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388B1 -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 - Google Patents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8388B1 KR0148388B1 KR1019920027200A KR920027200A KR0148388B1 KR 0148388 B1 KR0148388 B1 KR 0148388B1 KR 1019920027200 A KR1019920027200 A KR 1019920027200A KR 920027200 A KR920027200 A KR 920027200A KR 0148388 B1 KR0148388 B1 KR 0148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vector
- motion vector
- output
- pix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5/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5/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for changing the speed of data flow, i.e. speed regularising or timing, e.g. delay lines, FIFO buffers; over- or underrun control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FAMC)기법의 하드웨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움직임 보상기법인 프레임 예측 움직임 보상이나 필드 예측 움직임 보상기법에서는 움직임 추정의 참고로 사용하는 전 프레임을 필드간 보간을 하지 않고 짝수필드 혹은 홀수필드 자체로만 움직임을 보상하였으나, 본 발명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에서는 프레임내에서 필드간 시간만큼을 고려하여 필드간 보간을 실시한후 움직임 보상을 실시함으로써, 필드간 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시스템보다 움직임 보상오차를 대폭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전 프레임의 탐색구간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버퍼의 개략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개념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 각각의 수평 움직임벡터에 대응하는 짝수필드와 홀수필드의 데이터를 받아 각 홀수 움직임벡터에 따라 적절한 보간계수를 곱해 추정된 화소를 만드는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 반화소 움직임벡터를 계산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보간을 행하는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 추정된 값과 실제값과의 오차를 MAE(Mean Absolute Error)를 적용하여 계산하기 위한 프로세서 어레이중의 한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 움직임 벡터를 계산할 때 수직벡터의 계산방향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프레임 저장수단 200 : 현재프레임 저장수단
300 : 인터폴레이터 수단 400 : 프로세서 어레이수단
500 : 비교수단 600 : 반화소 움직임벡터수단
700 : 출력수단
본 발명은 움직임보상을 이용한 영상데이터 압축의 하드웨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FAMC ; Field Time Adjusted Motion Compensation)기법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시에 필드간 보간을 먼저 실시한후 움직임 보상을 함으로써, 움직임 보상의 오차를 개선시키는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움직임 보상 기법인 프레임 예측 움직임 보상이나 필드 예측 움직임 보상 등의 기법에서는 움직임 추정의 참고로 사용하는 전 프레임을 필드간 보간을 실시하지 않고 짝수필드 혹은 홀수필드 자체로만 움직임 보상을 하게됨으로써, 움직임 보상시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움직임 보상을 개선한 것으로, 특히, 현재프레임의 참조블럭을 추정하여 현재의 실제 압력과의 차를 구하여 그 차가 가장 적은 전 프레임의 위치를 정수 움직임벡터로 선택하고, 이 정수 움직임벡터를 기준으로 반화소 움직임벡터를 구함으로써, 움직임 보상의 오차를 대폭 개선시킨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는, 현재프레임을 추정하기 위한 1프레임전(fd=1) 또는 2프레임전(fd=2) 및 3프레임전(fd=3)의 프레임데이터중에서 프레임 거리정보(fd)에 따라 추정할 프레임데이터를 선택하여 각 버퍼로 입력함과 동시에 