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875B1 -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 - Google Patents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875B1
KR0150875B1 KR1019950032704A KR19950032704A KR0150875B1 KR 0150875 B1 KR0150875 B1 KR 0150875B1 KR 1019950032704 A KR1019950032704 A KR 1019950032704A KR 19950032704 A KR19950032704 A KR 19950032704A KR 0150875 B1 KR0150875 B1 KR 015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ase
vertical surface
predetermined
horizontal surface
pivo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321A (ko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3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875B1/ko
Publication of KR97001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on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4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accidental erasing or double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2Auxiliary features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크기의 합성수지편이 메인베이스상면에 위치되는 상부수직면과 상부수평면 및 상기 메인베이스와 메인PCB 사이에 위치되는 하부수직면과 하부수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2단 절곡되고, 상기 상부수직면의 내면에는 카세트테이프상의 오소거방지홈에 삽입되는 탭식별부가, 상기 상부수직면과 상부수평면의 경계부에는 소정길이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베이스의 상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회동축이 안착되는 회동축받이홈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하부수직면과 하부수평면이 끼워지는 소정크기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평면과 하부수직면사이의 경계부양측으로 부터 후방으로는 상기 삽입공을 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그 후단이 메인베이스의 저면에 걸리는 소정 길이의 탄성편이 일체로 돌설되고, 상기 하부수평면의 회동경로에 해당되는 메인PCB상면에는 'OFF'된 상태에서만 소거동작신호를 인가시키는 절환스위치가 설치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데크상의 공급릴(Supply Reel)과 감기릴(Take-Up Reel)상에 안착되는 카세트테이프에 오소거방지탭이 있는 경우에, 정해진 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이 별도의 스프링에 의해서가 아니고, 자체의 탄성편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절환스위치와의 접점동작이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조립 및 수리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 후에도 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며, 절환스위치의 설치위치가 다소 어긋나 있다 하더라도 정확한 스위치접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VCR용 카세트테이프의 사시도.
제2도는 일반적인 VCR의 데크상에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종래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a)는 오소거방지탭이 제거된 경우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오소거방지탭이 있는 경우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오소거방지탭이 제거된 경우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b)는 오소거방지탭이 있는 경우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Record Safety Lever)
42 : 메인베이스 44 : 상부수직면
46 : 상부수평면 48 : 메인PCB
50 : 하부수직면 52 : 하부수평면
54 : 탭식별부 56 : 회동축
58 : 탄성편 60 : 회동축받이홈
62 : 삽입공 64 : 절환스위치
본 발명은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Record Safety Lev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CR의 데크상의 공급릴(Supply Reel)과 감기릴(Take-Up Reel)상에 안착되는 카세트테이프에 오소거방지탭이 있는 경우에, 정해진 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이 자체의 탄성편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절환스위치와의 접점동작이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CR용의 카세트테이프(10)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a)의 전면 일측 하부에 테이프상의 기록내용이 실수에 의하여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깊이를 갖는 오소거방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오소거방지홈(12)의 전면 아랫쪽으로 부터는 상기 카세트테이프(10)를 구성하는 케이스(10a)의 전면과 동일평면에 위치되는 소정 크기의 탭(Tab)(14)이 형성되어 있는 바, 사용자가 상기 오소거방지홈(12)의 전면에 형성된 탭(14)을 떼어내면, 그 카세트테이프(10)를 이용하여 다른 정보를 기록하려고 하여도 녹화모드에서 녹화가 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오소거방지홈(12)의 전면에 형성된 탭(14)을 제거하지 않으면, 그 카세트테이프(10)에 기록된 내용이 녹화모드시에 소거됨과 동시에 다른 정보가 기록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VCR의 데크의 전단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테이프(10)가 데크(20)상의 공급릴과 감기릴에 안착될 때, 상기 카세트테이프(10)상의 오소거방지홈(12)이 도달되는 위치에, 상기 카세트테이프(10)상의 오소거방지홈(12)의 전면에 탭(14)이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식별하여, 탭(14)이 제거된 경우에는 별도의 작동없이 초기설치상태를 유지하고, 탭(14)이 존재할 경우에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데크(20)하부의 메인PCB(22)상으로부터 돌설된 절환스위치(24)를 접점시켜 데크(20)상의 공급측 테이프주행경로상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완전소거헤드(Full Erase Head)에 