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748B1 - Brake control device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Brake control device of a vehicl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748B1
KR0149748B1 KR1019950067155A KR19950067155A KR0149748B1 KR 0149748 B1 KR0149748 B1 KR 0149748B1 KR 1019950067155 A KR1019950067155 A KR 1019950067155A KR 19950067155 A KR19950067155 A KR 19950067155A KR 0149748 B1 KR0149748 B1 KR 014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ontrol
modulator
slip rate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22020A (en
Inventor
아츠오 오타
다쿠시 마츠토
카즈히코 타니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6002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0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7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5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responsive to speed and another condition or to plural spee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10ABS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한 모듈레이터에 의해 전후 양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제어하도록 한 것 외에, 앤티로크 브레이크제어를 할 때의 제어의 수속성을 높인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을 좌표축으로 한 직교좌표상에서 전륜슬립율의 증대에 따라 후륜슬립율이 저하되는 함수관계를 가진 목표슬립율 라인을 정하고, 목표슬립율 라인의 상부측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 목표슬립율 라인으로부터 소정폭만큼 하부까지의 불감대영역 및 상기 불감대영역보다 하부쪽의 브레이크 증력제어영역을 각각 정해 둠과 동시에, 전륜 및 후륜슬립율에 의거해서 정해진 상기 직교좌표상의 슬립율 현재위치가 어느 제어영역에 있는지에 의거해서 브레이크 제어모드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의거해서 모듈레이터의 제어량을 정함과 동시에, 슬립율 현재위치가 불감대 영역에 있을 때의 브레이크 제어모드에서는 모듈레이터의 제어량을「0」으로 정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control device which increases the convergence of control when anti-lock brake control is performed,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brake force of the front and rear two-wheel brakes by a single modul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wheel slip ratio and a rear wheel.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with the slip ratio as the coordinate axis, a target slip rate line having a func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rear slip rate decreases as the front slip rate increases is determined, and from the upper brake brake control region and target slip rate lin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The dead zone up to the lower portion by the predetermined width and the brake booster control zone below the dead zone are respectively defined, and the control region is at which the slip ratio current position on the rectangular coordinates determined based on the front and rear wheel slip ratios. The brake control mode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tenderness and at the same time, the slip rate brake control mode when the dead zone area, the current position to determine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to "0".

Description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Vehicle brake control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스쿠터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scoot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제1도의 스쿠터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scooter of FIG.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장치의 전체구성도.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륜브레이크측 및 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의 모듈레이터와의 연결부를 도시한 측면도.4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with a modulator of a front wheel brake side and a rear wheel brake side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따른 모듈레이터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dulator along line 5-5 of FIG.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감쇠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amping mechanis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제6도의 7-7선 확대단면도.7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 조작시의 연동브레이크 특성을 도시한 도면.8 is a view showing the interlocking brake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operating the front wheel brake operating l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 조작시의 연동브레이크 특성을 도시한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interlocking brake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rear brake operating l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주행정보 산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ving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킹상태 판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reaking state determi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모드 판정시 조건A의 성립요건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13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requirements of the condition A when determining the brake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모드 판정시 조건B의 성립요건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14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requirements of condition B in determining the brake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추정 차체속도에 따른 CBS시 듀티차속 보정계수의 설정맵을 도시한 도면.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ting map of a duty vehicle speed correction coefficient during CBS according to an estimated vehicle sp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1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표슬립율 라인을 도시한 도면.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rget slip rate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브레이크 입력모드에 의한 목표슬립율 라인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FIG. 17 is a view showing a change of a target slip rate line by a brake input mo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1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ABS제어 및 비ABS제어에 따른 목표슬립율 라인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18 is a view showing a change of a target slip rate line according to ABS control and non-ABS contro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9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차속에 따른 목표슬립율 라인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19 is a view showing a change of a target slip rate line according to vehicle spe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불감대영역의 폭의 브레이크 제어모드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brake control mode of the width of the dead zon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5 : 모터 45F: 전륜속도센서15: motor 45 F : front wheel speed sensor

45R: 후륜속도센서 52 : 제어량 결정수단45 R : rear wheel speed sensor 52: control amount determining means

53 : 모듈레이터 구동수단 61F,61R: 슬립율 산출수단53: modulator drive means 61 F , 61 R : slip rate calculation means

64 : 판정수단으로서의 브레이크입력·제어모드 판정수단64: brake input / control mode determination means as determination means

66 : 목표슬립율 결정수단 BF: 전륜브레이크66: means for determining the target slip rate B F : front wheel brake

BR: 후륜브레이크 C : 제어유닛B R : Rear brakes C: Control unit

M : 모듈레이터 WF: 전륜M: Modulator W F : Front wheel

WR: 후륜W R : Rear wheel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후의 차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단일 모듈레이터에 의해 가변으로 하여 브레이크 제어를 행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in which brake control of front and rear wheel brakes is varied by a single modulator to perform brake control.

전후의 차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가변으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2-234869호 공보 등에 의해 이미 공지되어 있다.A brake control device for varying the brake force of front and rear wheel brakes is already known, for example, by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234869.

상기 일본국 특개평 2-234869호 공보에 의해 개시된 것은 차륜브레이크마다 모듈레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코스트 및 중량이 증대하여 코스트가 낮은 차량 예를들면 스쿠터 등에 적용하기가 곤란하였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2-234869 discloses that since a modulator is required for each wheel brake,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vehicle having a low cost such as a scooter due to an increase in cost and weigh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단일한 모들레이터에 의해 전륜브레이크 및 후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이미 제안(일본국 특원평 6-108753호)한 바 있다. 그러나, 단일 모듈레이터에 의해 전륜 및 후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단순히 제어할 경우에는 전륜 및 후륜브레이크가 서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륜 및 후륜의 슬립율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없어서 전륜 및 후륜의 슬립율을 신속하고 적절한 값으로 수속시키도록 제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applicant has already propos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6-108753)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brake force of the front wheel brake and the rear wheel brake by a single modulator. However, when the brake force of the front and rear brakes is simply controlled by a single modulator, the front and rear brakes influence each other, so the slip ratios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cannot be controlled independently, so that the slip rates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cannot be controlled independently. It is desirable to control so as to converge at a quick and appropriate value.

그래서,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을 좌표축으로 한 직교좌표상에 목표슬립율 라인을 정함과 동시에, 상기 목표슬립율 라인의 상부측에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 목표슬립율 라인의 하부측에 브레이크 증력제어영역을 각각 정하고, 현재의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로 정해지는 상기 직교좌표상에서의 슬립율 현재위치가 어떤 제어영역에 있는지에 따라 모듈레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전륜 및 후륜의 슬립율을 신속하고 적절한 값으로 수속시키도록 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그런데도, 브레이크 감력제어에 의해 목표슬립율 라인보다 하부측에 전후 양륜의 슬립율이 이행되었을 때 바로 브레이크 증력제어를 행하는 것은 슬립율이 다시 커지므로 제어의 수속성을 방해하게 된다.Therefore, the target slip rate line is defined on the rectangular coordinates with the front wheel slip rate and the rear wheel slip rate as the coordinate axis, and the brake force control area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and the brake power is appli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By setting the control area respectively and controlling the modulator according to which control area the slip rate in the rectangular coordinates, which is determined by the current front wheel slip ratio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is used to quickly and appropriately adjust the slip ratio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It was considered to proceed with the value. Nevertheless, performing brake boost control immediately when the slip ratio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has been shifted to the lower side than the target slip ratio line by the brake force control causes the slip ratio to be large again, which hinders control convergence.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일한 모듈레이터에 의해 전후 양륜 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제어하도록 한 것 외에,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를 할 때의 제어의 수속성을 높인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provides a brak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in which a single modulator is used to control the braking force of the front and rear two-wheel brakes, and the control convergence of the anti-lock brake control is enhanced. It aims to do 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전륜에 장착된 전륜브레이크와, 후륜에 장착된 후륜브레이크와, 전륜 및 후륜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단일 모듈레이터와, 전륜속도센서와, 후륜속도센서와, 모듈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전륜 및 후륜속도센서의 검출치에 의거해서 전륜 및 후륜슬립율을 산출하는 슬립율 산출수단과,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을 좌표축으로 한 직교좌표상에서 전륜슬립율의 증대에 따라 후륜슬립율이 저하되는 함수관계를 가진 목표슬립율 라인을 정하는 목표슬립율 결정수단과, 목표슬립율 라인의 상부측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 목표슬립율 라인으로부터 소정폭 만큼 하부까지의 불감대영역 및 상기 불감대영역보다 하부측의 브레이크 증력제어영역을 각각 정해둠과 동시에, 상기 슬립율 산출수단에서 얻어진 전륜 및 후륜슬립율에 의거해서 정해지는 상기 직교좌표상의 슬립율 현재위치가 어느 제어영역에 있는지에 의거해서 브레이크 제어모드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의거해서 모듈레이터의 제어량을 정함과 동시에 슬립율 현재위치가 불감대영역에 있을 때의 브레이크 제어모드에서는 모듈레이터의 제어량을「0」으로 정하는 제어량 결정수단과, 상기 제어량 결정수단에서 얻어진 제어량에 의거해서 모듈레이터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모듈레이터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of claim 1 is a front wheel brake mounted on the front wheel, a rear wheel brake mounted on the rear wheel, a single modulator capable of changing the brake force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brake, a front wheel speed sensor, A rear wheel speed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dul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slip rat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front wheel and rear wheel slip ratios based on detection values of the front wheel and rear wheel speed sensors; A target slip rate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 target slip rate line having a functional relationship in which rear wheel slip rate decreases with an increase in front wheel slip rate on an orthogonal coordinate with the rear wheel slip rate as a coordinate axis; and brake brake control on the upper sid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Area, dead zone from the target slip rate line to the lower portion by a predetermined width, and brake booster control area below the dead zone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the brake control mode on the basis of which control region the slip position present position on the rectangular coordinate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obtained by the slip rate calculation means is determined, respectively; Control amount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means and for setting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to "0" in the brake control mode when the slip ratio current position is in the dead zone; and the control amount determination means. And modulator driving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for driving the modulator on the basis of the control amount obtained in the above.

또한, 청구항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판정수단은 슬립율 현재위치가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으로부터 벗어난데 따른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에 불감대영역의 폭을 점증시킨다.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determining means further includes the dead zone in the non-antilock brake control in which the slip rate current position is out of the brake force control region. Increment the width.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제어량 결정수단은 슬립율 현재위치의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으로부터 목표슬립율 라인의 하부측으로의 이행시 소정 시간만큼은 목표슬립율 라인 및 슬립율 현재위치 사이의 거리에서 불감대영역의 폭을 감산한 값에 의거해서 브레이크중력측으로의 모듈레이터의 제어량을 정하고, 상기 소정시간 경과후에는 브레이크증력측으로의 모듈레이터의 제어량을 일정하게 정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3,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control amount determining means is provid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e time of the shift from the brake force control region at the slip posi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to the brake gravity sid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ubtracted width of the dead zone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slip rate line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lip rat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to the brake force side is fixed. Decide on

청구항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하여, 모듈레이터는 브레이크를 걸 수 있는 모터를 구비하며, 모듈레이터 구동수단은 모듈레이터의 제어량이 「0」일 때에 모터에 발전브레이크를 건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modulator includes a motor capable of applying a brake, and the modulator driving means applies the power generation brake to the motor when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is "0". Hang.

상기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이 모두 적절한 값이 되는 목표슬립율 라인이 전후 어느 한쪽의 슬립율 저하분을 다른쪽 슬립율 증가로 보충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그 목표슬립율 라인에 전후 양륜의 슬립율을 일치시키도록 모듈레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전후 양륜에서 적절한 슬립율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목표슬립율 라인의 하부측에 불감대영역을 정하고, 이 불감대영역에서는 모듈레이터의 제어량을 「0」으로 함으로써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 실행시에 모듈레이터로부터의 어시스트력 부여로 인한 슬립율 증가를 회피하여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의 수속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target slip rate line, in which both the front wheel slip ratio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are appropriate values, is set so as to supplement the slip ratio decrease of on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with the increase of the other slip ratio, By controlling the modulator to match the slip rate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to the target slip rate line,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an appropriate slip ratio in the front and rear wheels. In addition, a dead zone is defin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and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is set to "0" in this dead zone to avoid an increase in slip rate due to the assist force from the modulator during antilock brake control.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rgence of the anti-lock brake control.

