved to the work position, and the movement from the work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can also be easily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is not performed, the bucket can be stored in a low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worker's climb from the ground to the bucket can be easily and safely performed.

상기 실시례에 있어서, 바람직하기는, 위 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늘어난 새로 프레임을 구비한다. 아래 프레임은, 세로 프레임을 상하 방향을 스쳐 움직이기 가능하게 받아들이는 유도부재와, 안내부재에 고정되고, 또한 세로 프레임에 마찰력으로 접하므로써 위 프레임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는 마찰접촉 부재와를 구비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preferably, the upper frame has a new fram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frame includes an induction member that receives the vertical frame so as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nd a friction contact member fixed to the guide member and preventing sharp drop of the upper frame by contacting the vertical frame with friction. .

바람직하기는, 고소 작업차는 기복 붐 및 선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장치를 구비한다. 이 조작장치는, 버킷 내에 위치하는 수납위치와, 버킷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작업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버킷에 지지되어 있다. 고소작업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조작장치를 버킷내에 수납하여 조작장치를 보호한다. 고소작업을 행할 때에는, 조작장치를 버킷의 바깥쪽에 위치시키므로써, 작업자의 버킷 내에서의 작업성을 좋게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erial work vehicle includes an oper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oom and the swing device. This operation device is supported by the bucket so that it can rotate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located in a bucket, and the working position located in the outer side of a bucket. When the aerial operation is not carried out, the operation device is stored in a bucket to protect the operation device. When carrying out the aerial operation, by placing the operation device on the outside of the bucke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in the bucket of the operator.

바람직하기는, 버킷은, 위 프레임이 아래 프레임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한 작업위치에 있느냐 아니냐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검출수단에 의하여 위 프레임이 작업위치에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만, 기복 붐의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버킷으로부터의 작업자의 낙하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작업의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ucket is provided with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upper frame is in the working posi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frame. Only when the detecting means confirms that the upper frame is in the working position, the boom can be operated. By doing in this way, the fall of an operator from a bucket, etc. can be prevented reliably and the stability of a work can be improved.

바람직하기는, 기단 붐의 선단부에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석으로부터 격납상태에 있는 기단붐의 선단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붐 위치 확인부재가 장치된다. 운전자가 차량을 후진할 때에, 붐 위치 확인부재를 확인하므로써 차량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긴단 붐의 선단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장해물등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 주행시에는, 후속차의 운전자에 대하여 붐의 위치를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안정상 바람직한 것이 된다.Preferably, the tip portion of the base boom is provided with a boom positioning member that allows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tip portion of the base boom in a stored state from the driver's seat. When the driver reverses the vehicle, by checking the boom positioning member, the position of the tip portion of the long boom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can be grasped. Therefore, interference with a back obstacle or the like can be avoided. Moreover, at the time of running, sinc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a boom with respect to the driver of a following car, it becomes a preferable thing in terms of stability.

제1도에 표시한 고소 작업차는, 차량(1)과 기복 붐(2)과, 기복 붐(2)의 선단에 장착된 버킷(3)과를 구비한다. 차량(1)은, 적재함부(1a)와 운전석부(1b)가 일체의 상자상으로 형성된 소위 원 박스 타입 차이다.The aerial work vehicle shown in FIG. 1 includes a vehicle 1, a relief boom 2, and a bucket 3 attached to the tip of the relief boom 2. The vehicle 1 is a so-called one box type car in which the loading compartment 1a and the driver's seat 1b are formed in an integral box shape.

차량(1)의 앞부분에는 잭 장치(4)가 설치되고, 뒤부분에는 잭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잭 장치(4 및 5)는, 고소 작업시에 차량(1)을 지면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것이며, 각각이, 아래쪽을 향하여 신장하는 신축부를 보유하고 있다.The jack device 4 is provided in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1, and the jack device 5 is provided in the back part. The jack devices 4 and 5 support the vehicle 1 stably on the ground during the height work, and each has a stretchable portion extending downward.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잭 장치(4)는 차량(1)의 차체 테두리(11)의 전단으로부터 앞방면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장치부재(42)에 설치되어 있다. 장치부재(42)는, 차체 테두리(11)의 전단의 좌우에 고정된 브래킷(12)과, 이 브래킷(12)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튀어나온 좌우 한 쌍의 돌출 테두리(42a)(42a)와, 돌출 테두리(42a)(42a)의 선단 위를 가로질러 차량(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치테두리(42b)와를 포함한다. 장치테두리(42b)의 양 끝에 장치부(42c)가 설치되어 있다. 잭 장치(4)는, 장치부(42c)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jack device 4 is provided in the apparatus member 42 provided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11 of the vehicle 1. As shown in FIG. The device member 42 includes a bracket 12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frame 11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projecting edges 42a and 42a that protrude horizontally forward from the bracket 12. And a device border 42b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1 across the tip of the protruding edges 42a and 42a. Device portions 42c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evice border 42b. The jack device 4 is supported by the device portion 42c so as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잭 장치(4)는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신축부(4a)를 보유하고 있다. 신축부(4a)의 하단에는 지지부재(4b)가 장치되어 있다. 고소 작업시에 신축부(4a)가 아래쪽으로 신장하면, 지지부재(4b)가 지상에 도달하고, 차량(1)을 지지한다. 이 실시례와 같이 잭 장치(4)를 차량(1)의 전방에 연장시킨 상태로 배치하므로서, 잭 장치(4)와 잭 장치(5)와에 의한 차량(1)의 지지범위를 크게 확보할 수있으며, 나아가서는 차량(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jack device 4 has the expansion-contraction part 4a extended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stretchable portion 4a, a support member 4b is provided.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4a extends downward at the height of working, the support member 4b reaches the ground and supports the vehicle 1.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jack device 4 is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extended in front of the vehicle 1, so that the support range of the vehicle 1 by the jack device 4 and the jack device 5 can be largely secured.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ort the vehicle 1 stably.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장치부재(42)의 전방에는 프론트 범퍼(13)가 배치되어 있다. 장치부재(42)(특히, 장치테두리(42b)는, 프론트 범퍼(13)의 보강재로서 역할도 완수하므로, 프론트 범퍼(13)와 함께 사고 등에 의한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차량(1)을 보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ront bumper 13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evice member 42. Since the device member 42 (particularly, the device border 42b also plays a role as a reinforcing material of the front bumper 13), together with the front bumper 13, the vehicle 1 can be protected from an impact from the front due to an accident or the like. Can be.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잭 장치(5)는, 차량(1)의 후부 양쪽에 그 신축부(5a)를 아래쪽으로 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잭 장치(5)의 잭 본체(5b)는, 차량(1)의 후부를 구성하는 적재함부(1a)내에 배치되어 있다. 신축부(5a)는, 적재함부(1a)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신축부(5a)의 하단에는 지지부재(5c)가 장치되어 있다. 고소 작업시에 신축부(5a)가 아래쪽으로 신장하면, 지지부재(5c)가 지면에 접촉하고, 차량(1)을 지지한다. 이 실시례에서는, 잭 장치(5)의 신축부(5a)만이 적재함부(1a)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있으나, 잭 장치(5)의 잭 본체(5b)의 하단부가 적재함부(1a)의 밑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하여도 된다.As shown in FIG. 4, the jack device 5 is arrange |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both sides of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1, with the expansion-contraction part 5a facing down. The jack main body 5b of the jack device 5 is disposed in the loading compartment 1a constituting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1. The elastic part 5a extend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a. A support member 5c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retchable portion 5a.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5a extends downward at the height of working, the support member 5c contacts the ground and supports the vehicle 1. In this embodiment, onl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5a of the jack device 5 penetr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compartment 1a, but the lower end of the jack main body 5b of the jack device 5 is formed of the loading compartment 1a. You may make it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기복 붐(2)은, 기단 붐(21)과, 선단 붐(25)과를 포함한다, 기복 붐(21)의 기단부는, 차량(1)의 적재함부(1a)내에 탑재된 선회장치(2a)의 상단에, 브래킷(22)를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선회장치(2a)는, 유압모터(104)(제13도 참조)등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선회장치(2a)의 상단부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부(1a)의 덮개면을 빠져나가 있다.The boom 2 includes the base boom 21 and the tip boom 25. The base end of the boom 21 is a turning device 2a mounted in the loading compartment 1a of the vehicle 1. Is supported rotatably via the bracket 22 at the upper end of the. The swinging device 2a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w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drive means such as the hydraulic motor 104 (see FIG. 13). As shown in FIG. 1, the upper end part of the turning device 2a has escaped the cover surface of the loading container part 1a.

