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770B1 -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 Google Patents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770B1
KR0149770B1 KR1019950003777A KR19950003777A KR0149770B1 KR 0149770 B1 KR0149770 B1 KR 0149770B1 KR 1019950003777 A KR1019950003777 A KR 1019950003777A KR 19950003777 A KR19950003777 A KR 19950003777A KR 0149770 B1 KR0149770 B1 KR 0149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passive
medium
switched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815A (ko
Inventor
공홍진
김남성
Original Assignee
심상철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철,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심상철
Priority to KR101995000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770B1/ko
Priority to US08/605,359 priority patent/US5675596A/en
Publication of KR96003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1Mode locking; Q-switching; Other giant-pulse techniques, e.g. cavity dumping
    • H01S3/1123Q-switching
    • H01S3/113Q-switching using intracavity saturable absor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1Mode locking; Q-switching; Other giant-pulse techniques, e.g. cavity dumping
    • H01S3/1123Q-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8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S3/08059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flector, e.g.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4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s the active medium
    • H01S3/16Solid materials
    • H01S3/1601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 H01S3/1603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 H01S3/1611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neodym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4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s the active medium
    • H01S3/16Solid materials
    • H01S3/163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crystal matrix
    • H01S3/164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crystal matrix garnet
    • H01S3/1643Y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8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S3/081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comprising three or more reflectors
    • H01S3/082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comprising three or more reflectors defining a plurality of resonators, e.g. for mode selection or suppre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녀 별도의 부대장비가 필요없이도 펄스폭의 변조가 가능하며, 짧고 대칭적인 레이저펄스를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동 Q-스위치 레이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는 레이저매질 및 수동 Q-스위치매질을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에 있어서, 전기한 레이저매질 및 수동 Q-스위치매질에서 방출되는 각각의 방출파장을 전반사하기 위한 공진반사경 ; 전기한 수동 Q-스위치매질에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무반사특성을 지니며 전기한 레이저매질에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10% 이상의 반사율을 지닌 이색반사경으로 구성된 주공진반사경 ; 및, 전기한 레이저매질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무반사특성을 지니고 전기한 수동 Q-스위치매질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10% 이상의 반사율을 지닌 이색반사경으로 구성되며 레이저빔의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부공진반사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a)도 내지 제2(d)도는 레이저펄스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는 아스펙트비의 변화에 따른 펄스폭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이저매질 2 : 수동 Q-스위치
3 : 공진반사경 4 : 주공진반사경
5 : 부공진반사경
