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162B1 - Air intake duc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Google Patents

Air intake duc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162B1
KR0153162B1 KR1019950010887A KR19950010887A KR0153162B1 KR 0153162 B1 KR0153162 B1 KR 0153162B1 KR 1019950010887 A KR1019950010887 A KR 1019950010887A KR 19950010887 A KR19950010887 A KR 19950010887A KR 0153162 B1 KR0153162 B1 KR 0153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inlet
passage
intake duct
resonanc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33048A (en
Inventor
히로아쯔 마쯔무라
Original Assignee
쯔지 요시후미
니싼 지도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 요시후미, 니싼 지도샤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요시후미
Publication of KR95003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1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55Arrangements of valves; Multi-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88Air intakes combined with another engine part, e.g. cylinder head cover or being cast in one piece with the exhaust manifold, cylinder head or engine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블로바이 가스중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리조네이터 공명실의 오손을 방지한다. 흡기 덕트(4)의 주위에 공명실(7)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 용기(6)를 설치하며 이 흡기 덕트(4)와 공명실(7)을 통로 구멍(8)을 거쳐서 연결 통하게 한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로 구멍(8)을 수평보다도 윗쪽으로 향하게 공명실(7)에 개구시키며 이 공명실(7)에 블로바이 환기 통로(10)의 입구(11)를 접속하여 이 입구(11)를 상기 통로 구멍(8)보다도 윗쪽에 개구시킨다.Prevents damage to the resonator resonance chamber by oil mist in blow-by ga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box-shaped container 6 that forms a resonance chamber 7 around the intake duct 4 and connecting the intake duct 4 and the resonance chamber 7 through a passage hole 8. In the intake duc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age hole 8 is opened in the resonance chamber 7 so as to be upwardly above the horizontal, and the inlet 11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is connected to the resonance chamber 7 so as to open the passage hole 8. 11 is opened above the passage hole 8.

Description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Intake duct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적인 평면도.1 is an overall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리조네이터(Resonater)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onater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리조네이터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resonat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리조네이터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sonat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리조네이터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sonator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4 : 흡기덕트 5 : 리조네이터(Resonater)4: Intake duct 5: Resonater

6 : 상자 형상 용기 7 : 공명실6: box-shaped container 7: resonance chamber

8 : 통로구멍 10 : 블로바이 환기통로8: passage hole 10: blow-by ventilation passage

11,13 : 입구 15 : 슬로틀 밸브11,13: inlet 15: throttle valve

16 : 보조 공기 밸브16: auxiliary air valve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use]

본 발명은 흡기 소음을 저감하는 리조네이터(Resonater)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흡기덕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duct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resonater that reduces intake noise.

[종래의 기술][Prior art]

내연기관의 흡기 맥동에 따른 흡기소음, 흡기 배기밸브의 개폐에 따른 밸브소음등 흡기계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흡기통로의 일부에 헬름 홀츠형 리조네이터를 설치한 것은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 제 62-137378 호와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 제 3-43576 호를 비롯하여 다수 제안되어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noise of the intake system such as the intake noise due to the intake pulsa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valve noise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take exhaust valve, a Helm Holtz type resonator is installed in a part of the intake passage. A number of proposals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subheading 62-137378 an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43576.

이것들은 흡기통로에 대하여 공명통로를 거쳐서 연결통하는 상자 형상 공간 즉, 공명실을 설치하여 공명통로의 단면적, 공명실의 용적등을 소음줄임 목표로 하는 흡기소음의 주파수 영역과의 관계로부터 설정되며 리조네이터의 공명효과에 의해 흡기소음을 감쇄하여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These are set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frequency range of intake noise aimed at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sonant passage, the volume of the resonant chamber, etc. by setting up a box-shaped space that connects to the intake passage via the resonant passage. It is possible to reduce and reduce the intake noise due to the resonance effect of Naator.

그런데 내연기관의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계에 환류하기 위해 흡기계의 상류에서 블로바이 환기통로를 분기하며 또한 블로바이 가스를 스로틀 밸브 하류에 도입하는 통로를 설치하여 피스톤과 실린더와의 미끄럼운동 틈에서 크랭크실로 불어낸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계에 환류하여 다시 연소시키도록 하고 있다.However, in order to return the blow-by gas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 the intake machine, a branch of the blow-by ventilation path is branched upstream of the intake machine, and a passage for introducing the blow-by gas downstream of the throttle valve is installed in the sliding movement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The blow-by gas blown into the crank chamber is refluxed to the intake system to be burned again.

이경우 블로바이 환기공기의 출구는 아이들(idle) 회전등을 제어하기 위해 스로틀 밸브를 바이패스하여 공급하는 보조 공기 통로의 출구보다도 하류측에 설치되며 기관의 고부하, 고회전 운전시등 블로바이 환기공기 통로를 일부의 블로바이 가스가 역류하여도 오일 미스트(oil mist)가 보조 공기 통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보조 공기 밸브에 오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어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outlet of the blow-by ventilation air is installed downstream from the out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that bypasses and supplies the throttle valve to control the idle rotation, and the blow-by ventilation air passage during high load and high rotational operation of the engine. Even if some blow-by gas flows backward, the oil mist does not flow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thereby preventing oil from adhering to the auxiliary air valve and ensuring stability of control.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Problems to Solve Invention]

그렇지만, 흡기통로에 대하여 이들 리조네이터나 블로바이 환기통로, 보조 공기 통로등을 연결 통하게 할 경우, 공간적인 제약으로 각각 서로의 기능적인 간섭을 피할수 있는 위치에 접속하는 일이 곤란한 점이 있다.However, when these resonators, blow-by ventilation passages, auxiliary air passages,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the intake passages,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m to positions where functional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can be avoided due to spatial constraints.

