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453B1 - 데이타 전송라인 절체회로 - Google Patents

데이타 전송라인 절체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453B1
KR0154453B1 KR1019940038660A KR19940038660A KR0154453B1 KR 0154453 B1 KR0154453 B1 KR 0154453B1 KR 1019940038660 A KR1019940038660 A KR 1019940038660A KR 19940038660 A KR19940038660 A KR 19940038660A KR 0154453 B1 KR0154453 B1 KR 015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reliminary
switching
data
outpu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053A (ko
Inventor
서석호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4003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453B1/ko
Publication of KR96002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전송 데이터의 에러를 방지하여 전송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도모하기 위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는 입력단자, 예비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출력단자, 및 상기 예비입력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예비출력단자를 가지며, 상기 출력단자중의 하나와 상기 예비출력단자중의 하나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서로 연결되며,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시에 상기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를 상기 출력단자중 정상출력단에 제공하며, 예비절체회선으로 절체시 인가되는 절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출력단자중 예비출력단에 제공하는 포인트 스위치를 다수개 가지는 매트릭스 스위칭 부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칭 부에 연결되어 상기 정상 출력단에 각기 제공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출력 전송 데이터로서 각기 출력하고, 상기 예비절체회선으로 절체시 상기 절체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측 임피던스 매칭용 저항에 연결되는 출력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도.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라인을 다수개의 쌍으로된 예비 절체망과 함께 구성할 경우 절체기에 연결된 각각의 포인트에서 발생되는 에러를 최소화하여 전송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체회로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타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처리 하고자할 경우에 인가되는 절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의 출력 경로를 변경시키는 작업을 담당하는 회로이다.
이러한 절체회로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예비 절체회선을 가지고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종종 발생되는 데이터 에러는 이러한 절체회로의 성능 및 동작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회로가 본 분야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에 대한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종래의 절체회로 100은 4개의 임피던스 매칭용 스위치 1,2,3,4와, 4×4 매트릭스 구조의 포인트 스위치 5,6,7,8,9,a,b,c,d,...,k 및 4개의 출력용 스위치 l,m,n,o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1,2,3,4의 입력단에는 각기 종단 저항에 연결된 라인 TERM1,2,3,4이 연결되며, 상기 포인트 스위치 5,9,d,h의 각 입력단에는 각기 데이터 입력 1,2,3,4가 각각 제공된다.
상기 매트릭스의 열방향으로는 연장라인 A,B,C,D가 각기 연결되며, 상기 포인트 스위치들의 절체상태 출력단 0에 하나의 연장라인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매트릭스의 행방향으로는 상기 입력 1의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가 상기 포인트 스위치 5,6,7,8,l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입력 2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가 상기 포인트 스위치 9,a,b,c,m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입력 3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가 상기 포인트 스위치 d,e,f,g,n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입력 4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가 상기 포인트 스위치 h,i,j,k,o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출력용 스위치 l,m,n,o의 각 0 입력단에는 각기 출력 임피던스 매칭용 저항 75오옴이 각각 연결되며, 각 X 입력단에는 각기 상기 포인트 스위치 8,c,g,k의 정상 출력단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출력용 스위치 l,m,n,o의 각 출력단에는 출력 1,2,3,4이 공통으로 연결되며, 그 출력용 스위치 l,m,n,o에 각기 4개씩의 공통 절체신호 (1,2,3,4)(5,6,7,8)(9,a,b,c)(d,e,f,g)가 각각 인가된다.
상기 포인트 스위치 h,i,j,k의 절체상태 출력단에는 각기 예비 출력 1,2,3,4가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절체회로 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의 절체동작시 상기 포인트 스위치(5 내지 9, a 내지 k)의 접점은 정상상태 출력단 X에 연결되어, 입력 1에 인가되는 데이터는 상기 포인트 스위치 5,6,7,8,l을 통과하며, 상기 입력 2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는 상기 포인트 스위치 9,a,b,c,m을 통과한다.