또, 상기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불감대영역의 폭을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에는 작게 함과 동시에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에는 크게 함으로써,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의 슬립율 안정화 및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의 차체안정성을 양립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폭의 변화가 완만함에 따라 제어의 거동변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2, the width of the dead zone is made smaller during anti-lock brake control and larger during non-anti-lock brake control, thereby stabilizing and ratio of slip rate during anti-lock brake control. The vehicle body stability at the time of anti-lock brake control can be made compatible, and the change in the behavior of the control can be suppressed small as the change in the width is moderate.

상기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슬립율 현재위치의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으로부터 목표슬립율 라인의 하부측으로의 이행시 브레이크력의 증가를 억제하여 뜻하지 않게 슬립율이 증대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3,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brake force at the time of shifting from the brake force control region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lip rate to the lower sid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to avoid an unexpected increase in the slip rate. do.

또한, 상기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모듈레이터 제어량을 「0」이라 할 때, 모터에 발전브레이크를 걸므로써 슬립율의 수속을 보다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4, when the modulator control amount is " 0 ", it is possible to speed up the slip ratio by applying a power generation brake to the motor.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 내지 제2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스쿠터의 측면도,1 to 20 sh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side view of the scoot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제1도의 스쿠터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scooter of FIG. 1,

제3도는 브레이크장치의 전체구성도,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rake device,

제4도는 전륜브레이크측 및 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의 모듈레이터와의 연결부를 도시한 측면도,4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with a modulator of the front wheel brake side and rear wheel brake side transmission systems,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따르는 모듈레이터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dulator along line 5-5 of FIG. 4,

제6도는 감쇠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amping mechanism;

제7도는 제6도의 7-7선 확대단면도,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제8도는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 조작시의 연동브레이크 특성을 도시한 도면,8 is a view showing the interlocking brake characteristics when operating the front wheel brake lever;

제9도는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 조작시의 연동브레이크 특성을 도시한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interlocking brake characteristics when operating the rear brake operating lever;

제10도는 제어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제11도는 주행정보 산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vel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제12도는 브레이킹 상태판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eaking status judgment unit;

제13도는 브레이크 제어모드 판정시의 조건 A의 성립요건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13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requirements of the condition A in determining the brake control mode;

제14도는 브레이크 제어모드 판정시의 조건 B의 성립요건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14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requirements of the condition B at the time of determining the brake control mode;

제15도는 추정 차체속도에 따른 CBS시 듀티차속 보정계수의 설정맵을 도시한 도면,FIG. 15 is a diagram showing a setting map of the duty vehicle speed correction coefficient at CBS according to the estimated vehicle speed; FIG.

제16도는 목표슬립율 라인을 도시한 도면,16 is a diagram showing a target slip rate line;

제17도는 브레이크 입력모드에 의한 목표슬립율 라인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17 is a view showing a change of a target slip rate line by a brake input mode;

제18도는 ABS제어 및 비ABS제어에 의한 목표슬립율 라인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18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by ABS control and non-ABS control;

제19도는 차속에 따른 목표슬립율 라인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19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target slip rate lin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제20도는 불감대 폭의 브레이크 제어모드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brake control mode of the deadband width.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이 스쿠터의 차체프레임(F)은 헤드파이프(1)를 그 전단부에 구비한 것으로써, 헤드파이프(1)에 의해 조향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티어링 칼럼(2)에 연결된 좌,우 한쌍의 프론트포크(3)(3)를 통해 전륜(WF)이 차체프레임(F)에 현가된다. 또한, 차체프레임(F)의 중간부에는 상기 차체프레임(F)에 탑재된 엔진(도시생략)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트랜스미션을 내장한 미션케이스(4)가 요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미션케이스(4)의 리어부에는 후륜(WR)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First, in FIGS. 1 and 2, the body frame F of the scooter is provided with a head pipe 1 at its front end, and a steering column steerably supported by the head pipe 1. The front wheels W F are suspended in the body frame F through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forks 3 and 3 connected to (2). In addition, the middle case of the body frame (F), the mission case (4) containing a transmission for transmitting power from the engine (not shown) mounted on the body frame (F) is connected to the swingable, the mission The rear wheel W R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4.

후륜(WR)에는 작동레버(56R)의 작동량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발휘하는 종래 주지의 기계식 후륜브레이크(BR)가 장착되며, 전륜(WF)에는 작동레버(5F)의 작동량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발휘하는 종래 주지의 기계식 전륜브레이크(BF)가 장착된다.The rear wheel W R is equipped with a conventionally known mechanical rear wheel brake B R which exerts a brake for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56 R , and the front wheel W F is operated with the operating lever 5 F. The conventional well-known mechanical front wheel brake B F which exhibits the brake force according to the quantity is mounted.

또한, 스티어링 칼럼(2)의 상단에 연결된 스티어링 핸들(6)의 좌,우 양단에는 손잡이부(6L)(6R)가 배설되고, 스티어링 핸들(6)의 좌측단부에는 손잡이부(6L)를 잡은 왼손으로 조작가능한 후륜브레이크 조작부재로서의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가 회전지지되며, 스티어링 핸들(6)의 우측단부에는 손잡이부(6R)를 잡은 오른손으로 조작가능한 전륜브레이크 조작부재로서의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 (LR)가 회전지지된다.Further,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teering handle 6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column (2), the handle portion (6 L) (6, R) is arranged, a left end portion of the steering wheel 6, the handle part (6 L The rear brake control lever L R as a rear brake operating member which can be operated with the left hand holding the) is supported by rotation, and the front brake operation member operable with the right hand holding the handle 6 R at the right end of the steering wheel 6. The front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R is rotated and supported.

제3도를 함께 참조하면,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와 후륜브레이크(BR)의 작동레버(5R)는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후륜브레이크(BR)에 기계적으로 전달가능한 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R)을 통해 연결되며,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F)와 전륜브레이크(BF)의 작동레버(5F)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레버(LF)의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전륜브레이크(BF)에 기계적으로 전달가능한 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F)을 통해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3 with the rear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R) and the rear wheel brake (B R) operating lever (5 R) of the rear wheel brake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rear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R) brake (B R) to be connected with the rear wheel brake side of the delivery system (T R) can pass the mechanical front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F) and a front wheel brake (B F the operating lever (5 F) in) is the brake control lever (L The brake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F ) is connected via the front wheel brake side transmission system T F which can be mechanically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brake B F.

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R)은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에 일단이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7R)과,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7R)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감쇠구(8R)와, 감쇠기구(8R)의 타단에 일단에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9R)과, 브레이크 케이블(9R)의 타단에 연결된 전동레버(10R)와, 후륜브레이크(BR)의 작동레버(5R) 및 전동레버(10R)사이를 연결하는 브레이크 케이블(11R)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케이블(9R)(11R)은 브레이크 케이블(9R)의 견인작동에 따른 전동레버(10R)의 회동에 의해 브레이크 케이블(11R)에 견인력이 작동하도록 전동레버(10R)에 연결된다. 또한, 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F)은 상기 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R)과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써,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F)에 일단이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7F)과,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7F)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감쇠기구(8F)와, 감쇠기구(8F)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9F)과, 브레이크 케이블(9F)의 타단에 연결된 전동레버(10F)와, 전륜브레이크(BF)의 작동레버(5F) 및 전동레버(10F) 사이를 연결하는 브레이크 케이블(11F)로 이루어진다.A rear wheel brake side of the delivery system (T R) is a rear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R) i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rake cable (7 R) and the brake cable and the damping sphere (8 R)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7 R) , an electric lever (10 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amping mechanism brake cabl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other end of (8 R) (9 R), and the brake cable (9 R), the actuating lever (5 of a rear wheel brake (B R) R ) and a brake cable (11 R ) connecting between the electric lever (10 R ), the brake cable (9 R ) (11 R ) is an electric lever (10 R ) in accordance with the traction operation of the brake cable (9 R ). )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lever (10 R ) so that the traction force is actuated on the brake cable (11 R ). Further, the front wheel brake side of the delivery system (T F) is as being configured as the rear wheel brake side of the delivery system (T R), the front wheel brake operating leve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rake cable (7 F) to (L F) and the a brake cable (7 F) one end and is connected to a damping mechanism (8 F) to the other end, a damping mechanism end is connected to the brake cable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8 F) (9 F) with,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rake cable (9 F) It comprises a transmission lever (10 F), and a front wheel brake (B F) the operating lever (5 F) and the electric lever (10 F) a brake cable (11 F) connecting between the.

그러나, 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R)의 중간부에 있어서 전동레버(10F) 및 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F)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전동레버(10F)에는 모듈레이터(M)가 연결되며, 이 모듈레이터(M)는 유성치차기구(14)와, 회전방향을 정 ·역 자유로이 절환가능하게 하여 유성치차기구(14)에 회전입력을 인가함과 동시에 비통전시의 자유회전이 가능하여 발전브레이크를 거는 것도 가능하게 한 모터(15)로 구성된다.However, the modulator M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lever 10 F in the middle of the rear brake side transmission system T R and the electric lever 10 F in the middle of the front wheel brake side transmission system T F. The modulator (M) enables the planetary gear mechanism (14) and the rotation direction to be freely reversed and reversed so as to apply a rotational input to the planetary gear mechanism (14) while enabling free rotation during non-energization. It consists of the motor 15 which made it possible to apply a brake.

제4도 및 제5도를 함께 참조하면, 모듈레이터(M)의 케이싱(16)은 모터(15)가 장착된 제1케이스부재(17)와, 모터(15)와는 반대쪽에서 제1케이스부재(17)에 결합된 제2케이스부재(18)와, 제1케이스부재(17)와는 반대쪽에서 제2케이스부재(18)에 결합된 제3케이스부재(19)로 구성되며, 유성치차기구(14)는 케이싱(16)내에 형성된 기어실(21)에 수납되고, 후륜브레이크측 및 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R)(TF) 중간부의 전동레버(10R)(10F)는 제3케이스부재(19)와 제3케이스부재(19)에 결합된 커버(20) 사이에 형성된 작동실(22)에 회동작동을 가능하게 하여 수납된다. 또한, 모터(15)는 그 출력축(23)을 기어실(21)내에 돌입시키도록 케이싱(16)의 제1케이스부재(17)에 결합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ogether, the casing 16 of the modulator M includes a first case member 17 on which the motor 15 is mounted, and a first case member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motor 15. And a second case member 18 coupled to the second case member 18, and a third case member 19 coupled to the second case member 18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first case member 17. ) is accommodated in a gear chamber 21 formed in the casing 16, the rear wheel brake side and a front wheel brake side of the delivery system (T R) (T F) transmission lever (10 R) (10 F portion in the middle) is the third case The operating chamber 22 formed between the member 19 and the cover 20 coupled to the third case member 19 is accommodated to enable the rotation operation. The motor 15 is also coupled to the first case member 17 of the casing 16 so as to drive the output shaft 23 into the gear chamber 21.

유성치차기구(14)는 선기어(24), 링기어(25) 및 선기어(24)와 링기어(25)에 맞물린 다수의 유성기어(26‥·)를 지지하는 유성캐리어(34)를 구비한 것이며, 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R)의 전동레버(10F)가 링기어(25)에, 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F)의 전동레버(10F)가 유성캐리어(34)에, 모터(15)의 출력축(23)은 선기어(24)에 각각 연결된다.The planetary gear mechanism 14 includes a sun gear 24, a ring gear 25, and a planet carrier 34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planet gears 26 ... engaged with the sun gear 24 and the ring gear 25. will, in the electric lever (10 F), the transmission lever (10 F), the planet carrier 34 of the ring gear 25, the front wheel brake side of the delivery system (T F) of the rear wheel brake side of the delivery system (T R), The output shaft 23 of the motor 15 is connected to the sun gear 24, respectively.

케이싱(16)에 있어서의 제1케이스부재(17)에는 모터(15)의 출력축(23)과 평행한 축선을 가지며 기어실(21)에 배치된 회전축(27)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27)은 그 타단을 작동실(22)에 돌입시키도록 제3케이스부재(19)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한다. 이 회전축(27)의 기어실(21)내에 있어서의 중간부에는 반경방향 외부로 뻗은 플랜지부(27a)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27a)와, 제1케이스부재(17) 사이에서 회전축(27)에는 선기어(24)와, 모터(15)의 출력축(23)에 배설된 구동기어(28)에 맞물려서 선기어(2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피동기어(29)가 회전축(27)과의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장착된다. 따라서, 모터(15)는 구동기어(28) 및 피동기어(29)를 통해 선기어(24)에 연결되게 된다.The first case member 17 in the casing 16 has an axis parallel to the output shaft 23 of the motor 15 and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27 disposed in the gear chamber 21 is rotatably supported. The rotary shaft 27 rotatably penetrates through the third case member 19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27 enters the operation chamber 22. The intermediate part in the gear chamber 21 of this rotating shaft 27 is provided with the flange part 27a extended radially outside, and is rotated between the said flange part 27a and the 1st case member 17. As shown in FIG. In (27), the driven gear (29) fixedly coupled to the sun gear (24) in engagement with the sun gear (24) and the drive gear (28) disposed on the output shaft (23) of the motor (15) is relative to the rotation shaft (27). It is mounted to enable rotation. Thus, the motor 15 is connected to the sun gear 24 through the drive gear 28 and the driven gear 29.