이들 공간의 절감이나 배관구성의 간략화에서 흡기통로에 연결통하는 리조네이터의 공명실에 대하여 블로바이 환기통로를 직접적으로 접속하여 리조네이터를 경유하여 블로바이 환기공기를 뽑아내는 일을 생각할수 있지만 이경우, 기관 고부하, 고회전시등 블로바이 환기통로를 블로바이 가스가 역류하여 공명실내에 블로바이 가스가 체류되면 블로바이 가스중의 오일 미스트가 분리되어 공명실에 남으며 공명실이 오일에 의해 오손된다는 문제를 일으킨다.In order to reduce the space and simplify the piping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to the resonance chamber of the resonator connecting to the intake passage and extract blow-by ventilation air via the resonator. If the blow-by gas flows back to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such as high load and high rotation of the engine, and the blow-by gas stays in the resonance chamber, the oil mist in the blow-by gas is separated and remains in the resonance chamber, and the resonance chamber is damaged by oil. Cause

거기에다 리조네이터의 공명실에 상기한 보조 공기 통로의 출구를 접속한때에도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중의 오일 미스트가 보조 공기 통로에 유입되어 보조 공기 밸브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의 문제가 일어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out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resonance chamber of the resonator, oil mist in the reverse flow blow-by gas flows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causing a problem of fouling due to oil mist of the auxiliary air valve.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블로바이 가스중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공명실의 오손을 방지하고 또한 보조 공기 통로의 동일한 오손을 방지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such a problem and aims to prevent fouling of a resonance chamber by oil mist in blow-by gas and to prevent same fouling of auxiliary air passages.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따라서, 제1발명은 흡기덕트의 일부에 공명실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 용기를 설치하며 이 흡기덕트와 공명실을 통하는 구멍을 거쳐서 연결 통하게 한 내연기관의 흡기덕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로 구멍을 수평보다도 윗쪽으로 향해서 공명실에 개구시키며 또한 이 공명실에 블로바이 환기통로의 입구를 접속하며 거기에다 이 입구를 상기 통로 구멍 보다도 윗쪽으로 개구시킨다.Accordingly, the first invention provides an intake duct apparatu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which a box-shaped container is formed in a part of an intake duct, and is connected through a hole through the intake duct and the resonance chamber. Furthermore, the resonator chamber is opened upward in the resonance chamber, and the inlet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is connected to the resonance chamber, and the inlet is opened above the passage hole.

제2발명은 제1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환기입구가 사기 통로 구멍의 지향하는 방향 근방의 공명실 벽면에 개구되어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by ventilation opening is opened in a resonance chamber wall near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yer passage hole is directed.

제3발명은 제1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환기 입구와 통로 구멍과는 흡기통로의 축 중심에 관하여 수평방향의 동일 측면에 위치시킨다.In the first invention, the third invention is located at the sam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center of the intake passage between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and the passage hole.

제4발명은 제1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에 흡기스로틀 밸브를 우회하는 보조 공기 통로의 입구를 접속하여 이 보조 공기 입구를 상기 블로바이 환기 입구보다도 윗쪽에 개구시킨다.In the fourth invention, the in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bypassing the intake throttle valve is connected to the resonance chamber in the first invention to open the auxiliary air inlet above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제5발명은 제4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환기통로의 입구와 통로구멍을 연결하는 거리보다도 보조 공기 통로 구멍의 입구와 통로구멍을 연결하는 거리가 길게되는 위치에 보조 공기 통로의 입구를 개구시킨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is open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in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hole and the passage hole is longer than the distanc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passage hole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

제6발명은 제4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환기통로의 입구와 보조 공기 통로의 입구를 흡기통로의 축 중심에 관하여 수평방향의 서로 다른 측면에 위치시킨다.In a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let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and the in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are located on different s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center of the intake passage.

제7발명은 흡기덕트의 일부에 공명실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 용기를 설치하며 이 흡기덕트와 공명실을 통로구멍을 거쳐서 연결 통하게 한 내연기관의 흡기덕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의 내부를 간막이를 끼어 2개의 공명실로 분리하며 한쪽의 공명실에 블로바이 환기통로의 입구를 다른쪽의 공명실에는 흡기 스로틀 밸브를 우회하는 보조 공기 통로의 입구를 개구시키며 또한 각 공명실에 대하여 흡기덕트의 통로구멍을 각각 연결 통하게 하여 블로바이 환기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구멍을 이 블로바이 환기입구보다도 아래쪽에 배치한다.In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x-shaped container that forms a resonance chamber in a part of an intake duct, and in the intake duct apparatu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connects the intake duct and the resonance chamber through a passage hole, It is divided into two resonance chambers, and one of the resonance chambers has an inlet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and the other resonance chamber has an opening of an auxiliary air passage bypassing the intake throttle valve, and a passage hole of the intake duct for each resonance chamber. The passage holes of the resonance chamber through which the blow-by ventilation openings are opened are arranged below the blow-by ventilation openings.