소거동작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2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데크(20)의 전단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종래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26)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후단과 선단이 그 형성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구부러지고, 앞쪽 절곡부에는 축받이공(26a)이 형성된 육면체형 몸체(26b)의 후단일측으로 부터 스위치누름편(26c)이 하향 절곡되고, 상기 몸체(26b)의 선단 일측으로 부터는 상단에 상기 카세트테이프(10)상의 오소거방지홈(12)내에 삽입되는 탭식별부(26d)가 형성된 작동편(26e)이 소정의 높이로 상향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시에는 상기 축받이공(26a)에 데크(20)의 저면으로부터 돌설된 힌지축(28)이 끼워지며, 상기 작동편(26e)의 하단에는 데크(20)에 일단이 결합된 스프링(30)의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작동편(26e)상단의 탭식별부(26d)가 항상 카세트테이프(10)의 전면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데크(20)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20)상의 공급릴과 감기릴에 카세트테이프(10)가 안착되면, 상기 카세트테이프(10)의 전면에 형성된 오소거방지홈(12)이 상기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26)상의 탭식별부(26d)와 일치되는 위치에 도달되는 데, 상기 오소거방지홈(12)에 탭(14)이 없으면, 제3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탭식별부(26d)는 오소거방지홈(12)내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어 회동되지 않기 때문에 절환스위치(24)를 접점시키지 않아 완전소거헤드에 소거동작신호가 인가되지 않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오소거방지홈(12)의 전면에 탭(14)이 존재하면,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레버(26)상의 탭식별부(26d)가 탭(14)에 막혀 오소거방지홈(12)내로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작동편(26e)이 힌지축(28)을 중심으로 하여 오소거방지홈(12)의 깊이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바깥쪽으로 회동됨에 따라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26)의 몸체(26b)후단의 스위치누름편(26c)이 절환스위치(24)를 누르게 되며, 따라서 녹화모드시에 상기한 완전소거헤드에 소거동작신호가 인가되어 테이프주행시 이미 기록된 정보가 소거되고, 새로운 정보가 기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이 완료된 후 카세트테이프(10)가 이젝트되면, 상기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26)는 상기한 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종래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26)에서는 동작상태의 완료 이후, 원래상태로의 복귀동작을 위하여 별도의 스프링(30)이 사용되는 데, 상기 스프링(30)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까다롭고, 쉽게 분실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반복사용에 따른 피로하중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30)이 소성변형되는 경우에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26)의 복귀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동작의 신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는 그 몸체(26b)의 후단에 형성된 스위치누름편(26c)이 상기 몸체(26b)상의 축받이공(26a)에 끼워진 힌지축(28)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절환스위치(24)를 접점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PCB(22)상으로부터 돌설되는 상기 절환스위치(24)의 위치가 제작시의 실수로 인하여 상기 스위치누름편(26c)의 회동경로에서 다소 벗어나는 경우에 절환스위치(24)를 접점시키는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데크상의 공급릴(Supply Reel)과 감기릴(Take-Up Reel)상에 안착되는 카세트테이프에 오소거방지탭이 있는 경우에, 정해진 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이 별도의 스프링에 의해서가 아니고, 자체의 탄성편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절환스위치와의 접점동작이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여 조립 및 수리작업성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 후에도 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며, 절환스위치의 설치위치가 다소 어긋나 있다 하더라도 정확한 스위치접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크기의 합성수지편이 메인베이스상면에 위치되는 상부수직면과 상부수평면 및 상기 메인베이스와 메인PCB사이에 위치되는 하부수직면과 하부수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2단 절곡되고, 상기 상부수직면의 내면에는 카세트테이프상의 오소거방지홈에 삽입되는 탭식별부가, 상기 상부수직면과 상부수평면의 경계부에는 소정길이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베이스의 상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회동축이 안착되는 회동축받이홈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하부수직면과 하부수평면이 끼워지는 소정크기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평면과 하부수직면사이의 경계부양측으로 부터 후방으로는 상기 삽입공을 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그 후단이 메인베이스의 저면에 걸리는 소정 길이의 탄성편이 일체로 돌설되고, 상기 하부수평면의 회동경로에 해당되는 메인PCB상면에는 'OFF'된 상태에서만 소거동작신호를 인가시키는 절환스위치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40)는 일정한 크기의 합성수지편이 메인베이스(42)상면에 위치되는 상부수직면(44)과 상부수평면(46) 및 상기 메인베이스(42)와 메인PCB(48)사이에 위치되는 하부수직면(50)과 하부수평면(52)으로 이루어지도록 2단 절곡되고, 상기 상부수직면(44)의 내면에는 카세트테이프(10)상의 오소거방지홈(12)에 삽입되는 탭식별부(54)가, 상기 상부수직면(44)과 상부수평면(46)의 경계부에는 소정길이의 회동축(56)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베이스(42)의 상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회동축(56)이 