또한, 작동실(22)내에서 회전축(27)의 단부에는 전동레버(10F)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전동레버(10F)와 상기 플랜지부(27a) 사이에는 회전축(27)을 동축에 감싸면서 원통체(30)가 배치되고, 상기 원통체(30)및 회전축(27) 사이에는 베어링(31)이 개설된다. 그리고, 원통체(30)의 기어실(21) 측단부에는 링기어(25)가 고착된다. 따라서, 전동레버(10F)는 원통체(30)를 통해 링기어(25)에 연결되게 된다. 또, 링기어(25)와 전동레버(10F) 사이에는 원통체(30)를 동축에 감싸는 원통형상의 스페이서(32)가 끼워져 있으며, 이 스페이서(32)와 제3케이스부재(19)사이에는 베어링(33)이 끼워진다.Also, the operation chamber 22 end of the rotary shaft 27 in a has transmission lever (10 F) is fixed, the transmission lever (10 F) and has the rotation axis (27) between the flange portion (27a) on the same axis A cylindrical body 30 is disposed while wrapping, and a bearing 31 is opened between the cylindrical body 30 and the rotating shaft 27. The ring gear 25 is fixed to the gear chamber 21 side end of the cylindrical body 30. Therefore, the electric lever 10 F is connected to the ring gear 25 through the cylindrical body 30. Further, the ring gear 25 and the transmission lever (10 F) between is surrounding the cylinder body 30 on the same axis, and a spacer 32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inserted, between the spacer 32 and the third case member 19 has The bearing 33 is fitted.

또한, 전동레버(10F)가 고착되어 있는 회전축(27)의 플랜지부(27a)에는 유성캐리어(34)가 고정된다. 따라서, 전동레버(10F)는 회전축(27)을 통해 유성캐리어(34)에 연결되게 된다.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 (27a) of the transmission lever (10 F), the rotary shaft 27 which is secured is fixed the planetary carrier 34. Accordingly, the electric lever 10 F is connected to the planetary carrier 34 through the rotation shaft 27.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감쇠기구(8R)는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측의 브레이크 케이블(7R)이 기단측에 연결된 조작측 부재(36)와, 후륜브레이크(BR)측의 브레이크 케이블(9R)이 기단측에 연결된 작동측부재(37) 사이에 댐퍼스프링(38)이 개재되어 이루어진 것이다.Claim 6 according to Fig. And 7, a damping mechanism (8 R) is a rear-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R) side of the brake cable (7 R) operating-side member 36 is connected to the base end side, the rear wheel brake (B The damper spring 38 is interposed between the actuation side member 37 in which the brake cable 9R on the R ) side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조작측부재(36)는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반경방향 외부로 뻗은 수용부(36a)가 일체로 배설된다, 또, 작동측부재(37)는 수용부(36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시키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측부재(37)의 선단측에는 조작측부재(36)를 축방향 상대이동 가능하게 삽통시킨 원통부(39a)를 중심부에 가지며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좌판(39)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된다. 또한, 작동측부재(37)내에서 수용부(36a) 및 좌판(39) 사이에 댐퍼스프링(38)이 축설되어 있으며, 좌판(39)의 수용부(36a)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작동측부재(37)의 선단 내면에 고정륜(40)이 장착된다.The operation side member 36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and an accommodating portion 36a extending radially outward is integrally disposed at the tip thereof, and the operation side member 37 is capable of slid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36a.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bottom to be fitted to the fitting, the front end side of the operating side member 37 has a cylindrical portion (39a) through which the operation side member 36 is inserted into the axial movement relative to the disk shape The seat plate 39 formed is slidably fitted. In addition, a damping spring 38 is arrang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36a and the seat plate 39 in the operating side member 37, and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eceiving portion 36a of the seat plate 39 is prevented. The fixed wheel 40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ng side member 37 so as to regulate it.

작동측부재(37)는 하우징(41)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되며, 브레이크 케이블(7R)은 하우징(41)의 일단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조작측부재(36)에 연결되고, 브레이크 케이블(9R)은 하우징(41)의 타단측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작동측부재(37)에 연결된다. 또한, 댐퍼스프링(38)의 스프링 하중은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에 의한 통상의 브레이크 조작입력에 따라서는 댐퍼(8R)를 수축시키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Work-side member 37 is accommodated slidably in the housing 41, the brake cable (7 R) are inserted to be movable on one end side of the housing 41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side member 36, the brake cable 9 R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 side of the housing 41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side member 37. Further, the spring load of the damper spring 38 in accordance with a usual brake operation input by the rear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R) is set so do not contract the damper (8 R).

감쇠기구(8F)는 상기 감쇠기구(8F)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브레이크 케이블(7F) 및 브레이크 케이블(9F) 사이에 배치된다.The damping mechanism 8 F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amping mechanism 8 F and is disposed between the brake cable 7 F and the brake cable 9 F.

그러나,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F)의 프론트부는 카울링부(12)로 덮여져 있고, 상기 양 감쇠기구(8F)(8R)와, 모듈레이터(M)는 카울링부(12)로 덮여지도록 하여 차체프레임(F)에 고정적으로 지지되며, 특히 모듈레이터(M)는 카울링부(12)로 형성된 플로어면(12a)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차체프레임(F)에 배설된다.However, first, as shown in Fig. And FIG. 2,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F) and covered with a cowling portion 12, and the amount of damping mechanism (8 F), (8 R), the modulator (M ) Is fixed to the body frame (F) by being covered with the cowling portion 12, in particular the modulator (M) is located below the floor surface (12a) formed of the cowling portion (12) Is excreted in.

이와 같은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의 브레이크 조작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F)의 브레이크조작을 하면 유성캐리어(34)가 회전하고, 전륜브레이크측 전달시스템(TF)을 통해 전달되는 브레이크 조작력에 의해 전륜브레이크(BF)가 브레이크 작동하지만, 모터(15)를 비통전상태로 했을 때에는 선기어(24)가 자유회전함으로써 후륜브레이크(BR)는 비작동상태인 것이다. 그런데도 모터(15)를 역회전시켜 작동시키면 선기어(24)가 유성캐리어(34)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기어(25)가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후륜브레이크(BR)가 작동함과 동시에, 전륜브레이크(BF)에는 모터(15)로부터의 어시스트력이 가해지게 된다.In such a brake device, when the brake operation of the front brake operation lever L F is performed without the brake operation of the rear brake operation lever L R , the planetary carrier 34 rotates and the front brake side transmission system The front wheel brake B F is braked by the brake operat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 F. However, when the motor 15 is in the non-energized state, the sun gear 24 is free to rotate so that the rear wheel brake B R is non-operated. It is in working condition. Nevertheless, when the motor 15 is rotated in reverse, as the sun gear 24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lanet carrier 34, the ring gear 25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rear brake B R is operated, An assist force from the motor 15 is applied to the front wheel brake B F.

즉,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F)의 브레이크 조작력에 모터(15) 작동에 따른 어시스트력을 가한 브레이크력이 전륜브레이크(BF)에서 발휘됨과 동시에, 모터(15) 작동에 따른 연동분의 브레이크력이 후륜브레이크(BR)에서 발휘되게 되어 직선A로 나타낸 토탈 브레이크력이 벡터치로서 얻어지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brake force obtained by applying the assist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15 to the brake operation force of the front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F is exerted on the front wheel brake B F and the motor 15 ) Brake force of the interlock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is exerted on the rear brake B R so that the total brake force indicated by the straight line A is obtained as a vector value.

이 때, 선기어(24)에의 입력으로부터 링기어(25) 출력까지의 감속비를 iR, 선기어(24)에의 입력으로부터 유성기어(26‥·) 출력까지의 감속비를 iC, 링기어(25)의 톱니수를 ZR, 선기어(24)의 톱니수를 ZS라고 했을 때, 어시스트력을 표시한 직선B(제8도참조)가 나타내는 기울기 tanθ는 다음의 제① ~ ③식으로 정해진다.At this time, the reduction ratio from the input to the sun gear 24 to the output of the ring gear 25 is iR, and the reduction ratio from the input to the sun gear 24 to the output of the planetary gear 26... Is the tooth of the ring gear 25. When the number is ZR and the number of teeth of the sun gear 24 is ZS, the inclination tanθ indicated by the straight line B (see Fig. 8) indicating the assist force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1) to (3).

tanθ = iR/iC ‥‥‥‥‥ ①tanθ = iR / iC ‥‥‥‥‥ ①

iR = ZR/ZS ‥‥‥‥‥‥ ②iR = ZR / ZS ‥‥‥‥‥‥ ②

iC =(ZR + ZS)/ZS ‥‥‥ ③iC = (ZR + ZS) / ZS ‥‥‥ ③

또한, 모터(15)의 출력토크를 T, 모터(15)에서 선기어(24)까지의 감속비를 iS라고 했을때 후륜브레이크력은 (T×iS×ZR/ZS)로 구해지며, 전륜브레이크력중 어시스트력은 (T×iS×(ZR+ZS)/ZS)로 구해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torque of the motor 15 is T and the reduction ratio from the motor 15 to the sun gear 24 is iS, the rear brake force is obtained as (T x iS x ZR / ZS), and the front wheel brake force is The assist force is obtained by (T x iS x (ZR + ZS) / ZS).

이와는 반대로,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F)의 브레이크조작을 하지않은 상태에서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의 브레이크조작을 한 상태에서 모터(15)를 작동시키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의 브레이크 조작력에 모터(15) 작동에 따른 어시스트력을 가한 브레이크력이 후륜브레이크(BR)에서 발휘됨과 동시에, 모터(15) 작동에 따른 연동분의 브레이크력이 전륜브레이크(BF)에서 발휘되게 된다.On the contrary, if the motor 15 is operated while the rear brake control lever L R is braked without the brake operation of the front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F , as shown in FIG. 9, The brake force obtained by applying the assist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15 to the brake operation force of the rear brake operating lever L R is exerted on the rear brake B R , and the brake force of the interlocking por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15 It is exerted on the front wheel brake B F.

그러나, 브레이크 조작시에 후륜(WR) 및 전륜(WF) 어느쪽이든 적어도 한쪽에서 차륜로크를 일으킬 가능성이 커졌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모터(15)가 연동제동시와는 역방향으로 작동되고, 선기어(24)는 브레이크 증력시와는 반대인 정회전방향으로 회동작동된다. 이에 따라 유성기어(26‥·)는 링기어(25)를 후륜브레이크(BR)의 브레이크력을 감력하는 방향으로 1회동시키면서 회전하고, 링기어(25)측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유성캐리어(34)도 전륜브레이크(BF)의 브레이크력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후륜(WR) 및 전륜(WR)의 브레이크력이 감소하고, 로크상태에 들어가려고 한 차륜이 로크상태에 빠지는 것이 회피된다. 이와 같은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 브레이크력을 회복할 때에는 모터(15)가 역전방향으로 작동된다.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sibility of causing a wheel lock on at least one of the rear wheels W R and the front wheels W F is increased at the time of brake operation, the motor 15 is oper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interlock braking, and the sun gear 24 )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s opposed to the brake power. Accordingly, the planetary gear 26 is rotated while the ring gear 25 is rotated once in the direction of depressing the brake force of the rear wheel brake B R , and the planetary carrier is driven by the reaction force from the ring gear 25 side. 34) also rotates in a direction to alleviate the brake force of the front wheel brake B F. As a result, the braking force of the rear wheels W R and the front wheels W R is reduced, and the wheels trying to enter the locked state are avoided from falling into the locked state. When the brake force is recovered during the anti-lock brake control, the motor 15 is oper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다시 제3도에 있어서, 모듈레이터(M)에 있어서의 모터(15)의 작동은 제어유닛(C)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 제어유닛(C)에는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F)에 의한 조작입력을 검출하는 전륜용 스트로크 센서(44F),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에 의한 조작입력을 검출하는 후륜용 스트로크 센서(44R), 전륜(WF)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전륜속도센서(45F), 후륜(WR)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후륜속도센서(45R),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F)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는 전륜용 브레이크 스위치(47F),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는 후륜용 브레이크 스위치(47R) 및 차체의 가, 감속도를 검출하는 가·감 속도센서(48)의 검출치가 각각 입력되어 있으며, 제어유닛(C)은 그것들의 검출치에 의거해서 모터(15)의 작동을 제어한다.3 again, the operation of the motor 15 in the modulator M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C, which is operated by the front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F. front wheel stroke sensor (44 F) for detecting an input, the rear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wheel stroke sensor (44 R), a front wheel (W F) for detecting an operation input by the front wheel speed sensor (45 F), a rear wheel (W R) rear wheel speed sensor (45 R), the front wheel brake switch (47 F) for detecting an operation by the front wheel brake operating lever (L F) which detec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wheel brake The detection values of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ensor 48 for detecting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rear body brake switch 47 R for detecting operation by the operation lever L R and the vehicle body are input, respectively. )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15 based on their detected values.

