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076B1 - Moving recorder - Google Patents

Moving reco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076B1
KR0156076B1 KR1019950030184A KR19950030184A KR0156076B1 KR 0156076 B1 KR0156076 B1 KR 0156076B1 KR 1019950030184 A KR1019950030184 A KR 1019950030184A KR 19950030184 A KR19950030184 A KR 19950030184A KR 0156076 B1 KR0156076 B1 KR 015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tray
main body
stat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15329A (en
Inventor
요시오 무라마츠
유이치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96001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3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07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12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in graphical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5/00Component parts of recorde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5/24Drives for recording elements and surfaces not covered by G01D5/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2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 G01D9/10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the recording element, e.g. stylus, being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variable, and the recording medium, e.g. paper roll, being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i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12Recording devices
    • G01P1/122Speed recorders
    • G01P1/125Speed recorders with recording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목적) 기록지를 얹은 트레이부의 본체에 대한 출입동작에 맞추어 기록지와 간섭하지 않고 기록계를 접리동작시킬 수 있는 운행기록계를 제공한다.(Objective) Provides a driving recorder which can fold a recorder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ecorder in accordance with the entry and exit of the main body of the tray portion on which the recorder is placed.

(구성) 트레이부(21)가 정보기록위치에서 본체(1)내부의 래치기구에 의하여 지지된 것을 그후에 행하여지는 자물쇠(24)의 열림위치(24c) 로부터 잠금위치(24b)로의 회전에 의하여 스위치(26)로 검출하고, 이 검출후에 본체(1)내부의 기록침을 이동시켜 기록기(C)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트레이부(21)를 정보기록개소로부터 기록지 교환개소로 빼낼때 자물쇠(24)를 잠금위치(24b) 로부터 열림위치(24c)로 회전시킨 것을 스위치(26)로 검출하고, 이 검출후 기록침을 기록지(C)로부터 이간시킨후에, 미리 트레이부(21)의 걸어맞춤오목부(21F)에 걸어맞추어둔 이동규제부재(27)를 걸어맞춤오목부(21F)로부터 이탈시켜 트레이부(21)의 빼내기가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하였다.(Configuration) The switch is rotated from the open position 24c of the lock 24 to the locked position 24b, which is subsequently carried out by the tray 21 being supported by the latch mechanism inside the main body 1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osition. (26). After the detection, the recording needle inside the main body 1 is moved to contact the recorder C, and the tray 21 is removed when the tray 21 is removed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to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location. ) Is detected by rotating the switch 26 from the lock position 24b to the open position 24c. After the recording needle is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paper C after the detectio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tray 21 is previously engaged.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engaged with the portion 21F is detached from the engaging recess portion 21F so that the tray portion 21 can be removed.

Description

운행기록계Tachograph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운행기록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riving rec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트레이부가 기록지 교환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 내부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inside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tray section is located at a recording paper exchange location; FIG.

제3도는 트레이부가 본체내에 수납된 정보기록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 내부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inside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tray section is located at an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stored in the main body.

제4도는 걸어맞춤돌기에 걸어맞추기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래치기구를 평면에서 본 개략구성을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latch mechanism in a state before engaging the engaging projection in a plan view.

제5도는 걸어맞춤돌기에 걸어맞춘 상태에 있어서의 래치기구를 평면에서 본 개략구성을 도시한 단면도.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latch mechanism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in plan view.

제6도는 앞면 패널을 안쪽에서 본 경우의 자물쇠, 조작자 및 스위치의 배치를 도시한 설명도.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lock, the operator and the switch when the front panel is viewed from the inside;

제7도는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witch.

제8도는 기록침을 기록지에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록침 이동기구의 1 예를 도시한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cording needle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recording need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cording sheet;

제9도(a) 는 기록침이 기록지(C) 로부터 이간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b) 는 기록침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9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recording needle is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paper C, and (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recording needle is in contact with the recording needl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 15 : 래치기구(지지수단)1: Main body 15: Latch mechanism (support means)

5 : 기록침 이동수단 6 : 지지상태 보증수단5: recording needle moving means 6: support state guarantee means

11 : 모터(구동원) 11A : 제어수단11: motor (drive source) 11A: control means

21 : 트레이부 21B : 걸어맞춤 부재(지지수단)21 tray portion 21B engaging member (supporting means)

24 : 자물쇠 24a : 열쇠구멍24: lock 24a: keyhole

24b : 잠금위치 24c : 열림위치24b: Lock position 24c: Open position

25 : 조작자 26 : 스위치25: operator 26: switch

C : 기록지C: recording paper

[산업상의 이용 분야][Industrial us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속도 및 주행거리등의 정보를 기록지에 기록하는 운행기록계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히는 기록지를 얹은 트레이부를 본체에 대하여 출입하는 구성의 운행 기록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recorder for recording information such as driving speed and driving distance of a vehicle on a recording pa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recorder configured to move in and out of a tray unit on which a recording paper is placed.

[종래의 기술][Prior art]

주행속도나 주행거리라는 정보(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하여 대형트럭, 버스, 택시등에의 탑재가 의무화되어 있는 운행기록계는, 종래부터 속도계나 주행거리계등의 계기와 일체화 되어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속도계등의 문자판의 안쪽에 원형의 기록지를 평행시켜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driving recorder, which is required to be mounted on large trucks, buses, taxis, etc. in order to record information (data) such as driving speed and mileage, has been conventionally formed in an approximately columnar shape by integrating with instruments such as speedometers and odometers. The circular recording paper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inside of a dial such as a speedometer.

그리고, 상기 종래의 운행기록계는 회전계등의 다른계기와 함께 문자판을 운전자가 대략 정면에서 볼 수 있도록 운전석 앞쪽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되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riving recorder was attached to the instrument panel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dial could be seen from the front of the driver along with other instruments such as a tachomet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행기록계는 기록지 이하의 외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구조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운행기록계와 일체화되는 속도계나, 속도계와의 크기의 바란스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의 다른 계기의 치수가 각각 한정되어 버리며, 따라서 인스트루먼트 패널 둘레의 디자인을 참신한 것으로 하는 자유도가 적어지게 된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tachograph is structurally impossible to form with an outer diameter less than or equal to the recording paper, the dimensions of the tachometer integrated with the tachograph and other instruments on the instrument panel that need to consider the balance of the size with the tachometer are limited. As a result, the degree of freedom of making the design around the instrument panel novel is less.

그래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속도계등의 계기와는 별체로 구성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에 노출되는 부분의 치수를 작게할 수 있는 운행기록계를 먼저 제안하였다.Therefor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roposed a driving recorder which can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an instrument such as a speedometer and can reduce the size of the portion exposed on the instrument panel.

상기의 운행기록계에서는 트레이부를 본체로 부터 빼내어 트레이부 위에 기록지를 얹고, 트레이부를 본체내에 수납하면 본체내에서 트레이부의 윗쪽 개소에 배치설치된 기록계에 의하여 기록지의 정보기록면에 정보가 기입된다.In the above driving recorder, the tray part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the recording paper is placed on the tray part, and when the tray part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the information is written on the information recording surface of the recording paper by the recorder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tray part in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운행기록계는 기록지상에 불필요한 선이 그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기록침과 기록지 또는 기록침과 트레이부의 간섭에 의하여 그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보기록시에는 기록지에 접촉하고 있는 기록침을 트레이부의 출입시에는 기록지로 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있다.In addition, the recorder is in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lines from being drawn on the recording paper, and to prevent them from being damag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recording needle and the recording paper or the recording needle and the tray portion. Is moved away from the recording sheet when entering the tray.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Problems that the invention tries to solve]

