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959B1 - 시스토릭 구조를 가진 디지탈 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 - Google Patents

시스토릭 구조를 가진 디지탈 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959B1
KR0153959B1 KR1019940003296A KR19940003296A KR0153959B1 KR 0153959 B1 KR0153959 B1 KR 0153959B1 KR 1019940003296 A KR1019940003296 A KR 1019940003296A KR 19940003296 A KR19940003296 A KR 19940003296A KR 0153959 B1 KR0153959 B1 KR 0153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plier
shifters
complement
group
sh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531A (ko
Inventor
김근환
김성대
조순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0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959B1/ko
Publication of KR95002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3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 G06F7/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 G06F7/52Multiplying; Dividing
    • G06F7/523Multiplying only
    • G06F7/53Multiplying only in parallel-parallel fashion, i.e. both operands being entered in parall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lex Calcu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토릭 구조를 갖는 디지털 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곱셈기는 인가되는 n비트의 승수를 임의의 시분할 횟수인 k부분으로 나누고, 나뉜 것중 하나의 승수비트에 대하여 nkmax=2k(L-2)+3k(여기서 L은 2보다 크거나 같아야 함)조건을 만족하는 L개의 시프터들을 구비하고, 해당되는 상기 하나의 승수비트의 값에 따라 결정되어 인가되는 시프터들의 각각의 시프트량(P1,P2,…,P1)에 따라 인가되는 피승수를 독립적으로 시프트하는 시프터군; 시프터군에 구비되어 있는 시프터들과 동일한 수의 2의 보수처리회로를 구비하고, 시프터들로 인가되는 상기 시프트량(P1,P2,…,P1)에 따라 결정된 사인비트(a1,a2,…,a1)에 의해 2의 보수처리를 결정하여 상기 시프터군으로부터 전송되는 대응되는 시프트된 피승수들에 대한 2의 보수처리를 수행하는 2의 보수처리군; 및 2의 보수처리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출력되는 신호와 이전 단계의 프로세싱 셀로부터 전송되는 부분합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처리속도가 빠르고 하드웨어가 간단한 곱셈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스토릭 구조를 가진 디지털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곱셈기가 적용될 시스토릭구조를 가진 디지털신호처리기의 구성예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싱셀(PE)중 하나의 프로세싱셀에 대한 상세도이고,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시분할 곱셈기와 가산기간의 관계 예시도이고,
제4도는 k=1인 경우의 시분할 곱셈기의 일예이고,
제5도는 k=2인 경우의 시분할 곱셈기의 일예이고,
제6도는 k에 대한 L의 비교도이고,
제7도는 k에 대한 게이트 비교도이고,
제8도는 k에 대한 딜레이 비교도이고,
제9도는 곱셈기들간의 게이트 비교도이고,
제10도는 곱셈기들간의 딜레이 비교도이다.
본 발명은 곱셈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스토릭(Systoric) 구조를 갖는 디지털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Time Division Multiplier)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연구된 곱셈기는 어레이(Array)곱셈기, 캐리세이브(Carry Save)곱셈기, CSD(Canonic Signed Digit, 이하 CSD라고 함) 곱셈기, 부스(Booth) 곱셈기 등이 있으나 계산속도나 하드웨어 복잡도면에서 효율적인 CSD 곱셈기와 부스 곱셈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CSD곱셈기는 승수를 ±2-p, ±2-q(p 및 q는 정수)인 형태로 근사화함으로써 곱셈과정을 단순화시킨 것으로서 곱셈시간이 빠르고 하드웨어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승수를 근사화함으로써 승수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표현하지 못하는 수가 증가하게 되어 그로 인한 오차가 커져 필터특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높은 해상도를 요하는 디지털신호처리에 이용하기에는 비효율적이다.
