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217B1 - Contact lens - Google Patents

Contact lens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217B1
KR0146217B1 KR1019950024047A KR19950024047A KR0146217B1 KR 0146217 B1 KR0146217 B1 KR 0146217B1 KR 1019950024047 A KR1019950024047 A KR 1019950024047A KR 19950024047 A KR19950024047 A KR 19950024047A KR 0146217 B1 KR0146217 B1 KR 0146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rnea
myopia
presen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11939A (en
Inventor
이무걸
Original Assignee
이무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걸 filed Critical 이무걸
Priority to KR101995002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217B1/en
Publication of KR97001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9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21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막(20)과 접촉하는 소프트콘택트렌즈(L)에 관한 것으로, 그의 주요 구성은 렌즈(L)의 전면부(10)에 마이너스(-) 도수가 첨가되고, 후면광학부위(15)에는 플러스(+)의 도수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렌즈구조에 의하면, 착용시 후면광학부위(15)가 각막에 나타낸 자국으로 인하여 렌즈를 안구에서 제거한 후에도, 근시가 교정되므로써 근시예방 및 렌즈의 착용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ft contact lens (L) in contact with the cornea (20), the main configuration of which is added to the negative (-) power to the front portion 10 of the lens (L), the rear optical portion (1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lus (+) frequency is added. According to the lens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yopia is corrected even after the lens is removed from the eye due to the marks on the cornea of the rear optical part 15 during wearing, thereby preventing myopia and wearing time of the lens.

또한 렌즈(L)의 후면광학부(15)와 가장자리부위(17) 사이의 주변부위(16)에 공간이 떠서 누액의 저장고(30)를 형성하여 눈물 순환이 자유로와지므로 착용시 건조감 및 각막의 각종 부작용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pace is floating in the peripheral portion 16 between the rear optical portion 15 and the edge portion 17 of the lens L to form a reservoir 30 of the tear fluid so that the tear circulation is free, so that dryness of the cornea and It is effective in eliminating various side effects.

Description

콘택트 렌즈contact lens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렌즈의 형상을 개선하여 착용시간의 단축 및 난시나 근시 등의 비정상 안의 시력을 정상 안으로 회복시키도록 한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contact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ct lens for shortening a wearing time and restoring vision in abnormalities such as astigmatism or myopia to normal.

상세하게는 렌즈의 외면 부에는 마이너스 (-) 도수 즉, 음의 도수를 형성시켜, 착용시 근시 등을 교정하도록 하며, 내면 부에는 음의 도수와 같은 플러스(+) 도수 즉, 양의 도수를 형성하여, 안구의 각막을 눌러 각막 형상을 변형시켜 근시나 난시 등을 근본적으로 정상 안으로 회복토록 하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In detail, a negative (-) frequency, that is, a negative frequency,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to correct myopia and the like when worn, and a positive (+) frequency, that is, a positive frequency, is used on the inner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lens that is formed to depress the cornea of the eyeball and deform the corneal shape so that myopia, astigmatism, and the like are fundamentally restored to normal.

렌즈가 세 지점(three touch point) 에만 접촉을 하여 각막과 렌즈 사이의 빈 공간에 누액이 차기 때문에 눈물순환이 원활하여 편안한 착용 감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Since the lens contacts only three touch points and the leakage is fill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cornea and the lens, the tear circulation is facilitated to provide a comfortable fit.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는 하드 렌즈와 소프트 렌즈 외에 산소 투과성 렌즈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렌즈들은 근시교정을 위하여 각막형상과 유사한 렌즈를 제작하여 그 외면 부에 필요한 만큼의 음의 도수를 형성시켜 사용되고 있다. 즉,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렌즈(L) 단면 구조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근시도수를 가진 사람의 치료를 위한 콘택트 렌즈의 경우 각막 모양과 유사한 렌즈 (L)의 외면 광학부위(10)를 음의 도수 만큼 두께를 두껍게 형성시키므로서, 근시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contact lenses are classified into oxygen-permeable lenses in addition to hard lenses and soft lenses. These lenses are used to produce lenses similar to the corneal shape for myopia correction and to form as many negative powers as necessary for the outer surface thereof. That is, as shown in the conventional lens (L) cross-sectional structure shown in Figure 1, in the case of contact lenses for the treatment of people with myopia, the outer optical portion 10 of the lens (L) similar to the cornea shape By forming a thicker thickness by a negative frequency, myopia can be corrected.