본 발명은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녀 별도의 부대장비가 필요없이도 펄스폭의 변조가 가능하며, 짧고 대칭적인 레이저펄스를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동 Q-스위치 레이저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laser :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는 유도방출이라는 원리에 의해 빛을 방출시키는데, 유도방출에 의해서 레이저에 입력된 에너지가 레이저출력으로 방출되게 되며, 반사경 2개를 레이저매질의 양옆에 위치시켜 반사경사이에서 레이저빔을 왕복시킴으로써 유도방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즉, 레이저는 레이저빔이 나오는 종방향으로만 생각할 때 반사경 2개와 레이저매질을 위치시켜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펄스 또는 연속 발진레이저에서 레이저에 입력되는 에너지가 보통의 경우보다 더 오랫동안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강도의 짧은 레이저펄스를 얻을 수 있다. 즉, 유도방출을 제어하여 레이저에 입력된 에너지가 레이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레이저의 방출시에 고강도의 짧은 레이저펄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방출을 제어하여 고강도의 짧은 펄스를 얻는 종래의 방법중의 하나는 수동 Q-스위치를 이용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레이저매질과 반사경 사이에 포화흡수체(saturable absorber)의 특성을 지닌 수동 Q-스위치용 물질을 위치시키면 된다. 포화흡수체는 처음엔 레이저빔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레이저빔에 대해서 불투명한 상태에 있다가, 일정량의 에너지이상을 흡수하면 레이저빔을 대부분 투과시켜 레이저빔에 대해서 투명해지는 특성을 가진 물질이다. 따라서, 포화흡수체와 같은 수동 Q-스위치 물질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 바뀔 때까지 유도방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강도의 짧은 레이저빔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동 Q-스위치 레이저는 특별한 부대장치없이 수동 Q-스위치 물질만을 사용함으로써 고강도의 짧은 레이저빔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포화흡수체가 일단 투명한 상태로 바뀐 후 다시 불투명한 상태로 돌아갈 때 포화흡수체가 일단 투명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즉 고유수명(lifetime)에 의해서 펄스의 꼬리부가 길어져 비대칭적인 레이저펄스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수동 Q-스위치 레이저는 수동 Q-스위치물질의 특성상 펄스의 꼬리부분이 아주 긴 비대칭적인 펄스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수동 Q-스위치 레이저는 펄스폭변조를 할 수 없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로는 전기광학적 스위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전기광학적 스위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입사하는 레이저광펄스에 대한 2개의 편광기, 즉, 수평편광기와 수직편광기를 그 편광방향이 서로 수직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두 편광기 사이에는 일정한 고전압의 전기적펄스가 인가하는 동안에만 레이저광펄스의 편광을 90°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비선형결정(nonlinear crystal)인 포켈셀(Pockels cell) 등을 위치시켜, 레이저광펄스가 수평편광기에 입사하면 편광기의 특성상 수평편광기의 편광방향인 수평방향의 편광성분만이 투과하게 되고, 레이저광펄스의 지속시간내의 일정시간동안 고전압단펄스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고전압단펄스를 비선형결정에 인가시키게 된다. 이때, 비선형결정을 투과하는 레이저광펄스중에서 고전압단펄스 발생장치에 의해 비선형결정에 인가된 고전압단펄스의 지속시간내에 있는 레이저광펄스는 편광이 90°만큼 회전되어 편광방향이 수직편광으로 바뀌게 되며, 고전압단펄스 지속시간 밖의 레이저광펄스는 편광방향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편광방향이 수평편광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비선형결정을 투과한 레이저광펄스가 수직편광기에 입사될 때에는 수직편광기의 편광방향과 수평편광기의 편광방향이 서로 수직이므로, 편광기의 특성상 수직편광성분을 가진 레이저광펄스만이 수직편광기를 투과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전압단펄스 지속시간내의 레이저광펄스만이 2개의 편광기와 비선형결정을 통과할수 있게 되므로, 레이저광펄스의 펄스폭은 고전압펄스의 지속시간과 같게 되어 펄스폭의 변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전기광학적 Q-스위치 또는 단순한 펄스절단(pulse slicing)의 두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펄스폭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광학적 스위치를 이용한 레이저의 펄스폭 변조는 펄스폭변조가 가능하며, 짧고 대칭적인 펄스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고가의 정밀한 시간조정장치 및 전기적인 고전압단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기기가 복잡해지고 기기의 제작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산업상 실제적으로 이용하는 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가의 정밀한 시간조정장치 및 전기적인 고전압단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고전압단펄스 발생장치 등의 