탐색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행의 순으로 읽어 저장하는 전프레임 저장수단과 ; 현재프레임의 메모리에 저장된 짝수필드와 홀수필드의 데이터를 각 버퍼에 저장하는 현재프레임 저장수단과 ; 상기 전프레임 저장수단의 각 버퍼에서 출력되는 한 수직벡터에 대한 모든 수평벡터에 대한 첫번째 화소를 입력받아 각 수평벡터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블록의 추정된 데이터의 행 방향으로 처음에는 짝수필드의 데이터를 전부 읽어 출력하고, 다음에는 홀수필드의 데이터를 읽어 출력하는 인터폴레이터수단과 ; 상기 인터폴레이터수단에서 출력된 데이터와 현재프레임 저장수단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계산하여 한 수직벡터에 대해 가능한 모든 수평벡터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 어레이수단과 ; 상기 프로세서 어레이수단에서 출력되는 모든 수직벡터에 대해 최소의 오차값을 선택한 정수의 정도를 갖는 참조블럭에 대한 움직임벡터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 상기 비교수단에서 출력되는 정수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반화소 움직임벡터를 계산할 탐색구간의 데이터 위치를 찾아 먼저 수평방향으로 보간을 한후, 수직방향으로 정수 움직임벡터를 계산할 때와 같은 버퍼의 구조와 3개의 인터폴레이터와 3개의 프로세서 어레이를 사용하여 최소 오차값을 갖는 위치를 찾는 계산을 모든 수직벡터에 대해 수행하여 반화소 움직임벡터를 출력하는 반화소 움직임벡터수단과 ; 상기 비교수단에서 출력된 정수의 움직임벡터와 반화소 움직임벡터수단에서 출력된 반화소 움직임벡터를 합해 최종적으로 반화소 정도를 갖는 움직임벡터를 구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들어 그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프레임 저장수단(100)에서는 현재프레임을 추정하기 위한 1프레임전(fd=1) 또는 2프레임전(fd=2) 및 3프레임전(fd=3)의 프레임데이터중에서 프레임 거리정보(fd)에 따라 추정할 프레임데이터를 선택하여 각 버퍼로 입력함과 동시에 탐색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행의순으로 읽어 저장하고, 현재프레임 저장수단(200)에서는 현재프레임의 메모리에 저장된 짝수필드와 홀수필드의 데이터를 각 버퍼에 저장하며, 인터폴레이터수단(300)에서는 상기 전프레임 저장수단(100)의 각 버퍼에서 출력되는 한 수직벡터에 대한 모든 수평벡터에 대한 첫번째 화소를 입력받아 각 수평벡터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블록의 추정된 데이터의 행방향으로 처음에는 짝수필드의 데이터를 전부 읽어 출력하고, 다음에는 홀수필드의 데이터를 읽어 출력하며, 프로세서 어레이수단(400)에서는 상기 인터폴레이터수단(300)에서 출력된 데이터와 현재프레임 저장수단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계산하여 한 수직벡터에 대해 가능한 모든 수평벡터를 계산하여 출력하고, 비교수단(500)에서는 상기 프로세서 어레이수단(400)에서 출력되는 모든 수직벡터에 대해 최소의 오차값을 선택한 정수의 정도를 갖는 참조블럭에 대한 움직임벡터를 출력하며, 반화소 움직임벡터수단(600)에서는 상기 비교수단(500)에서 출력되는 정수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반화소 움직임 벡터를 계산할 탐색구간의 데이터 위치를 찾아 먼저 수평방향으로 보간을 한후, 수직방향으로 정수 움직임벡터를 계산할 때와 같은 버퍼의 구조와 3개의 인터폴레이터와 3개의 프로세서 어레이를 사용하여 최소 오차값을 갖는 위치를 갖는 계산을 모든 수직벡터에 대해 수행하여 반화소 움직임벡터를 출력하고, 출력수단(700)에서는 상기 비교수단(500)에서 출력된 정수의 움직임벡터와 반화소 움직임벡터수단(600)에서 출력된 반화소 움직임벡터를 합해 최종적으로 반화소 정도를 갖는 움직임벡터를 구하여 출력되도록 동작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전프레임 저장수단(100)에 있어서, 1프레임전(fd=1) 또는 2프레임전(fd=2) 및 3프레임전(fd=3)의 프레임메모리의 F0=한 프레임내에서 첫번째 필드인 짝수필드를 나타내고, F1=두번째 필드인 홀수필드를 나타내며, 각 버퍼에는 2개의 FIFO로 구성된 FIFO모듈이 탐색구간내의 각 행의 화소수 만큼 구성되어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하, 본 실시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프레임의 짝수필드인 f2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전 프레임의 짝수필드인 f0를 참고가 되는 필드로 사용하되, 전 프레임의 홀수필드인 f1을 필드시간 만큼을 고려하여 f0로 보상한 뒤 f0와 f1을 보간하여 f2의 참고가 되는 필드를 만든다. 현재 프레임의 홀수필드인 f3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움직임 보상을 한다.