반면에, 지금까지 디지털 신호처리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부스 곱셈기는 부스 알고리즘에 근거한 것으로써, 어레이 곱셈기에 비해서 하드웨어사이즈가 작고 고정밀도 특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승수가 12비트로 표시될 때, 어레이곱셈기는 11개의 가산기를 이용하나 부스 승산기는 5개의 가산기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처리속도가 느린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고속 처리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간에 파이프라인 레지스터를 두어야 한다. 이로 인해 하드웨어사이즈가 증가되어 부스승산기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처리속도가 빠르고 하드웨어가 간단한 시분할 곱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토릭 구조를 갖는 디지털 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곱셈기는, 다수의 프로세싱 셀이 규칙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동기를 취하면서 하나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토릭 구조의 디지털 신호처리기에 구비되는 곱셈기에 있어서, 인가되는 n비트의 승수를 임의의 시분할 횟수인 k부분으로 나누고, 나뉜 것중 하나의 승수비트에 대하여 nkmax=2k(L-2)+3(여기서 L은 2보다 크거나 같아야 함) 조건을 만족하는 L개의 시프터들을 구비하고, 하나의 승수비트의 값에 따라 결정되어 인가되는 시프터들의 각각의 시프트량(P1,P2, …, P1)에 따라 인가되는 피승수를 독립적으로 시프트하는 시프터군; 시프터군에 구비되어 있는 시프터들과 동일한 수의 2의 보수처리회로를 구비하고, 시프터들로 인가되는 상기 시프트량(P1,P2, …, P1)에 따라 결정된 사인비트(a1,a2, …, a1)에 의해 2의 보수처리를 결정하여 상기 시프터군으로부터 전송되는 대응되는 시프트된 피승수들에 대한 2의 보수처리를 수행하는 2의 보수처리군; 및 2의 보수처리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출력되는 신호와 인전단계의 프로세싱 셀로부터 전송되는 부분합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곱셈기가 적용될 시스토릭구조를 가진 디지털신호처리기의 구성도로서, 2차원 어레이의 시스토릭구조의 디지털신호처리기(100)는 간단하고 단순한 기능을 가진 프로세싱셀(PE(Processing Element)1, PE2,PE3,PE4)들이 규칙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동기를 취하면서 하나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특수처리기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로세싱셀(PE)중 하나의 프로세싱셀의 상세도로서, 가산기(14), 지연회로(16,18) 및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곱셈기(50)로 구성된다. 시분할 곱셈기(50)는 라인(22)을 통해 전단계의 프로세싱셀로부터 전달되는 피승수와 라인(24)을 통해 인가되는 (n+1)비트의 승수를 곱셈하여 가산기(14)로 전송한다. 가산기(14)는 곱셈기(50)로부터 출력된 값을 전단계의 프로세싱셀로부터 라인(26)을 통해 전송되는 부분합(Partial Sum)과 가산한다. 가산된 결과값은 지연회로(18)를 통하여 다음단의 프로세싱셀로 전달된다. 한편, 라인(22)을 통해 인가되는 피승수 데이터는 지연회로(16)를 통해 다음단의 프로세싱 셀로 전달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시분할 곱셈기(50)와 가산기(14)간의 관계 예시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곱셈기는, 라인(22)을 통해 인가되는 피승수를 (24)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시프트량(P1,P2,…,P1)에 의해 시프트하도록 구성된 시프터군(60) 시프터군(60)으로부터 출력되는 해당되는 시프트결과를 사인비트(a1,a2,…,a1)를 이용하여 2의 보수를 취한 결과를 가산기(14)로 각각 출력하는 2의 보수처리군(7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분할 곱셈기(50)의 시프터군(60)에 구비되어 있는 시프터들(60-1,60-2,…,60-1)은 3상버퍼를 가진 게이트 레벨로 구성되고, 인가되는 시프트량(P1,P2,…,P1)에 의해 인가되는 피승수를 시프트한다. P1,P2,…,P1은 k부분으로 비트가 시분할된 승수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시프터들(60-1,60-2,…,60-1)은 각각 시프트된 피승수를 해당되는 2의 보수처리회로(70-1,70-2,…,70-1)로 출력한다.
