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172B1 - 고분자 여재를 이용한 폐수의 혐기성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고분자 여재를 이용한 폐수의 혐기성 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172B1
KR0152172B1 KR1019950023661A KR19950023661A KR0152172B1 KR 0152172 B1 KR0152172 B1 KR 0152172B1 KR 1019950023661 A KR1019950023661 A KR 1019950023661A KR 19950023661 A KR19950023661 A KR 19950023661A KR 0152172 B1 KR0152172 B1 KR 015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ank
wastewater
anaerobic treatment
filled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674A (ko
Inventor
김태열
서동우
장은영
Original Assignee
김상응
주식회사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응, 주식회사삼양사 filed Critical 김상응
Priority to KR101995002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172B1/ko
Publication of KR97001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26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06Anaerobic processes using solid supports for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여재를 이용한 폐수의 혐기성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수의 혐기성 처리에 있어서, 반응조(1) 내에 미생물의 체류시간을 충분하게 하기 위하여 비표면적이 95㎡/㎥ 이상이고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여재(2)가 원통형의 반응조(1) 내에 1/4 내지 2/3 높이로 충진되고, 충진된 여재의 상면에 여재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크린(3)이 설치되고, 상향류 식으로 유입되는 폐수가 반응조(1) 하부에서 충분히 혼합되도록 반응조의 하부에 공간(4)이 있고, 폐수 처리시 발생되는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가스 포집관(5)이 반응조(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혐기성 처리 장치이다.

