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992B1 - 기능성 섬유제조용 석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섬유제조용 석분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992B1
KR0145992B1 KR1019950031856A KR19950031856A KR0145992B1 KR 0145992 B1 KR0145992 B1 KR 0145992B1 KR 1019950031856 A KR1019950031856 A KR 1019950031856A KR 19950031856 A KR19950031856 A KR 19950031856A KR 0145992 B1 KR0145992 B1 KR 014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one
mesh
furnace
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516A (ko
Inventor
조용희
Original Assignee
조용희
한일물산주식회사
전경옥
시온합섬주식회사
박희찬
시온식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희, 한일물산주식회사, 전경옥, 시온합섬주식회사, 박희찬, 시온식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용희
Priority to KR101995003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992B1/ko
Publication of KR97001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1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6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characterised by specific heating conditions during heat treatment
    • C04B2235/6567Treatment ti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에 항균, 탈색방지 또는 방취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석분 및 그 제조방볍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게르마늄석 60중량%, 맥반석 20중량%, 옥석 10중량%, 의왕석 5중량% 및 미네랄석 5중량%를 약 100메시로 분쇄하여 혼합하고 약 325메시로 분쇄한 장석을 매개하여 약 1000℃로 7일간 1차 가열한 후, 325메시 이상으로 2차분쇄한 다음, 상기 장석을 매개하여 상기 온도로 3일간 2차 가열한 후 500메시 이상으로 3차 분쇄하여 석분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 2∼5mm의 구리로 된 내부로(4)내에 게르마늄석 60중량%, 맥반석 20중량%, 옥석 10중량%, 의왕석 5중량% 및 미네랄석 5중량%를 각기 약 100메시로 1차분쇄한 후 장입하고, 전열판(2)의 내면과 내부로(4) 외면 사이에 약 325메시로 분쇄한 장석을 장입한 다음, 전열판(2)을 통하여 약 1000℃로 7일간 1차가열하고, 내부로(4)에서 열변성한 상기 5종류의 석분을 다시 약 325메시 이상으로 2차분쇄한 다음, 다시 상기 내부로(4)내에 넣고, 상기한 장석을 장입한 다음 상기 조건으로 3일간 2차가열한 후 500메시 이상으로 3차분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능성 섬유제조용 석분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능성 섬유제조용 석분을 제조하는 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기능성 섬유제조용 석분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전열판 4:내부로
본 발명은 섬유에 적용가능한 석분(石分)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섬유에 항균, 탈색방지 또는 방취 등의 특정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석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특정기능을 가지는 섬유로써 만든 의류가 공지된 바 있다. 예를 들면 상표 바이오실로 시판되고 있는 양말의 경우 향균, 방취 등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외에도 국민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보온기능, 탈색방지기능, 방수기능, 방화기능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는 섬유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이용하여 섬유에 상기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석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이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서 파장이 0.76∼1000미크론 범위의 적외선을 말하며, 파장이 0.76 내지 1.5미크론인 것을 근적외선, 1.5 내지 5.6미크론을 중간적외선, 그리고 5.6 내지 1000미크론을 원적외선이라 한다(Far Infrared Business, Sunmark 출판, 1998. 12. 25.).
원적외선은 그용도가 매우 다양한데 예를 들면, 가열·건조작용, 숙성작용, 육성작용, 진통작용 등이 있으며, 또한 인체에 적용되면 땀을 다량 분비시키는 발한(發汗)작용이나 진통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인체의 생체리듬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는 임상실험이 발표된 후부터는 원적외선을 건강산업 또는 식품산업에 바람직하게 사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다(일본전열협회 원적외선위원회저, 원적외선 가열의 이론과 실제 pp226-239). 그리하여 요즘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품들이 다종류 다량생산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원적외선 사우나탕은 수증기 사우나탕보다 낮은 온도로 인체의 발한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증기 사우나탕은 고온의 수증기(약 70∼80℃)를 사우나실에 공급하기 때뭉에 사람이 탕속에서 오래 견딜 수 없다. 그러나 원적외선 사우나실은 내부온도를 약 40℃ 정도로만 유지해도 상기 증기 사우나탕보다 발한작용이 더욱 높다. 이는 원적외선이 인체에 흡수되어 인체재의 물분자의 공명작용에 의해 자기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음이온은 양이온에 반대되는 것임은 주지의 사실과 같으며 인체에 관련하여서는 자크마(Bert Sakmann)과 네허(E. Necher)가 공동 연구발표하여 199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이론에 따르면 세포내의 음이온이동을 통하여 질병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중성을 띠는 인체가 외부적 또는 내부적 영향을 받아 양이온이 많게 되었을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식품 또는 생활주변기기 등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보충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음이온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양이온이 많아진 인체에 음이온을 적절히 가하면 자율신경조정작용, 혈액의 정화작용, 세포부활작용 및 저항증인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기 중에 있는 여러 가지 이온들은 기상조건에 따라 변화를 보이며, 불연속선, 한랭전선 등 저기압이 통과할 때는 양이온이 증가하고 이것의 영향을 받아 인체내에서는 음이온이 감소하며, 양이온의 증가현상이 나타나므로서 신경통, 천식, 뇌졸증 등의 질병발생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 상품명 바이오 세라믹이라 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소재가 시판되어 왔다. 이것은 세라믹 재료에 특정기능을 가지는 광물질을 혼합하거나 화학물질을 가하여 특정기능 예를 들면, 항균, 탈색방지, 방취 등의 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으로서 분말 또는 입자형태, 액상형태로 공급된다.