2의 보수처리회로들(70-1,70-2,…,70-1)은 인가된 사인비트(sign bit)에 따라 해당되는 시프터로부터 출력되는 시프트된 피승수에 대한 2의 보수처리여부를 결정하여 운영된다. 즉, 인가되는 사인비트가 '1'로 인가된 경우에는 해당되는 시프트된 피승수에 대하여 2의 보수처리를 행하지 않고, '-1'로 인가된 경우에는 해당되는 시프트된 피승수에 대하여 2의 보수처리를 수행한다. 사인비트는 시프터들(60-1,60-2,…,60-1)로 인가되는 P1,P2,…,P1 데이터 결정시 결정되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시분할된 해당 승수의 값이 '3'이고, 시프터군(60)에 구비되는 시프터와 2의 보수처리군(70)에 구비되는 2의 보수처리회로가 각각 2개 존재하는 경우에, 첫 번째 시프터(60-1)로 인가되는 P1은 '22'을 의미하는 '2'값으로 결정되고, 두 번째 시프터(60-2)로 인가되는 P2는 '20'을 의미하는 '0'값으로 결정된다. 이들 두 값을 이용하여 '3'을 얻기 위해서는 두 값을 감산하여야 하므로 (22-20), 첫 번째 2의 보수회로(70-1)로 인가되는 사인비트 a1은 '1'로 결정되고, 두 번째 2의 보수회로(70-2)로 인가되는 사인비트 a2는 '-1'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결정되어 인가되는 사인비트에 따라 2의 보수처리된 결과는 가산기(14) 전송된다. 가산기(14)는 이전 단계의 프로세싱 셀(PE)로부터 출력되는 부분합(Partial Sum)과 2의 보수처리군(70)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제2도에 도시된 지연회로(18)를 통해 다음 단의 프로세싱 셀로 전송한다. 만약 k가 1인 경우에 곱셈기(50)는 제3도와 같은 하드웨어를 1개 구비하고, k가 2인 경우에는제3도와 같은 하드웨어를 2개 구비하고, k가 m개이면 제3도와 같은 하드웨어를 m개 구비한다. 따라서 k값에 따라 가산기(14)로 인가되는 2의 보수처리 결과값의 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k=2이고, 승수가 동일한 비트로 분할되고, 분할된 하나의 승수당 c개의 2의 보수처리결과가 출력된다면, 가산기(14)로 인가되는 2의 보수처리결과신호는 '2c'개가 된다. 이와 같이 '2c'개의 독립된 2의 보수처리결과가 출력되면, 가산기(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전 단계의 프로세싱 셀로부터 전송되는 부분합과 인가되는 '2c'개의 2의 보수처리결과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시분할 곱셈처리된 결과는, 제1도에 도시된 시스토릭구조의 특성에 따라 마지막에서 다른 시분할된 곱셈결과와 가산되어 최종 연산결과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분할 곱셈을 위하여 (n+1)비트의 승수를 k부분으로 나눌 때, 특정 비트수 (n+1)에 대하여 하드웨어 복잡도와 처리속도면에서 최적인 k가 존재하는데, 이는 다음에 제시할 코스트(cost) 함수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n이 14일때(사인비트가 부가된 (n+1)로 표현하는 경우에 15가 됨.) k는 2로서 인가되는 승수가 2부분으로 시분할되는 것이 하드웨어 복잡도와 처리속도면에서 최적임을 의미하고, n이 15일때(사인비트가 부가된 (n+1)로 표현하는 경우에 16이 됨.) k는 3으로서 인가되는 승수가 3부분으로 시분할 되는 것이 하드웨어 복잡도와 처리속도면에서 최적임을 의미한다. 이렇게 n에 따라서 최적의 k값이 다르게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시분할 곱셈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승수의 비트수 (n+1)를 이용하여 최적의 k를 밝히거나 최적의 k가 주어진 경우에 최적의 n의 값을 구할 수 있어야 한다.
k가 2일 때 시분할 곱셈기에서 최적인 승수의 비트수 (n+1)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k가 2일 때, 승수는 두부분(D1 및 D2)으로 나누고 사인비트를 나누어진 두부분에 모두 포함시킨다. 즉, n+1이 짝수(even)인 경우에 D1 승수는으로비트가 할당되고, D2승수는비트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n+1비트가 14일 때, 상술한 바에 의하면 D1승수는 a14,a13,…,a7으로 8비트가 할당되고, D2승수는 a14,a6,…,a0로 8비트가 할당된다. 반면에 n=1이 홀수(odd)인 경우에 D1승수는으로비트가 할당되고, D2승수는비트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n+1비트가 15일 때, 상술한 바에 의하면 D1승수는 a15,a14,…,a7로 9비트가 할당되고, D2승수는 a15,a6,…,a0로 8비트가 할당된다. 상술한 D1 및 D2승수로 할당되는 비트중 an은 사인비트이다. 따라서 상술한 (n+1)비트가 14인 경우에는 a14가 사인비트이고, (n+1)비트가 15인 경우에는 a15가 사인비트이다.