따라서, 트레이부를 본체내로부터 빼낼때에는 트레이가 움직이기 시작하기 전에 기록침을 기록지로부터 떼어놓는 것이 필요하고, 마찬가지로 트레이부를 본체내에 수납할 때에는 트레이부가 완전히 본체내에 수납된 후에 기록침을 기록지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Therefore, when removing the tray from the main body,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recording needle from the recording paper before the tray starts to move. Likewise, when storing the tray in the main body, the recording need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after the tray is completely stored in the main body. There is a need.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지를 얹은 트레이부를 본체에 대하여 출입하는데 따라 본체내부의 기록침을 기록지에 대하여 접리(接離) 시킬때에 트레이부의 출입동작에 맞추어 기록지와 간섭하지 않고 기록침을 접리 동작시킬 수 있는 운행기록계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tch the moving out of the tray part when the recording needle inside the main body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recording paper as the tray part on which the recording paper is placed enters and exits from the main body. It is to provide a tachograph that can operate the recording needl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ecording paper.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부착되는 본체와,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등을 기록하는 기록지가 부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빼낸 상기 기록지의 교환개소와 그 본체내에 수납한 정보기록개소의 사이에서 상기 기록지가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출입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부착된 트레이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정보기록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에 접촉하는 접촉개소와, 그 기록지로 부터 이간하는 이간개소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기록침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기록개소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 main body attached to a vehicle, a recording sheet for record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like, wherein an exchange point of the recording sheet taken out of the main body and an information recording portion stored in the main body are attached. A tray portion attach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go in and ou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rding paper extends, a contact point for contacting the recording paper in the stat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locat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position, and A recording needle that is movable between the separation parts spaced apart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ort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tray unit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상기 본체 및 상기 트레이부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열쇠구멍에 삽입한 열쇠에 의하여 잠금위치 및 열림위치로 이동되는 자물쇠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록지 교환개소로부터 이동된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상기 기록침을 상기 이간개소로 부터 상기 접촉개소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자물쇠가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열림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록침을 상기 접촉개소로부터 상기 이간개소로 이동시키는 기록침 이동수단과, 상기 본체 및 상기 트레이부중 어느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개소의 상기 기록침이 상기 기록지로부터 이간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의한 상기 트레이부의 지지의 해제를 가능하게하는 지지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ock provided in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tray part and moved to a locke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by a key inserted into a key hole, and the tray par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moved from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by the support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recording needle is moved from the separation point to the contact point in a supported state, the tray par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nd the lock is moved from the lock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nd a recording needle moving means for moving the recording needle from the contact point to the spacing point, and on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tray portion, wherein the recording needle of the contact point is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paper. To enable the release of the support of the tray portion by the support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lease means.

또, 본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상기 트레이부에 걸어맞추어 그 트레이부의 상기 기록지 교환개소로의 빼내기를 규제하는 지지상태 보증수단을 더 갖추고 상기 지지해제수단은 상기 지지상태 보증수단의 상기 트레이부에의 걸어맞춤을 상기 기록침의 상기 접촉개소로부터 상기 이간개소로의 이동후에 해제시키는 것으로 하였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support state assurance means for engaging with the tray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nd restricting the ejection of the tray portion to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location, wherein the support release means further includes the support state assurance means. The engagement with the tray section is to be released after moving from the contact point of the recording needle to the separation poi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에 의한 상기 트레이부의 지지상태를 검출하는 지시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자물쇠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개폐상태 검출수단을 더 갖추고, 상기 기록침 이동수단은 상기 기록침을 상기 접촉개소와 상기 이간개소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지지상태 검출수단 및 상기 개폐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instructing stat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upporting state of the tray part by the supporting means, and opening and closing stat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lock, and the recording needle moving means includes the recording needle.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source on the basis of detection results of the drive source and the support state detection means and the open / close state detection means to move between the contact point and the separation point.

또, 본 발명은 상기 개폐상태 검출수단이 상기 자물쇠의 개폐동작에 호응하여 제 1및 제2의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자와, 그 제1 및 제2의 위치중 어느한쪽의 위치에서 상기 조작자와 접촉하고 그 조작자의 접촉에 의하여 내부접점의 개폐상태가 전환되는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erator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detection means moves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n respons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ock, and contacting the operator at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t has a switch to switch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internal contact by the operator's conta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작자가 상기 본체 및 상기 트레이부중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본체 및 상기 트레이부중의 다른쪽에서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정보 기록개소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위치중 어느한쪽의 위치에서 상기 조작자와 접촉하는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자 및 상기 스위치가 상기 지지수단검출수단을 겸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irst and second apparatuses when the operator is provided on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tray part, and the switch is located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tray part. It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contacts the said operator in either of the positions, and the said operator and the said switch serve as the said support means detection means.

[작용][A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지 교환개소로부터 이동한 트래이부가 정보기록개소에서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기록침이 이간개소로부터 접촉개소로 이동하므로, 트레이부의 정보기록개소로의 이동시에 기록침이 기록지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ording needle moves from the separation point to the contact point while the tray portion moved from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the recording needle is moved to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of the tray.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마찬가지로, 지지수단에 의하여 트레이부가 정보기록개소에서 지지되어 있고, 또한 자물쇠가 잠금위치로부터 열림위치로 이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기록침이 접촉개소로부터 이간개소로 이동하고, 기록침이 기록지로부터 이간한 상태에서 트레이부의 지지수단에 의한 지지의 해제가 가능하게 되므로, 트레이부의 정보기록 개소로부터 기록지 교환개소로의 이동이 기록지로부터 기록침이 떨어진 후에 행하여지게 되고, 따라서, 트레이부의 기록지 교환개소로의 이동시에 기록침이 기록지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Similarly, the recording needle is moved from the contact point to the separation point while the tray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and the lock is moved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nd the recording needle is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sheet. Since the support by the support means of the tray section can be released, the movement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of the tray section to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location is performed after the recording needle has fallen from the recording paper. The needles do not interfere with the recording sheet.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운행 기록침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riving record nee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에 있어서, 1 은 본체를 표시하며, 앞면에 시계(2)와, 이 시계(2)의 시각을 세트하는 각종의 조작버튼(3A,3B,3C)과, 승무원의 교대에 맞추어 기록패턴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손잡이(4)가 설치되어 있다.In Fig. 1, 1 denotes a main body, and the clock 2 and the various operation buttons 3A, 3B, 3C for setting the time of the clock 2 and the crew alternately record the front body. A switching knob 4 for switching a pattern is provided.

그리고, 이 본체(1)의 크기는 본 실시예에서는 폭이 182mm, 높이가 52mm, 안길이 170mm 이고, 카라디오등과 같은 크기이다.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 has a width of 182 mm, a height of 52 mm, a depth of 170 mm, and the same size as a car radio.

21은 본체(1)의 출입구(la)에 대하여 출입가능, 즉 빼내기식으로 부착된 트레이부이다.21 is a tray part which is accessible to,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trance and exit la of the main body 1.

도면중에서는 트레이부(21)가 본체(1)로 부터 빼내어진 기록지 교환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트레이부(21)의 상부에는 중심에 기록지 부착판(22)을 가진 기록지(C) 의 부착면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figure, the tray portion 21 is shown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at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removed from the main body 1, a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portion 21, the recording paper C having the recording paper attachment plate 22 in the center thereof. ) Is provided.

제2도 및 제3도는 상기 본체(1)내부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제2도는 트레이부(21)가 상기 기록지 교환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제3도는 트레이부(21)가 본체(1) 내에 수납된 정보기록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2 and 3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inside the main body 1, and FIG. 2 shows a state where the tray part 21 is located at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and FIG. 3 shows a tray part ( FIG. 21 shows a state where 21 is located at an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stored in the main body 1. As shown in FIG.

상기 트레이부(21)는 본체(1)의 내부에 그 본체(1)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설치된 2개의 랙(1A)(제2도 및 제3도중에서는 1개만 표시하고 있다) 과, 그 랙(1A)에 맞물리는 트레이부(21)의 바닥부의 피니온(21A)에 의하여 안내되고, 부착면 상의 원형의 기록지(C)의 지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본체(1)로부터 출입된다.The tray 21 has two racks 1A (shown in FIG. 2 and FIG. 3 only) disposed in the main body 1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 and Guided by a pinion 21A at the bottom of the tray portion 21 engaged with the rack 1A, and enters and exits from the main body 1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circular recording paper C on the attachment surface. do.

또, 상기 피니온(21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레이부(21)의 축(21C) 에는 코일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감겨장치되어 있고, 이 코일스프링은 랙(1A)에 피니온(21A)을 맞물리게한 상태에서 트레이부(21)를 본체(1)내에 밀어넣음으로써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coil spring (not shown) is wound around the shaft 21C of the tray portion 21 that rotatably supports the pinion 21A, and the coil spring is mounted on the rack 1A.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wound up by pushing the tray part 21 in the main body 1 in the state which engaged 21A).