근시는 평행광선이 망막 앞에 초점이 맺히므로 선명치 않은 상을 맺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근시의 가장 흔한 증상은 시력장애로서, 어린이들은 독서시 망막의 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책을 가깝게 하려고 한다. 그 결과 근시는 두통이나 안통, 안 검의 자극증상, 때로는 눈부심 등을 호소하게 되며, 근시의 종류로는 단성근시, 축성근시, 가성근시, 합병성근시등이 있다. 이중 단성근시는 학교근시라고도 하며 약 10세 가량에서 서서히 진행되기 시작하여 20세를 전후 해서 정지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은 유전적 요인과 장기간의 근업이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모든 근시환자의 약 99% 이상이 학교근시에 속한다.Myopia refers to a state in which parallel rays form an inconsistent image because the light is focused in front of the retina. The most common symptom of nearsightedness is vision impairment, and children try to close the book to enlarge the retina in reading. As a result, myopia complains of headache, eye pain, eye irritation, and sometimes glare. The types of myopia include unilateral myopia, axial myopia, pseudomyopia, and complications of myopia. Single myopia is also called school myopia, and it starts to progress slowly at about 10 years of age and stops around 20 years of age. This is due to genetic factors and long-term work. And more than 99% of all myopia patients belong to school myopia.

통상의 하드 콘텍트 렌즈는 일반 근시의 교정뿐 아니라 소프트 렌즈가 해결하기 어려운 난시의 교정도 훌륭하게 해결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어 온 반면 경도나 함수율, 산소 투과성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아 각막의 신진대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다. 또 이러한 렌즈는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는 당연히 사물을 정상적으로 볼 수 있으나 렌즈를 벗었을 때는 도수가 없기 때문에 사물을 볼 수 없게 된다.Conventional hard contact lenses have been widely used because they have the advantages of correcting astigmatism, which is difficult to solve with soft myopia as well as general myopia correction.However, the hard contact lens has a poor fit due to lack of hardness, moisture content, and oxygen permeability. It has been found to adversely affect metabolism in. In addition, such a lens can naturally see the object when the lens is worn, but when the lens is taken off, it is impossible to see the object because there is no power.

상기한, 근시와 난시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중 대부분은 안경이나 일반 렌즈를 착용하지만,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엑시머 레이져(Excimer raser)라고 하는 기계를 이용하여 각막을 시술하거나, 또는 미국에서는 오케이 렌즈로 알려진 콘택트 렌즈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중 엑시머 레이저(Excimer raser)라고 하는 기계를 이용하여 각막을 시술하고 근시환자를 정상안으로 회복시켜 주는 방법은 시술후 회복이 되면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지 않아도 정상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Most of the above methods for correcting myopia and astigmatism wear glasses or ordinary lenses, but in order to solve the cornea, the cornea is treated using a machine called an excimer raser, or in the United States with an OK lens. Known contact lenses; and the like. However, among these methods, a method called an excimer raser is used to treat corneas and to restore myopia to normal eyes. After recovery, normal vision can be recovered without wearing glasses or contact lenses. There are advantages, but there are a number of side effects.