부대장치가 필요없이, 짧고 대칭적인 레이저펄스를 얻을 수 있으며, 레이저펄스의 펄스폭변조가 가능한 수동 Q-스위치 레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는, 레이저매질 및 수동 Q-스위치매질을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에 있어서, 전기한 레이저매질 및 수동 Q-스위치매질에서 방출되는 각각의 방출파장을 전반사할 수 있는 공진반사경 ; 전기한 수동 Q-스위치매질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무반사특성을 지니며 전기한 레이저매질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10% 이상의 반사율을 지닌 이색반사경으로 구성된 주공진반사경 ; 및, 전기한 레이저매질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무반사특성을 지니고, 전기한 수동 Q-스위치매질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10% 이상의 반사율을 지닌 이색반사경으로 구성되며 레이저빔의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부공진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수동 Q-스위치 레이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레이저매질(1)로는 네오듐-야그(Nd : YAG)결정을 사용하고, 수동 Q-스위치(2)로는 포화흡수체의 특성을 가진 리듐플루오리드(LiF : F2 -; LiF로 약칭) 컬러센터결정을 사용하여 구성한 본 발명의 수동 Q-스위치 레이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LiF 컬러센터 결정은 상온에서 안정하고, 고강도의 레이저광입사에 대해서도 안정하며, 수분에 강한 특성을 지녀 네오듐계열의 레이저에 대한 수동 Q-스위치로서 매우 효과적이다. 본 실시에에서는 수동 Q-스위치로 리듐플루오리드 컬러 센터결정을 사용하여 구성하고, 통상의 수동 Q-스위치 레이저와 같이 2개의 반사경으로 구성된 주공진기(main cavity)와 LiF컬러센터 결정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발진시키기 위한 부공진기(auxiliary cavity)로 구성된다. 이때, 주공진기는 공진반사경(3)과 주공진반사경(4)으로 구성되며, 부공진기는 공진반사경(3)과 부공진반사경(5)으로 구성된다. 공진반사경(3)은 주공진기와 부공진기의 양 공진기 모두에서 반사경으로 활용된다. 이때, 공진반사경(3)은 전기한 레이저매질(1) 및 수동 Q-스위치매질(2)에서 방출되는 각각의 방출파장에 대해 전반사 역할을 한다. 주공진반사경(4)은 수동 Q-스위치매질(2)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무반사특성을 지니며, 레이저매질(1)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서는 각각의 레이저매질(1)의 특성과 이중공진기의 구조에 따라 조절된 최소한 10% 이상의 반사율을 지닌 이색반사경(dichromic mirror)으로 구성된다. 또한, 부공진반사경(5)은 레이저매질(1)에서 방출되는 방출과에 대해 무반사특성을 지니며, 수동 Q-스위치매질(2)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서는 각각의 수동 Q-스위치매질(2)의 특성과 이중공진기의 구조에 따라 조절된 최소한 10% 이상의 반사율을 지닌 이색반사경으로 구성되며, 레이저빔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수동 Q-스위치 레이저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주공진기내에 위치한 레이저매질(1)인 Nd : YAG 결정에서 방출되는 광자가 수동 Q-스위치(2)인 LiF 컬러센터결정에 흡수되어 수동 Q-스위치(2)를 투명하게 만든다. 이때, 부공진기내의 LiF컬러센터결정으로 부터의 방출되는 방출광이 부공진기를 구성하는 반사경들에 의해서 발진(lasing)되며, 이렇게 발진된 방출광에 의해 포화흡수체로서의 특성을 지닌 LiF컬러센터결정이 다시 불투명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 Q-스위치 물질의 고유수명에 의해 수동 Q-스위치가 투명한 상태로 유지되어 생성되는 꼬리부분이 긴 레이저펄스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즉, 이중공진기구조를 사용하여 수동 Q-스위치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강제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되어, 짧고 대칭적인 레이저펄스를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부공진반사경(5)을 이동시켜서 부공진기의 길이(6)를 변화시키면, 부공진기내에서 LiF로부터의 방출광이 발진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방출되는 레이저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하여 실험용 레이저를 제작하였으며, 레이저매질로는 길이 10㎝ 및 직경 8.0㎜를 가진 Nd : YAG 막대를 사용하고, 수동 Q-스위치는 F2 -컬러센터를 가진 두께(ιa)가 4.5㎝이고 초기 투과도가 50%인 LiF 결정을 사용하였다. 주공진기는 공진반사경(3)과 주공진반사경(4)으로 구성하였고, 부공진기는 공진반사경(3)과 부공진반사경(5)으로 구성하였다. 이때, 주공진기의 길이(7)와 부공진기의 길이(6)는 각각 ιmc와 ιac로 표시하였다. 공진반사경(3)으로는 곡률반경(R)이 5.0m이고, Nd : YAG와 LiF 결정에서 각각 방출된 이종의 방출광에 대한 전반사경을 사용하였으며, 부공진반사경(5)으로는 곡률반경(R)이 무한대인 평면반사경이고, Nd : YAG결정으로부터 방출된 방출광에 대해서는 거의 무시할만한 반사율인 3%의 반사율을 지니며, LiF결정으로부터 방출된 방출광에 대해서는 90%의 반사율을 갖고 있는 이색반사경을 사용하였다. 또한, 주공진반사경(4)으로는 곡률반사경(R)이 무한대인 평면반사경으로, Nd : YAG결정으로부터의 방출광에 대해서는 20%(R1064nm=20%)의 반사율을 지니며, LiF 결정으로부터의 방출광에 대해서는 무시할만한 반사율인 3%(R1120nm=3%)의 반사율을 지닌 반사경을 사용하였다. 또한, 부공진기의 길이(ιac)(6)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부공진반사경(5)을 이동시켜서 부공진기의 길이(6)를 조절하였다.