제1실린더(23)의 일단(一端)은 브래킷(22)에 연결되고, 타단(他端)은 기단 붐(21)에 연결되어 있다. 제1실린더(23)는 기단 붐(21)의 기복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다.One end of the first cylinder 23 is connected to the bracket 2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boom 21. The first cylinder 23 allows the base boom 21 to be inclined.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복 붐(21)은 간격을 열고 평행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붐 부재(21a),(21a)를 포함한다. 선단 붐(25)의 기단부는, 한 쌍의 붐 부재(21a),(21a)의 선단부의 사이에 핀(26)를 개재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relief boom 21 includes a pair of boom members 21a and 21a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at intervals. The proximal end of the distal end boom 25 is rotatably supported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pair of boom members 21a and 21a via a pin 26.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붐 부재(21a),(21a)는 각각 C자 형상의 단면(斷面)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열린구멍 부분을 서로 마주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C자형상의 단면을 보유하는 붐 부재(21a),(21a)내에는, 후술하는 수평유지수단(6)의 스프로킷(64)이 수납된다.As shown in Fig. 8, the boom members 21a and 21a each have a C-shaped cross section and are arranged to face the open hole portions to each other. The sprocket 64 of the horizontal holding means 6 mentioned later is accommodated in the boom members 21a and 21a which hold C-shaped cross section.

제1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기단 붐(21)과 선단 붐(25)과의 사이에는, 제2실린더(27)와 작동 링크(28a,28b)가 개재하고 있다. 제2실린더(27)의 신축동작에 의하여 선단 붐(25)은, 기단 붐(21)과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5, the 2nd cylinder 27 and the operation link 28a, 28b are interposed between the base boom 21 and the tip boom 25. FIG. The tip boom 25 rotates around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base boom 21 by the expansion |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2nd cylinder 27. As shown in FIG.

기복 붐(2)의 격납시에 있어서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단 붐(21)이 차량(1)의 위쪽에서 거의 수평이 되도록 위치한다. 선단 붐(25)은, 위쪽으로부터 기단붐(21)쪽에 접어 개여진다. 이 때, 선단 붐(25)의 기단부는, 기단 붐(21)의 선단부의 사이에 파고 들어간다. 적재함부(1a)의 후부 위면에는, 격납위치에 있는 기복 붐(2)을 아래쪽으로부터 떠 받치기 위한 유지대(15)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대(15)는, 강도적(强度的)인 면을 고려하여, 적재함부(1a)의 저붕면을 사이에 끼고 적재함부(1a)내에 탑재된 역 U자상 프레임(16)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유지대(15)에 의하여 기복 붐(2)을 아래쪽으로부터 떠받칠 때에, 유지대(15)가 실린더(27) 등의 주변기기와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각 요소의 장치 위치나 치수 관계 등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At the time of storage of the boom 2, as shown in FIG. 1, the base boom 21 is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substantially horizontal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1. As shown in FIG. The tip boom 25 is folded on the base boom 21 side from above. At this time, the proximal end of the distal end boom 25 is dug in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proximal boom 21. On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compartment 1a, a holding table 15 for supporting the relief boom 2 at the storage position from below is provided. The holding table 15 is supported by an inverted U-shaped frame 16 mounted in the loading box 1a with the low roof surface of the loading box 1a in consideration of the rigid surface. have. When holding the relief boom 2 by the holder 15 from below,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device position, the dimensional relationship, etc. of each element so that the holder 15 does not interfere with peripheral devices such as the cylinder 27. There is.

선단 붐(25)의 선단에, 브래킷(31)이 장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31)은,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세를 유지한다. 버킷(3)은 브래킷(31)에 고정된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선단 붐(25)의 선단에, 지지핀(3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31)은, 이 지지핀(32)에 일체로 설치된다.The bracket 31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tip boom 25. This bracket 31 maintains the posture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ucket 3 is fixed to the bracket 31. 5 and 6, the support pin 32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tip of the tip boom 25. The bracket 31 is integrally attached to this support pin 32.

브래킷(31)에 고정된 버킷(3)은, 수평유지 수단(6)에 의하여, 기단 붐(21) 및 선단 붐(25)의 동작중에 있어서도, 항상 수평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bucket 3 fixed to the bracket 31 is comprised by the horizontal holding means 6 so that a horizontal posture may be always maintained,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base boom 21 and the tip boom 25.

제7도를 참조하여, 수평유지수단(6)은, 지지핀(32)에 일체로 설치된 제1스프로킷(61)과, 기단 붐(21)의 선단에 위치하는 핀(26)에 설치된 제2스프로킷(62)과, 제1 및 제2스프로킷(61),(62)간에 감겨진 제1체인(63)과, 핀(26)의 바깥 끝쪽에 설치된 제3스프로킷(64)과 ,기단 붐(21)의 기단의 핀(29)에 일체로 설치된 제4스프로킷(65)과, 제 3 및 제4스프로킷(64)(65)간에 감아 돌려진 제2체인(66)과를 구비한다. 제2스프로킷(62)과, 제3스프로킷(64)과는,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일체화된 것은 베어링(67)을 개재해서 핀(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3스프로킷(64)과 제4스프로킷(65)과는, 붐 부재(21a)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따라서, 이들의 스프로킷을 붐 부재(21a)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또한 간단하게 배치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7, the horizontal holding means 6 is the 1st sprocket 61 integrally installed in the support pin 32, and the 2nd provided in the pin 26 located in the front-end | tip of the base boom 21. In FIG. The sprocket 62, the first chain 63 wou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61 and 62, the third sprocket 64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pin 26 and the base boom ( And a fourth sprocket 65 integrally provided on the pin 29 at the proximal end of 21), and a second chain 66 wound around the third and fourth sprockets 64 and 65.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sprocket 62 and the third sprocket 64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integrated sprocket 62 is rotatable to the pin 26 via the bearing 67. Is supported. The 3rd sprocket 64 and the 4th sprocket 65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boom member 21a. Therefore, these sprockets can be easily and simply arranged using the boom member 21a.

