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486B1 -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486B1
KR0151486B1 KR1019950038379A KR19950038379A KR0151486B1 KR 0151486 B1 KR0151486 B1 KR 0151486B1 KR 1019950038379 A KR1019950038379 A KR 1019950038379A KR 19950038379 A KR19950038379 A KR 19950038379A KR 0151486 B1 KR0151486 B1 KR 0151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put node
potential
nod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669A (ko
Inventor
황기봉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3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486B1/ko
Publication of KR97002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에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의 전위를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입력단으로 전달하여 안정된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와 전원 전달 제어부와 전원 전달부로 이루어진 전원 안정화 회로에 초기동작 구동회로를 구현함으로써, 모니터 내부회로들의 초기상태를 안정화시킨 것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원 안정화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안정화 회로도.
제3a도 내지 제3b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아이씨칩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전원부 20 : 전원 레귤레이터
30 : 마이크로 프로세서 40 : 비디오 보드
50 : 전원 전달부 60 : 전원 전달 제어부
70 :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 80 : 전압 분배부
90 : 서스펜드모드 인지부 100 : 초기동작 구동부
200 : 초기동작 구동회로
본 발명은 모니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전원을 출력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에 비디오 보드 구동전원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을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초기동작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가 대중화됨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컴퓨터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경량의 노트북 피씨(notebook PC)나, 랩탑(laptop) 컴퓨터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으며, 컴퓨터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소모되는 전력과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력 소모는 컴퓨터의 효율적인 사용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휴대용 전지나 충전형으로 설계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력손실은 사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더욱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화면상에 정보가 표시됨으로 인해 소모되는 전력과 본체와 모니터 간의 접속이 불안정하여 불완전한 합성 영상신호가 모니터로 들어오는 경우에서의 전력소모를 줄여주기 위한 자동 절전모드를 모니터의 새로운 기능으로 구현하는 것이 현 추세이다.
상기에서 새로 추가된 절전모드를 실현하기 위해, 모니터의 전원공급회로를 적절히 동작시키는 것이 표시 전력 제어 시스템(DPMS : Display Power Management System)이며, 상기 절전모드는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세가지 모드로 구분된다.(이하에서 예시되는 소모전력은 모니터가 15인치 이하인 경우를 예로든 것이다.)
첫 번째로 수평, 수직 동기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는 경우는 노멀(normal)모드로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내부회로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약 80∼100W 정도의 전력소모가 생긴다.
두 번째로 수평, 수직 동기신호가 모두 전달되지 않는 경우는 오프(off)모드로서, 이때는 모니터에 최소한의 전력(약 5W)이 소모된다.
세 번째로 수평, 수직 동기신호 중의 하나만이 전달되는 경우는 서스펜드(suspend)모드로서, 꼭 필요한 회로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오프모드보다는 약간 높은 전력(약 15W)이 필요하다.
상기에서 노멀모드 즉, 수평, 수직 동기신호가 모두 입력되는 경우는 화면상에 정보가 표시되지만, 오프모드나 서스펜드모드에서는 잘못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음극선관의 전자빔을 편향하거나 칼라신호를 증폭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전원 공급회로에서 수직, 수평 편향에 관여하는 내부회로로 전달되는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거나 그 전압을 강하시키게 되는데, 저전압의 구동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최고치의 약 10% 정도로 줄여서 공급함으로써 실제적으로 내부회로로는 전력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서스펜드 모드를 중심으로 전원 공급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수평, 수직 동기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만 입력되는 경우는 모니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수평, 수직 편향이나 칼라신호 증폭에 필요한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모니터가 서스펜드모드에 있다하더라도 모드 변화를 감지해야할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해야하므로, 모니터의 모드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회로를 설계하여야 한다.