제8발명은 제7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공기 입구를 블로바이 환기 입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블로바이 환기 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구멍을 블로바이 환기 입구에 지향시키며 블로바이 환기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구멍 보다도 다른쪽의 보조 공기 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구멍을 높은 위치에 설치한다.In the eighth invention, in the seventh invention, the auxiliary air inlet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while the passage hole of the resonance chamber in which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is opened is directed to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The passage hole of the resonance chamber in which the auxiliary air inlet other than the passage hole of the resonance chamber opened is opened at a high position.

[작용][Action]

제1발명에서는 기관의 고속,고부하 때 블로바이 환기 통로에서 일부의 블로바이 가스가 공명실에 역류되면 공명실에서 유로 단면적의 확대에 의해 유속이 저하하며 오일 미스트가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가지만 블로바이 환기 입구보다도 아래쪽이며, 거기에다 윗쪽으로 향해서 흡기덕트의 통로구멍이 개구하며 기관 고속,고부하 때 흡기 덕트내에서는 강한 부압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는 통로구멍을 거쳐서 흡기덕트에 그대로 흡입되어가서 공명실에 있어서의 오일 미스트의 체류를 방지 할 수 있다.In the first invention, when some blow-by gas flows back to the resonance chamber in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at high speed and high load of the engine, the flow velocity decrease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in the resonance chamber, and the oil mist falls by gravity, but blow-by It is lower than the ventilation inlet, and the passage hole of the intake duct opens upward, and strong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intake duct at the high speed and high load of the engine, so that the reverse blow-by gas is sucked into the intake duct through the passage hole. This can prevent oil mist from remaining in the resonance chamber.

제2발명에서는 흡기덕트의 통로구멍이 블로바이 환기입구에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공명실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는 흡인력이 센 흡기덕트에 그대로 흡입되며 공명실에서의 오일 미스트 체류가 방지된다.In the second invention, since the passage hole of the intake duct is directed to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the blow-by gas flowed back to the resonance chamber is sucked into the intake duct with strong suction force, and oil mist retention in the resonance chamber is prevented.

제3발명에서는 블로바이 환기 입구와 흡기덕트의 통로구멍이 동일 측면에 있기 때문에 서로 연결하는 거리가 짧으며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가 공명실에 체류하는 일없이 흡기덕트에 효율 좋게 흡인된다.In the third invention, since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and the passage hole of the intake duct are on the same side,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short, and the flow-back blow-by gas is efficiently sucked into the intake duct without remaining in the resonance chamber.

제4발명에서는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의 공명실에서의 체류를 방지함과 함께 보조 공기 통로의 입구가 블로바이 환기 입구보다도 윗쪽에 개구하기 때문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중의 오일 미스트가 보조 공기 통로에는 유입되기 어려우며 보조 공기 통로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이 방지된다.In the fourth invention, the oil mist in the reversed blowby gas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auxiliary air passage because the in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is opened above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while preventing the retention of the reversed blowby gas in the resonance chamber. It is difficult to enter and the contamination by oil mist in auxiliary air passage is prevented.

제5발명에서는 블로바이 환기 입구에서 통로 구멍까지의 거리보다도 보조 공기 입구 까지의 거리가 길며 이 때문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는 통로구멍에 유입되기 쉬우며 공명실에서의 체류가 방지됨과 함께 보조 공기 통로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fifth invention, the distance from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to the passage hole is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passage hole, so that the reverse blow-by gas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passage hole and the stay in the resonance chamber is prevented and the auxiliary air passage is prevented. It can prevent the contamination by oil mist.

제6발명에서는 흡기덕트에 관하여 블로바이 환기 입구와 보조 공기 입구가 반대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는 통로구멍 보다도 보조 공기 통로에 유입되기 어려우며 공명실에서의 체류가 방지됨과 함께 보조 공기 통로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이 방지된다.In the sixth invention, since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re located on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intake duct, the reversed blow-by gas is less likely to enter the auxiliary air passage than the passage hole, and the auxiliary air passage is prevented from staying in the resonance chamber. The contamination by oil mist is prevented.

제7발명에서는 공명실의 내부가 블로바이 환기통로와 보조 공기 통로가 접속되는 공명실로 분리되며 또한 블로바이 환기입구 보다도 아래쪽에 통로구멍이 설치되어져 있기 때문에 한쪽의 공명실로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는 그 공명실에 체류하는 일없이 흡기덕트로 흡인되며 따라서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 방지가 이루어지며 다른 쪽의 공명실에 접속된 보조 공기 통로에의 블로바이 가스의 유입이 확실히 방지된다.In the seventh invention, the inside of the resonance chamber is divided into a resonance chamber to which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and the auxiliary air passage are connected, and since the passage hole is provided below the blow-by ventilation opening, the blow-by gas flowed back to one resonance chamber is The air is sucked into the intake duct without remaining in the resonance chamber, thereby preventing fouling by the oil mist, and the inflow of blow-by gas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other resonance chamber is surely prevented.