기단 붐(21)의 기복 동작 및 선단 붐(25)의 회동동작에 수반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스프로킷(61,62,64,65)는, 각각 대응하여 회전하고, 그들의 회전이 제1 및 제2체인(63,66)을 개재해서 브래킷(31)에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버킷(3)은, 항상 수평자세를 유지한다.With the ups and downs of the base boom 21 and the rotation of the tip boom 25,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prockets 61, 62, 64, 65 rotate correspondingly, respectively. Their rotation is transmitted to the bracket 31 via the first and second chains 63 and 66. In this way, the bucket 3 always maintains a horizontal posture.

제9도를 참조하여 버킷(3)은, 거의 입방체 형상으로 틀이 짜여진 아래 프레임(33)과, 이 아래 프레임(33)의 상부에 연결된 위 프레임(34)과를 구비한다. 위 프레임(34)은, 아래 프레임(33)의 위 테두리부터 위쪽으로 일어서서 연장하는 네 개의 세로 프레임(35)과, 이들 세로 프레임(35)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장방형 프레임(36)과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bucket 3 has a lower frame 33 woven into a substantially cuboid shape, and an upper frame 34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3. The upper frame 34 includes four vertical frames 35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dge of the lower frame 33 and a rectangular frame 36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frames 35. Include.

세로 프레임(35)은,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 부재(35a)와, 위쪽 부재(35b)와, 연결부재(35c)와를 구비한다. 연결부재(35c)와 아래쪽 부재(35a)와는, 핀(37a)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재(35c)와 위쪽 부재(35b)와는, 핀(37b)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소 작업시에는, 아래쪽 부재(35a)와 연결부재(35c)와 위쪽부재(35b)와는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정렬하도록 배치되며, 이 정렬상태가 고정수단(37)에 의하여 고정된다. 고정수단(37)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면, 위 프레임(34)은,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아래 프레임(33)쪽에 접어 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0, the vertical frame 35 is provided with the lower member 35a, the upper member 35b, and the connection member 35c. The connecting member 35c and the lower member 35a are rotatably connected by the pin 37a. The connecting member 35c and the upper member 35b are rotatably connected by the pin 37b. In the height work, the lower member 35a, the connecting member 35c, and the upper member 35b are arranged to be align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is alignment state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37. When the fixing by the fixing means 37 is released, the upper frame 34 can be folded to the lower frame 33 side as shown in FIG.

고정수단(37)는, 전술한 핀(37a)(37b)과 이들의 핀(37a)(37b)을 끼우도록 연장하는 고정부재(37c)로서 구성된다. 고정부재(37c)에는 홈부(37d)가 형성된다. 이 홈부(37d)내에 핀(37a) 및 (37b)를 삽입하여 고정하므로서, 아래쪽 부재(35a)와 위쪽 부재(35b)와를 일직선상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안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핀(37a)(37b)로부터 고정부재(37c)를 위쪽으로 뽑아내면, 세로 프레임(35)를 접어 개는 것이 가능하다.The fixing means 37 is comprised as the fixing member 37c extended so that the pin 37a, 37b mentioned above and these pin 37a, 37b may be fitted. A groove portion 37d is formed in the fixing member 37c. By inserting and fixing the pins 37a and 37b in the groove portion 37d, the lower member 35a and the upper member 35b can be stably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in a straight line.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xing member 37c is pulled upward from the pins 37a and 37b, the vertical frame 35 can be folded and opened.

기복 붐(2)의 길이는, 다음의 동작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되고 있다. 즉, 기단 붐(21)이 차량(1)의 위쪽에서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선단 붐(25)만을 회동시켜서 이 선단붐(25)을 차량(1)의 후방에서 거의 수직상태로 되는 위치까지 가져간다. 이 상태에서, 선단 붐(25)의 선단에 설치된 버킷(3)이 지상 부근에 위치한다. 또 버킷(3)이 지상부근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단 붐(21)을 선회시켰을 때 버킷(3)이 차량(1)이 전 주위를 아무런 간섭도 없이 선회할 수 있도록 기단 붐(21)의 길이가 선택된다.The length of the boom 2 is selected suitably so that the following operation | movement may be achieved.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base boom 21 is arrange | position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1, only the front end boom 25 is rotated and this front boom 25 is moved to the substantially vertical state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1 Take it to the right place. In this state, the bucket 3 provided at the tip of the tip boom 25 is located near the ground. In addition, when the base boom 21 is rotated while the bucket 3 is located near the ground, the length of the base boom 21 is set so that the bucket 3 can turn the vehicle 1 without any interference around it. Is selected.

차량(1)쪽에 배치된 조작장치(7)에 의하여, 선회장치(2a) 및 기복 붐(2)의 각 동작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버킷(3)에 탑재되는 조작장치(8)에 의하여서도 선회장치(2a) 및 기복 붐(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By the operating device 7 arranged on the vehicle 1 side, it is possible to operate each operation of the swinging device 2a and the undulating boom 2. Moreov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urning device 2a and the undulation boom 2 also by the operation device 8 mounted to the bucket 3.

제11도를 참조하여, 버킷(3)에 탑재된 조작장치(8)는 버킷(3)내에 위치하는, 격납위치(상상선으로 표시)와, 버킷(3)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작업위치(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위 프레임(34)의 장방형 프레임(36)에 암(arm)(81)을 개재해서 장치되어 있다. 이 조작장치(8)는 상기 격납위치 및 작업위치의 양자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스토퍼(stopper)에 의하여 안정되게 고정유지된다.Referring to FIG. 11, the operating device 8 mounted on the bucket 3 includes a storage position (indicated by a merchant ship) located in the bucket 3, and a work position located outside the bucket 3 ( It is provided via the arm 81 in the rectangular frame 36 of the upper frame 34 so that it may rotate between the position shown by a solid line. This operating device 8 is stably held by a stopper (not shown) at both the storage position and the work position.

제13도는, 기단 붐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1실린더(23) 및 선단 붐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2실린더(27)의 유압회로를 표시하고 있다. 전환 밸브(101,102,103)는, 전술한 조작장치(7)(8)의 조작스위치 또는 조작레버에 의한 조작에 의하여 밸브위치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펌프 P로부터 토출(吐出)되는 작동유는, 전환 밸브(101,102,103)를 경유하여, 유압 모터(104), 제1실린더(23) 및 제2실린더(27)에 공급된다. 제1실린더(23)의 피스턴 실(23a)쪽에 연통된 유로 (105) 및 로드(rod) 실(23b)쪽에 연통된 유로(106)에는, 파일럿 체크 밸브(107,108)가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체크 밸브(107)는, 반대쪽의 유로(106)로부터 파일럿 압(壓)을 유도하고 있으며, 유로(106)안이 소정압으로 되었을 경우에 유로(105)를 개방한다. 파일럿 체크 밸브(108)도 마찬가지로, 반대쪽의 유로(105)로부터 파일럿 압을 유도하고 있으며, 유로(105)안이 소정압으로 되었을 경우에 유로(106)를 개방한다.FIG. 13 shows the hydraulic circuits of the first cylinder 23 for causing the base boom to operate and the second cylinder 27 for causing the tip boom to operate. The switching valves 101, 102 and 103 are configured to switch valve positions by operation by the operation switch or operation lever of the operation device 7 or 8 described above. The hydraulic oil discharged from the pump P is supplied to the hydraulic motor 104, the first cylinder 23, and the second cylinder 27 via the switching valves 101, 102, 103. Pilot check valves 107 and 108 are disposed in the flow path 105 communicated to the piston seal 23a side of the first cylinder 23 and the flow path 106 communicated to the rod seal 23b side. The pilot check valve 107 guides the pilot pressure from the opposite flow path 106 and opens the flow path 105 when the inside of the flow path 106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Similarly, the pilot check valve 108 induces pilot pressure from the opposite flow path 105, and opens the flow path 106 when the inside of the flow path 105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상술한 바와 같이, 유로(105,106)에 파일럿 체크 밸브(107),(108)를 설치하였으며, 제1실린더(23)의 신축 동작을 정지시켰을 때에 관성력에 의하여 제1실린더(23)가 계속해서 움직이는 것, 바꾸어 말하면 기단 붐(21)의 관성력에 의한 움직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ilot check valves 107 and 108 are provided in the flow paths 105 and 106, and the first cylinder 23 continues to move due to the inertia force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first cylinder 23 is stopp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ovement by the inertial force of the base boom 21.