제6도에 있어서, 양 스트로크센서(44R)(44F)는 검출자(49)를 각각 가진 것으로, 감쇠기구(8R)(8F)의 하우징(41)에 장착된다. 한편, 감쇠기구(8R)(8F)에 있어서의 하우징(41) 및 작동측부재(37)의 측부에는 자판(39)의 이동방향으로 뻗은 슬릿(41a)(37a)이 배설되어 있으며,좌판(39)에는 상기 슬릿(41a)(37a)으로부터 하우징(4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검출자(49)에 당접하는 피검출부(39b)가 일체로 배설되고, 스트로크 센서(44R)(44F)는 후륜 및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R)(LF)의 조작에 따른 상기 피검출부(39b)의 이동에 따라 검출자(49)가 수축되도록 하우징(41)에 장착된다.In Figure 6, both the stroke sensor (44 R) (44 F) is detected as having a chair (49), respectively, it is mounted to the housing 41 of the damping mechanism (R 8) (8 F). On the other hand, and a damping mechanism (8 R) (8 F), the housing 41 and the operating side has a slit (41a) (37a)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keyboard 39 of the side member 37 is the elimination of the, seat plate (39) there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41) from the slit (41a), (37a), the detected part (39b) is disposed integrally, and a stroke sensor (44 R) in contact each to the detected characters (49) ( 44 F ) is mounted to the housing 41 so that the detector 49 contract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detected portion 39b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ar wheel and front wheel brake operating levers L R (L F ).

제10도에 있어서, 제어유닛(C)은 전륜속도센서(45F), 후륜속도센서(45R), 전륜용 브레이크 스위치(47F), 후륜용 브레이크 스위치(47R) 및 가·감 속도센서(48)의 검출치에 의거해서 차량의 주행정보를 얻는 주행정보 산출부(50)와, 상기 주행정보 산출부(50)에서 얻어진 주행정보 및 전륜용 스트로크 센서(44F), 후륜용 스트로크 센서(44F), 전륜용 브레이크 스위치(47F) 및 후륜용 브레이크 스위치(47R)의 검출치에 의거해서 브레이킹상태를 판정하는 브레이킹상태 판정부(51)와, 상기 브레이킹상태 판정부(51)의 판정결과에 의거해서 모듈레이터(M)에 있어서의 모터(15)의 제어량을 정하는 제어량 결정수단(52)과, 제어량 결정수단(52)에서 얻어진 제어량에 의거해서 모터(15)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모듈레이터 구동수단(53)을 구비한다.In FIG. 10, the control unit C includes a front wheel speed sensor 45 F , a rear wheel speed sensor 45 R , a front wheel brake switch 47 F , a rear wheel brake switch 47 R and acceleration / deceleration speed. The travel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50 which obtains the travel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sensor 48, the trave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travel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50, the front wheel stroke sensor 44F , and the rear wheel stroke. sensor (44 F), and the braking state determining section 51 for determining a braking condition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front wheel brake switch (47 F) and a rear wheel brake switch (47 R) for said braking condition determining section (51 Control amount determining means 52 for determining the control amount of the motor 15 in the modulator M, and a signal for driving the motor 15 based on the control amount obtained from the control amount determining means 52,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Modulator drive means 53 for outputting the.

제11도에 있어서, 주행정보 산출부(50)에서는 전륜속도(VWF), 후륜속도(VWR), 전륜가 · 감속도(ωWF), 후륜가 · 가감속도(ωWR), 전륜슬립율(λWF), 후륜슬립율(λWR) 및 추정 차체속도(VR)는 주행정보로서 얻어진다. 그리고, 주행정보 산출부(50)는 전륜속도센서(45F)의 출력신호로부터 전륜속도(VWF)를 연산하는 전륜속도 연산수단(55F)과, 후륜속도센서(45R)의 출력신호로부터 후륜속도(VWR)를 연산하는 후륜속도 연산수단(55R)과, 가·감 속도센서(48)에서 얻어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는 A/D변환기(56)와, 양 브레이크 스위치(47F, 47R)중 어느 한쪽이 브레이크 조작을 검출했을 때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OR게이트(57)와, A/D변환기(56) 및 OR게이트(57)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차체가 가·감속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가·감속도 판별수단(58)과, 종동륜속도인 전륜속도(VWF), 디지털화된 차체가 ·감속도(GX) 및 가 ·감속 판별수단(58)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추정 차체속도(VR)를 연산하는 추정 차체속도 연산수단(59)과, 전륜속도 연산수단(55F)에서 얻어진 전륜속도(VWF)를 미분하여 전륜가속도(ωWF)를 얻는 미분수단(60F)과, 후륜속도 연산수단(55R)에서 얻어진 후륜속도(VWR)를 미분하여 후륜가속도(ωWR)를 얻는 미분수단(60R)과, 추정 차체속도(VR) 및 전륜속도(VWF)에 의거하여 전륜슬립율(λWF)을 산출하는 슬립율 산출수단(61F)과, 추정 차체속도(VR) 및 후륜속도(VWR)에 의거하여 후륜슬립율(λWR)을 산출하는 슬립율 산출수단(61R)을 구비한다.In FIG. 11, the driving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50 includes the front wheel speed V WF , the rear wheel speed V WR , the front wheel acceleration / deceleration (ω WF ), the rear wheel acceleration / deceleration speed (ω WR ), and the front wheel slip ratio ( λ WF ), rear wheel slip ratio λ WR and estimated body speed V R are obtained as travel information. Then, the travel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50 is the front wheel speed calculating means 55 F for calculating the front wheel speed V WF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front wheel speed sensor 45 F ,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rear wheel speed sensor 45 R. from the rear wheel speed (V WR), the operation rear wheel speed calculating means (55 R), and a, a sense of speed sensors (48) a / D converter 56 which changes the analog signal obtained from a digital signal, both the brake switch (47 F, 47 R) and of which one is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OR gate 57 and the, a / D converter 56 and the OR gate 57 outputting a high level signal when detecting a brake operation Acceleration / deceleration judging means 58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body is in an acceleration / deceleration state, front wheel speed (V WF ), which is the driven wheel speed, and the digitized vehicle body · deceleration (G X ) and acceleration / deceleration Estimated body speed calculating means 59 for calculating the estimated body speed V R based on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discriminating means 58, and front wheel speed calculating means 5; And by differentiating the front wheel speed (V WF) obtained in 5 F) differentiating the wheel speeds (V WR) obtained by the front wheel acceleration (differential means (60 F) and a rear wheel speed calculating means (55 R) to get ω WF) rear wheel Differential means 60 R for obtaining the acceleration ω WR , slip rate calculating means 61 F for calculating the front wheel slip ratio λ WF based on the estimated body speed V R and front wheel speed V WF . and it estimates a vehicle body speed (V R) and the rear wheel speed (V WR) and having a rear-wheel slip ratio (λ WR) slip rate calculating means (61 R) for calculating the basis of the.

가·감속도 판별수단(58)에서는, 차체가·감속도(GX)의 절대값 │GX│이 소정값(α )을 넘는 (│GX│α)일 때, 또는 OR게이트(57)의 출력이 하이레벨이 되었을 때 차량이 가·감속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Is, when the deceleration determination means 58 in the vehicle body, the deceleration (G X) Absolute value │G X │ i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α) (│G │α X) of the, or the OR gate (57 ),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tate when the output of the motor becomes high level.

추정 차체속도 연산수단(59)에서는 가 ·감속 판별수단(58)에 의해 차체가 가 ·감속도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이번에 얻어진 전륜속도(VWF(n))와 전회의 연산으로 구한 추정 차체속도(VR(n-1))와의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다음과 같이 추정 차체속도(VR(n))를 얻는 것이다.In the estimated body speed calculating means 59,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discrimination means 58 that the vehicle body is not i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tate, the estimated front wheel speed V WF (n) obtained by this time and the previous calculation are obtained.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vehicle speed V R (n-1) , the estimated vehicle speed V R (n ) is obtained as follows.

즉 VWF(n)VR(n-1)일 때에는,That is, when V WF (n) V R (n-1) ,

VR(n)= VR(n-1)+G1×tV R (n) = V R (n-1) + G 1 × t

VWF(n)VR(n-1)일 때에는,When V WF (n) V R (n-1)

VR(n)= VR(n-1)-G2×tV R (n) = V R (n-1) -G 2 × t

VWF(n)= VR(n-1)일 때에는,When V WF (n) = V R (n-1) ,

VR(n)= VR(n-1) V R (n) = V R (n-1)

로서 추정 차체속도(VR(n))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G1(0)은 일정한 가속도, G2는 일정한 감속도, t는 연산주기이다.As an example, the estimated body speed V R (n) can be obtained. In addition, G 1 (0) is a constant acceleration, G 2 is a constant deceleration, t is a calculation cycle.

또, 가·감속 판별수단(58)에 의해 차체가 가·감속도 상태라고 판정되었을 때 추정 차체속도 연산수단(59)에서는 다음 식에 의해 추정 차체속도(VR(n))가 연산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discrimination means 58 that the vehicle body is i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tate, the estimated vehicle body speed calculating means 59 calculates the estimated vehicle body speed V R (n) by the following equation.

VR(n)= VR(n-1)+ ∫ GXdtV R (n) = V R (n-1) + ∫ G X dt

또한, 슬립율 산출수단(61F, 61R)에서는 전륜슬립율(λWF) 및 후륜슬립율(λWR)이 λWF=(VR-VWF)/VR, λWF=(VR-VWR)/VR로서 각각 산출된다.In addition, the slip rate calculating means (61 F, 61 R) in the front wheel slip ratio (λ WF)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λ WR) is λ WF = (V R -V WF ) / V R, λ WF = (V R It is calculated as -V WR ) / V R , respectively.

제12도에 있어서, 브레이킹상태 판정부(51)는 브레이크 제어 가부판정수단(63)과, 판정수단으로서의 브레이크 입력·제어모드 판정수단(64)과, 보정계수 설정수단(65)과, 목표슬립율 결정수단(66)과, 슬립율 보정수단(67)과, 슬립율편차 연산수단(68)을 구비한다.In FIG. 12, the braking state determination unit 51 includes brake control provision determination means 63, brake input / control mode determination means 64 as determination means, correction coefficient setting means 65, and target slip. The rate determining means 66, the slip rate correcting means 67, and the slip rate deviation calculating means 68 are provided.

브레이크 제어 가부판정수단(63)은 모터(15)의 작동제어에 의한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ABS제어) 및 브레이크 중력제어(CBS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써, 상기 브레이크제어 가부판정수단(63)에는 주행정보 산출부(50)에서 얻어진 추정 차체속도(VR), 전륜속도(VWF) 및 후륜속도(WWR)가 입력된다.The brake control provision determination means 63 determines whether the anti-lock brake control (ABS control) and the brake gravity control (CBS control) by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motor 15 can be executed. The determination means 63 inputs the estimated body speed V R , front wheel speed V WF , and rear wheel speed W WR obtained from the travel information calculator 50.

그리고, 브레이크 제어 가부판정수단(63)은 전륜속도(VWF) 및 후륜속도(WWR)가 모두 설정값(VABSH) 이상(VWF≥VABSH또는 VWR≥VABSH)이었을때에 ABS제어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온 신호를 출력하지만, 추정 차체속도(VR)가 상기 설정값(VABSH)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설정값(VABSL) 미만(VRVABSL)일 때에는 ABS제어를 부정하는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입력의 초기상태에서는 ABS제어에 대해서 오프 신호가 브레이크 제어 가부판정수단(63)으로부터 출력된다.Then, the brake control provisional determination means 63 is ABS when the front wheel speed (V WF ) and the rear wheel speed (W WR ) are both the set value (V ABSH ) or more (V WF ≥ V ABSH or V WR ≥ V ABSH ). deny the ABS control when the output a signal which has shown the control is possible, but the estimated vehicle body speed (V R) is the set value (V ABSH) setting that is set to not more than the value (V ABSL) under (V R V ABSL) Outputs an off signal. Further, in the initial state of data input, the off signal is output from the brake control provision determination means 63 for the ABS control.