레이저출력 펄스파형(pulse profile)을 측정하기 위해서, 0.5나노초(ns)의 파형상승시간(risetime)을 가진 핀포토다이오드(PIN photodiode)를 사용하였고, 파형분석기로는 2기가헤르쯔(GHz)의 실시간 샘플링주파수(real-time sampling frequency)를 가진 디지타이저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공진기의 길이로는 ιmc=90cm, 부공진기의 길이로는 ιac=15, 20, 25 및 30㎝를 유지하였다. 이중공진기구조에서 주공진기와 부공진기의 길이비를 아스펙트비(aspect ration ; AR=ιadmc)로 정의할 때, 아스펙트비는 상기한 각각의 부공진기 길이에 대하여 AR=0.17, 0.22, 0.28 및 0.33의 값을 가지게 된다.
제2도는 전기한 실시예에 의해 측정된 펄스파형과 이론적으로 계산된 결과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2(a)도는 종래의 단일공진기구조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의 펄스파형을 나타낸 것이며, 제2(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공진기구조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펄스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제2(a)도 및 제(b)도에 도시된 레이저펄스의 파형은 15㎝의 부공진기 길이를 사용하여 0.17의 아스펙트비를 지닌 이중공진기구조의 파형으로, 각각의 구조에 의해 방출된 펄스폭을 살펴보면, 종래의 단일공진기구조에서는 제2(a)도에서와 같이 47나노초(ns)의 펄스폭이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 의한 이중공진기구조에서는 제2(b)도에서와 같이 22ns의 펄스폭이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구조에 대한 이론적인 시뮬레이션 결과가 제2(c)도와 제2(d)도에 도시하였는데, 이론치와 실험결과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기한 실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중공진기구조에 대한 규격화된 율방정식(normalized rate equation)들을 구하였다. 율방정식들의 유도를 위해서 통상적인 단일공진기구조의 수동 Q-스위치에 대한 율방정식을 수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율방정식을 얻었다.
전기한 (1), (2), (3) 및 (4)식에서, τ=t/τc=cγmct/2nιmc는 변형기간변수(reduced time variable)이며, τc=2nιmc/cγmc는 수정공진기수명(modified cavity lifetime)이다. 또한, tmc는 주공진기왕복시간(main cavity round-trip time), n은 매질의 굴절율(refractive index), c는 빛의 속도(velocity of light), σ는 유도방출단면적(stimulated emission cross section)을 각각 나타낸다. 아래첨자 m과 α는 각각 Nd : YAG 레이저매질과 LiF 포화흡수체결정(saturable-absorber crystal)을 나타내며, 아래첨자 mc와 αc는 각각 주공진기와 부공진기를 나타낸다. 또한, γmc와 γac는 각각 주공진기와 부공진기 출력경들의 투과율이고, ιmc와 ιac는 주공진기와 부공진기의 길이를 각각 나타내며, 상하준위밀도차(population density differences ; Nm와 Na), 광자밀도(photon desities ; φm: 준공진기내 광자 밀도, φa: 부공진기내 광자밀도)는 발진문턱조건을 사용하여 규격화된 물리량들이다. 아울러, Nm=ΔNm/Nmt이고, 이때 ΔNm은 규격화 이전의 반전밀도이며, Nmtmc/(2σmιmNmtot)이고, Nmt는 주공진기매질의 문턱반전밀도이다. ψmm/(γmc/4σmιm)이고,m 여기에서 Ψm는 규격화되기 이전의 주공진기 광자밀도이며, γmc/4σmιm는 Nmt가 완전히 주공진기의 1064nm 출력광자로 변환될 때의 주공진기 문턱광자밀도이다. 또한, φaa/(γac/2σaιa)이고 Ψa는 규격화되기 이전의 부공진기광자밀도이며, γac/2σaιa는 부공진기내의 문턱반전밀도가 완전히 1120nm 출력광자로 변환될 때의 부공진기 문턱광자밀도이고, Nmi는 Q-스위칭이 시작될 때 주공진기레이저매질의 초기밀도반전이다. 이때, 상기식에서 LiF 컬러센터결정이 4-준위 레이저와 같이 동작한다고 가정하였다.