또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레이부(21)의 후단에는 걸어맞춤돌기(21B)가 설치되고, 그 걸어맞춤돌기(21B)에 대응하는 본체(1)내 개소에는 걸어맞춤돌기(21B)와 걸고떼기가능한 래치기구(1B)가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래치기구(1B)및 걸어맞춤돌기(21B)에 의하여 지지수단이 구성되어 있다.2 and 3, the engaging projection 21B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ray portion 21, and at the location in the main body 1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 21B. The engaging projection 21B and the latching mechanism 1B which can be hooked and placed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ans are comprised by these latch mechanism 1B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1B.

제4도 및 제5도는 상기 래치기구(1B)를 평면에서 본 개략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4도는 걸어맞춤돌기(21B) 와의 걸어맞춤전의 상태, 제5도는 걸어맞춤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latch mechanism 1B in plan view, and FIG. 4 shows a state before engagement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21B, and FIG. 5 shows a state after the engagement. do.

상기 래치기구(15)는 본체(1) 의 후부에서 지지되고, 앞쪽으로 개방된 하우징(1C)과 그 하우징(1C)내에 출몰가능하게 수납된 래치부재(1D)와, 하우징(1C)내에 수납되어 래치부재(1D)를 하우징(1C)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과, 래치부재(1D)로부터 하우징(1C)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설치된 두갈래의 걸어맞춤편(1E)을 구비하고 있다.The latch mechanism 15 is suppor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 and is housed in the housing 1C opened forward, the latch member 1D housed in the housing 1C, and housed in the housing 1C. And a spring (not shown) for urging the latch member 1D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housing 1C, and a two engagement piece protruding from the latch member 1D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C ( 1E).

상기 래치부재(1D)는 도면중 상상선으로 표시한 하우징(1C)의 긴구멍(1F)을 끼워서 통하는 가이드핀(1G)에 의하여 하우징(1C)의 개구로부터 출몰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고, 또한 하우징(1C)으로부터의 빠져나옴이 방지되어 있다.The latch member 1D is guided to move in a direction projected from the opening of the housing 1C by a guide pin 1G through which the long hole 1F of the housing 1C shown in the drawing is inserted. Furthermore, escape from the housing 1C is prevented.

상기 래치기구(1B)는 하우징(1C)내에 밀어넣은 상태에서 래치부재(1D)를 지지하는 래치트(latchet) 기구(도시하지않음)를 더 구비하고, 그 래치트기구에 의한 래치부재(1D)의 지지는 래치부재(1D)를 다시 밀어넣음으로써 해제된다.The latch mechanism 1B further includes a latch mechanism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latch member 1D in a state of being pushed into the housing 1C, and the latch member 1D by the latch mechanism. ) Is released by pushing the latch member 1D again.

제2도 및 제3도중, 1H, 21D는 본체(1) 및 트레이부(21)에 각각 설치된 스토퍼부재를 표시하고, 이들 스토퍼부재(1H,21D)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레이부(21)를 기록지 교환개소에 빼낸상태로 걸어맞추고, 그 이상의 트레이부(21)의 빼내기를 규제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2H and 3D, 1H and 21D indicate stopper members provided in the main body 1 and the tray part 21, respectively, and these stopper members 1H and 21D show the tray part as shown in FIG. (21) is engaged in a state where the recording sheet is replaced at the exchange position, and the removal of the tray portion 21 further is restricted.

제1도에 있어서, 21E는 트레이부(21)의 앞면패널을 표시하고, 그 앞면패널(21E) 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레이부(21)가 래치기구(1B)에 의하여 정보기록개소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본체(1)의 출입구(1a)를 꼭막도록 구성되어 있다.In FIG. 1, 21E indicates the front panel of the tray portion 21, and the front panel 21E records information by the tray portion 21 by the latch mechanism 1B as shown in FIG. It is comprised so that the entrance / exit 1a of the main body 1 may be closed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location.

또, 제1도에 있어서, 24는 앞면 패널(21E)의 우측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자물쇠를 표시하고, 그 자물쇠(24)는 열쇠구멍(24a)에 삽입한 열쇠(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도면 중에 표시한 잠금위치(24b) 와 열림위치(24c)에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위치(24b) 에 있어서만 상기 열쇠구멍(24a)에 대한 열쇠의 꽂고빼기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FIG. 1, 24 denotes a lock rotatably supported at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21E, and the lock 24 is attached to a key (not shown) inserted into the keyhole 24a. It can rotate to the lock position 24b and the open position 24c shown in the figure by this, and it is comprised so that a key may be inserted and removed with respect to the said key hole 24a only in the said lock position 24b. .

또한, 제1도중 25는 상기 자물쇠(24)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조작자를 표시하고, 그 조작자(25)는 앞면 패널(21E)을 안쪽에서 본 제6도중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자물쇠(24)의 잠금위치(24b)에서 선단이 앞면패널(21E) 의 우단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동 도면중 상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자물쇠(24)의 열림위치(24c)에서 앞면패널(21E)의 안쪽에 숨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25 shows a manipulator protruding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not shown) of the lock 24, and the manipulator 25 shows the front panel 21E in a solid line in the sixth view of the front panel 21E. As indicated, the tip protrudes out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nel 21E at the locking position 24b of the lock 24, and as indicated by the imaginary line in the figure, the open position of the lock 24 ( 24c), it is formed to have a size hidden inside the front panel 21E.

또한, 제1도 및 제6도에 있어서, 26은 자물쇠(24)의 잠금위치(24b)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표시한다.Incidentally, in Figs. 1 and 6, 26 denotes a switch for detecting the locking position 24b of the lock 24. Figs.

제7도는 상기 스위치(26)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스위치(26)는 본체(26a) 와, 그 본체(26A)의 아래면에서 돌출설치된 출몰가능한 버튼(26B)과 그 버튼(26B)의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가요성의 스프링판(26C)에 의하여 구성된 주지의 마이크로 스위치로 이루어진다.FIG. 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26. The switch 26 includes a main body 26a, a protruding button 26B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6A, and the button 26B. It consists of the well-known micro switch comprised by the flexible spring board 26C extended below.

상기 스위치(26)는 자물쇠(24)가 잠금위치(24b)에 있을때, 상기 조작자(25)가 스프링판(26C) 을 통하여 버튼(26B)을 본체(26A)내에 밀어넣고, 이에 의하여 본체(26A)내부의 전기접점(도시하지 않음)이 도통하는 한편, 자물쇠(24)가 열림위치(24c)에 있을때에는 조작자(25)가 스프링판(26C)으로 부터 이간하여 버튼(26B)이 복귀하여 상기 전기접점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witch 26 causes the operator 25 to push the button 26B into the main body 26A through the spring plate 26C when the lock 24 is in the locked position 24b, whereby the main body 26A. In the electrical contact (not shown) inside, while the lock 24 is in the open position 24c, the operator 25 is separated from the spring plate 26C so that the button 26B returns. The electrical contact is configured to open.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18A,18B,18C는 기록지(C)에 주행거리나 주행속도 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침을 표시한다. 이중, 기록침(18A)은 거리 기록용이고, 기록침(18B) 은 승무원의 교대 기록용이고, 기록침(18C)은 속도 기록용이다.In FIGS. 2 and 3, 18A, 18B, and 18C display recording needles for recording information such as travel distance and travel speed on the recording paper C. As shown in FIG. Of these, the recording needle 18A is for distance recording, the recording needle 18B is for alternate recording of the crew, and the recording needle 18C is for speed recording.

이들 기록침(18A,18B,18C)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트레이부(21)의 정보기록 개소에 있어서의 기록지(C)의 윗쪽개소에 배치설치되어 있고, 기록지(C)의 직경방향 및 기록지(C) 에 접근이간하는 방향의 그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본체(1)쪽에서 지지되어 있다.Thes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re arrang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ording paper C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of the tray section 21, as shown in FIG. Is supported on the main body 1 side so as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rding paper C approaches.

그리고, 기록침(18A,18B,18C)을 기록지(C)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록침 이동기구는 종래의 주지의 것과 다름이 없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Incidentally, the recording needle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ecording paper C is no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ly known ones,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제8도는 기록침(18A,18B,18C) 을 기록지(C)에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록침 이동기구의 1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9도(a)는 기록침(18A,18B,18C)이 기록지(C)로 부터 이간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9도(b)는 기록침(18A,18B,18C)이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제8도 및 제9도는 실제와는 상하를 반전시켜 도시하고 있다.FIG.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cording needle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cording paper C, and FIG. 9A shows the recording needle 18A. 8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IG. 9 and FIG. 9 are inverted upside down from the actual one.