안착되는 회동축받이홈(60)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하부수직면(50)과 하부수평면(52)이 끼워지는 소정크기의 삽입공(6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평면(46)과 하부수직면(50)사이의 경계부양측으로 부터 후방으로는 상기 삽입공(62)을 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그 후단이 메인베이스(42)의 저면에 걸리는 소정 길이의 탄성편(58)이 일체로 돌설되고, 상기 하부수평면(52)의 회동경로에 해당되는 메인PCB(48) 상면에는 'OFF'된 상태에서만 소거동작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절환스위치(64)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베이스(42)의 상면에 형성되는 회동축받이홈(60)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회동축(56)을 안착시키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절개공(66)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56)이 양단면 중심으로부터는 상기 절개공(66)에 끼워져 메인베이스(42)의 저면에 걸리는 이탈방지봉(68)이 일체로 돌설되며, 상기 회동축(56)의 일단은 상기 상부수직면(44)의 일측면으로부터 하향절곡된 텐션리브(7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절환스위치(64)는 메인베이스(42)의 상면의 공급측 테이프주행경로의 일측에 설치되는 완전소거헤드와 마이컴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 상기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40)를 구성하는 하부수평면(52)에 의하여 눌려있는 상태, 즉, 'ON'된 상태에서는 소거동작신호가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하부수평면(52)이 들려있는 상태, 즉, 'OFF'된 상태에서만 상기 완전소거헤드에 소거동작신호가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수직면(44)의 전면에는 그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72)가 일체로 돌설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40)의 결합관계를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40)를 설치함에 있어서, 먼저, 상부수직면(44)의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회동축(56)을 상기 메인베이스(42)상면에 형성된 회동축받이홈(60)에 안착시키되, 상기 회동축(56)의 양단면으로부터 돌설된 이탈방지봉(68)이 상기 회동축받이홈(6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절개공(66)에 끼워진 후, 상기 절개공(66)을 형성하는 메인베이스(42)저면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회동축(56)이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동축(56)이 메인베이스(42)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수직면(50)과 하부수평면(52)을 메인PCB(48)상의 절환스위치(64)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메인베이스(42)상의 삽입공(62)에 끼워결합시키는데, 이때, 상기한 상부수평면(46)과 하부수직면(50)의 경계부상에서 후방으로 돌설된 탄성편(58)이 상기 삽입공(62)을 통하여 끼워져 메인베이스(42)의 저면에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직면(44)의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회동축(56)이 상기 메인베이스(42)상면에 형성된 회동축받이홈(60)에 안착되고, 상기 회동축(56)의 양단면으로부터 돌설된 이탈방지봉(68)이 상기 회동축받이홈(6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절개공(66)에 끼워진 후, 상기 절개공(66)을 형성하는 메인베이스(42)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걸려지며, 상기 하부수직면(50)과 하부수평면(52)이 메인PCB(48)상의 절환스위치(64)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메인베이스(42)상의 삽입공(62)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편, 상기한 상부수평면(46)과 하부수직면(50)의 경계부상에서 후방으로 돌설된 탄성편(58)이 상기 삽입공(62)을 통하여 끼워져 메인베이스(42)의 저면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베이스(42)상의 공급릴과 감기릴에 카세트테이프(10)가 안착되면, 상기 카세트테이프(10)의 케이스(10a)전면 일측에 형성된 오소거방지홈(12)이 상기 상부수직면(44)의 상단내면에 형성된 탭식별부(48)의 전면에 위치되는 바, 이때, 상기한 카세트테이프(10)상의 오소거방지홈(12)전면에 탭(14)이 제거된 상태이면, 제5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탭식별부(54)는 오소거방지홈(12)내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부수직면(44)에 작용힘이 인가되지 않아 회동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하부수평면(52)이 메인PCB(48)상으로부터 돌설된 절환스위치(64)를 계속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어 녹화모드에서도 메인베이스(42)상의 완전소거헤드에 소거동작신호가 인가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오소거방지홈(12)의 전면에 탭(14)이 존재하면, 제5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40)를 구성하는 상부수직면(44)상의 탭식별부(54)가 탭(14)에 막혀 오소거방지홈(12)내로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상부수직면(44)이 회동축(56)을 중심으로 하여 오소거방지홈(12)의 깊이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앞쪽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메인베이스(42)상의 삽입공(62)에 끼워진 하부수평면(52)이 윗쪽으로 회동되어 절환스위치(64)를 누르고 있던 상태로부터 해제되며, 따라서 상기한 완전소거헤드에 소거동작신호가 인가되어 녹화모드에 따른 테이프주행시 이미 기록된 정보가 소거되고 새로운 정보가 기록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카세트테이프(10)상의 오소거방지홈(12)의 전면에 형성된 탭(14)이 상기 상부수직면(44) 상단내면의 탭식별부(54)을 밀어내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상부수직면(44)이 전방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상부수평면(46)과 하부수직면(50)의 경계부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62)을 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메인베이스(42)의 저면에 걸려있던 탄성편(58)이 회동방향으로 구부려지고, 