보통, 비디오 보드를 구동하는 전원은 약 80V 정도이고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전원은 약 5V 정도인데(상기 수치는 회로의 동작상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모니터가 노멀모드에서 서스펜드모드로 변하게 되면 주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최대치의 약 10%에 그치므로, 높은 전압을 인가받아 항상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의 입력단의 전위가 5V보다 낮아지게 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으로는 5V 보다 상당히 낮은 전위가 발생된다. 그러나, 10% 정도로 전압강하된다하더라도 비디오 보드를 구동하는 전원 출력단은 8V 이상을 유지하게 되므로, 이를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의 입력단으로 유입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면 그 출력단에는 안정된 5V 전원이 출력된다.
상기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제1도에서는 모니터에 모드변환이 생긴다하더라도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전원은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한 전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고정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양쪽단의 전위를 감지하여 상기 레귤레이터를 안정되게 동작시키는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를 사용하여 회로를 설계하였다.
제1도의 회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에 일정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전원 레귤레이터(20)의 양쪽단에 걸쳐 접속된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와,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20)의 입력노드(N1)와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Vdb) 사이에 위치하여 서스펜드모드시에 상기 전원단(Vdb)의 높은 전압을 노드(N1)로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50)와,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의 출력노드(N11)와 상기 전원 전달부(50) 사이에 접속되어 노드(N11)의 전위에 따라 전원 전달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전달 제어부(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원 전달 제어부(60)는 전원 레귤레이터(20)의 출력단(Vmc)에 접속된 저항(R6)의 다른쪽 노드(N11)의 전압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며, 특히 노드(N11)의 전압이 전원 전달 제어부(60)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12)의 에미터단에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ZDI)를 턴-온시킬 수 있을만큼 높을 경우에만 상기 트랜지스터(Q12)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상기 노드(N11)가 높은 전압 즉, 최소한 상기제너 다이오드(ZDI)의 턴-온전압에 트랜지스터(Q12)의 문턱전압을 더한 것 이상의 전압이 유기되었을 때에 상기 전원 전달 제어부(60)가 동작하여 노드(N10)의 전위를 낮추어줌으로써, 전원 전달부(50)의 트랜지스터(Q11)를 턴-온시키게 되어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Vdb)의 전위가 노드(N1)에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 전달 제어부(60)와 전원 전달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노드(N11)의 전압상태는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에 의해 조절되므로, 상기 안정화부(70)의 동작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는 노드(N1)와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된 전압 분배기(R1, R2)와, 상기 노드(N1)와 노드(N11) 사이에 접속된 캐패시터(C3)와, 상기 노드(N11)를 케소드단으로 하고 상기 전압 분배기(R1, R2)의 출력노드(N12)를 레퍼런스단으로 하며, 에노드가 접지전압에 연결된 아이씨칩(IC Chip)(IC11)과, 상기 노드(N11)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사이에 접속된 저항(R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동작은 상기 아이씨칩(IC11)에 의해 결정된다.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된 회로를 참조하여 상기 아이씨칩(IC11)의 구성과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아이씨칩(IC11)은 레퍼런스단(R)에 유기되는 전압에 의해 연산 증폭기의 출력이 달라지는 구조로서, 일정한 기준전압(Vref)을 출력하는 기준전압 발생부과,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의 출력노드와 레퍼런스단(R)의 전압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와, 케소드단(K)과 에노드단(A)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동작은, 레퍼런스단(R)의 전압이 고정전원의 기준전압(Vref) 보다 높은 경우는 연산 증폭기의 비교 기능에 의해 노드(ND)에 하이상태가 출력되어 접속된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므로 케소드단(K)의 전위는 접지전압에 연결된 에노드단(A)을 따라 낮아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레퍼런스단(R)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전압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노드(ND)에도 로우상태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므로 케소드단(K)은 그 단이 접속된 다른 높은 전압의 영향으로 하이상태로 전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씨칩(IC11)의 동작과 관련된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는 전원 레귤레이터(20)의 확실한 동작을 위해 입력단(N1)에 적어도 7V 이상의 전압이 유기되어야만 하므로, 만약에 노멀모드에서 서스펜드모드로의 전환으로 인해 노드(N1)의 전위가 7V보다 낮아진다면 전압 분배기의 출력노드(N12)의 전위가 아이씨칩(IC11) 내부의 기준전압(Vref) 보다 낮아져서 아이씨칩(IC11)의 케소드단(N11)의 전위는 5V로 유지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이나 