제8도에 있어서, 11은 본체(1)내에서 지지된 모터를 표시한다.In FIG. 8, 11 denotes a motor supported in the main body 1.

상기 모터(11)는 예컨대 스테핑 모터등으로 구성되고, 그 출력축(11a)에는 기어(12)가 부착되어 있다.The motor 11 is composed of a stepping motor, for example, and a gear 12 is attached to the output shaft 11a.

13 은 기어(12)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열, 14A,14B는 기어열(13)로 전달되는 동력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베벨기어, 15A,15B는 베벨기어(14A,14B)에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표시한다.13 is a gear train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gear 12, 14A, 14B is a bevel gear for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gear train 13, 15A, 15B is meshed with the bevel gears 14A, 14B Displays the drive gear.

상기 구동기어(15A)는 기록침 승강캠(16A)을 회전시키는 것이고, 구동기어(15B)는 기록침 승강캠(16B)을 회전시키는 것이다.The drive gear 15A rotates the recording needle raising and lowering cam 16A, and the drive gear 15B rotates the recording needle raising and lowering cam 16B.

상기 기록침 승강캠(16A,16B)의 둘레면의 부분에는 제9도(a),(b)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록침 승강캠(16A,16A)의 다른 둘레면 부분(16Ab,16Bb)보다도 직경방향으로 팽출한 캠부(16Aa,16Ba)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A and 9B, portions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ording needle lifting cams 16A and 16B are different peripheral portions 16Ab and 16Bb of the recording needle lifting cams 16A and 16A. ), The cam portions 16Aa and 16Ba which are expanded in the radial direction are formed.

그리고, 상기 기어(12,14A,14B,15A,15B), 기어열(13) 및 기록침 승강캠(16A,16B) 은 각각 본체(1) 쪽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gears 12, 14A, 14B, 15A and 15B, the gear train 13 and the recording needle lifting cams 16A and 16B are rotatably supported on the main body 1 side, respectively.

제8도에 있어서, 17A,17B,17C는 기록침 승강캠(16A,16B)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록침(18A,18B,18C)을 이동시키는 대략 L자형의 요동로드이고, 각 요동로드(17A,17B,17C) 의 대략 중앙부는 본체(1)로 지지된 중심축(01)의 둘레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In Fig. 8, 17A, 17B, and 17C are roughly L-shaped swing rods for moving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ecording needle lifting cams 16A, 16B, and each swinging rod (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s of the 17A, 17B, and 17C are pivotably supported around the central axis 01 supported by the main body 1.

상기 요동로드(17A,17B,17C)의 일단측에는 제9도(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기록침 승강캠(16A,16B)의 둘레면상을 따라 이동하는 캠 종동자(17Aa,17Ba,17Ca)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기록침(18A,18B,18C)쪽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핀(17Ab,17Bb,17C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On one end of the rocking rods 17A, 17B, 17C, as shown in FIGS. 9A and 9B, a cam follower mov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ording needle lifting cams 16A, 16B. 17Aa, 17Ba, 17Ca are provided, and at the other end, engaging pins 17Ab, 17Bb, 17Cb, which engage with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18C, are provided.

이들 요동로드(17A,17B,17C)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수단에 의하여 캠 종동자(17Aa,17Ba, 17Ca)가 기록침 승강캠(16A,16B)의 둘레면에 상시 접촉하도록 가압되어 있다.These rocking rods 17A, 17B, 17C are pressurized so that the cam followers 17Aa, 17Ba, 17Ca ar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cording needle raising and lowering cams 16A, 16B by a pressing means not shown.

상기 기록침(18A,18B,18C)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기단과 대략 중간부가 대략 ㄷ 자형인 틀체(20A,20B,20C)로 지지되고, 그 틀체(20A,20B,20C)로 지지된 2개소의 사이의 기록침(18A,18B,18C)개소는 본체(1) 쪽에서 지지된 지지편(19A,19B,19C)을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을 끼워통하여, 이 관통구멍에 의하여 기록침(18A,18B,18C)의 기록지(C)에 접근이간하는 방향(제8도 및 제9도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각각 안내되고 있다.As shown in FIG. 8,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re supported by frame 20A, 20B, and 20C whose proximal ends and approximately middle portions are approximately c-shaped, and the frame 20A, 20B, and 20C.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between two places supported by) are inserted through a through hole (not shown) through the support pieces 19A, 19B, and 19C supported by the main body 1 side. The holes are guided in the directions (up and down directions in Figs. 8 and 9) in which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pproach the recording paper C, respectively.

또, 지지편(19A,19B,19C)보다도 기단쪽의 기록침(18A,18B,18C)부분에는 코일스프링(30A,30B,30C)이 감겨장치되어 있고, 그 코일스프링(30A,30B,30C)의 양단은 지지편(19A,19B,19C)과 틀체(20A,20B,20C)에 각각 걸려 있다.Coil springs 30A, 30B and 30C are wound around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t the proximal end of the support pieces 19A, 19B and 19C, respectively. The coil springs 30A, 30B and 30C are provided. The both ends of the) are hanging on the support pieces 19A, 19B, and 19C and the frame bodies 20A, 20B, and 20C, respectively.

따라서, 각 기록침(18A,18B,18C)은 코일스프링(30A,30B,30C)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요동로드(17A,17B,17C)의 가압수단 보다도 낮은 힘으로, 기록지(C)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제8도중의 아래방향)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Therefore, each of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is spaced apart from the recording paper C by a force lower than the pressing means of the swing rods 17A, 17B, and 17C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s 30A, 30B, and 30C. It is always pressurized in the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in FIG. 8).

그리고, 기록침(18A,18B,18C)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틀체(20A,20B,20C)부분에서 기록침(18A,18B,18C)의 기단쪽의 면에는 상기 요동로드(17A,l7B,17C)의 걸어맞춤핀(17Ab,17Bb, 17Cb)이 배치되어 있고, 그 요동로드(17A,17B,17C) 의 가압수단의 가압력과 코일스프링(30A,30B,30C)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틀체(20A,20B,20C)부분이 걸어맞춤핀(17Ab,17Bb,17Cb)에 상시 맞닿아 붙여져 있다.In addition, the rocking rods 17A, 1B, and 17C are formed on the proximal end surface of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t portions of the frame 20A, 20B, and 20C supporting the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nd engaging pins 17Ab, 17Bb and 17Cb, and the frame 20A is form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urging means of the swinging rods 17A, 17B and 17C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s 30A, 30B and 30C. The 20B and 20C portions are always in contact with the engagement pins 17Ab, 17Bb and 17Cb.

이때문에 기록침(18A,18B,18C)은 제9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요동로드(17A,17B,17C)의 캠 종동자(17Aa,17Ba,17Ca)가 기록침 승강캠(16A,16B)의 캠부(16Aa,16Ba)위에 있을때에, 코일스프링(30A,30B,30C)의 탄성력에 의하여 기록지(C)로부터 이간한다.For this reason,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move the cam needles 17Aa, 17Ba, and 17Ca of the swinging rods 17A, 17B, and 17C as shown in Fig. 9A. When on the cam portions 16Aa and 16Ba of the 16A and 16B, they are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paper C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s 30A, 30B and 30C.

또, 기록침(18A,18B,18C)은 제9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 종동자(17Aa,17Ba,17Ca)가 기록침 승강캠(16A,16B)의 다른 둘레면부분(16Ab,16Bb)위에 있을때에, 코일스프링 (30A,30B,30C)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도면중 윗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하여 기록침(18A,18B,18C)의 선단이 기록지(C)에 접촉한다.As shown in Fig. 9 (b), the cam followers 17Aa, 17Ba, and 17Ca have different peripheral surface portions of the recording needle elevating cams 16A, 16B. When it is on 16Ab, 16Bb, it moves upward in the figur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s 30A, 30B, 30C, whereby the tips of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18C contact the recording paper C. .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11)는 제9도(a) 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 종동자(17Aa,17Ba,17Ca)가 캠부(16Aa,16Ba)의 최대직경 개소에 접촉하는 위치와, 제9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9도(a)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180° 위상을 어긋나게한 둘레면 개소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기록침 승강캠(16A,16B)이 교호로 정지하도록 간헐적으로 소정량씩 정역회전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tor 11 has a cam follower 17Aa, 17Ba, 17Ca in contact with the largest diameter position of the cam portion 16Aa, 16Ba, as shown in FIG. The recording needle elevating cams 16A and 16B are alternately positioned at the position and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180 degrees out of phase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9A as shown in FIG. 9B. I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amount intermittently so that it may stop.