또한, 상기 입력 3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는 상기 포인트 스위치 d,e,f,g,n을 통과하며, 상기 입력 4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는 상기 포인트 스위치 h,i,j,k,o를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4개의 입력라인을 통해 제공된 데이터는 상기 출력용 스위치 l,m,n,o의 각 출력단 1,2,3,4을 통해 출력된다.
한편, 상기한 정상적인 출력의 경로를 변경하는 절체동작시, 상기 각 포인트 스위치에 제공되는 절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는 절체상태 출력단에 연결되고 4라인의 입력 데이터는 상기 포인트 스위치 h,i,j,k의 절체상태 출력단을 통과하여 각기 예비 출력 1,2,3,4으로 출력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상기 연장라인 A,B,C,D는 단락되지 않고 계속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절체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 신호선의 잔여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차이가 나기 때문에 임피던스의 부정합을 초래 즉, 노이즈 레벨 및 임피던스 상태가 달라지게 되므로 데이터에 대한 에러가 자주 발생된다.
예를 들어, 노말 상태에서 라인 TERM1에 따른 신호는 임피던스 매칭용 스위치(1) 및 연장 라인(A)을 통해 포인트 스위치(h)의 예비 출력으로 제공되고, 포인트 스위치(9)는 액티브 상태에서 입력 2를 연장 라인(A)을 통해 포인트 스위치(h)의 예비 출력으로 제공하는데, 이때 상술한 각 경우에 따라 연장 라인(A)이 이용되는 길이는 각각 다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예비회선으로의 절체시 회로의 구조상 포인트가 연장되고 출력라인과의 완전한 절체가 어려워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에러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송의 신뢰성 및 품질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회로의 판매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단점이 되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전송라인 절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절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비 절체시 데이터 에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 절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며, 전송 데이터의 에러를 방지하여 전송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도모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는 입력단자, 예비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출력단자 및 상기 예비입력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예비출력단자를 가지며, 상기 출력단자중의 하나와 상기 예비출력단자중의 하나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서로연결되며,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시에 상기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를 상기 출력단자중 정상출력단에 제공하며, 예비절체회선으로 절체시 인가되는 절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출력단자중 예비출력단에 제공하는 포인트 스위치를 다수개 가지는 매트릭스 스위칭부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상기 정상 출력단에 각기 제공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출력 전송 데이터로서 각기 출력하고, 상기 예비절체회선으로 절체시 상기 절체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측 임피던스 매칭용 저항에 연결되는 출력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되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 그러한 회로 구조의 유형등에 대한 상세한 항목들이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그러한 상세 항목들이 없이도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전자적 릴레이 소자의 특성 및 기능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 200를 도시한 제2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절체회로 100에서 사용되었던 4개의 임피던스 매칭용 스위치 1,2,3,4가 제거되며, 포인트 스위치의 구조가 2입력 2출력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게 된다.
제2도에서, 4×4 매트릭스 구조의 포인트 스위치 1,2,3,4,5,6,7,8,9,a,b,c,d,...,g를 가지는 매트릭스 스위칭부와 4개의 출력용 스위치 h,i,j,k로 구성된 출력 스위칭부는 상기 절체회로 200를 구성한다.
상기 포인트 스위치 1,2,3,4의 예비입력단자에는 TERM1,2,3,4이 연결되며, 상기 포인트 스위치 1,5,9,d의 입력단자에는 각기 데이터 입력 1,2,3,4이 제공된다.
상기 매트릭스의 열방향으로 동일한 길이의 연장라인 A,E,I,M,B,F,J,N,C,G,K,O,D,H,L,P은 상기 포인트 스위치들의 각각의 하나씩에 할당되며, 절체상태 출력단 0과 정상상태 출력단 X를 공통연결한다.