CBS제어에 관해서는, 추정 차체속도(VR)가 설정값(VCBSH) 이상(VR≥VCBSH)일 때에는 CBS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온 신호가 브레이크 제어 가부판정수단(63)으로부터 출력되는, 추정 차체속도(VR)가 상기 설정값(VCBSH)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설정값(VCBSL) 미만(VRVCBSL)일 때에는 CBS제어를 부정하는 오프 신호가 브레이크제어 가부판정수단(63)으로부터 출력된다. 또, 데이터입력 초기상태에서는 CBS제어에 대해 오프 신호가 브레이크 제어 가부판정수단(63)으로부터 출력된다.Regarding the CBS control, when the estimated body speed V 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V CBSH , (V R ≥ V CBSH ), an ON signal for enabling CBS control is output from the brake control provision determination means 63. , the estimated vehicle body speed (V R) is the set value (V CBSH) setting that is set to be no greater than less than the value (V CBSL) (V R V CBSL) days when the off signal to deny the CBS control brake control permission judgment means ( 63). In the initial state of data input, the off signal is output from the brake control provision determination means 63 for the CBS control.

브레이크 입력 ·제어모드 판정수단(64)에서는, 브레이크 제어 가부판정수단(63)에서의 판정결과 및 슬립율편차 연산수단(68)에서 얻어진 슬립율편차(Sλ)에 의거해서 다음의 표 1에 따라 브레이크제어모드가 설정됨과 동시에 양 브레이크 스위치(47F, 47R)의 출력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입력모드가 설정된다.In the brake input / control mode determining means 64, according to the following table 1 on the basis o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brake control provision determination means 63 and the slip rate deviation Sλ obtained by the slip rate deviation calculating means 68. the brake input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oon as the brake control mode is set at the same time both the brake switch (47 F, 47 R).

상기 표 1에 있어서, Sλ는 슬립율편차 판정값이며, 조건A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용 및 후륜용 브레이크 스위치(47,47)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이 설정시간(T) 이상 지속되어 브레이크 조작입력을 검지했을 때 성립하도록 설정된 것이며, 또 조건B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Sλ에서 Sλ≤0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 Sλ≤0인 시간이 설정시간(T) 이하일 때 성립하도록 설정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립율편차 판정값(Sλ)은 조건B가 성립되지 않았을 때, 즉 Sλ≤0인 상태가 설정시간(T)을 넘어 지속되었을 때, Sλ에서 Sλ로 소정시간 걸려서 리니어로 변화되는 것이며, SλSλ로 설정된다.In Table 1, Sλ is a slip ratio deviation determination value, and condition A is the set time T for both or one of the front and rear wheel brake switches 47 and 47, as shown in FIG. The condition is set so as to be maintained when the brake operation input is detected in a continuous state, and condition B is as shown in FIG. 14, when the time Sλ≤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time T when Sλ≤0 is set in Sλ. When it is established. In addition, the slip rate deviation determination value Sλ is changed linearly over a predetermined time from Sλ to Sλ when the condition B is not satisfied, that is, when the state where Sλ≤0 continues beyond the set time T. , SλSλ.

그리고, 상기 표1에 따르면 브레이크 제어 가부판정수단(63)으로부터 ABS제어에 관해서 온 신호가 브레이크 입력 ·제어모드 판정수단(64)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Sλ0일 때 ABS모드가, Sλ≤0이 되는 시간이 설정시간(T) 이하의 단시간인 경우에는 ABS-C모드가, 또한 (-SλSλ≤0)이고 Sλ≤0인 시간이 설정시간(T)이상의 장시간인 경우에는 CONV모드가 각각 설정된다. 또, 브레이크 제어 가부판정수단(63)으로부터 CBS제어에 관해서 온 신호가 브레이크 입력·제어모드 판정수단(64)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Sλ≤-Sλ)이며 브레이크 조작이 설정시간(T) 이상 지속되고 있을 때에는 CBS모드가 설정되게 된다. 또, 상기 ABS, ABS-C, CONV, CBS의 각 제어모드 이외의 상태인 제어모드로서 OFF모드가 설정된다. 그리고, ABS모드는 모듈레이터(M)에 의한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에서의 브레이크감력제어, ABS-C모드는 모듈레이터(M)에 의한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에서의 브레이크 증력제어, CONV모드는 모듈레이터(M)에 의한 제어정지, CBS모드는 모듈레이터(M)에 의한 브레이크 증력제어를 각각 실행하는 것이다.And, according to the above Table 1, in the state where the signal on the ABS control from the brake control provision determination means 63 is input to the brake input / control mode determination means 64, the ABS mode is Sλ≤0 when Sλ0 is set. The ABS-C mode is set when the time to be set is shorter than or equal to the set time T, and the CONV mode is set when the time when S-≤ 0 is long or longer than the set time T. . Further, in a state in which an on signal from the brake control provision determination means 63 with respect to the CBS control is input to the brake input / control mode determination means 64, (Sλ ≦ -Sλ), the brake operation is longer than the set time T. When it continues, the CBS mode is set. The OFF mode is set as a control mode in a state other than the control modes of the ABS, ABS-C, CONV, and CBS. The ABS mode is the brake force control in the anti-lock brake control by the modulator M, the ABS-C mode is the brake boost control in the anti-lock brake control by the modulator M, and the CONV mode is the modulator M. The control stop by and the CBS mode execute brake boost control by the modulator M, respectively.

또, 브레이크 입력·제어모드 판정수단(64)에서는, 전륜용 및 후륜용 브레이크 스위치(47, 47)의 검출신호가 모두 오프일 때에는 브레이크 입력모드가 오프로 설정되고, 브레이크 스위치(47)의 검출신호가 온이지만, 브레이크 스위치(47)의 검출신호가 오프일 때에는 브레이크 입력모드는 프론트로 설정되며, 브레이크 스위치(47)의 검출신호는 온인데 브레이크 스위치(47)의 검출신호가 오프일 때 브레이크 입력모드가 리어로 설정되고, 또한 양 브레이크 스위치(47, 47)의 검출신호가 모두 온일 때에는 브레이크 입력모드는 더블로 설정된다.In the brake input / control mode determination means 64, when both detection signals of the front wheel and rear wheel brake switches 47 and 47 are off, the brake input mode is set to off, and the brake switch 47 is detected. When the signal is on but the detection signal of the brake switch 47 is off, the brake input mode is set to the front, and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brake switch 47 is on but the detection signal of the brake switch 47 is off, the brake is turned off. When the input mode is set to rear and the detection signals of both brake switches 47 and 47 are both on, the brake input mode is set to double.

보정계수 설정수단(65)에서는, 브레이크 입력·제어모드 판정수단(64)에서의 판정결과, 추정 차체속도(V) 및 양 스트로크 센서(44, 44)의 검출값에 의거해서 단 한번의 슬립율 보정계수(K,K), ABS시 듀티계수(K), CBS시 초기작동계수(K), CBS시 브레이크 입력량 보정계수(K), CBS시 듀티차속계수(K) 및 CBS시 듀티계수(K)가 각각 설정된다.In the correction coefficient setting means 65, only one slip ratio i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t the brake input / control mode determination means 64, based on the estimated body speed V and the detected values of both stroke sensors 44 and 44. Correction Factor (K, K), Duty Factor (K) at ABS, Initial Operation Factor (K) at CBS, Brake Input Amount Correction Factor (K) at CBS, Duty Differential Speed Factor (K) at CBS and Duty Factor (C) at CBS Are set respectively.

단 한번의 슬립율 보정계수(K, K)는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ABS모드 이외의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연속되었을 때 K=K, K=K로 설정되며, 그 이외의 상태에서는 K=K, K=K로 설정된다. 그리고, KK, KK이다.Only one slip ratio correction coefficient (K, K) is set to K = K, K = K 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continuous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other than the ABS mode, and otherwise K = K, K Is set to = K. And KK and KK.

ABS시 듀티계수(K)는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ABS모드가 되었을 때에 그 초기값(K)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소정시간이 걸려서 K까지 변화된다. 그리고, KK이다. 또,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ABS-C모드가 되었을 때에는 그 때의 ABS시 듀티계수(K)가 그대로 유지되고, ABS-C모드인 상태에서의 경과시간은 카운트되지 않는다. 또한, ABS시 듀티계수(K)는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CONV, CBS 및 OFF모드가 되었을 때 리세트된다.The duty factor K in ABS is set to its initial value K 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in the ABS mode, and changes to K in a predetermined time. And KK. 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set to the ABS-C mode, the ABS duty cycle K at that time is maintained as it is, and the elapsed time in the ABS-C mode is not counted. In addition, the duty factor K in ABS is reset when the brake control mode becomes the CONV, CBS and OFF modes.

CBS시 초기작동계수(K)는,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CBS모드가 되었을 때 그 값이 소정시간 걸려서 「0」에서 「10」까지 변화되는 것이며,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CBS모드 이외로 되었을 때 CBS시 초기작동계수(K)는 리세트된다.The initial operation coefficient (K) at CBS is that the value is changed from "0" to "10" 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in the CBS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s initialized 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other than the CBS mode. The operation coefficient K is reset.

CBS시 브레이크 입력량 보정계수(K)는, 양 스트로크 센서(44, 44)의 검출값 중 큰 쪽의 값, 즉 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 및 후륜브레이크 조작레버(L)로부터 입력되는 브레이크 조작력 중 큰 쪽의 브레이크 조작력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으로, 브레이크 조작입력이 커짐에 따라 커지도록 설정된다.In the case of CBS, the brake input amount correction coefficient K is the larger of the detected values of the stroke sensors 44 and 44, that is, the brake operating force input from the front brake operating lever L and the rear brake operating lever L. It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larger brake operation force, and is set so as to increase as the brake operation input becomes larger.

CBS시 듀티차속계수(K)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정 차체속도(V)가 높아짐에 따라 높아지도록 설정된다.The duty vehicle speed coefficient K at CBS is set to increase as the estimated vehicle body speed V increases, as shown in FIG.

CBS시 듀티계수(K)는 브레이크 입력 · 제어모드 판정수단(64)에서의 브레이크 입력모드의 판정결과, 즉 오프, 프론트, 리어 및 더블의 각 브레이크 입력모드에 따라 각각 설정된다.The duty coefficient K at CBS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brake input mod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brake input / control mode determination means 64, that is, each brake input mode of off, front, rear and double.

목표슬립율 결정수단(66)에서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을 좌표축으로 한 직교좌표상에서의 목표슬립율 라인(L)이 설정된다.In the target slip rate determining means 66, as shown in FIG. 16, the target slip rate line L on the Cartesian coordinate with the front wheel slip rate and the rear wheel slip rate as the coordinate axis is set.

상기 목표슬립율 라인(L)은 전륜슬립율 증대에 따라 후륜슬립율이 저하되는 함수관계를 가진 것으로 정해지며, 예를 들면 후륜슬립율이 「0」일 때의 전륜목표슬립율(λ)과 전륜슬립율이 「0」일 때의 후륜목표 슬립율(λ)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설정된다. 또한, 목표슬립율 라인(L)의 상부측에는 브레이크 감력 제어영역이 설정되게 된다.The target slip rate line L is determined to have a func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rear wheel slip rate decreases as the front wheel slip rate increases. For example, the target slip rate line L when the rear wheel slip rate is "0" and It sets to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the rear wheel target slip ratio (lambda) when a front wheel slip ratio is "0". Further, the brake force control region is set on the upper sid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L. FIG.

그리고, 전륜목표슬립율(λ) 및 후륜목표 슬립율(λ)은 브레이크 입력모드에 따라 다음 식으로 연산된다.The front wheel target slip ratio λ and the rear wheel target slip ratio λ a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according to the brake input mode.