즉, 수술후 안압이 높아져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근시가 재발하는 예도 있다. 또한, 각막에 나타난 수술자국으로 인하여 불빛 반사가 심하며 눈이 시린 증상을 나타내어 고통을 받기도 하는등 많은 부작용이 따른다. 그리고 엑시머 레이저의 시술은 25세 이상의 환자에게만 시술이 가능하므로 근시가 진행되고 있는 10세~18세 사이의 청소년기 환자들에게는 시술이 불가능하다. 또한, 근시 및 근시가 진행되고 있는 학교근시, 난시 등을 교정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오케이(O.K:Orthokeratology)렌즈로 알려진 콘텍트 렌즈에 의한 방법은, 안구의 각막을 변형시키는 차원에서 획기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렌즈는 크기가 작고 움직임이 커서 각막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기 때문에 각막의 중심부를 정확히 눌러주지 못하여 시력이 불규칙하게 교정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ntraocular pressure increases after surgery, which may cause glaucoma and myopia may recur. In addition, due to the surgical marks on the cornea, the reflection of the light is severe, and the eyes are afflicted with symptomatic pain and many side effects. Excimer laser can be performed only on patients over 25 years of age, so it is not possible for adolescent patients between 10 and 18 years of age with myopia progressing. In addition, in order to correct myopia and school myopia, astigmatism, etc., the contact lens method known as O.K (Orthokeratology) lens in the United States can be said to be a breakthrough in terms of deforming the cornea of the eyeball. However, since the lens is small in size and large in motion, the lens is not accurately seated in the center of the cornea. Therefore, the lens cannot be accurately pressed in the center of the corne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막의 변형으로 인한 비정상 안을 정상 안이 되도록, 렌즈의 외면 부에는 외면 광학부위를 형성하여 음(-)의 도수를 부가하고, 내면 부에는 내면 광학부위를 형성하여 양(+)의 도수를 부가 한 렌즈를 제작함으로서, 이 양의 도수를 갖는 내면 광학부위가 각막을 눌러 각막을 변형시킴에 의해 시력이 회복되도록 한 콘택트렌즈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external optical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so that the abnormal ey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cornea is normal, add a negative power (-) Contact lenses that have an internal optical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produce a lens with a positive power added thereto, so that the optical lens with this positive power restores vision by pressing the cornea to deform the cornea. It is in providing.

제1도는 종래의 콘택트 렌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ntact lens.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단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를 인체의 안구에 착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eyeball of the human body.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0:외면 광학부위 2:내면 광학부위1, 10: outer optical part 2: inner optical part

3:가장자리부위 4:주변부위3: Edge portion 4: Peripheral portion

20:각막 L:렌즈20: cornea L: lens

30:저장고30: storage

본 발명은 각막의 변형으로 인한 비정상 안을 정상 안이 되도록, 렌즈의 외면 부에는 외면 광학부위를 형성하여 음(-)의 도수를 부가하고, 내면 부에는 내면 광학부위를 형성하여 양(+)의 도수를 부가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egative power is formed by forming an outer optical par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so that the abnormal eye due to the corneal deformity is normal, and an inner optical par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form a positive power. Is made to add.

이러한 본 발명의 렌즈는 주로 소프트 콘택트 렌즈의 재료로 제작되기 때문에 재질이 부드러워 각막을 마찰하지 않아서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러한 렌즈는 근시환자인 경우, 착용후 근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Since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made of a material of a soft contact lens, the material is soft and does not rub the cornea so that it does not cause pain. Such a lens may prevent the progression of myopia after wearing in a myopia patient.

또한 약한 근시 환자는 하루 약 4시간 정도 착용한 후 그 다음날은 렌즈를 착용하지 않아도 시력이 정상인과 같이 회복되기 때문에 눈의 건강은 물론, 바쁜 상황에서는 렌즈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는 나이와 체질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약 1시간 정도 렌즈를 착용한 후 렌즈를 제거하면 약 40분 정도 시력이 회복된다. 그 결과 근시의 진행을 늦추거나 시력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weak myopia patients wear about 4 hours a day and then wear the lens the next day without having to wear a lens. In addition,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ligh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and constitution, but after wearing the lens for about 1 hour, the lens is recovered for about 40 minutes by removing the lens. As a result, myopia may slow down or my vision may return to normal.

