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140B1 -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 7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 7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140B1
KR0147140B1 KR1019950032881A KR19950032881A KR0147140B1 KR 0147140 B1 KR0147140 B1 KR 0147140B1 KR 1019950032881 A KR1019950032881 A KR 1019950032881A KR 19950032881 A KR19950032881 A KR 19950032881A KR 0147140 B1 KR0147140 B1 KR 014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kbps
incoming
isup
li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227A (ko
Inventor
정덕순
박호진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3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140B1/ko
Publication of KR970019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DN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방식 No.7 ISUP을 통하여 384Kbps 전송도를 갖는 서비스에 대한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대국의 ISDN 가입자로부터 요구되는 384Kbps의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SDN 교환기에서는 하나의 채널이 64Kbps의 고정된 전송속도를 가지므로 384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으로 6개의 채널을 점유해야만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ISDN 전전자 교환기에서 384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기능에서 요구되는 6개의 채널점유 절차와 입중계선 호처리 제어와 ISDN 착신 가입자 처리 기능간의 정합 절차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종합정보 통신망(ISDN)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 7 사용자부(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제1도는 종합정보 통신망(ISDN) 전전자 교환기의 개략적인 제어 구조도.
제2도는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에서 회선호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블럭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ISUP 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의 서비스 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종합 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에서 화상과 같은 고속 데이타 전송 속도(384Kbps)를 갖는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NO. 7 사용자부(ISUP) 입중계선의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NISDN에서 BISDN으로의 망의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BISDN에서는 다양한 전송속도의 서비스가 제공 가능하지만, NISDN에서는 ITU-T권고안에서 정의한 몇종의 다중슬롯호 서비스만이 가능한다.
NISDN에서 다중 슬롯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국간 신호방식으로 No.7 ISUP 신호방식을 이용해야 한다. 대국으로 부터 들어온 호 요구가 384Kbps의 전송속도를 요하는 서비스를 필요로 할 때, 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기능에서는 그 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ITU-T의 Q.764 권고안을 참조로 하여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에서 고속(384Kbps)의 다중 슬롯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 점유 절차와 호 제어 절차를 갖는 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루트 및 회선의 상태를 관리하는 RCO(Route Control)블럭과, 국간신호방식으로 No.7 종합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부가 사용될때 국간 호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UPC(ISDN User Part Control) 블럭과, ISDN 가입자의 호처리를 제어하는 DCC(Digital Circuit Subsciber Control) 블럭과, 수신된 착신 가입자의 번호를 분석하는 NTR(Number Translation)블럭을 포함하는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어 고속의 전송속도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대국으로 부터 입중계선 호처리 요구 메시지(IAM)의 전송매체 요구를을 조사하여 384Kbps 호 서비스를 요구하면, IAM에 실려온 중계선 번호를 32로 나누어 나머지를 계산하는 제1단계와, 계산한 나머지가 1 또는7 또는 13또는 20 또는 26인지 조사하여 이중의 한 값이면, 16번째 채널을 제외한 6개의 채널에 대해서 채널 값이 384Kbps의 다중 슬롯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채널에 이용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서비스 제공 채널 정보를 참조로 하여 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주 프로세스는 유휴상태로 천이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가 NTR로 국번번역 요구를 하여 NTR로부터 자국의 가입자로 착신된다는 입중계호 통보를 수신하고, NTR로 착신번 번역 요구를 하는 제4단계와, 착신가입자 처리 블럭인 DCC로부터 착신 점유 통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6개의 채널에 대한 스위치 연결을 수행하는 제5단계와, 스위치 연결 완료후 IAM에 실려온 발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와 스위치 연결 완료에 대한 정보를 DCC로 통보하고, DCC로부터 알럿팅(Alerting)을 수신하면 발신국으로 어드레스 수신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6단계와, DCC로부터 연결(Connect)통보를 수신하면 발신국으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384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 상태를 만드는 제7단계와, 발신국으로부터 복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DCC로 발신 가입자가 복구했음을 통보하고, 발신국에 대한 응답으로 복구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8단계와, 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가 384Kbps 다중슬롯호에 제공된 채널을 유휴상태로 하고, 연결된 스위치를 절단하고 소멸하는 제9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채널 점유 절차시 ITU-T의 권고안 Q.764에서 권고하는 채널의 사용순서를 고려하였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분산 제어 시스템인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개략적인 제어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interconnection) 그리고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의 3개의 서브시스템을 구비한다.