같은 방법으로, 제2실린더(27)의 피스톤 실(27a)쪽에 연통된 유로(110), 로드실(27b)쪽에 연통된 유로(111)에도 파일럿 체크 밸브(112,113)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실린더(27)의 신축동작을 정지시켰을 때에 관성력에 의하여 제2실린더(27)가 계속해서 동작하는 것, 바꾸어 말하면 선단 붐(25)이 관성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same manner, pilot check valves 112 and 113 are also disposed in the flow path 110 communicated with the piston chamber 27a of the second cylinder 27 and the flow path 111 communicated with the rod chamber 27b. Therefore,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second cylinder 27 is stopped, the second cylinder 27 continues to operate by the inertia force, that is, the tip boom 25 can be suppressed from moving by the inertia force.

다음에, 고소 작업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erial work vehicle will be described.

고소 작업을 행하는 경우, 차량(1)을 작업장소까지 이동시켜서 주차한다. 그후, 잭 장치(4,5)를 작동시켜서, 그 신축부(4a,5a)의 지지부재(4b,5c)를 지상까지 내리고, 차량(1)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When performing a height operation, the vehicle 1 is moved to a work place and parked. Thereafter, the jack devices 4 and 5 are operated to lower the supporting members 4b and 5c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arts 4a and 5a to the ground, and stably support the vehicle 1.

다음에, 제1도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선단 붐(25)을 차량(1)의 후방에 있어서 거의 수직상태로 되는 위치까지 회동시키므로서, 버킷(3)을 지상에 근접하는 최하위의 위치로 가져온다. 위 프레임(34)이 접어 개어져 있는 상태의 버킷(3)안에 작업자가 올라탄 후, 위 프레임(34)을 위쪽으로 늘려 고정수단(37)에 의하여 위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위 프레임(34)을 접어 갠 상태에서 버킷(3)안으로 작업자가 올라타므로, 작업자는 지상으로부터 안전하게 버킷(3)안에 올라탈 수 있다.Next, as indicated by the imaginary line in FIG. 1, the front end boom 25 is rotated to a position which becomes almost vertical at the rear of the vehicle 1, thereby bringing the bucket 3 close to the ground. Bring it to the lowest position. After the operator climbs into the bucket 3 in a state where the upper frame 34 is folded, the upper frame 34 is extended upward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frame by the fixing means 37. In this manner, the worker climbs into the bucket 3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34 is folded, so that the worker can safely climb into the bucket 3 from the ground.

적재함부(1a)로부터 기재의 짐을 내리기 등을 하기 위한 차량(1)의 후방에 버킷(3)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때에는, 미리 기단 붐(21)을 적다한 선회위치까지 선회시킨 후 선단 붐(25)을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시킨다. 그와 같이 하면, 작업자는, 차량(1)의 주위의 어디로부터도 버킷(2)안에 올라탈 수 있다. 이 일은, 작업장소에 있어서, 차량(1)의 주위에 일부의 장해물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유효하다.When it is not desirable to arrange the bucket 3 behind the vehicle 1 for loading or unloading the substrate from the loading compartment 1a, the front end boom 21 is pivoted in advance to a small turning position before the tip. The boom 25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way, the worker can get in the bucket 2 from anywhere around the vehicle 1. This work is effective even when some obstacles or the like exist around the vehicle 1 at the work place.

버킷(3)내에 올라 탄 작업자는, 조작장치(8)를 격납위치로부터 작업위치까지 회동시킨다. 작업위치에 있어서는, 조작장치(8)는 버킷(3)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작업자는, 조작장치(8)에 의하여 선회장치(2a)를 선회시킴과 동시에, 기단 붐(21)의 기복동작 및 선단 붐(25)의 회동동작을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하여, 선단 붐(25)의 선단부에 설치된 버킷(3)을 고소 위치에가지 이동시켜서, 소망의 고소작업을 행한다.The operator aboard the bucket 3 rotates the operating device 8 from the storage position to the work position. In the working position, the operating device 8 is located outside the bucket 3. The operator rotates the turning device 2a by the operating device 8 and control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base boom 21 an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tip boom 25. By this control, the bucket 3 provided at the tip end of the tip boom 25 is moved to the height position, and a desired height operation is performed.

버킷(3)은, 수평 유지수단에 의하여, 기단 붐(21)의 동작 및 선단 붐(25)의 동작에 불구하고,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되므로, 버킷(3)에 탄 작업자를 안전하게 고소 위치까지 운송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장치(8)는, 고소작업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버킷(3)내의 격납위치에 수납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 버킷(3)에 설치한 조작장치(8)에 의하여 선회장치(2a) 및 기복 붐(2)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가 있으나, 그 이외에도,. 차량(1)에 설치한 조작장치(7)에 의하여 별도의 작업자가 그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ucket 3 is always kept in the horizontal state by the horizontal holding means despite the operation of the base boom 21 and the operation of the tip boom 25, so that the worker who is in the bucket 3 can be safely brought to a height of height. I can transport it.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device 8 does not perform the height operation, it is stored in the storage position in the bucket 3, and it is made to protect it from the impact from the outside. The movement of the turning device 2a and the boom 2 can be controlled by the operating device 8 provided in the bucket 3, but in addition to that. It is also possible for separate operators to control their movements by the operating device 7 installed in the vehicle 1.

고소위치에 있어서의 작업이 종료하면, 조작장치(8)를 조작하여, 버킷(3)을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격납상태에까지 이동시킨다, 이 격납상태에 있어서는, 선단 붐(25)의 기단부가 기단 붐(21)의 선단부의 사이에 파고 들어가도록 위치한다. 또, 기단 붐(21)이 거의 수평상태에 위치하므로 기복 붐(2)의 높이 방향의 스페이스를 극력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 일은, 특히 원 박스 타입 차량에 있어서 유효하다.When the work at the height is finished, the operating device 8 is operated to move the bucket 3 to the storage state as shown in FIG. 1. In this storage state, the tip boom 25 The proximal end of the proximal end is positioned to dig between the proximal end of the proximal boom 21. Moreover, since the base boom 21 is located in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the space of the relief boom 2 in the height direction can be restrained to the minimum. This work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one box type vehicles.