이 모터(11)의 정역회전구동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위치(26)의 출력에 의거하여, 예컨대 시퀀스등으로 된 제어수단(11A)의 제어에 의하여, 예컨대 상기 기록침(18A,18B,18C)의 이간개소와 접촉개소의 간격에 따른 펄스수이고, 또한 기록침(18A,18B,18C)의 이동방향에 따른 극성의 구동용 신호를 모터(11)에 줌으로써 행하여진다.As shown in FIG. 8,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e of this motor 11 is based on the output of the said switch 26, for example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11A of a sequence etc., for example, the said recording needle ( The number of pulses according to the spacing between the separation points and the contact points of the 18A, 18B, and 18C and the polarity driving signal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is performed by giving the motor 11 a signal.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록침(18A,18B,18C)의 기록지(C)에의 접촉시에 트레이부(21)가 잘못하여 빼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트레이부(21)의 정보기록개소에 있어서의 기록지(C)의 윗쪽개소에 그 트레이부(21)의 걸어맞춤 오목부(21F)에 걸어맞춤가능한 이동규제부재(27)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tray 21 from being accidentally pulled out when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C, FIGS. As described abov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cording sheet C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of the tray section 21, a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capable of engaging the engaging recess 21F of the tray section 21 is provided. It is.

상기 이동규제부재(27)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쪽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 샤프트(1J)에 의하여 트레이부(21)에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동규제부재(27)의 측부에는 랙(27A)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is movably suppor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tray portion 21 by a guide shaft 1J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main body 1 side. A rack 27A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상기 랙(27A)에는 본체(1)쪽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기어열(28)을 통하여 상기 구동 기어(15A)의 동력이 전달되고, 그 구동기어(15A)의 화전에 의하여 이동규제부재(27)는 기록침(18A,18B,18C)이 기록지(C)쪽으로 이동하면, 그 움직임에 대략 동기하고, 또 대략 같은 속도로 트레이부(2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power of the drive gear 15A is transmitted to the rack 27A through a gear train 28 rotatably supported from the main body 1 side, and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is driven by the fire of the drive gear 15A. When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move toward the recording paper C, they move approximately in synchronism with the movement and approach the tray 21 at approximately the same speed.

마찬가지로, 이동규제부재(27)는 기록침(18A,18B,18C)이 기록지(C)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움직임에 대략 동기하고, 또 대략같은 속도로 트레이부(2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Similarly, when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mov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ecording paper C,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is substantially synchronized with the movement and separated from the tray portion 21 at approximately the same speed. Move in the direction of

그리고, 상기 이동규제부재(27)의 선단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록침(18A,18B,18C)의 선단보다도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이동규제부재(27)는 기록침(18A,18B,18C)이 기록지(C)에 접촉하기 보다도 먼저 트레이부(21)의 걸어맞춤 오목부(21F)에 걸어 맞추고, 또한 기록침(18A,18B,18C) 이 기록지(C)로부터 떨어진 후에 걸어맞춤 오목부(21F)로부터 이탈한다.As shown in FIG. 2, the distal end of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is disposed below the distal end of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Before the 18A, 18B, and 18C contact the recording paper C, they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recess 21F of the tray 21, and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re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paper C. Afterwards, it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recess 21F.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8도중에 도시한 다수의 요소로 부터 기록침(18A,18B,18C),가이드 샤프트(1J), 이동규제부재(27) 및 기어열(28)을 제외한 나머지의 각 요소로 기록침(18A,18B,18C)을 기록지(C)에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록침 이동수단(5)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1J), 이동규제부재(27), 및 기어열(28)로 지지상태 보증수단(6)이 구성되어 있다.As i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18C, the guide shaft 1J,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and the gear train 28 from the plurality of elements shown in FIG. The recording needle moving means 5 for moving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ecording paper C is composed of the remaining elements except the guide shaft 1J and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and the gear train 28 constitute a support state guarantee means 6.

다음에, 동작(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ac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레이부(21)를 기록지 교환개소에서 빼내어 기록지 부착판(22)에 기록지(C)를 부착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tray part 21 is pulled out from the recording sheet exchange place, and the recording sheet C is attached to the recording sheet attachment plate 22. As shown in FIG.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기록침 승강캠(16A,16B)이 각각 제9도(a)에 도시한 위치에 있고, 따라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록침(18A,18B,18C)은 정보기록개소의 트레이부(21)위의 기록지(C)보다 더 윗쪽의 본체(1)내 개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규제부재(27)도 똑같이 정보기록개소의 트레이부(21)보다도 윗쪽의 본체(1)내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In this state, the recording needle elevating cams 16A and 16B are at the positions shown in FIG. 9A, respectively. 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re It is located at a point in the main body 1 which is higher than the recording paper C on the tray part 21 of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and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is similarly located above the tray part 21 of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1) It is located in place.

다음에, 열쇠구멍(24a)에 열쇠를 삽입하여 자물쇠(24)를 잠금위치(24b)로부터 열림위치(24c)로 회전시켜, 조작자(25)를 제6도중의 상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앞면 패널(21E)의 안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앞면 패널(21E)을 누른다.Next,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hole 24a, and the lock 24 is rotated from the locked position 24b to the open position 24c, so that the operator 25 is displayed as shown by the imaginary line in FIG. The front panel 21E is pushed while being positioned inside the panel 21E.

이에 의하여, 트레이부(21)는 바닥부의 코일스프링을 감으면서 기록지 교환개소로부터 정보기록개소쪽으로 이동하여, 정보기록개소에 달하면, 걸어맞춤돌기(21B)가 래치부재(1B)에 맞닿아서, 그 래치부재(1D)을 하우징(1C)내로 밀어넣어 몰입시킨다.As a result, the tray 21 moves from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location toward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while winding the coil spring at the bottom, and when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is reached, the engaging projection 21B abuts against the latch member 1B. The latch member 1D is pushed into the housing 1C and immersed.

그러면 두갈래의 걸어맞춤편(1E)이 근원쪽으로부터 하우징(IC)내로 당겨넣어져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걸어맞춤편(1E)이 걸어맞춤돌기(21B)에 걸어맞춤상태에서 래치트기구에 의하여 래치부재(1D)가 하우징(1C)내에서 지지되고, 따라서 트레이부(21)가 바닥부의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기록지 교환개소를 향하여 빼내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걸어맞춤 돌기(21B)와 래치기구(1B)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정보기록개소에서 지지된다.The two engagement pieces 1E are then pulled from the source into the housing IC, so that each engagement piece 1E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21B as shown in FIG. The latching member 1D is supported in the housing 1C by the latch mechanism,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21B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y portion 21 is pushed toward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lace by the coil spring at the bottom. ) And the latch mechanism 1B are supported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다음에, 상기 열쇠로 자물쇠(24)를 열림위치(24c)로부터 잠금위치(24b)로 회전시켜, 열쇠구멍(24a)으로부터 열쇠를 빼낸다.Next, the lock 24 is rotated from the open position 24c to the locked position 24b with the key, and the key is removed from the keyhole 24a.

그러면, 조작자(25)가 제6도중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앞면 패널(21E)의 우단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스프링판(26C)을 아래쪽으로부터 민다.Then, the operator 25 protrudes out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nel 21E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6 to push the spring plate 26C from below.

이에 의하여 버튼(26B)이 본체(26A)내로 밀어넣어져, 본체(26A)내부의 전기접점(도시하지 않음)이 도통하여, 스위치(26)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모터(11)가 제어되어, 그 모터(11)의 출력축(11a)이 제8도중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소정량 회전된다.As a result, the button 26B is pushed into the main body 26A, the electrical contact (not shown) inside the main body 26A conducts, and the motor 11 is controlled based on the output from the switch 26. The output shaft 11a of the motor 11 is rotated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direction in FIG.