제8발명에서는 흡기덕트의 통로구멍이 블로바이 환기입구로 지향되어 있기 때문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가 공명실에 체류하지 않고 그대로 흡기덕트에 흡입되기 쉬우며 공명실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이 방지되며 또한, 블로바이 환기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구멍 보다도 다른 쪽의 보조 공기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구멍이 높은 위치에 있으며 거기에다 블로바이 환기입구에 대하여 보조 공기 입구는 다른 쪽의 공명실 윗쪽에 개구되기 때문에 다른쪽의 공명실을 경유하여 보조 공기 통로에 오일 미스트가 유입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이 확실하게 저지된다.In the eighth invention, the passage hole of the intake duct is directed to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so that the reversed blow-by gas does not stay in the resonance chamber and is easily sucked into the intake duct, and the contamination by oil mist of the resonance chamber is prevented. In addition, the passage hole of the resonance chamber in which the auxiliary air inlet is opened is higher than the passage hole of the resonance chamber in which the blow-by ventilation opening is opened, and the auxiliary air inlet is the resonance of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blow-by ventilation opening. Since the opening is above the chamber, the oil mist rarely enters the auxiliary air passage via the other resonance chamber, and the contamination by the oil mist is reliably prevented.

[실시예]EXAMPLE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기관 본체(1)의 흡기 매니홀드(2)와 공기 클리너(3)는 흡기덕트(4)를 끼어 접속되며 이 흡기덕트(4)의 도중에는 흡기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듯이 리조네이터(5)가 장착되어 있다.1 to 4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take manifold 2 and the air cleaner 3 of the engine main body 1 are connected with the intake duct 4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middle of 4), the resonator 5 is mounted as shown in FIGS. 2 to 4 to reduce intake noise.

리조네이터(5)는 상자 형상 용기(6)의 중앙을 흡기덕트(4)가 공기 밀폐되게 관통되며 용기(6)의 내부에 형성된 공명실(7)과 흡기덕트(4)는 통로구멍(8)을 거쳐서 연결통하며 이 공명실(7)의 용적, 통로구멍(8)의 단면적이 소음줄임 목표로 되는 흡기 소음의 주파수영역(기관 회전수 영역)과 공명되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뿐만 아니라 흡기덕트(4)는 상자 형상 용기(6)의 중앙을 관통하지 않고 흡기덕트(4)의 주위 일부에 상자 형상 용기(6)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라도 좋다.The resonator 5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box-shaped container 6 so that the intake duct 4 is air sealed, and the resonance chamber 7 and the intake duct 4 formed inside the container 6 have passage holes 8. And the volume of the resonance chamber 7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hole 8 are appropriately set so as to resonate with the frequency region (engine speed range region) of the intake noise aimed at noise reduction. In addition, the intake duct 4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ox-shaped container 6 is provided around a part of the intake duct 4 without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box-shaped container 6.

상자 형상 용기(6)의 측 벽면에는 흡기덕트(4)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블로바이 환기통로(10)의 공기입구(11)가 접속되며 또한 이 공기입구(11)와는 흡기덕트(4)의 통로구멍(8)을 사이에 끼어 수평 방향의 반대측으로서 입구(11)보다도 높은 측 벽면 위치에 흡기덕트(4)와 거의 평행인 방향에서 보조 공기 통로(12)의 입구(13)가 접속된다. 거기에다 상자 형상 용기(6)는 거의 쐐기 형상을 한 편평한 상자 형상으로 단면적이 큰 측에 블로바이 환기통로(10)의 입구(11)를 접속시킨다.The air inlet 11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box-shaped container 6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take duct 4, and the air inlet 11 of the box-shaped container 6 is connected to the inlet duct 4. The inlet 13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surface position higher than the inlet 11 as the side opposit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passage hole 8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intake duct 4. In addition, the box-shaped container 6 connects the inlet 11 of the blow-by ventilation path 10 to the side which has a substantially wedge-shaped flat box shape and large cross-sectional area.

상자 형상 용기(6)의 중앙을 관통하는 흡기덕트(4)의 통로구멍(8)은 블로바이 환기통로(10)의 입구(11)와 거의 동일 축 선상에 대향하며, 입구(11)보다도 아래쪽에 있으며, 또한 입구(11)를 향해 경사지게 윗쪽으로 설치된다.The passage hole 8 of the intake duct 4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box-shaped container 6 faces almost the same axial line as the inlet 11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and is lower than the inlet 11. In addition, it is also installed upwardly inclined toward the inlet (11).

블로바이 환기통로(10)는 기관본체(10)의 상부 록크룸에 접속되어 블로바이 가스의 환기용 공기를 보내 넣으며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과 실린더의 미끄럼운동 틈새에서 크랭크룸으로 불어낸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통로의 스로틀 밸브(15)의 하류에 흡인 환류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is connected to the upper lock room of the engine main body 10 to send the blow-by air for the blow-by gas, and blows the blow-by gas blown into the crank room from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iston and cylinder (not shown). A suction reflux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throttle valve 15 of the intake passage.