전술한 바와 같이, 기단 붐(21)의 기복동작은 제1실린더(23)에 의하여 제어되며, 선단 붐(25)의 회동동작은 제2실린더(27)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들의 실린더에 연통하는 작동유의 유로내에는 파일럿 체크 밸브(107,108,112,113)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유로에의 작동유의 공급을 정지하면, 해당하는 유로내의 압력이 내려가고, 대응하는 파일럿 체크 밸브가 닫히게 된다. 그래서 제1실린더(23) 및 제2실린더(27)의 작동을 정지했을 때, 관성력에 의한 실린더 로드의 신축을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기단 붐(21) 및 선단 붐(25)을 소망의 위치에 정확히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단 붐(21) 및 선단 붐(25)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도시한 실시례와 같이 차량(1)의 지붕위에 기복 붐을 탑재한 것에 있어서는, 기단 붐 및 선단 붐을 덮개 위의 소정 위치에 용이하고 동시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ups and downs of the base boom 21 are controlled by the first cylinder 23 and the rotations of the front boom 25 are controlled by the second cylinder 27. Since the pilot check valves 107, 108, 112, and 113 are arranged in the flow path of the hydraulic oil communicating with these cylinders, when the supply of the hydraulic oil to each flow path is stopped, the pressure in the corresponding flow path decreases, and the corresponding pilot check valve is closed.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ylinder 23 and the second cylinder 27 is stopped,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ylinder rod due to the inertia force can be suppress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top the base boom 21 and the tip boom 25 exactly at a desired position. Therefore, the base boom 21 and the tip boom 25 can be easily positioned.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relief boom i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1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base boom and the tip boom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position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lid.

제12도에 표시한 버킷(3)은 아래 프레임(33)과 위 프레임(34)과, 이 위부분의 프레임의 주위를 덮는 포제(布製)커버(9)를 구비하고 있다. 버킷(3)의 위면이 열린 구멍은, 패스너(fastener)(92)를 보유하는 포제의 덮개부재(91)에 의하여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아래 프레임(33) 및 위 프레임(34)의 주위를 포제 커버(9)에 의하여 덮으면, 버킷(3)안에 가지고 들어온 공구 등이 부주위로 낙하하는 일이 없어지면 안전상 바람직하다. 또 버킷(3)안에 올라 탄 작업자도 안심하고 고소작업을 행할 수 있다.The bucket 3 shown in FIG. 12 is provided with the lower frame 33 and the upper frame 34, and the cloth cover 9 which covers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is upper part frame. The opening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bucket 3 is opened is made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member 91 made of cloth holding a fastener 92. Thus, whe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lower frame 33 and the upper frame 34 are covered with the cloth cover 9, it is preferable for safety, if the tool etc. brought in the bucket 3 do not fall to sub-circumference. Moreover, the worker who got in the bucket 3 can also carry out the aerial work in peace.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아래 프레임(33) 및 위 프레임(34)의 양자를 포제 커버(9)로 덮었으나, 위 프레임(34)을 덮지 않고, 아래 프레임(33)만을 포제 커버로 덮는 것이라 해도 상관없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lthough both the lower frame 33 and the upper frame 34 are covered with the cloth cover 9, the lower frame 33 is covered with only the cloth cover without covering the upper frame 34. Does not matter.

전술한 실시예는, 원 박스 타입의 차량(1) 기복 붐(2) 및 버킷(3)등을 장착한 것이었으나. 차량(1)은 원 박스 타입의 것에 한하지 않고 트랙(track)등의 각종 차량에 대하여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기단 붐(21), 선단 붐(25), 선회장치(2a), 버킷(3) 및 조작장치(7)(8)등을 유니트화하면, 차량(1)에의 탑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ne-box type vehicle 1 is provided with a relief boom 2, a bucket 3, and the like. The vehicle 1 is not limited to the one-box type but can als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vehicles such as tracks. At this time, if the base boom 21, the tip boom 25, the turning device 2a, the bucket 3, and the operating device 7, 8, etc. are unitized, the mounting on the vehicle 1 can be performed easily. have.

제14도는, 차량의 앞부분에 배치된 잭 장치의 일례를 표시하고 있다. 이 잭 장치(4)는, 차량(1)의 양측면보다도 안쪽으로 위치하는 차체 테두리(11)의 전단 양쪽에 브래킷(45)을 개재해서 장착되어 있다. 이 두 개의 잭 장치(4),(4)는 서로 멀어지도록 비스듬이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각 잭 장치의 신축부도, 기운 아래쪽으로 돌출한다.14 shows an example of a jack device arrang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This jack device 4 is attached to both front ends of the vehicle body frame 11 positioned inwar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1 via the brackets 45. These two jack devices 4, 4 are arranged so that the obliquely extending downwards away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s of the jack devices also protrude downward.

차량의 앞부의 잭 장치(4)는, 차체 테두리(11)의 전단으로서 차량 테두리(11)의 좌우의 양쪽으로 돌출한 위치, 즉 차량(1)의 프론트 범퍼의 양쪽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지지범위를 널리 확보할 수 있고, 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차량(1)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차체 테두리(11)로부터, 양쪽으로 튀어나온 상태에서 잭 장치(4)를 배치하면, 잭 장치(4)에 의하여 차량(1)을 지지할 때에 차체 테두리(11)에 뒤틀림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일어난다. 이 뒤틀림은, 차체 테두리(11)의 강도 저하를 부정할 수 없는 전단부에 있어서, 특히 문제가 된다. 차량(1)의 전면 양쪽에는 헤드라이트나 방향지시기가 있으므로, 잭 장치가 이들의 기기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도 필요하다.Since the jack device 4 at the front of the vehicle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ront bumper of the vehicle 1,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frame 11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vehicle frame 11, i.e. The range can be secured widely and the vehicle 1 can be supported in the most stable state. However, if the jack device 4 is disposed from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11 in the state protruding from both sides, the vehicle body 11 may be easily warped when the jack device 4 supports the vehicle 1. The problem arises. This distortion is particularly problematic in the front end portion in which the strength redu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 cannot be denied. Since both headlights and direction indicato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1,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jack device does not interfere with these devices.

그래서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차량(1)의 양쪽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한 영역에서, 게다가 헤드라이트 등의 방해가 되지 않는 영역에 잭 장치(4)를 배치하고 있다. 또, 잭 장치(4)로 차량을 지지했을 경우, 극력 지지범위를 크게 잡을 수 있도록, 각 잭 장치(4)의 아래쪽을 바깥쪽으로 경사시켜서 서로의 간격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차츰 멀어지도록 하고 있다. 잭 장치(4)를 상술한 바와 같이 비스듬이 아래쪽으로 경사시킨 상태로 배치하므로써, 잭 장치(4)를 양쪽 방향에 튀어나오게 하는 일없이, 경사시킨 부분만 접지부재(46)가 지상에 접지하는 영역을 널리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jack device 4 is disposed in the area located inside the vehicle 1 rather than on both surfaces thereof, and in an area where the headlight or the like is not disturbed.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supported by the jack device 4, the bottom of each jack device 4 is inclined outwar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jacks 4 can be larg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gradually decreases. By arranging the jack device 4 in a state inclin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grounding member 46 grounds only the inclined portion to the ground without causing the jack device 4 to protrude in both directions. The area can be secured widely.

