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818B1 - 타이어용 비드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용 비드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818B1
KR0148818B1 KR1019930000144A KR930000144A KR0148818B1 KR 0148818 B1 KR0148818 B1 KR 0148818B1 KR 1019930000144 A KR1019930000144 A KR 1019930000144A KR 930000144 A KR930000144 A KR 930000144A KR 0148818 B1 KR0148818 B1 KR 014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ead
mat
bead material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252A (ko
Inventor
한민현
Original Assignee
윤양중
금호타이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양중, 금호타이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양중
Priority to KR101993000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818B1/ko
Publication of KR94001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50Covering, e.g. by winding, the separate bead-rings or bead-cores with textile material, e.g. with flippe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8Moulding material on one side only of the preforme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72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공기입 타이어에서 비드의 비강도를 다소 향상시킴과 동시에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비드재에서 일어날 수 있는 층간 분리 현상을 방지하고, 타이어의 장·탈착성을 증진시켜 비드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타이어용 비드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용 비드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용 비드재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비드재에 사용되는 평판을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강도 평판 2 : 프리프레그 매트(prepreg mat)
2 : 성형드럼 D : 원형 구멍의 직경
본 발명은 타이어용 비드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구성부분중 하나인 비드(bead)는 자동차의 림에 고정되어 타이어의 내부압력을 유지하고, 또한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타이어에 사용되는 비드재에 따라 승차감, 조정성 및 내구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축성, 유연성 및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종래 타이어에 사용된 비드재는 탄소강이나 알루미늄 등에 고무를 입혀 사용하였으며, 강선을 예로들어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보통 0.70-0.95%의 고탄소강을 요구되는 직경까지 인발시킨 후, 고무와의 접착이 유리하도록 청동 피복을 실시한다. 이렇게 청동피복된 강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압출기를 통해 일정한 두께로 고무를 입힌 다음 일정한 형상과 강도에 맞게 정해진 비드두께와 폭으로 드럼에 감음시킴으로써 비드재가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비드재는 비드분산에 의한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나이론 망사로 감싸지게 되며, 다음 성형 공정에서 타이어의 비드부에 부착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비드재는 강선의 비중에 의해 무게가 많이 나가고, 또 균일성이 떨어져 최근에는 중량을 크게 감소시키고 형태 유지성과 균일성이 우수한 고강도 섬유와 기지 수지를 사용한 복합소재로 대체되었다. 여기서 고강도 섬유로는 유리, 카본/그라파이트, 제조된 장섬유, 직조섬유, 브레이드, 단섬유 등이 사용되었고, 기지 수지로는 옥실란(Oxirane)기를 함유하고 있는 열경화성 수지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복합소재의 비드재는 고강도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후 타이어 비드에 맞는 성형드럼에 일정회수를 감아 비드의 형상으로 만들고, 이것을 120-200℃의 온도에 3-5시간 정도 경화시킨 다음 요구하는 폭으로 절단하여 타이어용 비드재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비드재는 비강도(specific strength)의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하지만 반복적인 하중을 받게되면 에폭시/에폭시 간의 층간 분리가 발생하고, 특히 높은 강성으로 인하여 타이어 내부의 공기 유지력(밀봉력)과 비드부의 손상을 초래하며, 더불어 타이어의 장,탈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강도도 다소 향상시킴과 동시에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비드재에서 일어날 수 있는 층간 분리 현상을 방지하고, 타이어의 장,탈착성을 증진시키며, 비드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타이어용 비드재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열경화성 수지를 고강도 섬유매트에 함침(含浸)시킨 후 이 매트를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켜 프리프레그 매트(prepreg mat)로 만들고, 이 매트를 성형드럼(3)상에 일정횟수 감은후 여기에 소정 두께의 청동피복이 입혀진 고강도 평판(1)을 타이어의 강도에 요구되는 횟수로 감고, 다시 상기의 프리프레그 매트(2)를 그 위에 일정 회수 감아서 제조한다(제1도 참조).
상기 평판(1)을 감는 회수는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승용차용 타이어는 1장 이상의 평판이, 트럭/버스용 타이어는 2장 이상의 평판이 들어가도록 감는다.
이와 같이 제조된 비드재는 상기 평판(1)이 에폭시수지와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며, 또한 청동이 피복되어 있으므로 고무와도 우수한 접착력을 갖게되고, 게다가 평판(1)상에는 일정한 직경(1-5㎜)으로 구멍이 뚫려져 있어 유연성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고강도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고강도 강판을 사용함에 따라 강성도 높게 되므로, 비강도(specific strength)가 향상됨과 동시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가지게 되어 타이어의 장·탈착은 물론 타이어의 내압 유지력과 승차감도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열경화성 수지를 고강도 섬유매트에 함침시킨 후 이것을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켜 프리프레그 매트(2)로 만들고, 이 매트를 성형드럼(3)상에 일정횟수 감은 후 여기에, 소정 직경의 원형 구멍이 뚫려져 있고 청동피복이 입혀진 고강도 평판(1)을 소정횟수 감고, 다시 상기의 프리프레그 매트(2)를 그 위에 일정횟수 감아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비드재의 제조방법.
  2. 소정 직경(D)의 원형 구멍이 복수개 균일하게 형성되고 표면이 청동으로 피복된 평판(1) 양측에, 프리프레그 매트(2)(2)가 접착된 타이어용 비드재.
KR1019930000144A 1993-01-07 1993-01-07 타이어용 비드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014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144A KR0148818B1 (ko) 1993-01-07 1993-01-07 타이어용 비드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144A KR0148818B1 (ko) 1993-01-07 1993-01-07 타이어용 비드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252A KR940018252A (ko) 1994-08-16
KR0148818B1 true KR0148818B1 (ko) 1998-10-01

Family

ID=1934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144A KR0148818B1 (ko) 1993-01-07 1993-01-07 타이어용 비드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8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252A (ko) 199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8646B (zh) 非气动轮胎及其制造方法
US3730794A (en) Method of producing a novel compressible roll
EP2658706B1 (en) Annular structure having multiple reinforcement bands
US4812343A (en) Pultruded fiber reinforced plastic marking devices
EP2177375A1 (en) Non-pneumatic ti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00000652A1 (en) Tire with light weight bead core
US11577548B2 (en) Reinforced resilient support for a non-pneumatic tire
JP2011219009A (ja) 非空気圧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US4281700A (en) Run-flat vehicle tire
JP2018058541A (ja) 非空気圧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25466A1 (en) Reinforced resilient support for a non-pneumatic tire
US5593522A (en) Pneumatic vehicle tire with optimized recyclability
KR0148818B1 (ko) 타이어용 비드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CN114103168A (zh) 一种制备复合材料曲面蜂窝结构件的模具及该结构件的制备方法
KR950702903A (ko) 구조적 및 다른 요소, 및 그 제조방법(structural and other components, method of manufacture)
CN2825409Y (zh) 一种以编织结构为骨架的橡胶履带
EP0381889B1 (en) Laminate flexible strip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220168980A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a support structure
CA1068864A (en) Curved reinforced support member
CN213138056U (zh) 一种用于车辆的轻型承重板
US20200238634A1 (e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H04183612A (ja) タイヤ用ハイブリッドビード
KR0168610B1 (ko) 공기입 타이어용 비드재의 제조방법
KR0148814B1 (ko) 타이어용 복합 비드재
EP3393825B1 (en) Method of creating tire bead core with a carbon fiber compo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