그러나 종래의 원적외선 방출원료들은 섬유에 코팅하거나, 날염하기가 곤란했다. 또한 원적외선 만을 방출하거나, 원적외선 방출량이 적은 단점들이 있었다. 또한 각종 화학물질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화학물질에 대한 특이체질을 가진 사람에게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물질을 전혀 배제한 천연광석을 가공한 석분으로 된 것으로서 원적외선,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고 또한 섬유에 적용하기 적합한 석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다용도 석분을 제조하기 위한 로(1)는 전열판(2)과, 두께 2∼5mm의 구리로 된 내부로(4)를 구비하고 있다.
전열판(2)은 전기로 가열하거나 가스 또는 그외 다른 연료로 가열할 수 있다.
내부로(4)는 구리로 된 로이고, 그 안에 게르마늄석 60중량%, 맥반석 20중량%, 옥석 10중량%, 의왕석 5중량% 및 미네랄석 5중량%를 통상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약 100메시로 분쇄하여 장입한다(1차분쇄).
전열판(2)의 내면과 내부로(4) 외면 사이에 약 325메시로 분쇄한 장석을 장입한 후 전열판(2)을 통하여 약 1000℃로 7일간 가열한다(1차가열). 그러면 맥반석은 초기온도 1000℃에서 연소되기 시작하여 연소과정 중 자체연소열(광석열)로 인하여 약 2000℃까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연소된 장석은 제거하고 내부로(4)내의 1차가열된 상기 5종 광석덩어리를 꺼내 다시 약 325메시로 분쇄(2차분쇄)한 후 새로이 약 325메시의 장석을 1.5톤 장입한 후 3일간 가열한다(2차가열). 내부로(4)내에 있는 상기 5종류의 광석분은 고열로 인하여 열변성이 일어나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들이 연소되어 없어지고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천연미네랄을 주성분으로 한 덩어리형태가 된다. 장석이 연소된 후 서냉시킨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덩엉리를 다시 약500메시 이상으로 곱게 분쇄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표1의 상기 광석분은 인체에 매우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석분은 39℃에서 파장이 8∼14미크론인 원적외선 방사율이 99.0%이상이고, 석분 1Kg당 음이온은 80만개이상 방출되며, 산소 발열량은 520Kcal이다. 여기서 검사방법은 원적되선의 경우 KS.A 5302-91, 음이온은 독일 Schomandl사의 음이온 측정장치 모델 MDK-01C로 측정하였으며, 산소발열량은 KS.E 3709-90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석분의 pH는 7.3∼7.5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석분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다량 발생하는 석분으로서 섬유에 코팅 또는 날염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두께 2∼2.5mm의 구리로 된 내부로(4)내에 게르마늄석 60중량%, 맥반석 20중량%, 옥석 10중량%, 의왕석 5중량% 및 미네랄석 5중량%를 각기 약 100메시로 1차분쇄한 후 장입하고, 전열판(2)의 내면과 내부로(4) 외면 사이에 325메시로 분쇄한 장석을 장입한 다음, 전열판(2)을 통하여 약 1000℃로 7일간 1차가열하고, 내부로(4)에서 열변성한 상기 5종류의 석분을 다시 325메시 이상으로 2차 분쇄한 다음, 다시 상기 내부로(4)내에 넣고, 상기한 장석을 장입한 다음 상기 조건으로 3일간 2차가열한 후 500메시 이상으로 3차 분쇄하는 기능성 섬유제조영 석분 제조방법.
KR1019950031856A 1995-09-26 1995-09-26 기능성 섬유제조용 석분 및 그 제조방법 KR0145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856A KR0145992B1 (ko) 1995-09-26 1995-09-26 기능성 섬유제조용 석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856A KR0145992B1 (ko) 1995-09-26 1995-09-26 기능성 섬유제조용 석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516A KR970015516A (ko) 1997-04-28
KR0145992B1 true KR0145992B1 (ko) 1998-08-17

Family

ID=1942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856A KR0145992B1 (ko) 1995-09-26 1995-09-26 기능성 섬유제조용 석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9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516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7804A (en) Process for making a mineral powder useful for fiber manufacture
KR100916739B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US5935483A (en) Multi-purpose mineral powder and its process
KR0145992B1 (ko) 기능성 섬유제조용 석분 및 그 제조방법
JP2002088647A (ja) 黒鉛珪石粉末付着の健康保持繊維製品
US5985021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mposition useful as soap or cosmetic
KR100460526B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작용을 하는 고기능성 조성물
KR0146451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다용도 석분 및 그 제조방법
KR0160828B1 (ko) 광석침대용 석분 및 그 제조방법
KR0182842B1 (ko) 다용도 광석분
KR0185508B1 (ko) 다용도 광석분 및 제조방법
KR0185505B1 (ko) 다용도 광석분
KR19980076070A (ko) 다용도 광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3916A (ko) 다용도 미라클 신 광물질 석분 및 그 제조방법
KR0185507B1 (ko) 다용도 광석분
KR100310975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0185506B1 (ko) 다용도 광석분
KR0185499B1 (ko) 다용도 광석분 및 제조방법
KR100825126B1 (ko) 자력,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의료용 이온 단자제조방법
KR0185501B1 (ko) 다용도 광석분
KR101933854B1 (ko) 문자표출형 원적외선 의류
KR0185500B1 (ko) 다용도 광석분
KR0185504B1 (ko) 다용도 광석분
KR0185502B1 (ko) 다용도 광석분
KR0185503B1 (ko) 다용도 광석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