또한, 본 기법에서는 움직임벡터가 짝수일때는 전 프레임의 데이터를 그대로 가져다 f2 혹은 f3 데이터를 만들게 되고 움직임 벡터가 홀수일때는 상기와 같이 f2 혹은 f3 데이터를 만들게 되지만 움직임벡터와 전 프레임의 거리(fd)에 따라 보간하는 거리비 즉 보간계수가 달라지게 된다.
현재프레임을 추정하는 전 프레임 데이터는 1프레임전(fd=1) 또는 2프레임전(fd=2) 및 3프레임전(fd=3)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1도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각 블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참조(reference) 블록의 크기는 (M×N), 탐색범위는 수평방향으로 -mi=MVmi, 수직방향으로 -mj=MVmj로 하며, 현재프레임과 전 프레임의 메모리에서 F0는 한 프레임내에서 첫번째 필드인 짝수필드를 나타내고, F1은 두번째 필드인 홀수필드를 나타낸다.
또한, 추정할 전 프레임의 거리에 따라 어떤 전 프레임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을 것인가를 FD(frame distance) 정보에 따라 선택하게 되고, 데이터가 입력되면 참조블럭의 탐색구간에 해당하는 모든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데이터를 입력하는 순서는 탐색구간에서 행방향으로 첫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입력한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프레임 저장수단(100)의 버퍼의 구조를 보면, 버퍼는 FIFO 모듈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FIFO 모듈의 수는 탐색구간내의 각 행의 화소수에 의해 결정된다. 즉, 수평방향의 탐색범위와 참조블럭의 수평 화소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각 FIFO 모듈의 사이즈는 참조블럭의 한 수직열 화소수와 그에 대응하는 수직 탐색구간의 범위를 합한 화소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이며, 탐색구간으로부터 데이터가 행방향으로 입력되면 그 행의 첫 화소는 첫 FIFO 모듈, 두번째 화소는 두번째 FIFO 모듈, 세번째 화소는 세번째 FIFO 모듈, 이러한 순으로 데이터가 각 FIFO 모듈에 입력되게 된다.
또한, 두번째 행의 입력때는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FIFO 모듈에 입력되게 되는데, 각 버퍼내의 각각의 FIFO 모듈은 동시에 읽고, 쓰는 두개의 FIFO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첫번째 FIFO는 처음 버퍼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고, 두번째 FIFO는 첫번째 FIFO의 데이터를 읽기 시작하면 첫번째 화소는 버리고 두번째 화소부터 FIFO에 저장하며, 두번째 FIFO를 읽을때는 마찬가지로 첫번째 화소는 버리고 두번째 화소부터 첫번째 FIFO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모든 움직임벡터가 계산될때까지 계속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면 하나의 수직벡터에 대한 모든 수평벡터를 계산하고 바로 이어서 다음 수직벡터에 대한 모든 수평벡터를 계산할 수 있어 계산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퍼의 출력은 한 수직벡터에 대하여 가능한 모든 수평벡터에 대한 첫번째 화소가 각 FIFO 모듈의 첫번째 출력이 된다.