ASS는 가입자 및 트렁크 인터페이스, 타임 스위치(T-switch), 각종 신호장치, 패킷 핸들러(Packet Handler)등을 구비하여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과 자체 유지보수 기능등을 수행하며 시스템적으로 수평분산 구조를 갖는다.
최대 60개의 ASS가 INS를 통하여 연결가능하며, 이들 사이의 전송 매체는 광 링크(optical link)로 되어 있다.
INS는 시스템의 중심에 위치하여 ASS 상호간 혹은 ASS와 CCS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타임 스위치-스페이스 스위치-타임스위치(T-S-T) 구조중 스페이스 스위치(Space Switch)가 이곳에 위치한다. 그리고 호처리 기능중 번호번역, 스페이스 스위치(Space Switch) 연결 기능등을 수행하며, 망동기 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 클럭을 생성, 배급하는 기능도 한다.
CCS는 시스템의 총괄적인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제2도는 종합정보 통신만 전전자 교환기에서 호처리를 제어하는 주요 소프트웨어 블럭 구성도로서,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어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통화하고, 수화기를 내려 놓을때까지의 교환기가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중 호 제어 관련 주요 블럭들을 나타낸 것이다.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에서 회선호는 2개의 호제어 기능 블럭으로 구성되어 수행되며, 각 호제어 기능블럭은 각 호마다 1개의 프로세스를 생성시켜 착신 프로세스 및 발신 프로세스를 구성한다.
각 블럭들의 주된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SC(Analog Subscriber Control) 블럭은 애널로그 가입자의 호처리를 제어하고, DCC(Digital Circuit subscriber Control) 블럭은 ISDN 가입자의 호처리를 제어하며, NTR(Number Trasnlation) 블럭은 수신된 착신 가입자의 번호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CO(Route Control) 블럭은 루트 및 회선의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UPC(ISDN User Part Control) 블럭은 국간신호방식으로 No.7 ISDN 사용자부가 사용될때 국간 호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UPI(ISDN User Part Interface)블럭은 UPC 블러과 MTP(Message Transfer Part; 메시지 전달부) 기능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국간 신호방식으로 R2/Decadic 신호방식이 이용되는 경우는 TKC(Trunk Control) 블럭과 TI(Trunk Interface)블럭에서 이루어지며, TUP 신호방식이 이용되는 경우는 TPC(Telephony user Part Control) 블럭과 TPI(Telephony user Part Interface)블럭에서 수행된다.
그외 PBXC(Private Branch Exchange Control)블럭은 사설교환기의 제어기능을, SNC(Switch Network Control)블럭은 스위치 망 제어 기능을, SSW(Space Switch)블럭은 스페이스 스위치 정합 기능을, DSI(Digital Subscriber Interface)블럭은 디지틀 가입자 정합 기능을, LSC(Local Service Control) 블럭은 로우컬 서비스 제어 기능을, LSI(Local Service Interface)블럭은 로우컬 서비스 정합 기능을, TSW(Time Switch) 블럭은 타임 스위치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ISUP 신호방식을 위한 호제어 절차를 위해 UPC 블럭은 시스템 시동시 구동되는 주 프로세스와 중계선 호처리가 필요할때 마다 생성되는 2개의 자 프로세스(출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 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UPC 주 프로세스는 필요한 호 제어 절차에 따라자 프로세스를 생성한다.