(1) 브레이크 입력모드 ; 오프(1) brake input mode; off

λ= (V×K×λ)/(V+K)λ = (V × K × λ) / (V + K)

λ= (V×K×λ)/(V+K)λ = (V × K × λ) / (V + K)

(2) 브레이크 입력모드 ; 프론트(2) brake input mode; front

λ= (V×K×λ)/(V+K)λ = (V × K × λ) / (V + K)

λ= (V×K×λ)/(V+K)λ = (V × K × λ) / (V + K)

(3) 브레이크 입력모드 ; 리어(3) brake input mode; Rear

λ= (V×K×λ)/(V+K)λ = (V × K × λ) / (V + K)

λ= (V×K×λ)/(V+K)λ = (V × K × λ) / (V + K)

(4) 브레이크 입력모드 ; 더블(4) brake input mode; double

λ= (V×K×λ)/(V+K)λ = (V × K × λ) / (V + K)

λ= (V×K×λ)/(V+K)λ = (V × K × λ) / (V + K)

상기 각 식에 있어서, V는 전륜목표슬립율 차속보정계수, V은 후륜목표 슬립율 차속보정계수로서 설정값이고, K는 전륜슬립율 보정계수, K은 후륜슬립율 보정계수로서 설정값이다.In each of the above equations, V is a front wheel target slip ratio vehicle speed correction coefficient, V is a rear wheel target slip ratio vehicle speed correction coefficient, and K is a front wheel slip ratio correction coefficient, and K is a rear wheel slip ratio correction coefficient.

또, λ오프시 전륜목표슬립율, λ는 오프시 후륜목표슬립율, λ는 프론트시 전륜목표슬립율, λ는 프론트시 후륜목표슬립율, λ는 리어시 전륜목표슬립율, λ는 리어시 후륜목표 슬립율, λ는 더블시 전륜목표슬립율, λ는 더블시 후륜목표 슬립율로써 미리 각각 정해진 값이다. 그리고, 각 목표슬립율 λ, λ, λ, λ, λ, λ, λ, λ는 브레이크 입력모드에 따라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슬립율, 라인이 정해지도록 설정된다. 즉, 브레이크 입력모드가 오프일 때에는 모듈레이터(M)에 의한 어시스트력만이 전륜브레이크(B) 및 후륜브레이크(B)에서 발휘되는 상태이며,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을 좁히도록 목표슬립율 라인(L)이 설정되고, 브레이크 입력모드가 프론트일 때에는 브레이크 조작레버(L)에 의한 조작력에 추가하여 모듈레이터(M)의 어시스트력이 전륜브레이크(B)에 작용하는데 대해, 후륜브레이크(B)에는 모듈레이터(M)의 어시스트력이 작용할 뿐, 전륜슬립율쪽에서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을 넓히도록 목표슬립율 라인(L)이 설정되며, 브레이크 입력모드가 리어일 때에는 브레이크 조작레버(L)에 의한 조작력에 추가하여 모듈레이터(M)의 어시스트력이 후륜브레이크(B)에 작용하는 것에 대해서 전륜브레이크(B)에는 모듈레이터(M)의 어시스트력이 작용할 뿐 후륜슬립율쪽에서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을 넓히도록 목표슬립율 라인(L)이 설정되고, 브레이크 입력모드가 더블일 때에는 양 브레이크 조작레버(L, L)에 의한 조작력에 추가하여 모듈레이터(M)의 어시스트력이 양 브레이크(B, B)에 작용하므로, 전륜 및 후륜슬립율쪽에서 모두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을 넓히도록 목표슬립율 라인(L)이 설정된다.Λ off front wheel target slip rate, λ off rear target goal slip rate, λ front front target slip rate, λ front front target slip rate, λ rear front target slip rate, λ rear The rear wheel target slip ratio, lambda is a double-wheel front target slip ratio, and lambda is a predetermined double wheel rear-slip target slip ratio. The target slip ratios λ, λ, λ, λ, λ, λ, λ, and λ are set so that the target slip rates and lines are determined as shown in FIG. 17 according to the brake input mode. That is, when the brake input mode is off, only the assist force by the modulator M is exerted by the front wheel brake B and the rear wheel brake B, and the target slip ratio line L is used to narrow the brake sensitivity control region. When the brake input mode is set to the front, the assist force of the modulator M acts on the front wheel brake B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force by the brake operating lever L, while the rear brake B has a modulator M. ), The target slip rate line (L) is set so as to widen the brake force control area on the front wheel slip ratio, and modulator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force by the brake operation lever (L) when the brake input mode is rear. While the assist force of (M) acts on the rear brake B, the assist force of the modulator M acts on the front brake B only toward the rear slip ratio. The target slip rate line L is set to widen the brake sensitivity control area. When the brake input mode is double, the assist force of the modulator M is added to both brakes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force of both brake control levers L and L. Since it acts on (B, B), the target slip rate line L is set to widen the brake sensitivity control area on both the front wheel and rear wheel slip ratios.

또, 상기 각 식에 있어서의 단 한번의 슬립율 보정계수(K, K)는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ABS모드 이외로 되는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연속되었을 때 K, K으로 설정되는데 대해, 그 이외의 상태, 즉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ABS모드의 상태 또는 비ABS모드가 되더라도 그 상태가 상기 소정시간 미만의 상태에서는 상기 K, K보다 작은 K, K로 설정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비ABS모드일 때의 전륜목표슬립율(λ) 및 후륜목표 슬립율(λ)은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ABS모드일 때의 전륜목표슬립율(λ) 및 후륜목표 슬립율(λ)보다 크게 정해짐으로써,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ABS모드일 때의 목표슬립율 라인(L)은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비ABS모드일 때의 목표슬립율 라인(L)보다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을 넓히는 쪽으로 설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식에 있어서, 추정 차체속도(V)가 커짐에 따라서 전륜목표 슬립율(λ) ,및 후륜목표 슬립율(λ)은 작아지는 것이며, 따라서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슬립율 결정수단(66)에서는 추정 차체속도(V)가 비교적 낮을 때의 목표슬립율 라인(L)이 추정 차체속도(V)가 비교적 높을 때의 목표슬립율 라인(L)보다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을 좁히는 쪽으로 설정되게 된다.The slip ratio correction coefficients K and K in the above equations are set to K and K when the state in which the brake control mode becomes other than the ABS mode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at is, even if the brake control mode is in the ABS mode or the non-ABS mode, the state is set to K and K smaller than the K and K when the stat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herefore, the front wheel target slip ratio λ and the rear wheel target slip ratio λ 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the non-ABS mode are the front wheel target slip ratio λ and the rear wheel target slip ratio 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the ABS mode. By being larger than [lambda], as shown in FIG. 18, the target slip rate line L 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the ABS mode is the target slip rate line L 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the non-ABS mode. It is set to widen the brake pressure control area rather than). In each of the above formulas, as the estimated body speed V increases, the front wheel target slip ratio λ and the rear wheel target slip ratio λ become smaller, and as shown in FIG. 19, the target In the slip rate determining means 66, the target slip rate line L when the estimated body speed V is relatively low is higher than the target slip rate line L when the estimated body speed V is relatively high. It is set to narrow down.

슬립율 보정수단(67)에는 전륜가속도(ω), 후륜가속도(ω), 전륜슬립율(λ), 후륜슬립율(λ)이 주행정보 산출부(50)로부터 입력되며, 이 슬립율 보정수단(67)에서는 다음의 연산이 이루어진다.In the slip ratio correcting means 67, front wheel acceleration ω, rear wheel acceleration ω, front wheel slip ratio λ, rear wheel slip ratio λ are input from the travel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50, and this slip ratio correction means In (67), the following operation is made.

λWFX= λWFWF×KRF λ WFX = λ WFWF × K RF

λWRX= λWRWR×KRR λ WRX = λ WRWR × K RR

상기 식에 있어서, KRF는 전륜슬립율 보정계수, KRR은 후륜슬립율 보정계수로서 각각 설정값이다. 그리고, 슬립율 보정수단(67)에서는 전륜슬립율(λWF) 및 후륜슬립율(λWR)이 전륜가속도(ωWF) 및 후륜가속도(ωWR)에 의해 각각 보정된다.In the above formula, K RF is a front wheel slip ratio correction coefficient and K RR is a set value as the rear wheel slip ratio correction coefficient. In the slip ratio correction means 67, the front wheel slip ratio λ WF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λ WR are corrected by the front wheel acceleration ω WF and the rear wheel acceleration ω WR , respectively.

슬립율편차 연산수단(68)에서는 목표슬립율 라인(L)이 설정된 직교좌표상, 즉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을 좌표축으로 한 직교좌표상에 있어서, 슬립율 보정수단(67)에서의 보정후의 전륜슬립율(λWFX) 및 후륜슬립율(λWRX)로 정해지는 현재슬립율과, 상기 목표슬립율(L) 사이의 거리 즉 슬립율편차(Sλ)가 연산된다.In the slip ratio deviation calculating means 68, correction is performed in the slip ratio correcting means 67 on a rectangular coordinate on which the target slip ratio line L is set, that is, on a rectangular coordinate with the front wheel slip ratio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as the coordinate axe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slip rate determined by the rear front slip ratio λ WFX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λ WRX and the target slip ratio L, that is, the slip ratio deviation Sλ, is calculated.

그러나, 모듈레이터(M)의 구성이 정해졌을 때 상기 모듈레이터(M)의 작동에 따른 전륜브레이크(BF) 및 후륜브레이크(BR)의 브레이크력 변화비율, 즉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의 변화비율은 제16도의 라인(LC)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β)를 갖는 방향으로 정해지는 것이며, 상기 슬립율편차(Sλ)는 라인(Lc)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산된다.However,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ator M is determined, the change rate of the brake force of the front brake B F and the rear brake B 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dulator M, that is, the change of the front wheel slip ratio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As shown by the line L C of FIG. 16, the ratio is determined in a direction having a constant angle β, and the slip ratio deviation Sλ is calculat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line Lc.

즉, tanβ=γ로 설정했을 때 슬립율편차(Sλ)는 다음 식에 따라 연산된다.That is, when tan β = γ, the slip ratio deviation Sλ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상기 식에서 얻어진 슬립율편차(Sλ)는 제16도의 위치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립율 현재위치가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 즉 목표슬립율 라인(L)을 초과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의 값, 또 제16도의 위치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립율 현재위치가 비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 즉 목표슬립율 라인(L) 이하에 있는 상태에서 「-」 의 값을 나타내며, 이 슬립율편차(Sλ)가 브레이크 입력 ·제어모드 판정수단(64)에 부여되어 브레이크 제어모드를 판정할 때의 판정요소의 하나로 이용된다.The slip ratio deviation Sλ obtained in the above formula is a value of "+" in the state where the slip ratio current position is in the position exceeding the brake force control region, that is, the target slip rate line L, as indicated by position A in FIG. In addition, as indicated by position B in FIG. 16, the slip rate indicates a value of "-" in a state where the slip rate current position is below the non-break force control area, that is, the target slip rate line L, and the slip rate deviation Sλ is It is provided to the brake input / control mode determining means 64 and is used as one of the determination elements when determining the brake control mode.

다시 제10도에 있어서, 제어량 결정수단(52)에는 브레이킹상태 판정부(51)에서 얻어진 브레이크 제어모드, 각 보정계수(KDABS, KCBSI, KCBSST, KCBSV, KDCBS) 및 슬립율편차(Sλ)가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량 결정수단(52)에서는 각 브레이크 제어모드에 따라 모듈레이터(M)에 있어서의 모터(15)의 듀티(DUTY) 및 회전방향이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10 again, the control amount determining means 52 includes the brake control mode, the respective correction coefficients K DABS , K CBSI , K CBSST , K CBSV , and K DCBS obtained in the braking state determination unit 51, and the slip ratio deviation. (Sλ) is input. In the control amount determining means 52, the duty DUTY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15 in the modulator M ar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each brake control mode as follows.

(1) 브레이크 제어모드 ; ABS(1) brake control mode; ABS

DUTY = │Sλ│×KDABS+ODABS(ODABS; 설정오프세트값)DUTY = │Sλ│ × K DABS + O DABS (O DABS ; setting offset value)

회전방향 ; 정회전Direction of rotation; Forward rotation

이 ABS모드에서는 상기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UTY가 슬립율편차(Sλ)와 ABS시 듀티계수(KDABS)와의 승산값에 의해 정해지며, 또한 ABS시 듀티계수(KDABS)는 ABS모드가 되었을 때 그 초기값(KDABSH)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소정시간 걸려서 KDABSL까지 점멸되기 때문에 ABS모드 초기에는 DUTY가 크게 설정되게 된다.In this ABS mode,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quation, the duty is determined by the multiplication value between the slip ratio deviation (Sλ) and the duty ratio (K DABS ) in ABS, and the duty coefficient (K DABS ) in ABS is When it is set to the initial value (K DABSH ) and at the same time, K DABSL flashes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e duty is set large in the ABS mode.