제15도 내지 제17도는, 버킷의 다른례를 표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버킷(3)은, 아래 프레임(301)과, 이 아래 프레임(301)에 상하방향으로 스쳐 움직이기 가능하게 설치된 위 프레임(302)과, 이 프레임(302)를 아래 프레임(301)로부터 위쪽으로 끌어올린 위치에서 위 프레임(302)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01)과를 구비한다. 아래 프레임(301)의 주위는, 피복체(301a)로 덮혀져 있다.15 to 17 show another example of the bucket. The bucket 3 shown in figure shows the lower frame 301, the upper frame 302 provided so that the lower frame 301 can move up and down, and this frame 302 from the lower frame 301. And fixing means 301 for fixing the upper frame 302 in the upwardly lifted position. The periphery of the lower frame 301 is covered with the cover 301a.

위 프레임(302)는,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303)과, 이들의 세로 프레임(303)의 상단을 연결하는 구형(矩形)상의 가로 프레임(304)를 포함한다. 각 세로 프레임(303)은 아래 프레임(301)에 설치된 유도부재(305)내에 접촉상태로 스쳐 움직일 수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4개의 세로 프레임(303)중, 두 개끼리는 그 하단이 연결되어 U자상의 형태를 만들고 있다.The upper frame 302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303 and a spherical horizontal frame 304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se vertical frames 303. Each vertical frame 303 is accepted to move in a contact state in the guide member 305 provided in the lower frame 301. In addition, of the four vertical frames 303, the two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reof to form a U-shape.

유도부재(305)는, 제1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구형의 튜브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재(305)에는 마찰 접촉부재(306)가 장치되어 있다. 마찰 접촉부재(306)는, 제1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하의 끝부가 갈고리상으로 굴절 형성된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찰 접촉부재(396)의 상하 끝부를 유도부재(305)를 구성하는 부재에 끼워 넣으므로써, 마찰 접촉부재(306)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고 있다. 마찰 접촉부재(306)는, 마찰력으로서 세로 프레임(303)의 주위 사방에 접촉하므로, 위 프레임(302)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30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The induction member 305 is equipped with a friction contact member 306. As shown in FIG. 19, the frictional contact member 306 is comprised from the flat pl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were deflected in the shape of a hook. Positioning of the friction contact member 306 is performed by inse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iction contact member 396 into the member which comprises the guide member 305. As shown in FIG. Since the frictional contact member 306 is in contact with the surroundings of the vertical frame 303 as a frictional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dden drop of the upper frame 302.

고정수단(301)은, 위 프레임(302)쪽에 설치된 고정핀(311)와, 아래 프레임(301)쪽에 설치된 고정구멍(312) (도면 20참조)과, 고정핀(311)의 착탈을 행하기 위한 작동부재(313)와를 포함한다. 고정핀(311)과 고정구멍(312)과는 위 프레임(302)이 위쪽으로 튀어나왔을 때에 서로 만나는 관계가 되도록 되어 있다.The fixing means 301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xing pin 311 provided on the upper frame 302, the fixing hole 312 provided on the lower frame 301 (see FIG. 20), and the fixing pin 311. And an actuating member 313. The fixing pin 311 and the fixing hole 3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upper frame 302 protrudes upward.

작동부재(313)는, 위 프레임(302)의 가로 프레임(304)에 설치된 조작레버(314)와, 조작레버(314)에 연결되고, 고정핀(311)을 고정구멍(312)에 착탈시키는 작동로드(315) 및 작동링크(316)와를 구비한다. 조작레버(314)를 작업자가 잡으면 고정핀(311)이 고정구멍(312)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작동 로드(315) 및 작동 링크(316)가 적절하게 구성된다. 보통은, 고정핀(311)이 도시하고 있지 않은 스프링의 기세를 늘리는 힘에 의하여 고정 구멍(312)에 고정하는 방향으로 기세를 늘리고 있다.The operation member 313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314 and the operation lever 314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304 of the upper frame 302, and attaches and detaches the fixing pin 311 to the fixing hole 312. And an actuating rod 315 and an actuating link 316. The operation rod 315 and the operation link 316 are appropriately configured so that the fixing pin 311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hole 312 when the operator holds the operation lever 314. Normally, the force is increased in the direction fixed to the fixing hole 312 by the force which increases the force of the spring which the fixing pin 311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버킷(3)에 있어서는, 위 프레임(302)를 아래 프레임(301)로부터 위쪽으로 끌어올리므로서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고정핀(311)을 고정구멍(312)에 관계되게 합치므로서, 위 프레임(302)을 작업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위 프레임(302)를 작업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조작레버(314)에 의하여 작동로드(315) 및 작동 링크(316)를 개재해서 고정핀(311)을 고정구멍(312)으로부터 이탈시키므로서, 위 프레임(302)를 아래 프레임(301)쪽에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위 프레임(302)은, 마찰 접촉부재(306)에 마찰력으로써 접촉하면서 아래쪽으로 접촉상태로 스쳐 움직이므로 급격히 낙하는 일없이 수납위치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bucket 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frame 302 is moved upward from the lower frame 301 to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fixing pin 311 is moved in relation to the fixing hole 312. By joining, the frame 302 is kept stable at the working position. When returning the upper frame 302 from the working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the fixing pin 311 is removed from the fixing hole 312 by the operating lever 314 via the operating rod 315 and the operating link 316. By separating, the upper frame 302 can be stored on the lower frame 301 side. At this time, the upper frame 302, while rubbing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contact member 306 by the frictional force to move downwards can be safely moved to the storage position without falling.

버킷(3)에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등의 검출기(320)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기(320)는, 제2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321)를 보유한다. 이 검출부(321)는, 고정핀(311)이 고정구멍(312)에 합쳐 고정했을 때에 고정핀(311)의 선단과 맞닿는다. 검출기(320)는, 위 프레임(302)이 작업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며, 위 프레임(302)이 작업위치에 배치되었을 때만, 도시안된 전기회로의 제어계에 의하여, 기복 붐(2)을 작동시키는 각 액츄에이터의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검출기(302)에 의하여 위 프레임(302)이 작업위치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에만 기복 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므로서, 상하 두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버킷(3)으로부터 작업자가 낙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의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 bucket 3 is provided with a detector 320 such as a limit switch. The detector 320 holds the detector 321, as shown in FIG. The detector 321 abuts against the tip of the fixing pin 311 when the fixing pin 311 joins and fixes the fixing hole 312. The detector 320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302 is disposed at the working position, and only when the upper frame 302 is disposed at the working position, the relief boom 2 is controlled by a control system of an electric circuit (not show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respective actuators for operating the actuator. In this way, the operation of the ups and downs boom is possible only when the detector 302 confirms that the upper frame 302 is in the working position, thereby ensuring that the worker falls from the bucket 3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two frames. It can prevent and can improve work stability.

또한, 검출기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핀(311)과 맞닿은 타입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위치에 배치한 세로 프레임(303)과 맞닿는 것과 같은 타입의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위 프레임이 수납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출하도록 하고, 위 프레임이 수납위치에 없는 것을 검출로서 위 프레임이 작업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The detector is not limited to the type that abuts on the fixing pin 311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the type that abuts on the vertical frame 303 disposed at the work pos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at the upper frame is disposed at the storage position, and determine that the upper frame is at the working position by detecting that the upper frame is not at the storage position.