이와 같이 (n+1)의 승수비트가 짝수일 때, D1 및 D2의 비트수가 동일하게비트가 할당되는데, 이 할당된 승수비트를 이용하여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드웨어로 수행되는 시분할 곱셈은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ai은 2의 보수처리군(70)에 구비되어 있는 각 2의 보수처리회로(70-1,70-2,…,70-1)로 인가되는 사인비트이고, Pi은 시프터군(60)에 구비되어 있는 각 시프터들(60-1,60-2,…,60-1)로 인가되는 시프트량으로 상술한비트로 표현된 값에 의해 상술한 제3도 설명시와 같이 결정된다.
그리고 수학식 1에서 L은 (n+1)비트의 승수비트가 짝수일 때, 상술한 D1과 D2가 모두비트가 할당되므로 다음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값으로 정의된다.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진 L값은 정수인 경우에는 해당 정수가 이용되고, 정수가 아닌 경우에는연산에 의해 구해진 값보다 큰 정수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연산에 의해 구해진 값이 2.5인 경우에 3의 값이 해당되는 L의 값으로 이용된다.
또한, (n+1)의 승수비트가 홀수일 때는 상술한 D1은비트가 할당되고 D2는비트가 할당되는데, 최대 할당되는 비트를 커버하여야 하므로 해당되는 L값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되는 L값 역시 상술한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되는 L값과 같이 연산결과값이 정수이면, 구해진 값을 이용하고, 연산결과값이 정수가 아니면 구해진 값보다 큰 정수를 해당 값으로 이용한다.
이와 같이 (n+1)의 승수비트가 짝수인지 홀수인지에 따라 다른 연산식에 의해 구해진 L값은 수학식 1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구해진 L값이 2인 경우에 수학식 1은가 된다. 이는 제3도에 도시된 시프터군(60)내의 시프터가 2개 존재하고, 2의 보수처리군(70)내의 2의 보수처리회로가 2개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L은 하드웨어 복잡도와 선형적으로 비례한다.
상술한 수학식 2와 수학식 3에 정의되어 있는 L값을 모두 만족하는 n의 범위를 (nmin, nmax)라 하면, nmin및 nmax는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4는 상술한 수학식 2와 수학식 3에 정의되어 있는 L연산식 각각에 대해 L-1(수학식 2 또는 수학식 3에 정의되는 있는 L연산식)≤L조건을 이용하여 유도된다. 그리고 수학식 4에서 L은 2보다 크거가 같아야 한다.
수학식 4를 토대로 k를 일반화시키면 상술한 nmin, nmax에 대해 다음 수학식 5가 정의된다.
수학식 5에서 L은 상술한 수학식 4에서와 같이 2와 같거나 큰 값이어야 하고, nkmin및 nkmax는 k개로 (n+1)의 승수비트를 분할했을 때 특정한 L값에 대응되는 n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의미한다. k개로 분할했을 때, nkmax로 승수의 비트수를 선택하면 곱셈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나 처리속도면에서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5에 정의되어 있는 식중 nkmax에 대한 식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k=2일 때, 상술한 nkmax에 2 이상의 L 값을 순차적으로 대입하면 최적의 비트수 n은 6, 10, 14, 18, …로 구해지고, k=4일 때 상술한 nkmax에 2 이상의 L값을 순차적으로 대입하면 최적의 비트수 n은 12, 18, 24, …로 구해진다. k=4 이상일 때도 수학식 5에 정의되어 있는 nkmax식을 이용하여 최적의 비트수 n을 구할 수 있다. 수학식 5에 정의되어 있는 kkmax식을 이용하여 운영될 때, k에 따른 L 및 n간의 관계는 제6도에 도시된 비교도와 같다.
제4도는 인가된 승수가 11비트(10비트+1사인비트)이고, k=1일 때 구현되는 시분할 곱셈기의 일예로서, 6개의 시프터들(60-1,60-2,60-3,60-4,60-5,60-6)로 구성된 시프터군(60)과, 6개의 가산기들(80-1,80-2,80-3,80-4,80-5,80-6)로 구성된 가산군(8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프터와 가산기가 6개인 것은 수학식 5의 nkmax식에 상술한 승수 11과 k=1의 값을 대입할 경우에 L이 '6'으로 구해지기 때문이다. L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프터군(60)에 구비되는 시프터들과 가산군(80)에 구비되는 가산기들의 수를 결정한다.