특히 학교 근시에 효과가 탁월하며,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학교 근시등은 취침시 렌즈를 착용한 후 아침에 제거한 채로 등교해도 정상안과 같은 시력으로 생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의 외면 광학부위 도수 두께 만큼 내면 광학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므로서, 난시 교정도 이루게 된다. 즉, 렌즈 착용시 각막의 가운데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만이 렌즈와 접촉되므로서, 나머지 부분은 안구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눈물이 그 부위를 메우게 된다. 이렇게 메워진 누액으로 인하여 각막은 원형상태를 나타내고 그 결과 난시를 교정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렌즈는 몰드 케스팅(mold casting) 공법으로 제조하므로서, 기존의 수작업이나 선반절삭 등의 제조방법으로는 제조하기 어려운 부분을 정확하게 제조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effect of myopia in school is excellent, and school myopia, which is seen in children, is possible to live with the same vision as normal eyes even if students go to school after wearing the lens at bedtime and remove it in the morn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astigmatism correction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inner optical portion thick as the thickness of the outer optical portion of the lens. That is, when the lens is worn, only the center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cornea come into contact with the lens, and since the remaining portions are separated from the eyeballs, tears fill the area. This leakage causes the cornea to become circular, resulting in correction of astigmatism. And because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a mold casting metho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anufacture a part tha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by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s such as manual work or lathe cuttin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렌즈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 렌즈를 인체의 안구에 착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 광학부위(1)는 착용시 근시도수를 교정하고, 내면 광학부위(2)는 각막(20)을 눌러 각막(20)을 변형시키게 되는 것으로, 내면광학부위(2)는 지름이 약 7.50㎜이며, 주변부위(4)는 약 3.05㎜, 가장자리부위(bevel)(3)는 약 0.40㎜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막(20)위에 접촉되어 양압을 가하고 있는 주변부위(4)와 내면 부위 중심부 사이에는 각막(20)과 닿지 않는 부위로서 누액의 저장고(30)가 형성되며, 또 음압이 각막(20)으로부터 형성되어 각막(20)과 접촉하는 내면 광학부위(2)와 주변부위(4)에 발생하는 양압과 형평을 이루게 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eye of a human body, and as shown, the outer optical part 1 is worn when worn. The myopia is corrected, and the inner optical part 2 deforms the cornea 20 by pressing the cornea 20. The inner optical part 2 has a diameter of about 7.50 mm, and the peripheral part 4 is About 3.05 mm, the bevel 3 is formed to a size of about 0.40 mm. In addition, a reservoir 30 of the tear fluid is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 4 which contacts the cornea 20 and exerts positive pressur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portion does not contact the cornea 20, and the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rnea 20. It is formed from and is balanced with the posi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inner optical portion (2) and the peripheral portion (4) in contact with the cornea (20).

이러한 본 발명의 렌즈는 외면 광학부위(1)와 내면 광학부위(2)의 도수를 부호는 반대로 그 수치는 같게 형성시켜 착용시 외면 광학부위(1)로 인하여 시력이 정상교정되고, 내면 광학부위(2)는 각막(20)을 변형시켜 근시나 각막 난시를 근본적으로 회복토록 한다.In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power of the outer optical part 1 and the inner optical part 2 is formed to have the same value as opposed to the sign, so that the vision is corrected normally due to the outer optical part 1 when worn, and the inner optical part (2) deforms the cornea 20 to fundamentally restore myopia or corneal astigmatism.

그리고 착용시에는 렌즈의 내면 광학부위(2)와 가장자리 부위(3)만이 각막(20)과 접촉하여, 특히 가장자리 부위(3)는 눈을 감을 때 그 형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각막(20)에서 부드럽게 미끄러져 밀착되며, 눈을 뜨면 각막(20)으로 부터 떨어져서 누액이 렌즈(L)와 각막(20) 사이로 들어오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누액의 자유로운 순환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편안하게 된다.When worn, only the inner optical part 2 and the edge 3 of the len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rnea 20, and in particular, the edge 3 is smooth in the cornea 20 due to its shape when the eyes are closed. Sliding and close contact, when the eyes open from the cornea 20 serves to let the tear fluid enter between the lens (L) and the cornea (20). The result is a comfortable fit due to the free circulation of the tear fluid.