제21도 내지 제23도는 다른 실시례의 고소 작업차를 표시하고 있다. 전술한 실시례의 고소 작업차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므로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21 to 23 show the aerial work vehicle of another embodiment. The same members as the aerial work vehicl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제21도 내지 제23도에 표시한 고소 작업차는, 기복 붐(21)의 선단부에 붐위치 확인부재(400)를 구비한다. 붐 위치 확인부재(400)는, 기단 붐(21)의 선단부에 배치된 작동 링크(28a)에 연결부재(401)를 개재해서 수직방향으로 매달려 있다. 이 연결부재(401)에는, 제2실린더(27)의 로드 끝(27c)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실린더(27)는, 연결부재(401)를 개재해서 작동 링크(28a)를 작동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선단 붐(25)을 회동시키고 있다.The aerial work vehicle shown in FIGS. 21-23 is equipped with the boom position confirmation member 400 in the front-end | tip of the relief boom 21. FIG. The boom positioning member 400 is susp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via the connecting member 401 through the operation link 28a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base boom 21. The rod end 27c of the second cylinder 27 is connected to this connecting member 401. Therefore, the 2nd cylinder 27 operates the operation link 28a via the connection member 401, and has rotated the front boom 25 by this.

붐 위치확인 부재(400)에는 제22도 및 제2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무 등의 가용성(flexibility)을 보유하는 판상체로서 형성된다. 그 기단부는, 연결부재(401)에 나사(402)를 개재해서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위치 확인부재(400)는, 기단 붐(21)의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매달린 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 22 and FIG. 23, the boom positioning member 400 is formed as a plate-like body having flexibility such as rubber. The proximal end is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401 via a screw 402. As shown in this way, the boom positioning member 400 has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proximal boom 21. It becomes suspended.

기단 붐(21)의 선단부로부터 매달린 붐 위치확인 부재(400)의 길이는 기복 붐(2)의 격납시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석으로부터 기단 붐의 선단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 붐 위치확인 부재(400)에 대하여 형광색 등으로 채색을 하면, 운전자가 보기쉽게 할 수 있다. 운전자는, 차량(1)을 후진시킬 때에, 붐 위치확인부재(400)를 확인하므로서, 차량(1)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기단 붐(21)의 선단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후방 장해물 등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 주행시에는 후속차의 운전자에도 기복 붐(2)의 위치를 인식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주행이 가능해진다.The length of the boom positioning member 400 suspended from the tip end of the base boom 21 is set to a size such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tip end of the base boom from the driver's seat when the relief boom 2 is stored. have. In addition, when the boom positioning member 400 is colored with a fluorescent color or the like, the driver can easily see. When the driver reverses the vehicle 1, the driver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ase boom 21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 while checking the boom positioning member 400, so that the rear obstacle and the like. Interference can be avoided. In addition, when driving, the driver of a subsequent vehicle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ups and downs boom 2, and safety driving is attained.

Claims (18)

차량과 상기 차량에 선회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장착된 선회장치와, 상기 선회장치에 기복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장착된 기복 붐과, 기복 붐위 선단에 장착된 버킷과, 차량의 전후의 양쪽에 장착되어 차량을 지상에 지지하기 위한 잭 장치와를 구비한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기복 붐은, 선회 장치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기단 붐과, 상기 기단 붐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선단 붐과를 구비하고, 상기 기단 붐은, 간격을 열어 평행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 붐의 기단부는, 한 쌍의 부재의 사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버킷은, 상기 선단 붐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복 붐을 접어 갠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단 붐은 상기 차량의 위쪽에서 거의 수평에 위치하고 상기 선단 붐은, 위쪽으로부터 기단 붐 위에 겹치도록 위치하고 동시에 그 기단부에 가까운 부분이 한 쌍의 붐 부재간에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A swivel device mounted to the vehicle and the vehicle to make a swivel operation, a boom boom mounted to the swivel device to perform a swivel operation, a bucket mounted to the tip of the swivel boom, and attached to both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In the aerial work vehicle provided with a jack device for supporting the vehicle on the ground, the relief boom is a base boom tha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turning device, and a tip boom rotatably supported by the tip portion of the base boom; And the proximal boom includes a pair of boom members arranged in parallel with open intervals, wherein the proximal end of the proximal boom is supported between the pair of members, and the bucket is the proximal boom. And the proximal boom is position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bove the vehicle, and the proximal boom overlaps the proximal boom from an upper side in the state where the boom is folded. To be located at the same time, Aerial 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boom into between members of the portion close to its base pai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운전석부와, 적재함부와를 일체의 상자모양으로 형성한 원 박스 타입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The aerial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is a one-box type vehicle in which a driver's seat and a loading box are formed in an integral box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 붐이 상기 차량의 위쪽에서 거의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붐만을 회동시키므로서 상기 버킷을 지상에 접근시켜서 작업자의 타고 내림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단 붐 및 버킷의 치수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The front boom and the front boom of claim 1, wherein the base boom is positioned almost horizontally above the vehicle, wherein the front boom is pivoted so that the bucket is brought to the ground to allow the worker to ride down. Aeri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ensions of the bucket is selected. 제3항에 있어서, 지상 부근에 내려진 상기 버킷은, 상기 기단 붐의 선회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전 주위를 선회 가능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The aerial vehic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ucket lowered to the ground is capable of turning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vehicle by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base bo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 붐의 기복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선단 붐의 회동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2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 중의 적어도 한쪽의 실린더의 피스톤 실쪽에 연통된 유로 및 로드실쪽에 연통된 유로에 파일럿 체크 밸브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2. The piston sea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cylinder for causing the base boom to be undulated, and a second cylinder for causing the tip boom to rotate, wherein at least one cylinder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is provided. An aerial work vehicle comprising a pilot check valve disposed in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side and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rod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장치, 상기 기단 붐 및 상기 선단 붐이 하나의 유니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rning device, the base boom, and the tip boom are configured as on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 붐 및 선단 붐의 동작중에 있어서도 상기 버킷을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수평유지 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수평유지 수단은, 상기 선단 붐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지지핀과, 제1지지핀에 고정하여 지지된 제1스프로킷과 상기 기단 붐과 상기 선단 붐과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지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스프로킷과 상기 제1 및 제2스프로킷의 둘레에 감겨진 제1체인과, 상기 제2스프로킷과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제2지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3스프로킷과, 상기 기단 붐의 기단부에 제3지지핀을 개재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4스프로킷과, 상기 제3 및 제4스프로킷의 둘레에 감아 돌려진 제2체인과를 구비하고 상기 버킷을 지지하는 브래킷이, 상기 제1지지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2.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horizontal holding means for always maintaining the bucket in a horizontal state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base boom and the tip boom, wherein the horizontal holding means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distal end of the tip boom. A first sprocket fixed to the first support pin, a second sprocket rotatably supported by a second support pin rotatably connecting the proximal boom and the tip boom, and the first sprocket; A first chain wound around a second sprocket, a third sprocket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second sprocket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in, and a third support pin at a proximal end of the base boom. And a second sprocket,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sprocket, and a second chain which is wound around the third and fourth sprockets, and which supports the bucket,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in. Aerial Work a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붐 부재는 C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제3스프로킷 및 상기 제4스프로킷은, 상기 C자 형상의 붐 부재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8. 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boom member has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third sprocket and the fourth sprocket are housed in the C-shaped boom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부내에 고정하여 설치된 역 U자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적재함부의 덮개면을 사이에 끼고 상기 역 U 자형상의 프레임에 지지된 유지대와를 또 구비하고 상기 유지대는, 격납위치에 가져온 상기 기단 붐을 밑으로부터 떠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According to claim 2, Inverted U-shaped frame fixedly installed in the loading compartment, and holding the supporter supported by the inverted U-shaped frame sandwiched between the cover surface of the loading compartment, the holding table, An aerial work vehicle comprising the base boom brought to a storage position from below.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뒤부분의 양쪽에 장착된 잭 장치는, 상기 적재함부내에 배치된 잭 본체와, 상기 잭 본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나 상기 적재함부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있는 신축부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According to claim 2, The jack devic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vehicle, the jack body disposed in the loading compartment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jack body and penetr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compartment; Aerial work vehicl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앞부분의 양쪽에 장차된 잭 장착의 신축부는, 차량의 측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고, 또한 서로 멀어지도록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jack-mounted telescopic part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are located inward of the side of the vehicle and extend obliquely downward to be far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아래 프레임과, 상기 아래 프레임위에 설치되는 위 프레임과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아래 프레임쪽에 접어 개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The aerial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cket has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and the frame is configured to be folded on the lower fra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래 프레임을 바깥쪽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12. The aerial vehicle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over for covering the lower frame from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그 주위를 피복체로 덮혀진 아래 프레임과, 상기 아래 프레임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접촉상태로 스쳐 움직이기 가능하게 지지된 위 프레임과, 상기 위 프레임을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위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2. The buck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cket comprises: a lower frame covered with a covering around the upper frame; an upper frame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to mov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frame moved upwards. Aeri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frame in a sta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 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늘어난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아래 프레임은, 상기 세로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접촉상태로 스쳐 움직이기 가능하게 받아들이는 유도부재와, 상기 유도부재에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프레임에 마찰력으로서 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는 마찰접촉 부재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15. The guide fram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upper frame includes a vertical fram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frame includes an induction member for receiving the vertical frame in a contact state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And a frictional contact member which is fixed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a sharp fall of the frame by contacting the frame with frictio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붐 및 선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버킷 내에 위치하는 수납위치와, 상기 버킷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작업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버킷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oom and the swing device, wherein the operation device is provided between a storage position located in the bucket and a work position located outside the bucket. Aeri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the bucket to be rotated i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상기 위 프레임이 상기 아래 프레임보다도 위쪽에 튀어나온 작업위치에 있느냐 없느냐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위 프레임이 작업위치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만 상기 기복 붐의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13. The bucket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bucket ha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upper frame is in a working position protruding above the lower frame, and wherein the upper frame is in the working position by the detecting means. Aeri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relief boom only when confi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 붐의 선단부에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석으로부터 격납상태에 있는 기단붐의 선단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있도록 하는 붐 위치 확인부재가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The aerial work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p of the base boom is provided with a boom positioning member that allows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tip of the base boom in a stored state from the driver's seat. .
KR1019960003737A 1995-02-17 1996-02-15 High lift work vehicle KR01560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382/1995 1995-02-17
JP2938295 1995-02-17
JP69748/1995 1995-03-28
JP6974895 1995-03-28
JP275801/1995 1995-10-24
JP7275801A JP2656763B2 (en) 1995-02-17 1995-10-24 Aerial work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204A KR960031204A (en) 1996-09-17
KR0156091B1 true KR0156091B1 (en) 1999-02-18