제5도는 승수가 상술한 제4도와 같이 11비트이고, k=2일 때 구현되는 시분할 곱셈기의 예시도로서, 3개의 시프터들(60-1',60-2',60-3')로 구성된 시프터군(60')과 3개의 가산기들(80-1',80-2',80-3')로 구성된 가산군(8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프터들과 가산기들이 3개인 것은 승수비트(11)와 k의 값(2)을 상술한 수학식 5의 nkmax에 대입하면 L값이 '3'으로 구해지기 때문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계산기를 코스트함수에 의해서 비교하면 제5도에 도시된 곱셈기의 성능이 더 좋다. 즉, 각 시프터들의 게이트수는 [입력비트수×(최대 시프트량+1)]로 계산되고, 딜레이시간은 1게이트 지연한 것(1τ)으로 계산한다. 가산기는 CLA(Carry Lock Ahead) 가산기를 사용하고, 게이트수는 [3×입력 비트수+]로 계산되고 딜레이시간은 4게이트 지연한 것(4τ)으로 계산한다.
상술한 연산식에 의해 제4도에 도시된 곱셈기의 총 게이트수는 {9×10(시프터(60-1)의 게이트수)}+{9×8(시프터(60-1)의 게이트수)}+{9×6(시프터(60-3)의 게이트수)}+{9×4(시프터(60-4)의 게이트수)}+{9×3(시프터(60-5)의 게이트수)}+{9×2(시프터(60-6)의 게이트수)}+{3×19+(가산기(80-1)의 게이트수)}+{3×15+(가산기(80-2)의 게이트수)}+{3×12+(가산기(80-3)의 게이트수)}+{3×20+(가산기(80-4)의 게이트수)}+{3×24+(가산기(80-5)의 게이트수)}+{3×24+(가산기(80-6)의 게이트수)}에 의한 연산으로 1837이 된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된 곱셈기의 총 지연시간[D]은 1(시프터들에서 발생된 지연시간)+4(1단계의 가산기(80-1,80-2,80-3)에서 발생된 지연시간)+4(2단계의 가산기(80-4,80-5)p서 발생된 지연시간(+4(3단계의 가산기(80-6)에서 발생된 지연시간)×1(k값)연산에 의해 13τ으로 구해진다.
반면에, 제5도에 도시된 곱셈기의 총 게이트수는 {9×6(시프터(60-1')의 게이트수)}+{9×4(시프터(60-2')의 게이트수)}+{9×2(시프터(60-3')의 게이트수)}+{3×14(가산기(80-1')의 게이트수)}+{3×18+(가산기(80-2')의 게이트수)}+{3×18)(가산기(80-3')의 게이트수)} 연산에 의해 706가 얻어지고, 총 지연시간(D)은 1(시프터들에서 발생되는 지연시간)+4(1단계 가산기(80-1',80-2')에서 발생되는 지연시간)+4(2단계 지연시간(80-3')에서 발생되는 지연시간)}×2(k의 값)연산에 의해 18τ가 구해진다.
이와 같이 총 게이트수와 총 지연시간이 계산되는 곱셈기들은 하기 수학식 6과 같은 코스트 함수에 의해 그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수학식 6과 같은 코스트함수 연산시, 구해진 C가 0보다 크면 f1방식에 의한 곱셈기의 성능이 좋은 것이고, C가 0보다 작으면 f2 방식에 의한 곱셈기의 성능이 좋은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연산에 의해 구해진 제4도 및 제5도의 각 총 게이트수와 총 지연시간을 수학식 6의 코스트 함수에 대입하면, C는 (705/1837)-(18/13)연산에 의해 -1.0008이 구해지므로 제5도에 도시된 시분할 곱셈기 구조가 제4도에 도시된 시분할 곱셈기구조에 비해 성능이 좋다.
그리고 제7도는 여러 종류의 k와 사인비트가 부가되지 않는 실제 승수의 비트수(n)에 대한 곱셈기의 게이트(gate)수의 비교도이고, 제8도는 제7도와 같은 종류의 k와 승수의 실제 비트수[n]에 대한 지연시간의 비교도이다. 도시된 제7도 및 제8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k값이 크고 n이 작을수록 총게이트수는 작으나 k값이 클수록 지연시간이 커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의 복잡성과 처리속도중 양자택일을 하는 선에서 해당 시분할 곱셈기의 최적의 k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도는 본 발명의 곱셈기와 다른 종류의 곱셈기들간의 게이트수의 비교도이고, 제10도는 본 발명의 곱셈기와 다른 종류의 곱셈기들간의 지연시간의 비교도이다. 도시된 제9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게이트면에서는 k=2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곱셈기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고, 제10도에 도시된 지연시간은 CDS곱셈기 다음으로 k=2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곱셈기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곱셈기는 CSD곱셈기처럼 승수를 근사화하는 것이 아니고 승수를 완전히 적용함으로써 곱셈된 결과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상도도 우수한 잇점이 있다. 그리고 L을 만족하는 n의 범위에서 최대값(nmax)을 선택하여 하드웨어복잡도와 처리속도면에서 최적인 k를 선택하여 시분할처리를 함으로써, 이용되는 시프터 및 가산기의 수가 줄어 다른 곱셈기들에 비해 하드웨어가 간단하고 처리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도 있다.