제3도는 렌즈를 인체의 안구에 착용시킨 상태로서, 양측 가장자리 부위(3)와 내면 광학부위(2)등 세 지점(three touch point) 만이 각막(20)에 접촉하게 된다. 각막(20)과 접촉하지 않은 4와 각막(20)사이에는 누액의 저장고(30) 가 되며, 이 주변부위(4)는 음압이 커지고, 반대로 각막(20)을 눌러 주는 내면 광학부위(2)는 양압이 된다. 이러한 압력의 차이로 인하여, 착용 후 안구에는 렌즈의 자국이 형성되며, 이 자국으로 인하여 렌즈(L)를 제거해도 시력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며, 또 착용하고 있어도 정상의 시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난시는 각막 근육의 불균형으로 발생되므로, 본래 구형이었던 각막이 비대칭형으로 변하여 난시가 형성된다. 기존의 난시교정용 렌즈는 착용시 교정이 정확하지 못한 경우가 많은 데 특히, 렌즈가 안구의 중심에 정확히 안착하지 못하고 회전하는 경우가 많았다.3 is a state in which a lens is worn on an eyeball of the human body, and only three touch points such as both edge portions 3 and an inner optical portion 2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rnea 20. Between the 4 and the cornea 20,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cornea 20, it becomes a reservoir of the leakage fluid 30. The peripheral portion 4 has a negative sound pressure, and the inner optical portion 2 that presses the cornea 20 on the contrary. Becomes positive pressure. Due to this pressure difference, a mark of the lens is formed on the eye after wearing, and the mark restores normal vision even when the lens L is removed, and provides normal vision even when worn. In addition, astigmatism occurs due to an imbalance of the corneal muscles, so that the cornea, which was originally spherical, is asymmetrical to form astigmatism. Conventional astigmatism lenses often have inaccurate corrections when worn, especially when the lenses do not settle correctly in the center of the eye.

본 발명에 의한 렌즈(L)는 각막(20)과 떨어져 있는 공간사이로 누액이 채워져 누액의 저장고(30)를 형성하는데 난시로 인하여 비대칭성을 이루고 있는 각막(20)을 누액이 채워져 원형으로 만들어 주게 되어 사물을 보았을 때 시력이 정상으로 회복 된다.The lens (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lls the tear fluid between the cornea 20 and the space away from each other to form the reservoir 30 of the tear fluid. When you see things, your eyesight returns to normal.

또한, 내면 광학부위(2)의 도수가 난시를 교정하여 주게 되는데 원주형의 각막 난시가 렌즈의 자국으로 인하여 구형의 각막형태로 변형되는 것으로, 이때 난시 교정의 정도는 약 4.00D가 된다. 여기서, 도수를 측정하는 방벙을 살펴보면, C,K 는 동공중심의 각막 곡율반경측정치이고, T,K는 동공부위로 부터 6.00㎜ 떨어진 각막 곡율반경 측정치이다. 그리고 D(Diopter)는 광선이 오는 방향에 대하여 각막 원에 대한 초점거리의 역수로서, 도수를 측정하는 단위이다.In addition, the power of the inner optical part 2 corrects astigmatism. The cylindrical corneal astigmatism is transformed into a spherical corneal form due to the marking of the lens, and the degree of astigmatism correction is about 4.00D. Here, looking at the frequency measure, C, K is the corneal radius of curvature measurement of the pupil center, T, K is the corneal radius of curvature measured 6.00mm away from the pupil area. In addition, D (Diopter) is an inverse of the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corneal circ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rays come from, and is a unit for measuring the frequency.

예를들면 C.K = 44.0, T.K = 42.0 을 가진 환자는For example, a patient with C.K = 44.0 and T.K = 42.0

근시교정능력 = 2 × (CK - TK) +3.00DMyopia correction ability = 2 × (CK-TK) + 3.00D

= 2 × (44 - 22) + 3.00D = 7.00D 가 된다.= 2 × (44-22) + 3.00D = 7.00D

그러므로 7.00D는 각막에 압력을 가하므로서 근시를 교정할 수 있는 한계수치가 된다. 또한, C.K = 42, T.K = 42.50 인 환자의 경우는Therefore, 7.00D is the limit value to correct myopia by applying pressure on the cornea. In addition, for patients with C.K = 42, T.K = 42.50

근시교정능력 = 2 × (42.50 - 42)+3.0D=3.50D가 된다. 즉, 3.50D는 각막에 압력을 가하여 근시를 교정할 수 있는 한계 수치가 된다.Myopia correction ability = 2 × (42.50-42) + 3.0D = 3.50D. In other words, 3.50D is a limit value for correcting myopia by applying pressure to the cornea.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를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먼저, 제1실시예에 의하면, -3.00D의 근시 도수를 가진 환자에게 본 발명의 렌즈를 착용시켜 10시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C.K수치와 T.K수치의 변화를 관찰하여 본 결과 하기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Fir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hange of CK value and TK value was observed in the course of 10 hours after wearing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tient with myopia of -3.00D. appear.