(2) 브레이크 제어모드 ; ABS-C(2) brake control mode; ABS-C

DUTY = (Sλ -SλCBS)×KCBSV×KDCBS+ODCBS DUTY = (Sλ -Sλ CBS ) × K CBSV × K DCBS + O DCBS

(OCDBS; 설정오프세트값)(O CDBS ; setting offset value)

회전방향 ; 역회전Direction of rotation; Reverse rotation

이 ABS-C모드, 즉 슬립율편차(Sλ)가 Sλ0인 상태에서 Sλ≤0으로 변화되었을 때 Sλ≤0인 시간이 소정시간(T2) 미만인 상태에서는 상기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UTY가 슬립율편차(Sλ)의 절대값과 슬립율편차 판정값의 차에 의거해서 결정되게 된다.In this ABS-C mode, i.e., when the slip rate deviation Sλ is changed from Sλ0 to Sλ≤0, when the time Sλ≤0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 2 , the DUTY slips as shown in the above equation. The determination is mad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solute value of the rate deviation Sλ and the slip rate deviation determination value.

(3) 브레이크 제어모드 ; CBS(3) brake control mode; CBS

DUTY = CBSDO×KCBSV× KDCBS× KCBSI× KCBSST+ODCBS DUTY = CBS DO × K CBSV × K DCBS × K CBSI × K CBSST + O DCBS

(CBSDO; 고정듀티)(CBS DO ; Fixed Duty)

회전방향 ; 역회전Direction of rotation; Reverse rotation

이 CBS모드 즉 브레이크 증력제어를 실행할 때의 DUTY는 상기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정값으로 얻어지는 것이며, 모듈레이터(M)는 브레이크 증력쪽으로 일정한 어시스트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CBS시 초기작동계수(KCBSI)는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CBS모드로 되었을 때 그 값이 소정시간 걸려서 「0」에서 「1」까지 변화되는 것으로, 모듈레이터(M)가 발휘하는 어시스트력은 소정시간 걸리는 소정값까지 점증된다. 또, CBS시 듀티차속계수(KCBSV)는 추정 차체속도(VR)가 높아짐에 따라 높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으로, 모듈레이터(M)가 발휘하는 어시스트력은 차체속도의 증가에 따라 커진다. 또한, CBS시 듀티계수(KCBS)는 오프, 프론트, 리어 및 더블의 각 브레이크 입력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것으로, 모듈레이터(M)가 발휘하는 어시스트력은 브레이크 조작상황에 따라 변화되게 된다.DUTY in this CBS mode, i.e., when performing brake boost control, is obtained at a constant value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quation, and the modulator M exhibits a constant assist force toward the brake boost force. In addition, the initial operating coefficient K CBSI at CBS is changed from "0" to "1"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set to the CBS mode, and the assist force exerted by the modulator M is predetermined. It is incremented to a predetermined value which takes time. The duty vehicle speed coefficient K CBSV at CBS is set to increase as the estimated body speed V R increases, and the assist force exerted by the modulator M increases as the body speed increases. In addition, the duty coefficient K CBS at CBS is set according to each brake input mode of off, front, rear, and double, and the assist force exerted by the modulator M is changed according to the brake operation status.

(4) 브레이크 제어모드 ; CONV(4) brake control mode; CONV

DUTY=0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모터(15)에 브레이크를 건다.DUTY = 0, and the brake is applied to the motor 15 preferably.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CONV모드일 때, 즉 슬립율변화(Sλ)가 Sλ0의 상태에서 Sλ≤0의 상태로 되었을 때 그 상태가 설정시간(T2) 지속되었을 경우, 슬립율편차(Sλ)가 (-SλCBSSλ≤0)의 범위에 있을 때에는 모듈레이터(M)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가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슬립율 라인(L)의 하부에 폭 SλCBS의 범위에서 불감대영역이 설정되며, 이 불감대보다 하부쪽이 브레이크 증력제어영역이 된다. 또한, 불감대의 폭, 즉 슬립율편차 판정값(SλCBS)은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CONV모드가 되고나서 소정시간 걸려 SλCBS1에서 SλCBS2로 커지도록 변화되는 것으로, 브레이크 제어모드가 ABS모드 및 ABS-C모드일 때, 즉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는 비교적 좁게, 또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 실행시에는 비교적 넓게 실행되게 된다.When the brake control mode is the CONV mode, that is, when the slip rate change Sλ becomes Sλ≤0 from the state of Sλ0, and the state continues for the set time T 2 , the slip rate deviation Sλ is ( When it is in the range of -Sλ CBS Sλ≤0), the brake control by the modulator M is not executed. As shown in FIG. 20, the width of the width Sλ CBS below the target slip rate line L is shown. The dead zone is set at, and the lower part of the dead zone becomes the brake boost control area. Further, the width of the dead band, i.e. a slip ratio deviation determination value (Sλ CBS) is then the brake control mode, the predetermined mode CONV takes time to be changed so as to increase in the Sλ CBS1 by Sλ CBS2, the brake control mode, the ABS mode and ABS- In the C mode, that is, when the anti-lock brake control is executed, it is relatively narrow, and when the non-anti-lock brake control is executed, it is relatively wide.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이 모두 적절한 값이 되는 목표슬립율 라인(L)이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되고, 그 목표슬립율 라인(L)에 일치하도록 전륜브레이크(BF) 및 후륜브레이크(BR)의 브레이크력이 제어되기 때문에, 단일한 모듈레이터(M)에 의해 전륜브레이크(BF) 및 후륜브레이크(BR)를 제어함에도 불구하고, 전후 양륜의 슬립율을 목표슬립율에 안정적으로 수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목표슬립율 라인(L)은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을 좌표축으로 한 직교좌표상에서 전륜슬립율의 증대에 따라 후륜슬립율이 저하되는 함수관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으로, 전후 어느 한쪽의 슬립율 저하분을 다른쪽의 슬립율 증가로 보충하므로, 차체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충분한 감속을 달성할 수 있다.Next, 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 target slip rate line L in which both the front wheel slip ratio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are appropriate values is set as shown in FIG. 16, and the target slip rate line ( since L) to the to the front wheel brake (B F) and the brake force of the rear wheel brake (B R) matching control, though control of the front wheel brake (B F) and the rear wheel brake (B R) by a single modulator (M) Nevertheless, it becomes possible to stably converge the slip ratios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to the target slip ratio. In addition, the target slip rate line L is set to have a func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rear slip ratio decreases as the front slip ratio increases on an orthogonal coordinate using the front slip ratio and the rear slip ratio as a coordinate axis. The rate reduction is supplemented with the increase of the other slip rate, so that sufficient deceleration can be achieved while securing body stability.

또, 브레이크 감력제어에 있어서는 목표슬립율 라인(L)과 현재의 전후 양륜의 슬립율로 표시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 즉 슬립율편차(Sλ)에 의거하여 모듈레이터(M)에 있어서의 모터(15) 작동이 제어되므로, 목표슬립율에 대한 수속성이 신속해진다. 또한, ABS모드 즉 브레이크 감력제어의 초기에는 모듈레이터(M)의 제어량, 즉 모터(15)의 DUTY가 비교적 크게 설징되므로, 슬립율이 급격히 증대하는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 초기에 비교적 큰 브레이크 감력제어를 하도록 하여 큰 슬립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In braking force control, the motor 15 in the modulator M i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slip rate line L and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slip ratio of the current front and rear wheels, that is, the slip ratio deviation Sλ. Since the operation is controlled, the convergence to the target slip rate is quick.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M, that is, the duty of the motor 15 is relatively large in the ABS mode, that is, in the initial stage of the brake force control, the relatively large brake force control is performed in the early stage of the antilock brake control in which the slip ratio is rapidly increased. This can prevent a large slip rate from occurring.

목표슬립율 라인(L)은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속도의 저하에 따라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을 좁히는 쪽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그에 따라 노면의 요철이나 코너링 등으로 인한 차륜속도의 변화가 큰 저속주행시 뜻하지 않게 브레이크 감력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으며, 고속주행시에는 신속한 브레이크 감력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9, the target slip rate line L is changed to narrow the brake pressure control region in response to the decrease in the vehicle body speed. Accordingly, the change in the wheel speed due to unevenness or cornering of the road surface is large. Unexpected braking force control can be avoided in low speed driving, and quick braking force control can be executed in high speed driving.

또한, 목표슬립율 라인(L)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브레이크 감력제어시에는 브레이크 감력제어시보다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을 좁히는 쪽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차륜속도의 변화량이 큰 악로주행시에 브레이크 감력제어 상태로 쉽게 들어가지 않도록 하지만, 일단 브레이크 감력제어의 상태로 들어간 후에는 차체안정성을 중시하여 슬립율이 보다 낮아질 때까지 브레이크 감력제어를 계속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8, the target slip rate line L is changed to narrow the brake sensitivity control area in the non-braking force control rather than in the brake force control, so that the driving speed of the wheel with a large amount of change in the wheel speed is increased. Although it is not easily entered into the brake deceleration control state, once the brake deceleration control state is entered, the brake deceleration control can be continued until the slip ratio is lowered by focusing on the body stability.

또한, 브레이크 감력제어시로부터 비브레이크 감력제어시로의 목표슬립율 라인(L)의 변화는 비브레이크 감력제어상태가 되는 시간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된 후에 행해지는 것이므로,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 개시초기의 증력시 오버슈트가 발생하더라도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가 중단되는 것을 회피하여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의 발산을 방지할 수가 있다.Further, since the chang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L from the brake force control to the non-break force control is performed after the time to be in the non-brake force control state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increase in the initial antilock brake control start Even if an overshoot occurs, the antilock brake control can be avoided and the divergence of the antilock brake control can be prevented.

또한, 양 브레이크 조작레버(LF, LR)의 조작상황에 따라 목표슬립율 라인이 제 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됨에 따라,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입력과 모듈레이터(M)로부터의 어시스트력과의 조합에 따라, 전후 양륜에 의해 적절한 슬립율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as the target slip rate line is set as shown in FIG. 17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conditions of both brake operating levers L F and L R , the brake operation input by the driver and the assist force from the modulator M are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the above,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an appropriate slip ratio by the front and rear wheels.

그러나, 브레이크 감력제어시에 있어서의 목표슬립율 라인(L) 및 슬립율 현재위치 사이의 거리, 즉 슬립율편차(Sλ)의 연산에 있어서는, 모듈레이터(M)의 작동에 의한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의 변화비율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산이 실행되는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모듈레이터(M)의 작동에 따른 목표슬립율으로의 수속성이 보다 높아진다.However, in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slip rate line L and the slip rate present position in the brake force control, that is, the slip rate deviation Sλ, the front wheel slip rate and the rear wheel by the operation of the modulator M are calculated.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in a direction that follows the rate of change of the slip rat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rgence to the target slip rat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modulator M.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에서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로의 이행시 Sλ≤0인 시간이 소정시간(T2) 미만인 상태에서의 ABS-C모드에서는 DUTY가 슬립율편차(Sλ)의 절대값과 슬립율편차 판정값의 차이에 의거하여 정해지게 되며, 그 후의 브레이크 증력제어에서는 모듈레이터(M)에 있어서 모터(15)의 제어량(DUTY)은 일정하게 정해진다. 따라서,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에서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로의 이행시 브레이크력의 증가를 억제하여 뜻하지 않게 슬립율이 증대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으며, 또 브레이크 증력제어시 전륜 및 후륜슬립율이 비교적 작은 상태에서 모듈레이터(M)로부터의 어시스트력이 필요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회피하여 차체감속도가 뜻하지 않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In the ABS-C mode when the time when Sλ≤0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 2 when the transition from the anti-lock brake control to the non-anti-lock brake control, the duty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slip rate deviation (Sλ) and the slip rate deviation. The control amount DUTY of the motor 15 in the modulator M is determined to be constant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determination valu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of the braking force when the transition from the antilock brake control to the non-antilock brake control, thereby avoiding an unexpected increase in the slip ratio, and a relatively small front and rear slip ratio during the brake power control. In this way, the assist force from the modulator M can be avoided from becoming larger than necessary to prevent an unexpected increase in the vehicle body deceleration.