보조 공기 통로(12)는 스로틀 밸브(15)를 우회하여 보조 공기를 흡기통로에 도입하는 것으로서 그 도입량을 기관의 운전조건에 응하여 제어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러에 의해 열림 정도가 조정되는 보조 공기 밸브(16)가 설치된다.The auxiliary air passage 12 introduces auxiliary air into the intake passage by bypassing the throttle valve 15, and the auxiliary air valve whose opening degree is adjusted by a controller (not shown) to control the intro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16 is installed.

[작용][Action]

기관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흡기 소음중에서 흡기덕트(4)의 상류를 향해 전파되어 왔던 것은 리조네이터(5)의 부분에 있어서 통로구멍(8)을 거쳐서 연결통하는 공명실(7)에서의 공명작용에 의해 감쇄,저감된다.Among the intake noise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engine, the propagation upstream of the intake duct 4 has a resonance effect in the resonance chamber 7 connecting through the passage hole 8 in the part of the resonator 5. Attenuation and reduction by

한편, 공명실(7)에 접속된 보조 공기 통로(12)의 입구(13)로부터 스로틀 밸브(15)를 우회하여 보조 공기가 도입되며 회전수를 기관 보조기의 구동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증감제어한다. 동일하게 공명실(7)에 접속된 블로바이 환기통로(10)의 입구(11)에서는 블로바이 가스의 스로틀 밸브(15) 하류에의 환류량에 응하여 크랭크룸에 환기용 공기가 도입된다.On the other hand, auxiliary air is introduced by bypassing the throttle valve 15 from the inlet 13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connected to the resonance chamber 7, and the rotation speed is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driving state of the engine auxiliary machine. Similarly, in the inlet 11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connected to the resonance chamber 7, air for ventilation is introduced into the crank room in response to the reflux amount of the blow-by gas downstream of the throttle valve 15.

그리고, 기관의 고속,고부하시 블로바이 가스의 발생량에 증가하며 도시하지 않은 블로바이 콘트롤 밸브의 처리 능력을 넘은 때에는 블로바이 가스의 일부가 블로바이 환기통로(10)에서 공명실(7)에 역류한다.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중에는 소량의 오일 미스트가 포함되어 있지만 블로바이 환기통로(10)에서 단면적의 급히 확대되는 공명실(7)에 유입됨과 동시에 유속이 큰 폭으로 저하하며 중력에 의해 비중이 큰 오일 미스트는 낙하된다. 또한 이 블로바이 환기통로(10)의 입구(11)와 대향하여 그 아래쪽에 흡기덕트(4)의 통로구멍(8)이 개구되고 특히 고속,고부하시에는 흡기덕트(4)에는 높은 부압이 발생하고 있기때문에 역류된 오일 미스트를 포함하는 블로바이 가스의 다수는 공명실(7)에 체류되는 일없이 그대로 통로구멍(8)을 거쳐서 흡기덕트(4)에 흡인되어간다.When the blow-by gas is increased at high speed and high load of the engine and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blow-by control valve (not shown) is exceeded, part of the blow-by gas flows back into the resonance chamber 7 in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do. The reflux blow-by gas contains a small amount of oil mist, but flows into the resonant chamber 7 of the cross-sectional area rapidly expanding in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and at the same time, the flow rate is greatly reduced and the gravity is large due to gravity. Mist falls. In addition, a passage hole 8 of the intake duct 4 is opened below the inlet 11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and high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intake duct 4 at high speed and high load. As a result, many of the blow-by gases including the reversed oil mist are sucked into the intake duct 4 via the passage holes 8 without remaining in the resonance chamber 7.

또한, 공명실(7)로부터는 보조 공기 통로(12)에 상기와 같이 보조 공기가 흡인되지만 이 입구(13)는 블로바이 환기통로(10)의 입구(11)와는 흡기 덕트(4)를 사이에 끼고 반대측에 있으며 거기에다 블로바이 가스위 역류점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중의 오일 미스트가 보조 공기 통로(12)에 직접 흡입되는 일은 거의 없다.The auxiliary air is sucked from the resonance chamber 7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as described above, but the inlet 13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duct 4 and the inlet 11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The oil mist in the blow-by gas is hardly sucked directly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because it is on the opposite side,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flux point on the blow-by gas.

따라서, 리조네이터(5)의 내부 공명실(7)에 오일 미스트가 체류하여 오손되거나 혹은 보조 공기 통로(12)에 오일 미스트가 유입되어 보조 공기 밸브(16)에 오일 미스트가 부착되어 유량제어가 불안정화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Therefore, the oil mist stays in the internal resonance chamber 7 of the resonator 5 and is damaged or the oil mist flows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so that the oil mist is attached to the auxiliary air valve 16 so that the flow rate control is performed. Destabilization is certainly prevented.