제2(c)도 및 제2(라)도에서는 컴퓨터 시물레이션에 의해서 얻어진 φm(t), Nm(t), φa(t) 및 Na(t)의 시간에 따른 변화곡선을 도시하였다. 제2(c)도는 단일공진기구조에 대한 것이며, 제2(d)도는 이중공진기구조에 대한 것으로, 제2(c)도 및 제2(d)도에서 왼쪽 수칙축은 광자밀도((φm(t) 및 φa(t))를 나타내며, 오른쪽 수칙축은 상하준위밀도차(Nm(t) 및 Na(t))를 나타낸다. 이때, 제2(c)도에서는 Nm(O)/Nmt=2, 제2(d)도에서는 Nm(O)/Nmt=3이 각각 사용되었다. 제2(c)도의 곡선으로부터 꼬리 부분이 긴 출력펄스파형을 볼수 있는데, 이것은 보통의 단일공진기구조에서의 수동 Q-스위치 펄스에 대한 전형적인 형태이다. 단일공진기구조에서는 포화흡수체인 Q-스위치가 1064nm의 파장을 지닌 주공진기출력광자를 흡수하여 일단 투명해지면, 투명한 상태가 계속 유지되게 된다. 여기에서는 Na(t)에 대한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빠르게 일어나는 Q-스위치과정보다 충분히 느린 포화흡수체로부터의 자발적 천이(spontaneous transition)과정을 무시하였다. 전기한 자발적 천이과정을 고려한다면, φm(t)가 없어진 다음, 자발적천이에 의해서 Na(t)곡선이 원래대로 광을 흡수하는 불투명한 상태로 천천히 복귀하는 미미한 변화만이 생기게 된다. 제2(d)도에 도시된 φm(t)곡선에서 볼 수 있듯이, 이중공진기구조에는 방출되는 레이저펄스가 거의 대칭적인 펄스모양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포화흡수체의 재불투명화(reclosing)에 의해 단일공진기레이저에서 나타나는 펄스의 긴 꼬리부가 절단되는 데, 상기한 재불투명화는 제2(d)도의 Na(t)곡선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이때의 재불투명화는 1120nm 파장을 가진 부공진기광자의 발진에 의해서 발생된 것이다[제2(d)도의 φa(t)곡선 참조].
제3도는 이중공진기구조에서의 아스펙트비(AR)에 대한 펄스폭의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제3도의 실선은 이론적인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31, 32, 33, 34)는 실험을 통해 얻은 값의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펙트비가 감소함에 따라 방출되는 펄스폭은 보통의 단일공진기구조(single-cavity configuration ; SCC)에서의 47ns로부터 24 내지 32ns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스펙트비가 0.17보다 작을 경우(ιac15㎝)에는 모드비티효과(mode-beating)와 동시에 일어나는 Q-스위치 및 모드록킹된 펄스가 관측되었다. 이에 따라, 0.17 미만의 아스펙트비에서는 펄스폭을 측정할 수 없으며, 본 실시예의 이중공진기를 구성하는 광학부품들의 배치구조에 의해 0.33 이상의 아스팩트비에서는 실험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아스펙트비를 조절함에 의해, 이중공진기구조에 의해 방출되는 레이저펄스폭을 32nm로부터 24nm까지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스펙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펄스폭이 커지는 이유는 아스펙트비가 큰 경우보다 작은경우에 1120nm 광자가 더 쉽게 발진하고, 이에 따라 재불투명화가 더 빨리 진행되기 때문이다. 전기 실시예에서는 아스펙트비를 변화시킬 때 실험장치의 기하학적 배치구조 때문에 0.17과 0.33 사이의 범위로 제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다른 종류의 레이저매질을 사용하고 이에 적절한 물질을 수동 Q-스위치로 선택한 다음, 이중공진기의 기하학적 배치를 조정한다면 아스펙트비의 변화범위를 더욱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레이저매질로는 Nd : YAG레이저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ND : glass를 사용하며, 수동 Q-스위치매질로는 LiF 컬러센터결정이나 색소(dye)를 사용하고, 부공진반사경과 주공진반사경을 각각의 레이저매질과 수동 Q-스위치매질로 부터의 방출파장에 해당하는 파장의 반사경 코팅(coating)을 하여 이중공진기 레이저를 구성하거나, 레이저매질로 Nd : YAG 대신에 이산화탄소(CO2)를 사용하고, 수동 Q-스위치매질로는 LiF 컬러센터결정 대신에 SF6등의 다른 포화흡수체를 사용하여 포화흡수체의 방출파장과 이산화탄소의 방출파장에 대한 반사경 코팅을 사용함으로써, 이중 공진기레이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Nd : YAG레이저 또는 다른 레이저를 주공진기용 