Description

고분자 여재를 이용한 폐수의 혐기성 처리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반응조의 단면 설명도이고,
제1b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분자 여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응조 2 : 여재
3 : 스크린 4 : 공간(슬러지층)
5 : 가스포집관 6 : 미생물필름
7 : 폐수유입구 8 : 처리수배출구
본 발명은 고분자 여재를 이용한 폐수의 혐기성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인 혐기성 처리에 있어서 반응조 내에 고분자 여재를 이용하여 고착하려는 미생물의 농도를 높여 처리효율을 높이는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 처리 방법중 생물학적 처리방법에는 호기성 처리 방법과 혐기성 처리 방법으로 구분된다.
상기의 생물학적 처리 방법중 호기성 처리 방법은 활성오니법이라고도 하며, 폐수처리시 슬러지가 다량 발생하며, 처리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활성오니법의 경우 고농도 폐수를 처리할 수 없으므로 20~30배로 희석 처리 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폭기조의 필요 용량이 과도하게 커지며, 다량의 희석수로 인한 비용도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생물학적 처리 방법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혐기성 처리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혐기성 처리 방법은 당제조 폐수, 주정 폐수, 식품 폐수와 같은 고농도 폐수처리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혐기성 처리의 경우, 고농도 폐수를 처리할 수 있으며, 부산물로 메탄가스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폐수 처리시 폐수와 활성 미생물이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응조 운전 스타트업(start-up)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폐수 처리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는 미생물의 반응조 내의 체류시간(Solids Retention Time)으로서, 폐수와 활성 미생물이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반응조 내에 체류시간을 길게 해주고 폐수처리 후 고체상과 액체상의 분리가 잘 되도록 설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미생물 체류시간을 길게 유지하여 주는 방법으로는 수리학적인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주거나, 미생물을 담체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부착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의 예로는 UAF(Upflow Anaerobic Filter) 방법과 박막 필름(Thin Film)방법이 있다. 상기의 UFA 방법은 반응조 내에 미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반응조의 2/3 정도를 여재로 충전시키고, 폐수를 상향류 식으로 운전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인 박막 필름 방법은 상기의 UAF 방법과 유사한 것으로 여재로 내경 5 내지 10㎝의 관을 사용하고, 폐수를 하향류 식으로 운전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고정상의 미생물 여재를 이용하는 방법은 충진되는 여재가 고가이며, 유입수내에 부유물이 많을 경우 여재의 공극이 폐쇄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으로 유동층(fluidized bed) 또는 확장층(expended bed) 방법이 있다. 상기의 방법은 모래와 같은 미세 입자를 여재로 사용하고, 상향류 식으로 반응기를 운전하는데 침전성이 좋으며 미생물 보유능이 탁월하지만, 입자를 부상시켜 혼합하는데 상당한 동력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방법에서 입자의 부상에 요구되는 동력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개발된 방법이 상향류식 여과 방법(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Process)으로 이 방법은 활성이 뛰어난 미생물이 스스로 입상화 되는 원리를 이용하였는데 침전성이 매우 우수하고, 슬러지의 유실이 적고, 기계적인 교반이 필요 없고, 동력비가 절감된다. 또한, 종래의 여재를 사용하는 반응조의 경우는 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이 슬러지층으로 반환되지 않았지만, 이 방법은 기체 액체 고체 분리장치(Gas Solid Seperator)에 의해 슬러지가 슬러지층으로 반환되므로 더많은 슬러지를 반응조내에 보유할 수 있고 반응조의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은 슬러지를 자연스럽게 입상화시키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유기물의 농도가 낮은 폐수가 유입될 경우 슬러지 블랑켓(Blancket)층이 파괴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여재의 공극 폐쇄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슬러지 입자을 부상시켜 혼합하는데 요구되는 동력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반응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재가 구형으로 형성되어 슬러지 입상화가 신속하게 진행되므로 반응조 운전시 스타트-업(start-up) 시간이 30일 이하로 적게 소요되는 반응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폐수의 혐기성 처리에 있어서, 반응조(1) 내에 미생물의 체류시간을 충분하게 하기 위하여 비표면적이 95㎡/㎥ 이상이고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여재(2)가 원통형의 반응조(1) 내에 1/4 내지 2/3 높이로 충진되고, 충진된 여재의 상면에 여재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크린(3)이 설치되고, 상향류 식으로 유입되는 폐수가 반응조(1) 하부에서 충분히 혼합되도록 반응조의 하부에 공간(슬러지층) (4)이 있고, 폐수 처리시 발생되는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가스 포집관(5)이 반응조(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혐기성 처리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반응조의 단면 설명도이고, 제1b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분자 여재의 단면 설명도이다.
제1a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반응조 장치는 반응조(1) 내의 미생물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주기 위하여 여재로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여재(2)가 충진된다. 이 고분자 여재(2)는 비표면적이 95㎡/㎥ 이상이 바람직하며, 제1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분자 여재(2)의 표면에 미생물필름(6)이 부착되어 바이오 필름(Biofilm)이 형성된다.
상기의 여재(2)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우므로, 하부의 폐수 유입구(7)를 통해 유입되는 폐수에 의해 상부로 부상하게 되고, 이때의 여재(2)의 반응조(1) 내의 충진량은 반응조(1) 부피에 대해 약 50부피%가 바람직하고, 유입되는 폐수에 의해 상부로 부상되는 위치가 폐수의 농도에 따라 반응조 높이의 약 1/4 내지 2/3을 점유하도록 하고, 이때 여재(2)의 상면 위치는 제1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린(3)을 설치함으로써 결정된다. 이 스크린(3)은 고분자 여재(2)가 통과하지 못하고, 처리수와 반응조에서 발생하는 가스만을 통과시키도록 제조된다. 스크린을 통과한 처리수는 배출구(8)를 통해 반응조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의 반응조(1)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유용한 에너지 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콘(cone) 형태의 반응조 상단부에 설치된 가스 포집관(5)에 의해 탱크(도시하지 않음)로 수집된다. 상기 반응조의 형태는 제1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통형이고, 상단부가 콘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한 혐기성 폐수처리에 있어서 반응조의 초기 운전을 개시한 후 5 내지 8일 경과후에 반응조 내의 고분자 여재에 미생물의 부착이 시작되며, 약 20일 경과후에는 여재의 표면의 미생물 막이 충분하게 형성이 되어 정상상태로 운전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반응조에 의한 폐수 처리를 시험하였다.
[시험예]
유기물 부하량 15㎏ COD/㎥D의 당제조 공정의 폐수를 반응조의 운전상태가 정상상태에 도달한 다음 처리수의 COD를 각 10일 동안 측정 확인하였다.
여재에 미생물이 부착되기 위한 기간은 20일로 주었으며, 초기 유입농도는 2000ppm으로 하였다. 미생물 막(Biofilm)을 형성한 후 유입폐수의 농도를 10000ppm으로 올리는데에는 30일의 기간을 주었다. 유입수의 평균 COD를 10000ppm으로 하였다.
상기의 시험예의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상태의 반응조에서 10일간의 처리수 COD는 평균 90.1%의 양호한 제거율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