거기에다, 블로바이 환기 통로(10)나 보조 공기 통로(12)를 흡기 덕트(4)의 일부에 설치한 리조네이터(5)의 상자 형상 용기(6)에 직접적으로 장착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배관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공간적으로도 간결하게 집약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and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are directly attached to the box-shaped container 6 of the resonator 5 provided in a part of the intake duct 4, these piping connections are made. The work is easy and can be condensed spatially and concisely.

이어서 제5도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FIG. 5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리조네이터(5)의 상자 형상 용기(6)의 내부를 간막이(17)에 의해 2개의 공명실(7a,7b)로 분리하며 한쪽의 공명실(7a) 블로바이 환기 통로(10)의 입구(11)를, 다른 쪽의 공명실(7b)에 보조 공기 통로(12)의 입구(13)를 개구시켜 입구(13)를 입구(11)보다도 윗쪽에 위치시키고 흡기덕트(4)에 대해서는 2개의 통로 구멍(8a,8b)을 거쳐서 각각 연결 통하게 한다. 이 경우 공명실(7a)에 연결 통하는 통로구멍(8a)은 블로바이 환기 통로(10)의 입구(11)에 지향하고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또 공명실(7b)에 연결 통하는 통로 구멍(8b)은 이 통로 구멍(8a)보다도 윗쪽에 위치시킨다.In this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box-shaped container 6 of the resonator 5 is separated into two resonance chambers 7a and 7b by the partition 17, and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of one resonance chamber 7a is provided. ), The inlet 11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is opened in the other resonance chamber 7b so that the inlet 13 is positioned above the inlet 11 and the intake duct 4 For each of the two through holes (8a, 8b) through the connection through each. In this case, the passage hole 8a which is connected to the resonance chamber 7a is installed so as to face the inlet 11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and is located slightly below, and the passage hole which is connected to the resonance chamber 7b. 8b) is located above this passage hole 8a.

이와 같이 하여 리조네이터(5)의 상자 형상 용기(6)의 내부는 2개의 공명실(7a,7b)로 분리되며 또한 블로바이 환기통로(10)와 보조 공기 통로(12)가 각각 다른 룸에 접속되기 때문에 고속,고부하등 공명실(7a)에 블로바이 가스가 역류되어도 많은 량은 그대로 통로 구멍(8a)을 거쳐서 흡기덕트(4)에 흡인되며 거기에다 이 통로 구멍(8a)보다도 공명실(7a)로의 통로 구멍(8b)이 위에 있으며 또한 보조 공기 통로(12)의 입구(13)는 블로바이 환기 통로(10)의 입구(11)보다도 윗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역류 블로바이 가스중의 오일 미스트가 보조 공기 통로(12)에 흡인 되는 가능성은 극히 적다.In this way, the inside of the box-shaped container 6 of the resonator 5 is separated into two resonance chambers 7a and 7b, and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and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are respectively located in different rooms. Since the blow-by gas flows back into the resonance chamber 7a such as a high speed and a high load, a large amount is directly sucked into the intake duct 4 through the passage hole 8a, and the resonance chamber ( The oil mist in the countercurrent blow-by gas because the passage hole 8b to 7a is above and the inlet 13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is located above the inlet 11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10. Is very unlikely to be sucked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중의 오일 미스트는 리조네이터(5)내에 체류되는 일없이 흡기덕트(4)에 흡인되며 또한 보조 공기 통로(12)에 흡인되는 일도 거의 없이 오일 미스트에 의한 리조네이터(5)나 보조 공기 밸브(16)의 오손을 한층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il mist in the flow-back blow-by gas is sucked into the intake duct 4 without remaining in the resonator 5 and is almost never sucked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12 by the oil mist.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resonator 5 and the auxiliary air valve 16 caused by this.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상기와 같이 제1발명에 의하면 기관의 고속,고부하시 블로바이 환기 통로에서 일부의 블로바이 가스가 공명실로 역류하여도 블로바이 환기 입구보다도 아래쪽으로 또한 수평보다도 윗쪽으로 향하여 흡기 덕트의 통로 구멍이 개구되며 거기에다 기관 고속,고부하시 흡기 덕트내에는 강한 부압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는 통로 구멍을 거쳐서 흡기 덕트에 그대로 흡기되어 공명실에 체류되는 일이 없으며 이 때문에 공명실의 오일에 의한 오손을 확실히 방지할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even when some blow-by gas flows back into the resonance chamber in the high-speed, high-load blow-by ventilation passage, the passage hole of the intake duct opens downward from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and above the horizontal. In addition, since the strong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intake duct at high speed and high load of the engine, the reversed blow-by gas is not sucked into the intake duct through the passage hole and stays in the resonance chamber. It is possible to surely prevent fouling.

제2발명에 의하면 흡기 덕트의 통로 구멍이 블로바이 환기 입구에 지향되어 있기 때문에 공명실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는 흡인력이 강한 흡기 덕트에 그대로 빨려 들어가 공명실에서의 오일 미스트 체류 및 오손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since the passage hole of the intake duct is directed to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the blow-by gas flowed back to the resonance chamber is sucked into the intake duct with high suction force to prevent oil mist retention and fouling in the resonance chamber. .