레이저로 사용하고 수동 Q-스위치로서 LiF 또는 다른 물질을 사용하며, 이에 해당하는 반사경 코팅을 사용함으로써,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레이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는 수동 Q-스위치와 함께 주공진기와 부공진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이중공진기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고가의 정밀한 시간조정장치 및 전기적인 고전압단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고전압단펄스 발생장치 등의 부대장비없이도 수동 Q-스위치의 재불투명화 현상에 의한 대칭적인 파형을 지닌 레이저펄스를 얻을 수 있으며, 아스펙트비를 조절하여 레이저펄스의 펄스폭 변조를 이룰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4)

  1. 레이저매질 및 수동 Q-스위치매질을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에 있어서, 전기한 레이저매질 및 수동 Q-스위치매질에서 방출되는 각각의 방출파장을 전반사하기 위한 공진반사경 ; 전기한 수동 Q-스위치매질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무반사특성을 지니며 전기한 레이저매질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10%이상의 반사율을 지닌 이색반사경으로 구성된 주공진반사경 ; 및, 전기한 레이저매질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무반사특성을 지니고 전기한 수동 Q-스위치매질에서 방출되는 방출광에 대해 10% 이상의 반사율을 지닌 이색반사경으로 구성되며 레이저빔의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부공진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공진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매질은 Nd : YAG 및 Nd : glass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공진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3. 제1항에 있어서, 수동 Q-스위치매질은 LiF 및 색소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레이저매질은 CO2로 구성하며 수동 Q-스위치는 SF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KR1019950003777A 1995-02-25 1995-02-25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KR0149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777A KR0149770B1 (ko) 1995-02-25 1995-02-25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US08/605,359 US5675596A (en) 1995-02-25 1996-02-22 Passively Q-switched laser with a dual-cavity configu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777A KR0149770B1 (ko) 1995-02-25 1995-02-25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815A KR960032815A (ko) 1996-09-17
KR0149770B1 true KR0149770B1 (ko) 1998-12-01

Family

ID=1940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777A KR0149770B1 (ko) 1995-02-25 1995-02-25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75596A (ko)
KR (1) KR0149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702175D0 (sv) 1997-06-06 1997-06-06 Geotronics Ab A laser
US6292504B1 (en) * 1999-03-16 2001-09-18 Raytheon Company Dual cavity laser resonator
BE1013518A6 (fr) * 1999-05-03 2002-03-05 Univ Notre Dame De La Paix Mode-blocage d'un laser pulse par combinaison d'un miroir non-lineaire et d'un limiteur d'intensite.