모터(11)가 소정량 회전하여, 기록침 승강캠(16A)이 제9도(a)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동 도면중 시계 회전방향으로 180° 회전하며, 마찬가지로 기록승강캠(16B)이 제9도(a)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동 도면중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180° 회전하는 동안, 캠 종동자(17Aa,17Ba,17Ca)의 동작에 따라 요동로드(17A,17B,17C)가 요동하면, 기록침(18A,18B,18C) 및 이동규제부재(27)가 트레이부(2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motor 11 rotates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recording needle lifting cam 16A rotates 180 ° clockwise in the same figure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9A. Similarly, the recording raising and lowering cam 16B rotates. If the rocking rods 17A, 17B, 17C oscillat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am followers 17Aa, 17Ba, 17Ca while rotating 180 °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figure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9 (a). ,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nd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move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tray portion 21.

그리고, 이동규제부재(27)의 선단이 기록침(18A,18B,18C) 의 선단보다도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록침 승강캠(16A,16B)의 회전중, 이동규제부재(27)가 먼저 트레이부(21)의 걸어맞춤 오목부(21F)에 걸어맞추어지고, 트레이부(21)의 정보기록개소로부터의 빼내기가 불가능하게 된후, 기록침 승강캠(16A,16B) 이 대략 180° 회전한 시점에서 기록침(18A,18B,18C)이 기록지(C)에 접촉하여 제3도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Since the tip of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is disposed below the tip of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first moves during the rotation of the recording needle lifting cams 16A, 16B. After engagement with the engaging recess 21F of the tray 21 and the removal of the tray 21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becomes impossible, the recording needle lifting cams 16A and 16B are rotated approximately 180 degrees. At this point,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C, and are in the state shown in FIG.

그후, 기록지 부착판(22)이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기 시작하고, 이에 의하여 기록지(C)에의 주행거리, 승무원교대 및 주행속도의 각 정보의 기록이 개시된다.Thereafter, the recording sheet attachment plate 22 starts to rotate by a rotation drive source (not shown), whereby the recording of each piece of information on the traveling distance, the crew shift, and the traveling speed on the recording sheet C is started.

다음에, 기록지(C)에의 정보기록이 끝나고, 기록지(C)를 꺼내는 경우에는 열쇠구멍(24a)에 열쇠를 삽입하여 자물쇠(24)를 잠금위치(24b)로부터 열림위치(24c)로 회전시킨다.Next, when information recording on the recording sheet C is finished and the recording sheet C is taken out, a key is inserted into the keyhole 24a to rotate the lock 24 from the locking position 24b to the open position 24c. .

그러면, 조작자(25)가 제6도중 상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스프링판(26C)으로부터 떨어져서 본체(26A)내에 밀어넣어져 있던 버튼(26B)이 복귀하여 본체(26A) 내부의 전기 접점(도시하지 않음)이 개방되고, 이에 따른 스위치(26)의 출력신호의 변화에 의거하여 모터(11)가 제어되어, 그 모터(11)의 출력축(11a)이 제8도중의 시계 회전방향으로 소정량 회전된다.Then, as the operator 25 indicates by the imaginary line in FIG. 6, the button 26B pushed away from the spring plate 26C and pushed into the main body 26A is returned, and the electrical contact (inside the main body 26A) (Not shown) is opened, and the motor 11 is controlled based on the chang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 26, so that the output shaft 11a of the motor 1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eighth degree. Quantitative rotation.

이 모터(11)의 회전에 의하여, 전술한 기록침(18A,18B,18C) 및 이동규재부재(27)가 트레이부(21)에 접근하는 전술한 동작과는 반대의 동작이 행하여지고, 이에 의하여 기록침(18A,18B,18C)이 먼저 기록지(C)로부터 떨어지며, 그후 이동규제부재(27)가 트레이부(21)의 걸어맞춤 오목부(21F)로부터 이탈하여 트레이부(21)의 정보기록 개소로부터의 빼내기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By the rotation of the motor 11, an operation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n which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nd the moving regulating member 27 approach the tray portion 21 is performed.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re first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paper C, and then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recess 21F of the tray portion 21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tray portion 21 can be obtained. Extraction from the recording point becomes possible.

여기서 트레이부(21)를 밀어넣으면, 상기 래치트기구에 의한 래치부재(1D)의 지지가 해제되고, 하우징(1C)내부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래치부재(1D)가 하우징(1C)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여, 걸어맞춤편(1E)과 걸어맞춤돌기(21B)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When the tray 21 is pushed in here, the support of the latch member 1D by the latch mechanism is released, and the latch member 1D is moved forward from the housing 1C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nside the housing 1C. And the engaging piece 1E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1B are released.

이에 의하여, 트레이부(21)바닥부의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피니온(21A)이 회전하기 시작하여 랙(1A)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트레이부(21)가 기록지 교환개소를 향하여 이동한다.As a result, the pinion 21A starts to ro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at the bottom of the tray 21, and the tray 21 moves toward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by engaging the rack 1A.

트레이부(21)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록지 교환개소에 달하면, 기록지 부착판(22)으로부터 기록지(C)를 벗기거나, 또는 새로운 기록지(C)와 교환하여 트레이부(21)를 다시 기록지 교환개소로 부터 정보기록 개소쪽으로 이동시켜, 걸어맞춤돌기(21B)와 래치기구(1B)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정보기록 개소에서 지지시킨후, 열쇠로 자물쇠(24)를 열림위치 (24c)로부터 잠금위치(24b)로 회전시켜 열쇠구멍(24a)으로부터 열쇠를 빼낸다.When the tray portion 21 reaches the recording sheet exchange point as shown in FIG. 3, the recording sheet C is peeled off from the recording sheet attachment plate 22, or the tray portion 21 is replaced by a new recording sheet C. After moving from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toward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and supporting it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by engaging the engaging projection 21B and the latch mechanism 1B, the lock 24 is opened with a key in the open position 24c. From the key hole 24a to rotate the lock position 24b.

이때, 스위치(26)의 출력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같이 기록침(18A,18B,18C)이 이동규제부재(27)와 함께 트레이부(21)쪽으로 이동하나, 기록지 부착판(22)에 새로운 기록지(C)가 부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 기록침(18A,18B,18C)의 선단은 트레이부(21)로부터 약간 이간한 개소에서 정지되고, 트레이부(21)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At this time, by the output of the switch 26,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move to the tray section 21 together with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but the new recording paper is attached to the recording sheet attachment plate 22. When (C) is not attached, the tip ends of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re stopped at a position slightly separated from the tray portion 21 and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ray portion 21.

그리고, 만일에 대비하여 트레이부(21)위의 기록지(C)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트레이부(21)가 정보기록 개소에 지지되고, 그후 자물쇠(24)가 잠금위치(24b)로 회전된 상태에서 트레이부(21)위에 기록지(C)가 없는 경우, 스위치(26)의 출력에 의거한 모터(11)의 제어를 취소하도록 하여도 좋다.Then, in case, a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ecording sheet C on the tray 21 is provided, and the tray 21 is supported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and then the lock 24 is locked at the lock position 24b. If there is no recording paper C on the tray 21 in the rotated state, control of the motor 11 based on the output of the switch 26 may be cancelled.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부(21)가 기록지 교환개소로부터 이동하여 정보기록위치에서 래치기구(1B)에 의하여 지지된 것을 그후에 행하여지는 자물쇠(24)의 열림위치(24c)로부터 잠금위치(24b)로의 회전에 의하여 스위치(26)로 검출하고, 이 검출후에 기록침(18A,18B,18C)이 이동하여 기록지(C)에 접촉하도록 하였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ray 21 is moved from the recording sheet exchange point and locked from the open position 24c of the lock 24, which is subsequently carried out by the latch mechanism 1B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osition. The switch 26 was detected by the rotation to 24b, and after this detection,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were moved to contact the recording paper C.