ISUP 신호방식을 통한 일반 중계호의 제어 절차를 설명하면, ISDN 가입자가 ISUP를 통하여 타국으로 호가 이루어질 때 발신 프로세스는 DCC 블럭으로부터 생성되고, 착신 프로세스는 UPC 블럭으로부터 생성되어 호처리가 이루어진다.
국간 신호방식 ISUP를 통하여 타국으로부터의 호 요구가 ISDN 착신 가입자로 착신될때, 발신 프로세스는 UPC 블럭으로부터 생성되고, 착신 프로세스는 DCC블럭으로부터 생성되어 호처리가 제어된다.
그리고 ISUP를 통하여 타국으로부터 들어온 호가 또다시 ISUP를 통해 타국으로 호가 중계될때는 발/착신 프로세스 모두 UPC 블럭으로부터 생성되어 호처리가 이루어진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No.7 ISUP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의 384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어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대국으로 부터 입중계선 호처리 요구 메시지(IAM)을 수신했을때 384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의 채널할당과 입중계선 호처리에서의 호제어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3a도는 UPC 주 프로세스에서 입중계선 호처리를 위한 자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절차의 흐름도이며, 제3b도는 생성된 입중계선 호처리 자 프로세스의 384Kbps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에서 수용하는 중계선의 논리적인 채널값은 0∼1023의 값을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에 수용되는 중계선이 모두 유럽방식(CEPT)을 적용한 것으로 한다. 실제로 시스템 구성시 CEPT 방식뿐만 아니라 북미(T1)방식의 중계선을 수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T1방식의 중계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유럽방식의 경우, 한 PCM 캐리어는 물리적으로 0∼31의 값을 가지며, 시스템 전체 수용 중계선이 1024개인 경우 32개의 PCM 캐리어를 가지게 된다. ITU-T 권고안상에서 384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시 PCM 캐리어의 0번째 16번째 채널은 신호정보 전송용으로 사용하기로 되어 있으므로 6개의 채널을 점유할때 고려해야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그 상세한 처리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대국으로부터 입중계선 호처리 요구 메시지(IAM)을 수신한다.
2)IAM의 TMR(Transmission Medium Requirement:전송매체요구)을 조사한다.
3)384Kbps이외의 호 서비스에 대해서는 그 서비스에 적합한 호제어 서비스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384Kbps 이외의 서비스 제어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는다.
4)IAM에 실려온 중계선 번호는 하나의 채널 값만이 수신되므로 6개의 채널값에 대한 점유 절차가 필요하게 된다. 384 Kbps의 다중 슬롯호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IAM에 실려온 중계선 번호를 32로 나누어 나머지를 계산한다.
5)ITU-T 권고안상에서 제시하는 채널의 사용은 1번째,7번째,13번째,20번째, 26번째 위치한 채널부터 연속적으로 6개의 채널을 384 Kbps의 다중 슬롯호 서비스에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단 13번째 채널부터 사용하여 서비스하는 경우 16번째 채널은 신호정보 전송용으로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므로 16번째 채널은 점유하지 않도록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4)에서 계산한 나머지가 1또는 7또는 13또는 20또는 26인지 조사한다. 나머지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권고안상의 채널 사용 순서를 만족하므로 384 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머지가 1,7,13,20,26 이외의 값을 갖는 경우 6),7)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을 수행한다.
6)ITU-T 권고안상에서 제시한 채널 사용 순서에 어긋나므로 대국으로 REL(Release Meesage:복구 메시지)를 송신하여 호 해제 절차를 시작한다. 이 경우 384 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은 불가능하게 된다.
7)대국으로부터 RLC(Release Complete Message:복구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유휴상태로 천이한다.
8)나머지가 13인지 조사한다. 나머지가 13인 경우 9)를 그외 값인 경우10)를 수행한다.
9)ITU-T 권고안상에서 0번째 채널과 16번째 채널은 신호 정보 전송용으로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기 때문에 나머지가 13인 경우 중계선번호, 중계선번호+1, 중계선번호+2, 중계선번호+4, 중계선번호+5, 중계선번호+6의 값이 384 Kbps의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위한 채널에 이용되도록 하여 16번째 채널은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의 11)을 수행하게된다.