상기 카세트테이프(10)가 이젝트되면, 상기 탄성편(5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40) 전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상기 상부수직면(44)이 전방으로 완전회동되면, 상기 상부수직면(44)의 전면에 일체로 돌설된 스톱퍼(72)가 메인베이스(42)의 상면에 닿아 더 이상의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상기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의 회동이 별도의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에 형성된 탄성편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스프링의 조립에 따른 작업상의 불편함이 완전히 배제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증가된다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탄성편은 별도의 스프링에 비하여 소성변형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된 후에도 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된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절환스위치가 메인PCB상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를 구성하는 하부수평면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절환스위치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절환스위치의 설치위치가 다소 어긋나 있다하더라도 정확하게 절환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일정한 크기의 합성수지편이 메인베이스(42)상면에 위치되는 상부수직면(44)과 상부수평면(46) 및 상기 메인베이스(42)와 메인PCB(48) 사이에 위치되는 하부수직면(50)과 하부수평면(52)으로 이루어지도록 2단 절곡되고, 상기 상부수직면(44)의 내면에는 카세트테이프(10)상의 오소거방지홈(12)에 삽입되는 탭식별부(54)가, 상기 상부수직면(44)과 상부수평면(46)의 경계부에는 소정길이의 회동축(56)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베이스(42)의 상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회동축(56)이 안착되는 회동축받이홈(60)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하부수직면(50)과 하부수평면(52)이 끼워지는 소정크기의 삽입공(6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평면(46)과 하부수직면(50)사이의 경계부양측으로 부터 후방으로는 상기 삽입공(62)을 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그 후단이 메인베이스(42)의 저면에 걸리는 소정 길이의 탄성편(58)이 일체로 돌설되고, 상기 하부수평면(52)의 회동경로에 해당되는 메인PCB(48)상면에는 'OFF'된 상태에서만 소거동작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절환스위치(6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이스(42)의 상면에 형성되는 회동축받이홈(60)의 좌우 양단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절개공(66)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56)의 양단면 중심으로부터는 상기 절개공(66)에 끼워져 메인베이스(42)의 저면에 걸리는 이탈방지봉(68)이 일체로 돌설되며, 상기 회동축(56)의 일단은 상기 상부수직면(44)의 일측면으로부터 하향절곡된 텐션리브(7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
KR1019950032704A 1995-09-29 1995-09-29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 KR0150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704A KR0150875B1 (ko) 1995-09-29 1995-09-29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704A KR0150875B1 (ko) 1995-09-29 1995-09-29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321A KR970017321A (ko) 1997-04-30
KR0150875B1 true KR0150875B1 (ko) 1998-10-15

Family

ID=1942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704A KR0150875B1 (ko) 1995-09-29 1995-09-29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8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321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5703A (en) Data reading device for data processing apparatus
US4225893A (en) Cleaner for a playing head of a cassette player
JPH1064224A (ja) リムーバブル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0150875B1 (ko)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장치
US4979065A (en) Disc cartridge having a liner and an elastic member for maintaining the liner in contact with a disc
KR0117511Y1 (ko) Vcr의 오소거방지용 안전레버(record safety lever of vcr)
US4675756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506122A (en) Selection switch
US5771144A (en) Cleaning device for a contact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6201660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338507Y2 (ko)
JPH0789423B2 (ja) 記録部材の挿入方向検出装置
KR0111792Y1 (ko) 모드 및 오소거방지 감지장치
JPS6212580B2 (ko)
JP2572255Y2 (ja) 物体検知スイッチ
KR900010899Y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 압지용 판용수철의 취부구조
KR200147010Y1 (ko) 카세트 로딩 장치
KR200220187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로딩장치
JPH0452540B2 (ko)
KR19980050363U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테이프 녹화가능 여부 감지장치
JPS6325556Y2 (ko)
US5856900A (en) Camcorder actuated treatment device for treating a camcorder head
JPS5937903Y2 (ja) カ−ド検知機構
KR940000861Y1 (ko) 카 데크의 테이프 삽탈장치
KR91000634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반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