다른 높은 전압 출력단에 의해 하이상태로 전이하게 되고, 다시 노드(N1)의 전위가 높아져서 전압 분배기의 출력노드(N12)에 기준전압(Vref)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면 아이씨칩(IC11)의 내부 트랜지스터(Q1)가 동작하여 케소드단(N11)의 전위는 로우상태로 전이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압 분배기는 전원 레귤레이터(20)의 구동에 관련된 임계전위와 아이씨칩(IC11)의 내부 기준전압(Vref)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동작을 부연 설명하면, 첫 번째로, 주전원부(10)의 정상동작으로 인해 전원 레귤레이터(20)의 입력단(N1)의 전위가 항상 7V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면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의 전압 분배기의 출력노드(N12)의 전위가 아이씨칩(IC11) 내부의 기준전압(Vref) 보다 높으므로 노드(N11)는 로우상태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전달 제어부(60)의 트랜지스터(Q12)가 턴-오프되어 전원 전달부(50) 또한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비디오 보드 입력단(Vdb)의 전위는 노드(N1)로 전달되지 않는다. 두 번째로, 서스펜드 모드로의 전환 등으로 인해 노드(N1)의 전위가 7V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의 전압 분배기의 출력노드(N12)는 아이씨칩(IC11)의 기준전압(Vref) 보다 낮아지게 되어 아이씨칩(IC11)의 케소드단인 노드(N11)의 전위가 높아지므로 전원 전달 제어부(60)의 트랜지스터(Q12)는 턴-온되고, 이에 따라 전원 전달부(50)가 동작하게 되므로 노드(N1)로는 항상 7V 이상을 유지하는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Vdb)의 전위가 전달되어 전원 레귤레이터(20)의 출력단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은 안정된 5V 전위를 항상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전원 발생회로는 모니터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시작한 이후에 모드변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으로 잘 동작하지만, 모니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상태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에 초기 5V 상태를 구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모니터로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 구동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구동전압단(Vmc)이 저전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의 출력노드(N11)가 높은 전위로 전이하지 못하고, 이로인해 전원 전달 제어부(60)와 전원 전달부(50)가 동작하지 못하므로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Vdb)의 전위는 노드(N1)로 유입되지 못한다. 또한, 이때의 주전원부(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부터 아무런 제어신호를 받지 못하므로 지속적으로 필요치 보다 상당히 낮은 전압만을 출력하게 되어, 전원 레귤레이터(20) 입력단(N1)의 전위는 계속 낮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전혀 구동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모니터는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동작시에도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의 전위를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전원을 출력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현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제거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전원 안정화 회로에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의 전위를 분배시키는 전압 분배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의 제1출력노드와 전원 전달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과 제1출력노드의 전위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는 초기동작 구동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의 제2출력노드에 접속되며 서스펜드모드 상태를 감지하는 서스펜드모드 인지부로 구성된 초기동작 구동회로를 포함시켜 전원 안정화 회로를 구현하였다.
이하, 첨부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모니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에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의 전위를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의 입력단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원 레귤레이터(20)의 양쪽단에 걸쳐 접속된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와,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20)의 입력노드(N1)와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Vdb)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단(Vdb)의 전위를 노드(N1)로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50)와,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의 출력노드(N11)와 상기 전원 전달부(50) 사이에 접속되어 노드(N11)의 전위에 따라 전원 전달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전달 제어부(60)를 포함하는 제1도의 회로에,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Vdb)의 전위를 제1출력노드(N15)와 제2출력노드(N13)로 분배하는 전압분배부(80)와, 상기 전압 분배부(80)의 제1출력노드(N15)와 전원전달 제어부(60)의 입력노드(N14) 사이에 접속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과 제1출력노드(N15)의 전위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는 초기동작 구동부(100)와, 상기 전압 분배부(80)의 제2출력노드(N13)에 접속되며 서스펜드모드 상태를 감지하는 서스펜드모드 인지부(90)로 구성된 초기동작 구동회로(200)를 구현하였다.