10)나머지가 1,7,20,26인 경우 중계선번호, 중계선번호+1, 중계선번호+2, 중계선번호+3, 중계선번호+4, 중계선번호+5의 채널 값이 384 Kbps의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채널에 이용된다.
11)9),10)의 채널 정보를 참조로 하여 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UPC 주 프로세스는 유휴상태로 천이한다.
12)UPC 주 프로세스로부터 384 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된 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는 NTR로 국번번역 요구를 한다.
13)NTR로부터 자국의 가입자로 착신된다는 입중계호 통보를 수신한다.
14)NTR로 착신번 번역 요구를 한다. 이때 NTR이 착신가입자 처리 기능으로 착신 점유 요구시 발신국의 ISDN 가입자가 384 Kbps의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요구했음을 전달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포함시켜 착신번 번역요구를 한다.
15)착신가입자 처리 기능으로부터 착신 점유 통보를 수신한다.
16)384 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선택된 6개의 채널에 대한 스위치 연결을 수행한다.
17)스위치 연결 완료후 IAM에 실려온 발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와 스위치 연결 완료에 대한 정보를 착신 가입자 처리 기능으로 통보한다.
이때 착신 가입자 처리 기능은 384 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위한 6개의 채널에 대한 스위치 연결을 수행한다.
18)착신가입자 처리 기능으로부터 알럿팅(Alerting)을 수신하면 발신국으로 ACM(Address Complete Message: 어드레스 수신완료메시지)를 송신한다.
19)착신가입자 처리기능으로부터 연결(Connect) 통보를 수신하면 발신국으로 ANM(Answer Message: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20)호의 상태는 384 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상태가 된다.
21)발신국으로부터 REL(Release Message: 복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가입자 처리 기능으로 발신 가입자가 복구했음을 통보한다.
22)발신국으로 REL에 대한 응답으로 RLC(Release Complete Message:복구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23)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는 384 Kbps 다중슬롯호에 제공된 채널을 유휴상태로 하고, 연결된 스위치를 절단하고 소멸된다.
상기 기술한 채널 할당 절차와 호제어 절차에 따라서 대국으로부터 요구되는 384 Kbps의 다중슬롯호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384 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위한 호제어 절차는 타기종의 No.7 ISUP 신호방식이 구현된 입중계 교환기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처리되는 본 발명은, ISDN 교환기에서 국간 신호방식으로 No.7 ISUP을 통하여 384 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루트 및 회선의 상태를 관리하는 RCO(Route Control) 블럭과, 국간신호방식으로 No.7 종합정보 통신망(ISDN) 사용자부가 사용될때 국간 호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UPC(ISDN User Part Control)블럭과, ISDN 가입자의 호처리를 제어하는 DCC(Digital Circuit subscriber Control) 블럭과, 수신된 착신 가입자의 번호를 분석하는 NTR(Number Translation)블럭을 포함하는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어 고속의 전송속도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대국으로부터 입중계선 호처리 요구 메시지(IAM)의 전송 매체요구를 조사하여 384 Kbps 호 서비스를 요구하면, IAM에 실려온 중계선 번호를 32로 나누어 나머지를 계산하는 제1단계와, 계산한 나머지가 1또는 7또는 13또는 20또는 26인지 조사하여 이 중의 한 값이면, 16번째 채널을 제외한 6개의 채널에 대해서 채널값이 384 Kbps의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채널에 이용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서비스 제공 채널 정보를 참조로 하여 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주 프로세스는 유휴상태로 천이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가 NTR로 국번번역 요구를 하여 NTR로부터 자국의 가입자로 착신된다는 입중계호 통보를 수신하고, NTR로 착신번 번역 요구를 하는 제4단계와, 착신가입자 처리 블럭인 DCC로부터 착신 점유 통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6개의 채널에 대한 스위치 연결을 수행하는 제5단계와, 스위치 연결 완료후 IAM에 실려온 발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와 스위치 연결 완료에 대한 정보를 DCC로 통보하고, DCC로부터 알럿팅(Alerting)을 수신하면 발신국으로 어드레스 수신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6단계와, DCC로부터 연결(Connect)통보를 수신하면 발신국으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384 Kbps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상태를 만드는 제7단계와, 발신국으로부터 복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DCC로 발신 가입자가 복구했음을 통보하고, 발신국에 대한 응답으로 복구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8단계 입중계선 호처리 프로세스가 384 Kbps 다중슬롯호에 제공된 채널을 유휴상태로 하고, 연결된 스위치를 절단하고 소멸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계산한 