또, 트레이부(21)를 정보기록 개소로부터 기록지 교환개소로 빼낼때에, 열쇠에 의하여 자물쇠(24)를 잠금위치(24)로부터 열림위치(24c)로 회전시킨 것을 상기 스위치(26)로 검출하고, 이 검출후 미리 트레이부(21)의 걸어맞춤오목부(21F)에 걸어맞추어둔 이동규제부재(27)가 걸어맞춤오목부(21F)로부터 이탈하여 트레이부(21)의 빼내기가 가능한 상태가 되기 보다 먼저 기록침(18A,18B,18C)이 기록지(C)로부터 떨어지도록 하였다.When the tray 21 is taken out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to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the switch 26 detects that the lock 24 is rotated from the lock position 24 to the open position 24c by a key. After the detection,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that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recess 21F of the tray 21 in advance is detached from the engaging recess 21F, and the tray 21 can be removed.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were to be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paper C prior to

이 때문에, 기록침(18A,18B,18C)이 기록지(C)에 접촉한채로의 상태에서 트레이부(21)가 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트레이부(21)의 출입동작에 맞추어 기록지(C)와 간섭하지 않고 기록침(18A,18B,18C) 을 확실히 접리동작시킬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tray part 21 can be prevented from going in and out while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re in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C, and accordingly, the recording paper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and exiting the tray part 21.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can be reliably folded without interfering with (C).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침(18A,18B,18C)의 기록지(C)에의 접촉동작이 트레이부(21)를 래치기구에 의하여 정보기록 개소에서 지지한 시점보다도 더후의 자물쇠(24)의 열림위치(24e)로부터 잠금위치(24b)로의 회전시에 행하여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기록침(18A,18B,18C)의 기록지(C)에의 접촉동작의 개시 시점은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타이밍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lock 24 is opened later than the point in time when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ording paper C by the latch mechanism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Although the case where the rotation is performed from the position 24e to the locked position 24b has been described, the timing of starting the contact operation of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to the recording paper C is the timing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예컨대, 래치기구(15)가 트레이부(21)를 정보기록개소에서 지지한 것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등의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트레이부(21)가 징보기록개소에서 지지된 시점에서 즉시 기록침(18A,18B,18C)의 기록지(C)에의 접촉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For example, a detection mechanism such as a limit switch that detects that the latch mechanism 15 supports the tray portion 21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is provided, and the recording is immediately performed at the time when the tray portion 21 is supported at the gutter location. The needles 18A, 18B, and 18C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contact operation with the recording paper C.

또,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침(18A,18B,18C)이 기록지(C)로부터 떨어진후에 트레이부(21)의 정보기록개소로부터 기록지 교환개소로의 빼내기를 가능한 상태로 하는 지지상태 보증수단(6)을 설치하고, 그 지지상태 보증수단(6)중의 이동규제부재(27)를 기록침(18A,18B,18C)의 기록지(C)에의 접촉동작과 동시에 걸어맞춤오목부(21F)쪽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동규제부재(27)에의 걸어맞춤오목부(21F)에의 걸어맞춤동작은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타이밍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state guarantee means 6 is made so that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can be taken out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place of the tray 21 to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after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are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paper C. And move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in the supporting state guarantee means 6 toward the engagement recess 21F simultaneously with the contact operation of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to the recording paper C. Although it is set as the starting structure, the engagement operation | movement to the engagement recessed part 21F to the movement restricting member 27 is not limited to the timing illustrated by this embodiment.

즉, 래치기구(18)가 트메지부(21)를 정보기록개소에서 지지한 후이면, 기록침(18A,18B,18C)의 기록지(C)에의 접촉동작보다 앞 또는 뒤라도 좋다.In other words, if the latch mechanism 18 supports the tread portion 21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the contact mechanism 18A, 18B, 18C may be before or after the contact operation of the recording paper C.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부(21)를 그 바닥부의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정보기록개소로 부터 기록지 교환개소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트레이부(21)의 빼내기는 손으로 트레이부(21)를 끌고가도 좋고, 따라서 트레이부(21)의 코일스프링은 생략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tray portion 21 is pressurized in the direction moving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to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by the coil spring at the bottom thereof, but the tray portion 21 is pulled out by the tray part by hand. The coil springs of the tray portion 21 can be omitted.

또, 트레이부(21)의 출입은 모터와 기어군등의 동력전달기구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행하도록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tray 21 may be automatically moved in and out by using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such as a motor and a gear group.

이경우에는 트레이부(21)를 정보기록개소에서 지지하는 수단을 동력 전달 기구중의 구성 부재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 그 동작을 규제하는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ans for supporting the tray section 21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can be constituted by a member which selectively engages with the constituent members in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o restrict its operation.

또는, 트레이부(21)가 정보기록개소에 달하여 모터가 정지하였을때에 그 출력축에 걸리는 기계적 부하로 트레이부(21)가 이동불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모터자신을 지지수단으로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tray 21 can be supported by the mechanical load applied to the output shaft when the motor stops when the tray 21 reaches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so that the tray 21 can be supported in a non-movable state. It may be.

또한, 상술한 트레이부(21)의 구동계로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예 외에, 본체(1) 및 트레이부(21)중 어느 한쪽에 설치한 클릭기구로 다른 쪽을 걸어지지하도록하고, 그 클릭 기구에 의하여 지지수단을 구성하여도 좋다.Moreover, in addition to the example which comprises a support means by the drive system of the tray part 21 mentioned above, the click mechanism provided in either the main body 1 and the tray part 21 is made to hang the other side, and the click mechanism You may comprise a support means.

또, 트레이부(21)로부터 앞면패널(21E)을 생략하고, 그 대신에 출입구(1a)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본체(1)에 힌지를 통하여 부착하고, 닫힌 상태의 덮개체에 자물쇠에 의하여 열쇠를 걸도록 구성하고, 이 닫힌 상태의 덮개체를 지지수단으로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front panel 21E is omitted from the tray portion 21, and instea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way 1a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 via a hinge, and the lid is closed by a lock. It is comprised so that a key may be latched and this closed cover body may be used as a support means.

이와같이, 트레이부(21)를 정보기록개소에서 지지하는 수단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In this way, the configuration of the means for supporting the tray section 21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but is arbitrary.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물쇠(24)를 트레이부(21)에 설치하고, 스위치(26)를 본체(1)에 설치하였으나, 자물쇠(24)및 스위치(26)의 배치는 임의이고, 본체(1) 및 트레이부(21)중 어느한쪽에 쌍방을 설치하여도 좋고, 또는 본 실시예와는 반대로 본체(1)에 자물쇠(24)를 설치하고, 트레이부(21)에 스위치(26)를 설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lock 24 is attached to the tray part 21 and the switch 26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 the arrangement of the lock 24 and the switch 26 is arbitrary, and the main body ( Either one may be provided in either one of the 1) and the tray part 21, or the lock 24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 and the switch 26 is attached to the tray part 21, as opposed to the present embodiment. You may install it.

또, 자물쇠(24)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수단은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스위치(26)등의 마이크로 스위치로 대표되는 접촉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포토인터럽터로 대표되는 비접촉형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The means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lock 24 is not limited to that of a contact type represented by a micro switch such as the switch 26 exemplified in this embodiment, and a contactless type represented by a photointerrupter is used, for example. You may also do it.

또한, 자물쇠(24)의 구성은 본 실치예에서 예시한 바와같은 실린더가 회전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lock 24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ylinder rotates as exemplified in the present example, and is arbitrary.

또,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침(18A,18B,18C)에 의한 기록지(C)에의 정보기록중에 잠금위치(24b)로 회전한 자물쇠(24)의 열쇠구멍(24a)으로 부터 열쇠를 빼내어두는 것으로 하였으나, 기록지(C)에의 정보기록중에 열쇠를 열쇠구멍(24a)으로 부터 빼내거나, 혹은 열쇠구멍(24a)에 삽입해두는 것은 임의이다.In this embodiment, the key is taken out of the keyhole 24a of the lock 24 rotated to the lock position 24b during recording of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paper C by the recording needles 18A, 18B, and 18C. However, it is arbitrary to remove the key from the keyhole 24a or to insert it into the keyhole 24a during recording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paper C.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부착되는 본체와,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등을 기록하는 기록지가 부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빼내어진 상기 기록지의 교환개소와 그 본체내에 수납한 정보기록개소의 사이에서 상기 기록지가 뻗어있는 방향을 따라 출입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부착된 트레이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정보기록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에 접촉하는 접촉개소와, 그 기록지로부터 이간하는 이간개소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기록침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기록개소에서 상기 트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본체 및 상기 트레이부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열쇠구멍에 삽입한 열쇠에 의하여 잠금위치 및 열림위치로 이동되는 자물쇠와, 상기 본체 및 상기 트레이부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자물쇠가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열림위치로 이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의한 상기 트레이부의 지지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지지해제수단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록지 교환개소로부터 이동된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침을 상기 이간개소로부터 상기 접촉개소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지지해제 수단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부의 지지해제가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침을 상기 접촉개소로부터 상기 이간개소로 이동시키는 기록침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a main body attached to a vehicle, a recording sheet for record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like, and an exchange point of the recording sheet taken out from the main body and an information recording position stored in the main body. A tray portion attach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accessible in the direction along which the recording paper extends, a contact point for contacting the recording paper in the stat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located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and A recording needle that is movable between the spaced portions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paper, support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tray portion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osition, and installed in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tray portion and inserted into a key hole. A lock which is moved to a locked position and an opened position by a key; Release of the support of the tray by the support means while being installed on either of the lay portions, while the tray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nd the lock is moved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Supporting release means for enabling and moving the recording needle from the separation point to the contact point in the state that the tray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the tray portion moved from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loca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nd a recording needle moving means for moving the recording needle from the contact point to the separation point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of the tray portion can be released by the release means.