또한, 각 FIFO 모듈의 첫번째 FIFO로부터 데이터를 읽기 시작하면 각 FIFO 모듈내의 동작은 앞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동작이 일어나게 되며, 각 버퍼의 출력은 각각의 수평벡터에 해당하는 제4도의 인터폴레이터(300A)의 각각의 인터폴레이터의 롬에 입력되어 처리된다. 또한, 움직임벡터가 짝수일때는 각 필드로부터 출력을 그대로 추정 데이터로 사용하고, 움직임벡터가 홀수일때는 각 수평움직임 벡터에 따라 인터폴레이터의 필터계수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각 수평움직임 벡터에 대응하는 각각의 인터폴레이터(300A)에서는 이러한 필터 계수와의 곱을 위해 롬을 이용하며, 또한 각 인터폴레이터의 계수는 전 프레임의 거리 즉, fd에 따라 다르게 된다. 따라서 롬의 어드레스는 입력 화소 데이터와 fd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인터폴레이터의 출력은 각 수평움직임 벡터에 대응하는 블록의 추정된 데이터의 행방향의 출력이 되는데 처음에는 짝수필드만 전부 읽어 출력하고, 다음에 홀수필드의 데이터를 읽어 출력한다. 이 출력데이터와 현재 프레임의 참조블럭과의 차가 제6도에 도시된 프로세서 어레이수단(400)의 각 프로세서(PE)의 뺄셈기로 입력되어 처리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 어레이수단(400)은 한 수직벡터에 대해 가능한 모든 수평벡터를 동시에 계산할 수 있는 수평벡터수 만큼의 프로세서를 갖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참조블럭의 데이터는 현재프레임의 각 필드의 버퍼(FIFO)로부터 처음은 첫번째필드(짝수필드)의 버퍼1(FIFO)에서 다음은 두번째 필드의 버퍼2(FIFO)에서 읽어 프로세서로 입력된다.
또한, 모든 참조블럭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한 수직 움직임벡터에 대해 가능한 모든 수평 움직임벡터가 계산되고 이들은 비교기로 입력되어 최소의 오차값을 갖는 것을 선택하는데, 이러한 계산을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모든 수직벡터에 대해 계산하면 비교기로부터 정수의 정도를 갖는 참조블럭에 대한 움직임 벡터(MV-INT)가 나오게 된다.
또한, 매 수직벡터에 대해 필요한 참조블럭은 현재프레임의 버퍼로부터 매번 읽어내게 되며, 이러한 계산에 걸리는 시간은(참조블럭의 화소수×수직움직임 벡터의 수)만큼의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 정수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그 움직임벡터에 대응하는 탐색윈도우 메모리의 읽어낼 위치를 어드레스 컨트롤러에 의해 그 움직임벡터에 대응하는 화소들을 읽어낸다.
또한, 탐색윈도우 메모리의 출력은 제5도에 도시된 수평방향 인터폴레이터(600A)에 입력되며, 이 수평방향 인터폴레이터에서는 수평 행방향의 첫번째와 두번째 화소로부터 그 평균을 취하여 중간값을 만들고 출력은 첫번째 화소, 보간된 중간값 화소, 그리고 두번째 화소 순으로 출력하며, 연속해 들어오는 화소들에 대해 이러한 방법으로 처리를 하여 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보간필터는 출력주파수가 입력주파수의 2배로 되어 있으며, 이 출력된 데이터는 FIFO 모듈로 구성된 버퍼로 저장되는데, 이 버퍼의 구조는 정수 움직임벡터 계산시에 사용된 버퍼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고 그 동작도 같게 된다.
또한, 상기 버퍼의 FIFO 모듈의 수는 3개로 구성되며, 이 버퍼의 출력은 화소 비(Pixel Rate)로 출력되어 인터폴레이터로 입력된다. 이 인터폴레이터의 기능은 정수 움직임벡터를 계산할 때 사용한 인터폴레이터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이 반화소 움직임벡터에 필요한 인터폴레이터는 3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터폴레이터의 출력과 현재프레임의 버퍼출력(Reference-Block)을 저장한 FIFO의 출력이 프로세서 어레이로 입력되고 오차값이 계산되며, 각 PE(Processor Element)의 출력은 비교기로 입력되어 최소 오차값을 갖는 위치를 찾아내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계산을 모든 수직벡터에 대해 수행하고 나면 반화소 움직임벡터가 비교기로부터 계산되는데, 이 값과 정수 움직임벡터를 합해 반화소 정도를 갖는 움직임벡터를 최종적으로 구하게 된다.