상기에서 초기동작 구동회로(2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제1도에서 상세히 기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추가 구현된 초기동작 구동회로(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동작구동부(100)와, 전압 분배부(80)와, 서스펜드모드 인지부(90)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구성과 그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의 전압 분배부(80)는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Vdb)과 접지전압 사이에 직렬접속된 제1저항(R7), 제너 다이오드(ZD2), 제2저항(R8), 그리고 제3저항(R9)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각 접속노드(N15, N13)에 적절히 분배된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의 서스펜드모드 인지부(9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 출력되는 서스펜드신호(SUSb)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며, 정상 동작시는 하이상태로 입력되는 서스펜드신호(SUSb)에 의해 트랜지스터(Q13)가 턴-온되므로 상기 전압 분배부(80)의 출력노드(N15, N13)들의 전위를 낮추어주는 역할을 하고, 서스펜드모드시는 로우상태로 입력되는 서스펜드신호(SUSb)에 의해 트랜지스터(Q13)가 턴-오프되므로 상기 전압 분배부(80)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초기동작 구동부(100)는 에미터단이 상기 전압 분배부(80)의 제1출력노드(N15)에 연결되고 베이스단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4)와 상기 트랜지스터(Q14)의 에이터단과 베이스단에 접속된 저항(R12)과, 상기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단과 전원 전달 제어부(60)의 입력노드(N14) 사이에 연결된 저항(R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드(N15)의 전위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의 전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4)가 턴-온되어 노드(N15)의 전위가 노드(N14)에 전달되고, 노드(N15)의 전위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 전위보다 낮은 경우는 트랜지스터(Q14)가 턴-오프되어 노드(N15)와 노드(N14) 간의 연결은 단절된다.
상기 도시된 제2도에서 노드(N11)와 노드(N14)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D1)는 모니터의 초기동작시에 노드(N14)로 인가되는 높은 전위가 노드(N1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각 부분들의 동작상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원안정화 회로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초기동작 구동회로(200)는 모니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동작시는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Vdb)이 10V 이하의 전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전압 분배부(80)의 제1출력노드(N15)에 4∼5V 정도의 전위가 유기되며, 이 때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은 상기 제1출력노드(N15)의 전위보다 낮은 저전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초기동작 구동부(100)의 트랜지스터(Q14)가 턴-온되어 노드(N15)의 전위가 노드(N14)에 전달되므로 전원 전달 제어부(60)의 트랜지스터(Q12)가 턴-온되어 노드(N10)의 전위를 낮추어주므로 전원 전달부(50)의 트랜지스터(Q11)가 턴-온되어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Vdb)의 전위가 전원 레귤레이터(20)의 입력단(N1)으로 전달됨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에는 5V의 전압이 출력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30)를 구동하게 되므로 모니터의 초기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후에, 정상동작이 이루어지면, 하이상태를 갖는 서스펜드신호(SUSb)에 의해 서스펜드모드 인지부(90)의 트랜지스터(Q13)가 턴-온되므로 전압 분배부(80)의 제1출력노드(N15)의 전위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의 전위(5V)보다 낮아지게 되어 초기동작구동부(100)의 트랜지스터(Q14)가 턴-오프되므로 노드(N15)의 전위는 노드(N14)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한, 모니터가 서스펜드모드로 동작한다하더라도 노드(N15)의 전위는 5V 이하가 되므로 초기동작 구동부(100)는 이때도 역시 동작하지 않게 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데에는 더 이상 관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초기동작 구동회로(200)는 모니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에 동작하여 전원 전달 제어부(60)와 전원 전달부(50)를 구동시킴으로써,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Vdb)의 전위를 전원 레귤레이터(20)의 입력단(N1)으로 전달하고, 이후에 모니터의 모드전환에 의해 노드(N1)의 전위가 변환하면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70)가 전원전달 제어부(60)와 전원 전달부(50)의 동작을 제어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Vmc)에 항상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모니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전원을 출력하는 회로상에 초기동작 구동회로를 구현하게 되면 모니터의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에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에 유기되는 전위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원을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되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모니터 내부회로들을 안정된 초기상태로 유지시키고 이후의 정상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큰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레귤레이터와,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전원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와,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의 