제3발명에 의하면 블로바이 환기 입구와 흡기 덕트의 통로 구멍이 동일 측면에 있기 때문에 서로 연결하는 거리가 짧으며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가 공명실에 체류되는 일 없이 흡기 덕트에 효율좋게 흡인된다.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since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and the passage hole of the intake duct are on the same side,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short, and the flow-back blow-by gas is efficiently sucked into the intake duct without remaining in the resonance chamber.

제4발명에 의하면 공명실에 블로바이 가스 체류를 방지 할수 있는 것과 함께 보조 공기 통로의 입구가 블로바이 환기 입구보다는 윗쪽에 개구되기 때문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중의 오일 미스트가 보조 공기 통로에는 유입되기 어려우며 보조 공기 통로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il mist in the reversed blowby gas is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since the in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is opened above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and prevents blowby gas retention in the resonance chamber. Difficult to prevent fouling by oil mist in auxiliary air passages.

제5발명에 의하면 블로바이 환기 입구에서 통로 구멍까지의 거리보다도 보조 공기 입구까지의 거리가 길며 이 때문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는 보조 공기 통로보다도 통로 구멍에 유입되기 쉬우며 공명실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이 저지됨과 함께 보조 공기 통로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을 방지 할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invention, the distance from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to the passage hole is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passage hole, so that the reversed blowby gas is more likely to enter the passage hole than the auxiliary air passage and is caused by the oil mist of the resonance chamber. In addition to preventing foul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by oil mist in the auxiliary air passage.

제6발명에 의하면 공명실의 흡기 덕트에 관하여 블로바이 환기 입구와 보조 공기 입구가 반대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는 통로 구멍보다도 보조 공기 통로에 유입되기 어려우며 공명실이 오일 미스트에 의해 오손 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보조 공기 통로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sixth invention, since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re located on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intake duct of the resonance chamber, the reversed blow-by gas is less likely to enter the auxiliary air passage than the passage hole, and the resonance chamber is damaged by the oil mist. It is prevented from being prevented and the contamination by oil mis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is prevented.

제7발명에 의하면 공명실의 내부가 블로바이 환기 통로와 보조 공기 통로가 접속되는 공명실에서 분리되면 블로바이 환기 입구보다도 아래쪽에 통로 구멍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공명실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는 그 공명실에 체류되는 일없이 흡기 덕트로 흡인되며 따라서 공명실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 방지가 이루어지며 다른 쪽의 공명실에 접속된 보조 공기 통로에 블로바이 가스의 유입이 확실히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seventh invention, when the inside of the resonance chamber is separated from the resonance chamber to which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and the auxiliary air passage are connected, the blow-by gas flowed back to one resonance chamber because a passage hole is provided below the blow-by ventilation opening. Is sucked into the intake duct without staying in the resonance chamber, thereby preventing fouling by the oil mist of the resonance chamber and ensuring the inflow of blow-by gas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other resonance chamber.

제8발명에 의하면 흡기 덕트의 통로 구멍이 블로바이 환기 입구로 지향되어 있기 때문에 역류된 블로바이 가스가 공명실에 체류되지 않고 그대로 흡기 덕트에 흡입되기 쉬우며 공명실의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이 방지되며 또한 블로바이 환기 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 구멍보다도 다른쪽의 보조 공기 입구가 개구됨과 함께 공명실의 통로 구멍이 높은 위치에 있으며 또한 블로바이 환기 입구에 대하여 보조 공기 입구는 다른쪽의 공명실 윗쪽에 개구되기 때문에 다른쪽의 공명실을 경유하여 보조 공기 통로에 오일 미스트가 유입되는 일은 거의 없이 오일 미스트에 의한 오손이 확실히 저지된다.According to the eighth invention, since the passage hole of the intake duct is directed to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the reversed blow-by gas is not easily retained in the resonance chamber and is easily sucked into the intake duct,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by the oil mist of the resonance chamber. And the auxiliary air inlet of the resonance chamber is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assage hole of the resonance chamber in which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is opened, and the auxiliary air inlet is the resonance of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Since the opening is above the chamber, the oil mist is reliably prevented, with little oil mist flowing into the auxiliary air passage via the other resonance chamber.

Claims (8)