상기의 제1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렌즈를 착용한 후 약 4시간이 경과하면 동공 중심의 각막 곡율반경 측정치 C.K는 그 수치가 적어지고 동공 부위로 부터 6㎜ 떨어진 각막 곡율반경 측정치 T.K는 그 수치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rneal curvature radius measurement value CK of the center of the pupil decreases about 4 hours after wearing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rneal curvature radius measurement value TK is 6 mm away from the pupil area. Was able to see that figure increases.

그러므로 각막의 중심부위는 눌려지고 주변부위는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Therefore, the central part of the cornea was pressed and the peripheral area was increased.

제2실시예를 보면, 근시 도수가 -2.00D이고, 난시 도수가 -6.00D인 난시 환자에게 본 발명의 렌즈를 착용시켜 10시간 동안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myopia degree of -2.00D and astigmatism of -6.00D was observed for 10 hours by wearing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제2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렌즈를 착용한 결과 약 4시간이 경과하면 C.K수치는 중어들고, T.K수치는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각막의 중심부위는 양압으로 인하여 크기가 줄어들고 주변부위는 음압으로 인하여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the C.K value is significant and the T.K value i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bout 4 hours. As a resul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rnea decreased in size due to the positive pressure, and the peripheral portion increased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통상 -5.00D의 학교 근시를 가지고 있는 9세의 어린이는 18세가 되면 약 -10,00D의 근시 도수를 나타낸다. 근시의 진행은 6개월에 약 -0.50D씩 진행되는 것이 통계상 입증되고 있다.A 9-year-old child with a school myopia of -5.00D typically has a myopia of about -10,00D at age 18. The progression of myopia progresses by about -0.50 D every 6 months.

또한, 제3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렌즈를 -5.00D 근시가 진행되는 상기 환자에게 착용시켜 1년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worn on the patient undergoing -5.00D myopia and observed for 1 year.

1. 6개월이 경과 한 후 도수상태 : -3.00D1. Frequency after 6 months: -3.00D

2. 1년이 경과 한 후 도수상태 : -2.00D2. Frequency after 1 year: -2.00D

상기 제3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렌즈는 근시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뿐 아니라 시력이 회복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third embodiment, it was found that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ffectively suppressed myopia progression but also restored visual acuity.

제4실시예에서는 -1.50D 약한 근시가 있는 환자에게 본 발명의 렌즈를 다음과 같이 착용시켰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worn on a patient with -1.50D weak myopia as follows.

1. 첫날 저녁 약 4시간 착용 : 둘째날 시력이 회복되어 렌즈를 미착용함.1.Wear about 4 hours on the first evening: The second day the vision is restored and the lens is not worn.

2. 셋째날 저녁 다시 약 4시간 착용 : 그 후 1주일 경과 후 렌즈 미착용 상태이 시력 0.00D, 2주, 1개월, 6개월 후에도 시력은 정상이었다.2. Wearing again for about 4 hours on the third evening: After 1 week, the visual acuity was normal even after 0.00D, 2 weeks, 1 month and 6 months.

상기 제4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렌즈는 약한 근시 환자의 시력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며, 다시 시력이 나빠지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restore the visual acuity of the weak myopia patient to normal and prevent the visual acuity from deteriorating again.

제5실시예에서는 근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렌즈를 착용시켜, 1주일, 2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에 걸쳐 착용상태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In the fifth embodiment, wearing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20 myopia patients, the wear state was evaluated over one week, two weeks, one month, three months, six months, as follows.

상기 제5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렌즈는 각막에 착용될 때 내면 광학부위는 각막을 눌러주는 형태이고, 가장자리 부분은 스키의 끝모양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눈물 순환이 원활하여 착용감이 편안하며, 각막부종 등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in the fifth embodiment, th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worn on the cornea, presses the cornea, and the edge portion forms the shape of the tip of the ski, so that the tear circulation is smooth and comfortable. It was found to be comfortable and did not cause side effects such as corneal edema.