Claims (1)

  1. 다수의 프로세싱 셀이 규칙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동기를 취하면서 하나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토릭구조의 디지털 신호처리기에 구비되는 곱셈기에 있어서, 인가되는 n비트의 승수를 임의의 시분할 횟수인 k부분으로 나누고, 나뉜 것중 하나의 승수비트에 대하여 nkmax=2k(L-2)+3k(여기서 L은 2보다 크거나 같아야 함) 조건을 만족하는 L개의 시프터들을 구비하고, 해당되는 상기 하나의 승수비트의 값에 따라 결정되어 인가되는 상기 시프터들의 각각의 시프트량(P1,P2,…,P1)에 따라 인가되는 피승수를 독립적으로 시프트하는 시프터군; 상기 시프터군에 구비되어 있는 시프터들과 동일한 수의 2의 보수처리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시프터들로 인가되는 상기 스프트량(P1,P2,…,P1)에 따라 결정된 사인비트(a1,a2,…,a1)에 의해 2의 보수처리를 결정하여 상기 시프터군으로부터 전송되는 대응되는 시프트된 피승수들에 대한 2의 보수처리를 수행하는 2의 보수처리군; 및 2의 보수처리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출력되는 신호와 이전 단계의 프로세싱 셀로부터 전송되는 부분합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곱셈기.
KR1019940003296A 1994-02-24 1994-02-24 시스토릭 구조를 가진 디지탈 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 KR0153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296A KR0153959B1 (ko) 1994-02-24 1994-02-24 시스토릭 구조를 가진 디지탈 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296A KR0153959B1 (ko) 1994-02-24 1994-02-24 시스토릭 구조를 가진 디지탈 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531A KR950025531A (ko) 1995-09-18
KR0153959B1 true KR0153959B1 (ko) 1998-11-16

Family

ID=1937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296A KR0153959B1 (ko) 1994-02-24 1994-02-24 시스토릭 구조를 가진 디지탈 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9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531A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6922A (en) Digital system for computation of the values of composite arithmetic expressions
US4736335A (en) Multiplier-accumulator circuit using latched sums and carries
US5764555A (en) Method and system of rounding for division or square root: eliminating remainder calculation
US49396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ed radix 4 division and radix 4 square root
Taylor A single modulus complex ALU for signal processing
US4864529A (en) Fast multiplier architecture
US5245564A (en) Apparatus for multiplying operands
US4868778A (en) Speed enhancement for multipliers using minimal path algorithm
US5185714A (en) Arithmetic operation processing apparatus
US5481488A (en) Block floating point mechanism for fast Fourier transform processor
US5148381A (en) One-dimensional interpolation circuit and method based on modification of a parallel multiplier
US5226003A (en) Multi-path multiplier
US5038315A (en) Multiplier circuit
US5177703A (en) Division circuit using higher radices
US5212782A (en) Automated method of inserting pipeline stages in a data path element to achieve a specified operating frequency
US51703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nding in high-speed multipliers
KR0153959B1 (ko) 시스토릭 구조를 가진 디지탈 신호처리기에 적합한 시분할 곱셈기
US5999962A (en) Divider which iteratively multiplies divisor and dividend by multipliers generated from the divisors to compute the intermediate divisors and quotients
US5206826A (en) Floating-point division cell
US20070180014A1 (en) Sparce-redundant fixed point arithmetic modules
EP0514061A2 (en) 7 to 3 counter circuits
US5119325A (en) Multiplier having a reduced number of partial product calculations
ASHER et al. Adaptive booth algorithm for three-integers multiplication for reconfigurable mesh
US20210241085A1 (en) Method and architecture for accelerating deterministic stochastic computing using residue number system
KR100202947B1 (ko) 파이프라인 이진 곱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