상기 매트릭스의 행방향으로는 정상 전송시 상기 입력 1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가 상기 포인트 스위치 1,2,3,4,h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입력 2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가 상기 포인트 스위치 5,6,7,8,i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입력 3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가 상기 포인트 스위치 9, a,b,c,j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입력 4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가 상기 포인트 스위치 d,e,f,g,k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출력용 스위치 h,i,j,k의 0 입력단에는 각기 출력 임피던스 매칭용 저항 75오옴이 연결되며, X 입력단에는 각기 상기 포인트 스위치 4,8,c,g의 정상 출력단이 연결된다. 상기 출력용 스위치 h,i,j,k의 각 출력단에는 출력 1,2,3,4가 각각 연결되며, 각기 4개씩의 공통 절체신호(1,2,3,4)(5,6,7,8)(9,a,b,c)(d,e,f,g)가 각각 인가된다.
상기 포인트 스위치 d,e,f,g의 절체상태 출력단에는 각기 예비 출력 1,2,3,4가 각각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동작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의 절체동작시 상기 포인트 스위치의 접점은 정상상태 출력단 X에 연결되어, 입력1에 인가되는 데이터는 상기 포인트 스위치 1,2,3,4를 통과하며, 입력 2에 인가되는 데이터는 상기 포인트 스위치 5,6,7,8을 통과하며, 상기 입력 3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는 상기 포인트 스위치 9,a,b,c를 통과한다.
또한, 상기 입력 4에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는 상기 포인트 스위치 d,e,f,g를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4개의 입력라인 1,2,3,4를 통해 제공된 데이터는 상기 출력용 스위치 h,i,j,k의 각 출력단 1,2,3,4를 통해 각각 출력된다.
한편, 상기한 정상적인 출력의 경로를 변경하는 절체동작시, 상기 각 포인트 스위치에 제공되는 절체신호의 논리레벨에 따라 상기 스위치는 절체상태 출력단에 연결되고 4라인의 각 입력 데이터는 상기 포인트 스위치 d,e,f,g의 절체상태 출력단을 통과하여 각기 예비 출력 1,2,3,4으로 각각 출력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절체신호 1,5에 각기 응답하는 포인트 스위치 1,5의 경우 하나를 예를 들면, 연장라인 A,E는 상기 절체스위칭에 의해 완전히 단락되어 분리됨을 알 수 있다.
즉, 제1도에 따른A,B,C,D 연장 라인은 각각의 포인트에 대하여 항상 연결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포인트 절체시 뒷단에 이어지는 패턴의 길이가 달라진다. 이때 잔여 패턴의 길이에 따라 노이즈 레벨 및 임피던스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잔여 패턴이 안테나 역할을 하므로 잔여 패턴이 길수록 그 노이즈 레벨은 상승한다. 그러나 제2도에 따른 A선과 E선이 포인트 1과 포인트 5의 접점을 통하여 연결된 상태이므로 절체5 신호에 의한 포인트 5의 접점이 변경되므로 A선과 E선이 완전히 단락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상적인 출력단과 예비 출력단 간의 라인이 완전히 분리되어 데이터 에러 최대로 방지된다.
또한, 출력측의 출력단 1,2,3,4에는 정상상태의 출력단이 단락되고 임피던스 매칭용 저항이 각각 연결되어 안정된다.