지금까지 일 실시예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동작을 신호의 흐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여기에서 미설명된 각 프레임 메모리의 어드레스 컨트롤 및 타이밍 컨트롤은 컨트롤러에서 행하게 된다. 또한, 이 구조는 하나의 수직벡터에 대응하는 모든 수평벡터를 동시에 계산하는 프로세서 구조로 되어 있지만 프로세서 수를 더 늘리면 최종 움직임벡터를 더 빨리 계산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방 예측만을 기술하고 있지만 프레임 메모리와 그에 따른 회로를 추가하면 본 발명에서 큰 수정없이 후방예측도 고려한 하드웨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움직임 보상시 프레임내에서 필드시간 만큼을 고려하여 필드간 보간을 실시한후 움직임 보상을 함으로써, 필드간 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시스템보다 움직임 보상오차를 대폭 개선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 현재프레임을 추정하기 위한 1프레임전(fd=1) 또는 2프레임전(fd=2) 및 3프레임전(fd=3)의 프레임데이터중에서 프레임 거리정보(fd)에 따라 추정할 프레임데이터를 선택하여 각 버퍼로 입력함과 동시에 탐색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행의 순으로 읽어 저장하는 전프레임 저장수단(100)과 ; 현재프레임의 메모리에 저장된 짝수필드와 홀수필드의 데이터를 각 버퍼에 저장하는 현재프레임 저장수단(200)과 ; 상기 전프레임 저장수단(100)의 각 버퍼에서 출력되는 한 수직벡터에 대한 모든 수평벡터에 대한 첫번째 화소를 입력받아 각 수평벡터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블록의 추정된 데이터의 행 방향으로 처음에는 짝수필드의 데이터를 전부 읽어 출력하고, 다음에는 홀수필드의 데이터를 읽어 출력하는 인터폴레이터수단(300)과 ; 상기 인터폴레이터수단(300)에서 출력된 데이터와 현재프레임 저장수단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계산하여 한 수직벡터에 대해 가능한 모든 수평벡터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 어레이수단(400)과 ; 상기 프로세서 어레이수단(400)에서 출력되는 모든 수직벡터에 대해 최소의 오차값을 선택한 정수의 정도를 갖는 참조블럭에 대한 움직임벡터를 출력하는 비교수단(500)과 ; 상기 비교수단(500)에서 출력되는 정수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반화소 움직임벡터를 계산할 탐색구간의 데이터 위치를 찾아 먼저 수평방향으로 보간을 한후, 수직방향으로 정수 움직임벡터를 계산할 때와 같은 버퍼의 구조와 3개의 인터폴레이터와 3개의 프로세서 어레이를 사용하여 최소 오차값을 갖는 위치를 찾는 계산을 모든 수직벡터에 대해 수행하여 반화소 움직임벡터를 출력하는 반화소 움직임벡터수단(600)과 ; 상기 비교수단(500)에서 출력된 정수의 움직임벡터와 반화소 움직임벡터수단(600)에서 출력된 반화소 움직임벡터를 합해 최종적으로 반화소 정도를 갖는 움직임벡터를 구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프레임 저장수단(100)의 각 버퍼는, 탐색구간내의 각 행의 화소수에 의해 FIFO 모듈의 수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 FIFO 모듈에는 수평 움직임 벡터에 대응하는 2개의 FIFO를 사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속계산을 할 수 있게 한 수단과 ; 버퍼에 입력되는 각 필드에 대응하는 탐색구간의 데이터를 행의 순서로 입력할 때 각 행의 첫번째 화소는 첫번째 FIFO 모듈의 첫 FIFO에, 두번째 화소는 두번째 FIFO 모듈의 첫번째 FIFO에, N번째 화소는 N번째 FIFO 모듈의 첫번째 FIFO에 입력하는 수단과 ; 버퍼의 각 FIFO 모듈에서 첫 수직벡터에 대응하는 수평벡터를 계산할때는 첫번째 FIFO에서, 그 다음 수직벡터에 대응하는 수평벡터를 계산할때는 두번째 FIFO에서 읽어내고 세번째는 다시 첫 FIFO에서 읽어내는 방법으로 각 수직벡터에 따라 교대로 읽어내 출력하는 수단과 ; 각 FIFO 모듈의 출력에 적절한 수의 레지스터를 달아 동시에 출력되는 각 행의 데이터를 적절히 지연시켜 하나의 수평벡터에 맞는 행의 데이터 시퀸스를 만들어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 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폴레이터수단(300)은 움직임벡터가 짝수일때는 두 필드 데이터의 출력을 추정데이터로 그대로 사용하고, 움직임벡터가 홀수일때는 전 프레임의 두 필드 데이터를 이용 적절한 보간을 행한후 현재 필드 데이터를 만들때 보간필터의 계수의 곱에 롬을 이용하는 수단과 ; 한 수직벡터에 대응하는 모든 수평벡터에 대하여 각각의 인터폴레이터를 사용하여 병렬처리를 함으로써 동시에 계산할 수 있도록 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 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어레이수단(400)은, 한 수직벡터에 대응하는 모든 수평벡터의 수만큼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며, 이에 대응하는 수평방향의 움직임벡터를 