나머지가 1또는 7또는 13또는 20또는 26인지 조사하여 이중의 한 값이 아니면, 대국으로 복구 메시지를 송신하여 호 해제 절차를 시작하고 대국으로부터 복구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유휴상태로 천이하는 제10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나머직, 1,7,20,26중의 하나인 경우는 중계선 번호, 중계선 번호+1, 중계선번호+2, 중계선번호+3, 중계선 번호+4, 중계선 번호+5의 채널 값이 384 Kbps의 다중슬롯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채널에 이용되도록 하고, 나머지가 13인 경우는 중계선 번호, 중계선 번호+1, 중계선 번호+2, 중계선 번호+4, 중계선 번호+5, 중계선 번호+6의 값이 384 Kbps의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위한 채널에 이용되로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의 착신번 번역요구는 NTR이 DCC로 착신 점유 요구시 발신국의 ISDN 가입자가 384 Kbps의 다중슬롯호 서비스를 요구했음을 전달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포함시켜 착신번 번역요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7 ISUP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KR1019950032881A 1995-09-29 1995-09-29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 7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KR014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881A KR0147140B1 (ko) 1995-09-29 1995-09-29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 7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881A KR0147140B1 (ko) 1995-09-29 1995-09-29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 7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27A KR970019227A (ko) 1997-04-30
KR0147140B1 true KR0147140B1 (ko) 1998-08-17

Family

ID=1942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881A KR0147140B1 (ko) 1995-09-29 1995-09-29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 7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1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27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5855A (en) Method of accessing a SCP in an ISUP network with partial release
JP2611018B2 (ja) 自動呼分配装置および自動呼分配方法
CA1288154C (en) Signal transfer arrangement
US5509062A (en) Intelligent terminal based selective call forwarding
US4723273A (en) Discretionary call forwarding
US5119415A (en) Method of displaying called party information on calling party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method
EP0195051B1 (en) Trunk call processing services for host computer interconnections
JPH0777402B2 (ja) 独立キャリヤ回線サービスシステム
KR19990014913A (ko) 상이한 망에서 음성접속을 설정시키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US557938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ppressed ringing access
EP0181371A1 (en) INTEGRATED PACKAGE AND SWITCHING SWITCHING SYSTEM.
JPH0448844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0196772A2 (en) Digital telecommunication system
KR0147140B1 (ko)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 7 사용자부 입중계선 호처리 방법
KR0146766B1 (ko) 분산제어 교환시스템에서 전화 사용자부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가입자의 호를 제어하는 방법
KR0147349B1 (ko)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7 사용자부 출중계선 호처리 방법
CA2020240A1 (en) Semi-automated operator assistance telecommunication calls
US6694005B1 (en) Remote telephone number routing inventory
KR920009229B1 (ko) 공통선 신호방식의 출중계호 제어방법
US6826274B1 (en) Exchange control method
KR97000067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넘버7(No.7) 신호방식 종합정보 통신망 사용자부와 애널로그 가입자와의 정합방법
KR100284042B1 (ko) 지능망에서의 여론 조사 서비스를 위한 호처리 방법
KR100198930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회의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KR95001148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부의 국간통화회선 관리 방법
KR95000367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통선(No.7)신호방식 종합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부와 전화 사용자부의 연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