US6553054B1 (en) 2000-06-08 2003-04-22 The Boeing Company Laser resonator having improved efficiency and beam uniformity and associated method
US6490299B1 (en) 2000-07-20 2002-12-03 Troitski Method and laser system for generating laser radiation of specific temporal shape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laser-induced damage images
JP4407039B2 (ja) * 2000-11-02 2010-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固体レーザ装置および固体レーザ装置システム
WO2003007438A1 (en) * 2001-07-12 2003-01-23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Q-switched laser
US7039076B2 (en) * 2001-08-10 2006-05-02 Jds Uniphase Corporation Fiber amplifier system for producing visible light
US6795465B2 (en) * 2002-04-11 2004-09-21 Kulite Semiconductor Products, Inc. Dual layer color-center patterned light source
US7116687B2 (en) * 2003-09-12 2006-10-03 Jds Uniphase Corporation High repetition rate passively Q-switched laser for blue laser based on interactions in fiber
US7396706B2 (en) * 2004-12-09 2008-07-08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Synchronization technique for forming a substantially stable laser output pulse profile having different wavelength peaks
US7289549B2 (en) * 2004-12-09 2007-10-30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Lasers for synchronized pulse shape tailoring
CA2643955C (en) * 2007-11-20 2013-12-3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gb laser light
US8000373B2 (en) * 2007-11-20 2011-08-1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GB laser light
RU2444100C1 (ru) * 2010-07-29 2012-02-27 Андрей Васильевич Устинов Импульсный лазер с кросс-модуляцией лазерных элементов
TWI448024B (zh) * 2010-09-20 2014-08-01 Ind Tech Res Inst 環形迴路光學系統及全光纖式q-開關雷射
FR3073098B1 (fr) * 2017-10-26 2021-01-22 Silltec Source laser a solide
CN109412009A (zh) * 2018-11-12 2019-03-01 北京工业大学 双谐振腔耦合的全光纤化调q锁模脉冲激光器
US11183808B2 (en) * 2019-03-20 2021-11-23 Coherent Lasersystems Gmbh & Co. Kg Excimer laser with uniform beam
US12003072B2 (en) * 2019-07-16 2024-06-04 Nichia Corporation Q switch resonator, and pulse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2764A3 (en) * 1987-10-19 1991-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 data processor having multiple execution units for processing plural classes of instructions in parallel
US5195104A (en) * 1991-10-15 1993-03-16 Lasen, Inc. Internally stimulated optical parametric oscillator/laser
US5394413A (en) * 1994-02-08 1995-02-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assively Q-switched picosecond microla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75596A (en) 1997-10-07
KR960032815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770B1 (ko) 이중공진기구조를 지닌 수동 q-스위치 레이저
EP0744089B1 (en) Passively q-switched picosecond microlaser
US6834064B1 (en) Mode-locked thin-disk laser
US4048515A (en) Broadband laser with intracavity crystal for generating second harmonic radiation
Bass Electrooptic Q switching of the Nd: YVO 4 laser without an intracavity polarizer
EP1236249B1 (en) Mode-locked thin-disk laser
US50461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ssive mode locking high power lasers
Clarkson et al. Acousto-optically induced unidirectional single mode operation of a Q-switched miniature Nd: YAG ring laser
De Rougemont et al. Evidence of strong Auger recombination in semiconductor‐doped glasses
JPH04229674A (ja) 光デバイス
US5414724A (en) Monolithic self Q-switched laser
US4233569A (en) High power laser with tuning and line narrowing capability
Munin et al. Broadband, intensity dependent absorption in tetravalent chromium‐doped crystals
Liu et al. Single-frequency Q-switched Cr, Nd: YAG laser operating at 946-nm wavelength
JP3053943B2 (ja) 非線形自己集束素子を使用するモード同期レーザ
Massey et al. Wavelength-tunable optical mixing experiments between 208 nm and 259 nm
Koechner et al. Q-switching
CN109510059B (zh) 一种输出长脉冲的调q激光器
JP3171265B2 (ja) 固体パルスレーザ装置
Ferrario A picosecond dye laser tunable in the 1.1 μ m region
Dienes Mode-locked CW dye lasers
RU2206162C2 (ru) Импульсный твердотельный лазер с каскадным преобразованием частоты излучения в высшие гармоники
Kato Efficient ultraviolet generation of 2073-2174 Å in KB 5 O 8/4H 2 O
Clarkson et al. Single frequency Q-switched operation of a laser dipole-pumped, Nd: YAG ring laser
Soccolich et al. Passively mode locked femtosecond color center lasers in the erbium gain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