동시에 계산하는 수단과 ; 각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현재프레임의 참조블럭의 데이터와 전 프레임의 탐색구간 데이터에 있어 짝수필드의 데이터를 먼저 입력하여 계산한 다음 홀수필드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계산하도록 하여 프로세서의 데이터 입력을 용이하게 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 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27200A KR0148388B1 (ko) | 1992-12-31 | 1992-12-31 |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27200A KR0148388B1 (ko) | 1992-12-31 | 1992-12-31 |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5783A KR940015783A (ko) | 1994-07-21 |
KR0148388B1 true KR0148388B1 (ko) | 1998-11-16 |
Family
ID=1934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7200A KR0148388B1 (ko) | 1992-12-31 | 1992-12-31 |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8388B1 (ko) |
-
1992
- 1992-12-31 KR KR1019920027200A patent/KR014838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5783A (ko) | 1994-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37666A (en) | Circuit implementation of block matching algorithm with fractional precision | |
EP057984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 |
JP5877469B2 (ja) | 動き推定システムにおいてモーメント及び加速度ベクトルを使用するオブジェクト追跡 | |
JP3247105B2 (ja) | 動画像フレーム内の動き予測方法および装置 | |
EP1120747A2 (en) | Motion estimator | |
US4838685A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in motion picture processing | |
EP1339234A2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verting scanning format | |
EP3104611B1 (en) | Motion estimation using collocated blocks | |
US20090085846A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erforming motion compensation using motion estimation | |
US20050249288A1 (en) | Adaptive-weighted motion estimation method and frame rate converting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 |
KR101578052B1 (ko) | 움직임 추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동영상 부호화 장치 | |
KR100226684B1 (ko) | 반화소 움직임 추정장치 | |
JP2003174628A (ja) | 動き補償補間のための画素値選択装置及び方法 | |
US861082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motion compensated noise reduction and frame rate conversion | |
EP198011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based motion estimation | |
US5541660A (en) | Systolic realization of motion compensated interpolation filter | |
US5793443A (en) | Motion vector detection circuit | |
EP1489849A1 (en) | Adaptive block-based motion compensation | |
US610443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 |
KR20050080862A (ko) | 중첩된 블록 기반 움직임 추정에 의한 움직임 보상 보간방법 및 그를 적용한 프레임 레이트 변환 장치 | |
KR100644629B1 (ko) | 하이브리드 블록 매칭 기반의 움직임 추정 방법 및 그를적용한 프레임 레이트 변환 장치 | |
JPH04314290A (ja) |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 |
JP5464803B2 (ja) | インターレースビデオ画像の動き推定 | |
KR0148388B1 (ko) | 필드시간 적응 움직임 추정기법의 하드웨어 | |
EP2237560A1 (en) | Halo reducing motion-compensated interpol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41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