흡기 덕트의 일부에 공명실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 용기를 설치하여 이 흡기 덕트와 공명실을 통로 구멍을 거쳐서 연결통하게 한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로 구멍을 수평보다도 윗쪽으로 향하여 공명실에 개구시키며 이 공명실에 블로바이 환기 통로의 입구를 접속하고 이 입구를 상기 통로 구멍보다도 윗쪽으로 개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In the intake duct apparatu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which a box-shaped container is formed in a part of the intake duct, and the intake duct and the resonance chamber are connected through a passage hole. The passage hole is directed upward above the horizontal. An intake duct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is connected to the resonance chamber, and the inlet is opened above the passag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환기 입구가 상기 통로 구멍이 지향하는 방향 근방의 공명실 벽면에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The intake duct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blow-by ventilation inlet is opened in a resonance chamber wall near the direction in which said passage hole is dir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환기 입구와 통로 구멍은 흡기 통로의 축 중심에 관하여 수평 방향의 동일 측면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The intake duct apparatu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and the passage hole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center of the intake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에 흡기 스로틀 밸브를 우회하는 보조 공기 통로의 입구를 접속하며 이 보조 공기 입구를 상기 블로바이 환기 입구보다도 윗쪽에 개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The intake duct apparatu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let of an auxiliary air passage bypassing the intake throttle valve is connected to the resonance chamber, and the auxiliary air inlet is opened above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환기 통로의 입구와 통로 구멍을 연결하는 거리보다도 보조 공기 통로 구멍의 입구와 통로 구멍을 연결하는 거리가 길게 되는 위치에 보조 공기 통로의 입구를 개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The in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is formed in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in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hole and the passage hole is longer than the distance connecting the inlet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and the passage hole. Intake duct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 환기 통로의 입구와 보조 공기 통로의 입구를 흡기 통로의 축 중심에 관하여 수평 방향의 서로 다른 측면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The intake duct apparatu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inlet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and the in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are located at different s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center of the intake passage. 흡기 덕트의 일부에 공명실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 용기를 설치하며 이 흡기 덕트와 공명실을 통로 구멍을 거쳐서 연결통하게 한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의 내부를 간막이를 끼어서 2개의 공명실로 분리하여 한쪽의 공명실에 블로바이 환기 통로의 입구를, 다른 쪽의 공명실에는 흡기 스로틀 밸브를 우회하는 보조 공기 통로의 입구를 개구시켜 각 공명실에 대하여 흡기 덕트의 통로 구멍을 각각 연결 통하게 하고 블로바이 환기 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 구멍을 이 블로바이 환기 입구보다도 아래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In the intake duct apparatu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has provided the box-shaped container which forms a resonance chamber in a part of an intake duct, and makes this intake duct and a resonance chamber connect through a passage hole, The inside of the resonance chamber has two partitions. Separate the resonant chamber and connect the inlet of the blow-by ventilation passage to one of the resonant chambers, and open the inlet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bypassing the intake throttle valve to the other resonant chamber to connect the passage holes of the intake duct to each resonant chamber, respectively. An air intake duct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erein a passage hole of a resonance chamber through which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is opened is disposed below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공기 입구를 블로바이 환기 입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한편 블로바이 환기 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 구멍을 블로바이 환기 입구에 지향시켜 블로바이 환기 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 구멍보다도 다른 쪽의 보조 공기 입구가 개구되는 공명실의 통로 구멍을 높은 위치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기 덕트 장치.8. The resonan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uxiliary air inlet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while the passage hole of the resonance chamber in which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is opened is directed to the blow-by ventilation inlet. An intake duct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passage hole in a resonance chamber in which an auxiliary air inlet on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is opened at a higher position.
KR1019950010887A 1994-05-02 1995-04-28 Air intake duc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01531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93540 1994-05-02
JP09354094A JP3232869B2 (en) 1994-05-02 1994-05-02 Intake duc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048A KR950033048A (en) 1995-12-22
KR0153162B1 true KR0153162B1 (en) 1998-11-16

Family

ID=1408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887A KR0153162B1 (en) 1994-05-02 1995-04-28 Air intake duc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32869B2 (en)
KR (1) KR01531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14688U1 (en) * 2005-09-16 2007-02-01 Mann + Hummel Gmbh resonator
CN102644531B (en) * 2011-02-16 2015-02-25 曼·胡默尔有限公司 Resonant system
JP6043477B2 (en) * 2011-12-01 2016-12-14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Blow-by gas reduction device and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for blow-by gas reduction device
JP5980139B2 (en) * 2013-02-06 2016-08-3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Vehicle silencer
JP2014185530A (en) * 2013-03-21 2014-10-02 Aichi Machine Industry Co Ltd Blow-by gas recirculation structure
CN105612318B (en) * 2013-07-31 2018-05-04 日产自动车株式会社 The blow-by gas processing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551441B2 (en) * 2017-03-24 2019-07-31 マツダ株式会社 Engine venti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32869B2 (en) 2001-11-26
JPH07301165A (en) 1995-11-14
KR950033048A (en)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3288B2 (en) Engine gas-liquid separator
JP2002535546A (en)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70356316A1 (en) Gas-liquid separation device for blow-by gas in engine
KR0153162B1 (en) Air intake duc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99543B1 (en) Breather baffle
JP2888383B2 (en) Breather chamber arrangement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481547B2 (en) Two-cy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1294271A (en) Air cleaner
JPS6335129Y2 (en)
JP3191613B2 (en)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8248Y2 (en) V-type engine ventilation structure
JPH077528Y2 (en) Cam cover device for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88746A (en) Air suction device of v type multiple cylinder engine
JPH108937A (en) Crank chamber ventilating structure for four-cycle engine
JP2706955B2 (en) Blow-by gas / oil separator for horizontally opposed engines
JP3189658B2 (en)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218644Y2 (en)
JP2900270B2 (en) Vehicle engine
JPH0345097Y2 (en)
JP2587577Y2 (en) Head cover oil separator
JP3209578B2 (en) Engine intake system
JPS614821A (en) Intake devi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JPS6337456Y2 (en)
JPS6215453Y2 (en)
JPH0754629A (en) Blow-by gas processing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