  1. 폐수의 혐기성 처리에 있어서, 반응조(1) 내에 미생물의 체류시간을 충분하게 하기 위하여 비표면적이 95㎡/㎥ 이상이고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여재(2)가 원통형의 반응조(1) 내에 1/4 내지 2/3 높이로 충진되고, 충진된 여재의 상면에 여재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크린(3)이 설치되고, 상향류 식으로 유입되는 폐수가 반응조(1) 하부에서 충분히 혼합되도록 반응조의 하부에 공간(4)이 있고, 폐수 처리시 발생되는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가스 포집관(5)이 반응조(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혐기성 처리 장치.
KR1019950023661A 1995-08-01 1995-08-01 고분자 여재를 이용한 폐수의 혐기성 처리장치 KR015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661A KR0152172B1 (ko) 1995-08-01 1995-08-01 고분자 여재를 이용한 폐수의 혐기성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661A KR0152172B1 (ko) 1995-08-01 1995-08-01 고분자 여재를 이용한 폐수의 혐기성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74A KR970010674A (ko) 1997-03-27
KR0152172B1 true KR0152172B1 (ko) 1998-10-01

Family

ID=1942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661A KR0152172B1 (ko) 1995-08-01 1995-08-01 고분자 여재를 이용한 폐수의 혐기성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6100A1 (en) * 2007-02-27 2008-09-04 Phoenix Bio-Systems, Inc. Anaerob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103435153A (zh) * 2013-07-22 2013-12-11 杭州师范大学 一种升流式厌氧氨氧化颗粒污泥矩形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045B1 (ko) * 2002-09-19 2006-02-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농도 질산을 함유하는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0990B2 (en) 2006-02-28 2009-04-21 Icm, Inc. Anaerob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WO2008106100A1 (en) * 2007-02-27 2008-09-04 Phoenix Bio-Systems, Inc. Anaerob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103435153A (zh) * 2013-07-22 2013-12-11 杭州师范大学 一种升流式厌氧氨氧化颗粒污泥矩形床
CN103435153B (zh) * 2013-07-22 2016-04-20 杭州师范大学 一种升流式厌氧氨氧化颗粒污泥矩形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74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ilche et al. Discussion report on reactor design of anaerobic filters and sludge bed reactors
US5227051A (en) System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liquid
US6592751B2 (en) Device for treatment of wastewater
TWI300059B (en) Anaerobic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process
CN109694130B (zh) 一种实现污泥悬浮和避免污泥流失的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734200A (zh) 一种双膜式三相内循环曝气生物流化床及处理废水的方法
KR0152172B1 (ko) 고분자 여재를 이용한 폐수의 혐기성 처리장치
CN112479490A (zh) 一种处理炼油废水的三相生物流化床
CN208429929U (zh) 一种多孔板耦合过滤网升流式颗粒污泥反应器
JP2000185279A (ja) 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CN108408889A (zh) 一种多孔板耦合过滤网升流式颗粒污泥反应器
WO2003035560A1 (en) Device for treatment of wastewater
CN210163288U (zh) 污水处理装置、包含其的系统
CN210261287U (zh) 一种混合床生化处理装置
JP2000354858A (ja) 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CN203960010U (zh) 一种高浓度有机含盐废水处理系统
Jiménez et al. Denitrification in a fluidized bed system using low cost packing material
KR100330494B1 (ko) 생물막 유동상 반응기
KR0183432B1 (ko) 혐기성 폐수처리 장치
CN109987793A (zh) 一种甜叶菊加工废水处理系统
JP4013123B2 (ja) 好気処理槽の運転方法、好気処理槽及び汚水浄化槽
KR101617804B1 (ko) 소형 유류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류 제거방법
CN213623450U (zh) 聚合氯化铝强化型好氧颗粒污泥斜管反应器
CN110156159B (zh) 一种混合床生化处理装置及污水处理方法
CN214115263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