Family

ID=2728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737A KR0156091B1 (en) 1995-02-17 1996-02-15 High lift work vehic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656763B2 (en)
KR (1) KR0156091B1 (en)
CN (1) CN1088039C (en)
MY (1) MY120877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6007B1 (en) * 2003-02-19 2009-05-06 Nippo Corporation Asphalt uniformly paving equipment
JP5150239B2 (en) * 2007-12-21 2013-02-20 株式会社タダノ Bucket cover
CN102897645B (en) * 2012-09-15 2015-04-15 王志华 Hanging basket device special for autocrane
CN103058104B (en) * 2012-12-06 2016-03-30 长沙中联消防机械有限公司 Aerial platform and working bucket leveling mechanism thereof
KR101681801B1 (en) * 2014-01-10 2016-12-01 신승옥 Boom-rotating device and high place working system and high place operation car using the same
CN103979467A (en) * 2014-06-06 2014-08-13 常州德日机械有限公司 Novel multifunctional crane
CN104359499B (en) * 2014-10-31 2016-10-05 沈阳紫微机电设备有限公司 Mobile laboratory's car body separating experiment platform
CN106430015B (en) * 2016-08-24 2019-05-24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Car body and aerial work platform with turnable control cabine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7007A (en) * 1971-12-10 1973-10-23 Ssp Truck Equipment Inc Extensible ladder assembly and aerial basket therefor
US3915471A (en) * 1973-10-15 1975-10-28 Erven Tallman Outrigger stabilizer and leveler
IT8005120A0 (en) * 1980-02-20 1980-02-20 Cella Spa LIMITING DEVICE OF A LIFTING EQUIPMENT WITH A TELESCOPIC OR ARTICULATED AND TELESCOPIC ARM.
JPS58199275A (en) * 1982-05-13 1983-11-19 Mitsuhiro Kishi Mechanism for controlling center of gravity of high-place working vehicle
US4962827A (en) * 1989-07-18 1990-10-16 Garnett Edward V Extendable, elevatable, rotatable, collapsible boom and basket for vehicles
GB2242887A (en) * 1990-04-12 1991-10-16 Stramex Ltd Manoeuvrable work platform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0877A (en) 2005-12-30
KR960031204A (en) 1996-09-17
JPH08324987A (en) 1996-12-10
JP2656763B2 (en) 1997-09-24
CN1088039C (en) 2002-07-24
CN1135431A (en) 1996-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999B1 (en) Swivel Construction Machinery
KR0156091B1 (en) High lift work vehicle
KR101090637B1 (en) Operator's seat section structure of work machine
US8342277B2 (en) Mounting arrangement for mounting cooler unit to work machine
KR102030026B1 (en) Construction machinery
US6688374B2 (en) Barrier with movable curtain
US5822892A (en) Working vehicle
JP4648963B2 (en) Working unit structure
KR20040041637A (en) Self-propelled working machine
KR100332941B1 (en) Device for extending and storing horizontal boom
JP4746642B2 (en) Working unit structure
JP4648962B2 (en) Working unit structure
JP3337914B2 (en) Cargo handling vehicle
JP3762194B2 (en) Safety device in the pallet of parking equipment
JP2004058805A (en) Wiring protection structure for baggage receiving platform lifting device
JP4864197B2 (en) Platform overhanging device in aerial work equipment
JP2003257398A (en) Battery transfer device for motor vehicle
JPS63180697A (en) Elevating working device for car
JPS6319263Y2 (en)
JP2020153169A (en) Storage device in work vehicle
JP2678552B2 (en)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vehicles
KR20240060847A (en) working machine
JPH11157790A (en) Working table mounting structure and working tabl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for use with working vehicle having folding type boom
JPH08113486A (en) Operator stand guard of forklift truck
JPS60218299A (en) Forklift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