이상에어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영의 렌즈는 외면 부에 외면 광학 부위를 형성하여 음(-)의 도수를 부가하고, 내면 부에는 내면 광학부위를 형성하여 양(+)의 도수를 부가하여, 근시와 난시를 교정하게 된다. 또한 렌즈 착용시에만 교정이 되는 안경 렌즈나 일반 콘택트 렌즈와는 달리, 착용시 시력교정이 일반 렌즈와 같으면서 각막을 변형시켜, 시력을 점진적으로 정상회복시키므로 진행되고 있는 근시나 난시를 억제할 수 있으며 정상안의 회복에 효과가 크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lens of the present launcher forms an external optical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portion to add negative power, and an internal optical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portion to add positive power, Myopia and astigmatism will be corrected. In addition, unlike spectacle lenses or contact lenses that can only be corrected when wearing the lens, the correction of the visual acuity is the same as that of a normal lens, and the cornea is deformed and the vision is gradually restored normally. It is effective for the recovery of normal eyes.

또한 특히, 학교근시를 가진 18세 이하의 청소년에게 효과가 가장크다.It is also especially effective for young people under 18 with school myopia.

Claims (2)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콘택트 렌즈를 구성함에 있어서, 음의 도수를 가지고 렌즈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광학부위(1)와, 양의 도수를 가지고 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면 광학부위(2)로 구성되며, 상기 내면 광학부위(2)가 각막(20)을 눌러 근시가 교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In constructing a contact lens for correcting vision, an outer optical part 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with negative power and an inner optical part 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with positive power. And the inner optical portion (2) presses the cornea (20) so that myopia is corr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L)는 안구에 착용시켜 각막(20)과 주변부위(4) 사이에 누액의 저장고(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s (L) is worn on the eye and a reservoir (30) of tear fluid is formed between the cornea (20) and the peripheral portion (4).
KR1019950024047A 1995-08-04 1995-08-04 Contact lens KR01462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047A KR0146217B1 (en) 1995-08-04 1995-08-04 Contact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047A KR0146217B1 (en) 1995-08-04 1995-08-04 Contact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939A KR970011939A (en) 1997-03-27
KR0146217B1 true KR0146217B1 (en) 1998-08-17

Family

ID=1942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047A KR0146217B1 (en) 1995-08-04 1995-08-04 Contact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21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939A (en)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86764B2 (en) Ophthalmic lenses useful in correcting astigmatism and presbyopia
EP1691741B1 (en) Apparatuses for altering relative curvature of field and positions of peripheral, off-axis focal positions
CN104020577B (en)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down the asymmetric lens design and method of myopia progression
US9046698B2 (en) Multi-axis lens design for astigmatism
EP1527369B1 (en) Orthokeratology and bi-focal contact lens
TW202013017A (en) Ophthalmic lens comprising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AU2001286764A1 (en) Ophthalmic lenses useful in correcting astigmatism and presbyopia
RU2567594C2 (en) Contact lens with improved seating characteristics
EP0646825A1 (en) Contact lens
EP2778749A2 (en) Presbyopia lens with pupil size correction based on level of refractive error
US20220163821A1 (en) Comfort-optimized contact lens system for non-rotationally symmetric eye aberration
JP2000517438A (en) Multifocal corneal contact lens
JP2016053714A (en) Lens design and method for minimizing visual acuity variation experienced by myopia progressors
JP4511535B2 (en) Optics with adjustment correction
TWI746619B (en) Contact lens with improved visual performance and minimized halo utilizing pupil apodization
KR0146217B1 (en) Contact lens
US4427272A (en) Aniseikonia eyeglass lens with progressive magnification
JPH08152583A (en) Contact lens for correcting farsighted eyeglasses
KR100204427B1 (en) Contactlens
AU2016225918B2 (en) Multi-axis lens design for astigmatism
Phillips Orthokeratology—an alternative to excimer laser?
CN113661435A (en) Reversible lens and design method thereof
AU2015268675A1 (en) Multi-axis lens design for astigmatism
EP0883014A2 (en) Contact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