그러므로 보다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절체시 잔여라인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여 데이터 에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 데이터의 절체시 에러를 방지함에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전송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비의 판매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에 있어서: 입력단자, 예비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출력단자 및 상기 예비입력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예비출력단자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출력단자중의 하나와 상기 2개의 예비출력단자중의 하나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연결되며,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시에 상기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를 상기 2개의 출력단자중 정상출력단에 제공하며, 예비절체회선으로 절체시 인가되는 절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를 상기 2개의 출력단자중 예비출력단에 제공하는 포인트 스위치를 다수개 가지는 매트릭스 스위칭부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상기 정상 출력단에 각기 제공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출력 전송 데이터로서 각기 출력하고, 상기 예비절체회선으로 절체시상기 절체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측 임피던스 매칭용 저항에 연결되는 출력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스위칭부는, 4×4 매트릭스 구조로서 16개의 포인트 스위치로 이루어져, 4입력 및 4예비입력에 대한 데이터의 절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위칭부는 2개의 입력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4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져, 상기 2개의 입력중 하나는 상기 저항에 각기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매트릭스 스위칭부의 데이터 출력에 각기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
  4. 다수의 라인을 통해 각기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를 정상 절체경로와 예비 절체경로중의 어느 하나로 절체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포인트 스위치를 N×N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 형태의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하며, 각각의 포인트 스위치는, 입력단자, 예비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출력단자 및 상기 예비입력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예비출력단자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출력단자중의 하나와 상기 2개의 예비출력단자중의 하나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서로 연결되며, 데이터 전송시에 상기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전송 데이터를 상기 2개의 출력단자중 정상출력단에 제공하며, 예비절체회선으로 절체시에는 인가되는 절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출력단자중 예비출력단에 제공하며; 상기 포인트 스위치의 종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정상 출력단에 각기 제공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출력 전송 데이터로서 각기 출력하고, 상기 예비절체회선으로 절체시 상기 절체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측 임피던스 매칭용 저항에 연결되는 출력 스위칭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은 자연수 4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라인 절체회로.
KR1019940038660A 1994-12-29 1994-12-29 데이타 전송라인 절체회로 KR0154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660A KR0154453B1 (ko) 1994-12-29 1994-12-29 데이타 전송라인 절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660A KR0154453B1 (ko) 1994-12-29 1994-12-29 데이타 전송라인 절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053A KR960028053A (ko) 1996-07-22
KR0154453B1 true KR0154453B1 (ko) 1998-11-16

Family

ID=1940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660A KR0154453B1 (ko) 1994-12-29 1994-12-29 데이타 전송라인 절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736B1 (ko) * 1999-12-16 2006-09-06 주식회사 케이티 Tv 전송망에 있어 전송망 자동절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736B1 (ko) * 1999-12-16 2006-09-06 주식회사 케이티 Tv 전송망에 있어 전송망 자동절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053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7892B2 (en) Full channel-swap crossbar
US6037798A (en) Line receiver circuit having termination impedances with transmission gates connected in parallel
US6407984B2 (en) Line failure notifying apparatus for terminal apparatus
US5321393A (en) Spare card connection and switching circuitry for high-speed telecommunications interfaces
EP1497917B1 (en) Interconnecting of digital devices
KR0154453B1 (ko) 데이타 전송라인 절체회로
GB2109196A (en) Wideband switching systems
US4970505A (en) Three stage switching apparatus
US6831924B1 (en) Variable mode bi-directional and uni-directional computer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09422A1 (en) Impedance Calibration Circuit with Uniform Step Heights
US5317560A (en) Star data network with logical ring function preferably using token access
JPH0370423B2 (ko)
KR100904845B1 (ko) 전송 라인 장치
US20030117271A1 (en) Switching device comprising local decoding means
US5696513A (en)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GB2074824A (en) High speed ribbon cable bus
US7245606B2 (en)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common voltage reference path
AU6019696A (en) Demultiplexer, a protection switch unit, a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of demultiplexing
JP2663489B2 (ja) 電源制御装置
KR200193996Y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공간분할 스위치장치
JP2671635B2 (ja) 受信回路
KR0136435B1 (ko) 페이저 기지국 내 회선절체기 이중화시의 임피던스 정합회로
US6320475B1 (en) Printed circuit board suppressing ringing in signal waveforms
KR19990022025A (ko) 멀티플렉서, 보호 스위치 유니트, 통신망 및 멀티플렉싱 방법
KR100194984B1 (ko)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