또한, 브레이크 증력제어는 브레이크 조작입력이 소정시간(T1) 이상 지속되었을 때 실행되는 것이며,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가 필요해지는 일이 많은 단시간의 급브레이크 조작시 전륜 및 후륜의 슬립율이 브레이크 증력제어영역으로부터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으로 이행하더라도 모듈레이터(M)에 있어서의 모터(15)의 작동방향을 브레이크 증력작동방향(역회전방향)으로부터 브레이크 감력작동방향(정회전 방향)으로 전환하지 않고 신속하게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brake boost control is executed when the brake operation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 1 ) or more, and the slip ratio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during the short time sudden brake operation that often requires anti-lock brake control is increased. Even if it shifts from the area to the brake deceleration control area, it is possible to quickly change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motor 15 in the modulator M without switching from the brake reinforcement operation direction (reverse rotation direction) to the brake deceleration operation direction (forward rotation direction). It becomes possible to execute the lock brake control.

또, 브레이크 증력제어시 모듈레이터(M)가 발휘하는 어시스트력은 일정값까지 점증되는 것으로, 그것에 의해 브레이크 증력제어시 운전자의 컨트롤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추정 차체속도(VR)에 따라 모듈레이터(M)에 의한 어시스트력이 정해짐으로써 차량주행속도에 적합한 차체감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브레이크 입력모드에 따라 모듈레이터(M)에 의한 어시스트력이 정해짐으로써 운전자가 의도하는 차체감속도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assist force exerted by the modulator M at the time of brake boost control increases to a certain value, whereby the driver's controllability can be improved at the time of brake boost control. In addition, since the assist force by the modulator 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stimated body speed V R , the body deceleration suitable for the vehicle driving speed can be obtained, and the assist force by the modulator M is dependent on the brake input mode. By being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body deceleration intended by the driver.

또한, 목표슬립율 라인(L)과 브레이크 증력제어 영역의 사이에는 불감대영역이 설정되며, 이 불감대영역에서는 모듈레이터(M)에 의한 브레이크 증력방향으로의 제어가 정지되므로,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의 실행시 모듈레이터(M)로부터의 어시스트력 부여에 의해 전후 양륜 슬립율이 뜻하지 않게 커지는 일이 없어서 목표슬립율 라인(L)으로의 수속이 신속해진다. 이때, 모터(15)에 발전브레이크가 걸림으로써 목표슬립율 라인(L)으로의 수속이 보다 효율적으로 된다.Further, a dead zone is set between the target slip rate line L and the brake boost control region, and in this dead zone, control in the brake boost direction by the modulator M is stopped, thereby preventing the antilock brake control. The provision of the assist force from the modulator M at the time of execution does not inadvertently increase the front and rear two-wheel slip ratios, thereby speeding up the procedure to the target slip rate line L. At this time, when the power generation brake is applied to the motor 15, the convergence to the target slip rate line L becomes more efficient.

그러나, 불감대영역의 폭, 즉 슬립율편차 판정값(SλCBS)은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는 비교적 좁게, 또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 실행시에는 비교적 넓게 설정되므로,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의 슬립율의 안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의 차체안정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불감대영역의 폭은 완만하게 변화하므로, 불감대영역의 변화에 따른 제어의 거동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width of the dead zone, that is, the slip ratio deviation determination value Sλ CBS , is set relatively narrow when anti-lock brake control is being performed and relatively wide when non-anti-lock brake control is executed, the anti-lock brake control is performed. In addition to stabilizing the slip ratio, the vehicle body stability at the time of non-anti-lock brake control can be achieved. In addition, since the width of the dead zone is changed gent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change in control behavior due to the change of the dead zon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design change is possible for it, unless it deviates from this invention described in a claim.

이상과 같이 청구항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이 모두 적절한 값이 되는 목표슬립율 라인이 전후 어느 한쪽의 슬립율 저하분을 다른쪽의 슬립율 증가로 보충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그 목표슬립율 라인에 전후 양륜의 슬립율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목표슬립율 라인의 하부쪽에 불감대영역을 정하고, 이 불감대영역에서는 모듈레이터의 제어량을「0」으로 하여 앤티로크 브레이크제어실행시 모듈레이터로부터의 어시스트력 부여로 인한 슬립율 증가를 회피하여 앤티로크 브레이크제어의 수속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the target slip rate line, in which both the front wheel slip ratio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are appropriate values, is set so as to supplement the slip ratio decrease of on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with the increase of the other slip ratio. Therefore, the slip ratio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can be obtained at the target slip rate line. In addition, a dead zone is set at the lower sid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In this dead zone,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is set to "0" to avoid an increase in the slip ratio due to the assist force from the modulator during antilock brake control. The convergence of lock brake control can be improved.

또, 청구항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불감대영역의 폭을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에는 작게 함과 동시에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에는 크게 함으로써 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의 슬립율 안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의 차체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 상기 폭 변화가 완만함에 따라 제어의 거동변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the width of the dead zone is made smaller during anti-lock brake control and larger during non-anti-lock brake control, thereby achieving stabilization of the slip ratio during anti-lock brake control, and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body stability at the time of anti-lock brake control can be achieved, and the change in the behavior of the control can be suppressed small as the width change is gentle.

청구항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슬립율 현재위치의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으로부터 목표슬립율 라인의 하부측으로의 이행시 브레이크력의 증가를 억제하고, 뜻하지 않게 슬립율이 증대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3,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brake force at the time of shifting from the brake sensitivity control region at the slip rate current posi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and to avoid an unexpected increase in the slip rate.

청구항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모듈레이터의 제어량을 「0」이라고 할 때 모터에 발전브레이크를 걺으로써 슬립율의 수속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when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is " 0 ", the slip rate convergence can be made faster by applying a power generation brake to the motor.

Claims (4)

전륜(WF)에 장착된 전륜브레이크(BF)와, 후륜(WR)에 장착된 후륜브레이크(BR)와, 전륜 및 후륜브레이크(BF,BR)의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단일 모듈레이터(M)와, 전륜속도센서(45F)와, 후륜속도센서(45R)와, 모듈레이터(M)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C)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유닛(C)은 전륜 및 후륜속도센서(45F,45R)의 검출치에 의거해서 전륜 및 후륜슬립율을 산출하는 슬립율 산출수단(61F,61R)과, 전륜슬립율 및 후륜슬립율을 좌표축으로 한 직교좌표상에서 전륜슬립율의 증대에 따라 후륜슬립율이 저하되는 함수관계를 가진 목표슬립율 라인을 정하는 목표슬립율 결정수단(66)과, 목표슬립율 라인의 상부측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 목표슬립율 라인으로부터 소정폭 만큼 하부까지의 불감대영역 및 상기 불감대영역보다 하부측의 브레이크 증력제어영역을 각각 정해둠과 동시에, 상기 슬립율 산출수단(61F,61R)에서 얻어진 전륜 및 후륜슬립율에 의거해서 정해진 상기 직교좌표상의 슬립율 현재위치가 어느 제어영역에 있는지에 의거해서 브레이크 제어모드를 판정하는 판정수단(64)과, 상기 판정수단(64)의 판정결과에 의거해서 모듈레이터(M)의 제어량을 정함과 동시에 슬립율 현재위치가 불감대영역에 있을 때의 브레이크 제어모드에서는 모듈레이터(M)의 제어량을 「0」으로 정하는 제어량 결정수단(52)과, 제어량 결정수단(52)에서 얻어진 제어량에 의거해서 모듈레이터(M)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모듈레이터 구동수단(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The brake force of the front wheel brake (B F ) attached to the front wheel (W F ), the rear wheel brake (B R ) attached to the rear wheel (W R ), and the front and rear wheel brakes (B F , B R ) can be changed. that includes a single modulator (M), and a front wheel speed sensor (45 F) and a rear wheel speed sensor (45 R), and a control unit (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dulator (M), said control unit (C) Slip rate calculating means (61 F , 61 R ) for calculating the front and rear wheel slip ratios based on the detected values of the front and rear wheel speed sensors (45 F , 45 R ), and the front and rear wheel slip ratios as the coordinate axes. A target slip rate determining means 66 for defining a target slip rate line having a functional relationship in which a rear wheel slip rate decreases in accordance with an increase in the front wheel slip rate on a rectangular coordinate; The dead zone from the slip rate line to the lower portion by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brae on the lower side than the dead zone At the same time as placing set the jeungryeok control region,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slip ratio obtained by the slip ratio calculating means (61 F, 61 R) on the basis of whether there is a slip ratio of the current location on the predetermined orthogonal coordinates in which the control region The brake control mode when the slip means current position is in the dead zone while determining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M based on the judging means 64 for judging the brake control mode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judging means 64. In the control amount determining means 52 which sets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M to "0", and the modulator driving means 53 which outputs the signal which drives the modulator M based on the control amount obtained by the control amount determining means 52 Brake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64)은 슬립율 현재위치가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으로부터 벗어난데 따른 비앤티로크 브레이크 제어시 불감대영역의 폭을 점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2. The brake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determination means (64) makes the width of the dead zone region deviate during non-anti-lock brake control as the slip position current position deviates from the brake force contro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 결정수단(52)은 슬립율 현재위치의 브레이크 감력제어영역으로부터 목표슬립율 라인의 하부측으로의 이행시, 소정 시간만큼은 목표슬립율 라인 및 슬립율 현재위치 사이의 거리에서 불감대영역의 폭을 감산한 값에 의거해서 브레이크증력측에 대한 모듈레이터(M)의 제어량을 정하고, 상기 소정시간 경과후에는 브레이크증력측에 대한 모듈레이터(M)의 제어량을 일정하게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slip rate line and the slip rate current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ontrol amount determining means 52 moves from the brake sensitivity control region of the slip rate current posi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target slip rate line.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M on the brake power sid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ubtracted width of the dead zone, and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M on the brake power side is fixe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Brake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M)는 브레이크를 걸 수 있는 모터(15)를 구비하며, 모듈레이터구동수단(53)은 모듈레이터(M)의 제어량이 「0」일 때 모터(15)에 발전브레이크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2. The modulator (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dulator (M) has a motor (15) capable of applying a brake, and the modulator driving means (53) generates power to the motor (15) when the control amount of the modulator (M) is "0". Brak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e.
KR1019950067155A 1994-12-29 1995-12-29 Brake control device of a vehicle KR01497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38540 1994-12-29
JP33854094A JP3406103B2 (en) 1994-12-29 1994-12-29 Vehicle brake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020A KR960022020A (en) 1996-07-18
KR0149748B1 true KR0149748B1 (en) 1998-09-15

Family

ID=1831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155A KR0149748B1 (en) 1994-12-29 1995-12-29 Brake control device of a vehic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06103B2 (en)
KR (1) KR0149748B1 (en)
CN (1) CN1045181C (en)
TW (1) TW37291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3034B2 (en) 2003-05-21 2008-02-19 Sony Corporation Data processing device, encoding device, encoding method, decoding device decod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8056A1 (en) * 1989-01-17 1990-07-2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Wheel speed controller
JP2756500B2 (en) * 1989-03-09 1998-05-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nti-lock brake device for motorcycles
US5282675A (en) * 1989-09-29 1994-02-01 Akebono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re, Ltd. Braking anti-lock control for vehicle
JPH03235751A (en) * 1990-02-08 1991-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Antiski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181C (en) 1999-09-22
CN1132155A (en) 1996-10-02
JPH08183442A (en) 1996-07-16
JP3406103B2 (en) 2003-05-12
KR960022020A (en) 1996-07-18
TW372917B (en)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3621B2 (en) Vehicle steering control device
US7317980B2 (en) Automatic brake device for controlling movement of vehicle in direction opposite to intended direction of movement of driver
JP4615321B2 (en) Control device for four-wheel drive vehicle
JP3971552B2 (en) Brake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20120203433A1 (en) Vehicle
JP5656677B2 (en) Brake equipment for motorcycles
US5357444A (en) Retarding control apparatus which operates on the basis of signals such as a shift lever position signal
JP3907464B2 (en) Tractor
JPH07315193A (en) Braking device of vehicle
KR0149748B1 (en) Brake control device of a vehicle
KR0149749B1 (en) Anti-lock brake controller for a vehicle
JPH08150925A (en) Brake device of motorcycle
KR0149750B1 (en) Vehicle brake controller
JP4953507B2 (en) How to maintain engine braking
GB2339870A (en) Control of the braking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AU2020285746A1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3725004B2 (en) Work vehicle
KR100212682B1 (en) Anti-lock brake control device for vehicles
JP4248523B2 (en) Work vehicle
JPH0585386A (en) Four wheel steering device of vehicle
JP5176569B2 (en) Brake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H0439065Y2 (en)
JPH09295564A (en) Dynamo-electric brake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848107B2 (en) Vehicle differential limiting control device
KR0149752B1 (en) Brake device for motor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