전위를 상기 입력단에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와,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의 출력노드에 접속되어 그 전위에 따라 상기 전원 전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전달 제어부와, 상기 전원 전달 제어부와 비디오 구동전압단 사이에 접속되어 모니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에 비디오 구동전압단의 전위가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의 입력노드로 전달되도록 전원 전달 제어부와 전원 전달부를 구동시키는 초기동작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레귤레이터 안정화부의 출력노드에서 전원 전달제어부의 입력노드로 순방향 접속된 다이오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초기동작 구동회로는,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의 전위를 제1출력노드와 제2출력노드로 분배시키는 전압 분배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의 제1출력노드와 전원 전달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어, 제1출력노드의 전위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의 전위보다 높은 경우에 인에이블되는 초기동작 구동부와, 상기 전압 분배부의 제2출력노드에 접속되어 모니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구동되는 서스펜드모드 인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부는, 비디오 보드 구동전압단과 제1출력노드 사이에 직렬접속된 제1저항과 제너 다이오드와, 제1출력노드와 제2출력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저항과, 제2출력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3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서스펜드모드 인지부는, 전압 분배부의 제2출력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접속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된 서스펜드신호를 상기 베이스단으로 인가하는 로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초기동작 구동부는, 에미터단이 전압 분배부의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고 베이스단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전압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에 접속된 제1저항과,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과 전원 전달 제어부의 입력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KR1019950038379A 1995-10-31 1995-10-31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KR0151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379A KR0151486B1 (ko) 1995-10-31 1995-10-31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379A KR0151486B1 (ko) 1995-10-31 1995-10-31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669A KR970022669A (ko) 1997-05-30
KR0151486B1 true KR0151486B1 (ko) 1998-10-15

Family

ID=1943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379A KR0151486B1 (ko) 1995-10-31 1995-10-31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4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669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4085B1 (ko) 전원절약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전원제어 방법
US5585749A (en) High current driver providing battery overload protection
US6345364B1 (en) Power supply of display apparatus with universal serial bus device
US20020070718A1 (en) System for providing a regulated voltage with high current capability and low quiescent current
US6097378A (en)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audio circuitr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in
KR101759345B1 (ko) 딥 슬립 모드를 지원하는 절전형 모니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US5691630A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US5944830A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monitor by switching off heater power in power-off mode
EP0515182A1 (en) Low-power crystal circuit
JP2003216286A (ja) 携帯型電子装置の電源を制御する機能を備えた周辺装置
KR0151486B1 (ko)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KR0151490B1 (ko) 모니터의 전원 안정화 회로
US7012408B2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using power of an AC/DC adaptor
KR200214795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전장치
US20020169992A1 (en)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and the method therof
KR0161136B1 (ko) 발화 방지형 보조전압 출력회로
KR10028079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서지보호회로
US20050088152A1 (en) Regulator circuitry and method
KR0161135B1 (ko) 쇼트 방지형 보조전압 출력회로
KR102383681B1 (ko) 전력 제공 방법 및 전력 제공 장치
GB2346787A (en) Power supply module
KR20000037906A (ko) 절전 모드시 전원 공급 제어 회로
KR19990038625U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약장치
KR100327387B1 (ko) 모니터의 전원회로
KR100845839B1 (ko) 모니터의 히터전압 공급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