이 때문에, 트레이부가 정보기록개소에서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기록침을 이간개소로부터 접촉개소로 이동시키고, 또한 기록지로부터 기록침이 떨어진후에 트레이부를 정보기록개소로부터 기록지 교환개소로 이동시킬 수 있고, 따라서 트레이부의 출입동작에 맞추어 기록지와 간섭하지 않고 기록침을 접리동작시킬 수 있다.For this reason, in the state where the tray part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ans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lace, the recording needle can be moved from the separation point to the contact point, and after the recording needle is removed from the recording paper, the tray part can be moved from the information recording place to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As a result, the recording needle can be foldabl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ecording paper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in and out of the tray.

Claims (5)

차량에 부착되는 본체와,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등을 기록하는 기록지가 부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빼내어진 상기 기록지의 교환개소와 그 본체내에 수납한 정보기록개소의 사이에서 상기 기록지가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출입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부착된 트레이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정보기록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에 접촉하는 접촉개소와 그 기록지로부터 이간하는 이간개소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기록침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기록개소에서 상기 트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본체 및 상기 트레이부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열쇠구멍에 삽입한 열쇠에 의하여 잠금위치 및 열림위치로 회전되는 자물쇠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록지 교환개소로부터 이동된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침을 상기 이간개소로부터 상기 접촉 개소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자물쇠가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열림위치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록침을 상기 접촉개소로부터 상기 이간개소로 이동시키는 기록침 이동수단과, 상기 본체 및 상기 트레이부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개소의 상기 기록침이 상기 기록지로부터 이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의한 상기 트레이부의 지지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지지해제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기록계.A main body attached to the vehicle, and a recording sheet for record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lik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recording sheet extends between an exchange point of the recording sheet removed from the main body and an information recording position stored in the main body. Between the tray portion attach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the contact point contacting the recording paper in the state in which the tray part is located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and the separation part spaced apart from the recording paper. Locking position and opening by a movable recording needle, a supporting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tray part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point, and a key inserted in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tray part and inserted into a key hole. A lock which is rotated to a position, and which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moved from the recording sheet exchange point The recording needle is moved from the separation point to the contact point in the state where the tray par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nd the tray par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nd the lock is moved from the locked position. In the state of being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the recording needle moving means for moving the recording needle from the contact point to the spacing point, and the main body and the tray portion are provided on one of the recording needles, And a releasing means for releasing the support of the tray portion by the supporting means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p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상기 트레이부에 걸어맞추어 그 트레이부의 상기 기록지 교환개소에의 빼내기를 규제하는 지지상태 보증수단을 더 갖추고, 상기 지지해제수단은 상기 지지상태 보증수단의 상기 트레이부에의 걸어맞춤을 상기 기록침의 상기 접촉개소로부터 상기 이간개소로의 이동후에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기록계.The support state assurance mean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upport state assurance means that engages in the tray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and restricts the ejection of the tray portion to the recording paper exchange point. And the engagement with the tray part is released after moving from the contact point of the recording needle to the separation poi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 의한 상기 트레이부의 지지상태를 검출하는 지지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자물쇠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개폐상태 검출수단을 더 갖추고, 상기 기록침 이동수단은 상기 기록침을 상기 접촉개소와 상기 이간개소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지지상태 검출수단 및 상기 개폐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기록계.The recording needle mov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supporting stat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upporting state of said tray part by said supporting means, and opening and closing stat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open / closed state of said lock. Has a drive source for moving the recording needle between the contact point and the separation point,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source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support state detection means and the open / close state detection means. Tachograp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상태 검출수단은 상기 자물쇠의 개폐동작에 호응하여 제1 및 제2의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자와, 그 제1 및 제2의 위치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서 상기 조작자와 접촉하여 그 조작자와의 접촉에 의하여 내부접점의 개폐상태가 전환되는 스위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기록계.4.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detection unit moves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n respons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ock, and the operator at th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nd a switch for switch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internal contact by contact with the opera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는 상기 본체 및 상기 트레이부중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 및 상기 트레이부중의 다른쪽에서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정보기록개소에 위치하고 있을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위치중 어느 한쪽의 위치에서 상기 조작자와 접촉하는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자 및 상기 스위치가 상기 지지 수단 검출수단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기록계.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operator is provided on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tray part, and the switch is the first and second when the tray part is located at the information recording loca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tray part. And the operator and the switch also serve as the support means detecting means.
KR1019950030184A 1994-10-18 1995-09-15 Moving recorder KR01560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52239 1994-10-18
JP6252239A JPH08115448A (en) 1994-10-18 1994-10-18 Tachograp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329A KR960015329A (en) 1996-05-22
KR0156076B1 true KR0156076B1 (en) 1998-12-15

Family

ID=1723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184A KR0156076B1 (en) 1994-10-18 1995-09-15 Moving record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8115448A (en)
KR (1) KR0156076B1 (en)
DE (1) DE19536515C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5965A1 (en) * 1996-09-05 1998-03-12 Mannesmann Vdo Ag Tachograph with a drawer
DE29710760U1 (en) * 1997-06-20 1997-08-21 Vdo Schindling Tachograph with a drawer
DE19738137A1 (en) * 1997-09-01 1999-03-04 Ek Design Gmbh Tachograph
DE29720521U1 (en) * 1997-11-19 1998-05-14 Mannesmann Vdo Ag Tachograph with a flat, rectangular installation housing
DE19917212A1 (en) * 1999-04-16 2000-11-02 Euchner Gmbh & Co Device for switching a connection depending on the state of a device to be monitored, in particular a safety switch
DE10215122B4 (en) * 2002-04-05 2005-03-03 Siemens Ag Tachograph with a cuboidal housing and a printing device
DE102007030975B3 (en) * 2007-07-03 2009-01-2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Tachograph with a locking unit for a li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48685B1 (en) * 1966-01-13 1970-07-30 Kienzle Apparate Gmbh Tachographs for motor vehicles
DE3730215C1 (en) * 1987-09-09 1989-03-16 Moto Meter Ag Tachographs for mot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36515A1 (en) 1996-04-25
DE19536515C2 (en) 1997-07-17
JPH08115448A (en) 1996-05-07
KR960015329A (en)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076B1 (en) Moving recorder
US3434152A (en) Tachographs for automobiles
EP0386708A2 (en) Disc changer
KR0159839B1 (en) Recording paper taking-in/out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for tachograph, and tachograph
JPH0664484A (en) On-vehicle display device
JP2564003B2 (en) Closure device for closing the slit-shaped opening of a tachograph
JP3019183B2 (en) Operation recorder
JPH08161569A (en) Tachograph
JPH0664485A (en) On-vehicle display device
TWI516761B (en) Test tap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JP2998876B2 (en) Operation recorder
JPH11105631A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and hop up display
JP4072037B2 (en) Cassette setting mechanism of card issuing machine
GB2321706A (en) Arrangement for fixing charts in tachographs
JP2005001456A (en) On-vehicle electronic device
JPS61182658A (en) Cassette loading device
JP2668171B2 (en) Cassette loading device
JPH0427034Y2 (en)
JPS5918705Y2 (en) Keyboard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equipment
JP3978550B2 (en) Retractable display device
JP2001027645A (en) Tachograph
JPS5819737Y2 (en) Record player arm rotation mechanism
JPH0348754Y2 (en)
JPS6247051Y2 (en)
JP3926860B2 (en) Gam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