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213B1 - Lover drum tray of automatic tray changer - Google Patents

Lover drum tray of automatic tray changer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213B1
KR0144213B1 KR1019950012342A KR19950012342A KR0144213B1 KR 0144213 B1 KR0144213 B1 KR 0144213B1 KR 1019950012342 A KR1019950012342 A KR 1019950012342A KR 19950012342 A KR19950012342 A KR 19950012342A KR 0144213 B1 KR0144213 B1 KR 014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hanger
automatic
lower dru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3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42535A (en
Inventor
오두환
장기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1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213B1/en
Publication of KR96004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21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ray for a lower drum of an automatic tray changer.

본 발명은, 내면에 사각형상체의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그 내,외면에 단차부를 갖는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양측면에는 림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과; 캐비티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교차되어 격자형상체로 형성되는 수평 및 수직 거더들과; 수평 및 수직 거더들의 각방향에서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바들과; 서포트 바들의 교차지점에 마련되며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이 안착되는 안착부들; 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트레이에 다수의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의 탑재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대차 및 이 대차를 통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avity of the rectangular body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frame is formed on the upper and the inner side, the step having a stepped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the rim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dge extending;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from the inner side of the cavity to form a lattice; Support bars formed in a grid in each dire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Mounting parts are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upport bar, the seating portion is seated in the wardum of the workpiece state; As it is included, it is very easy to mount a number of workpieces in a row rum in the tra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supply them to the automatic tray changer through the bogie and this bogie.

또한 트레이 자체를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한 것이어서, 성형의 용이성 및 탑재된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의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ay itself is integrally molded using a material of polyphenylene sulfid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ase of molding and damage of the royal rum in the mounted workpiece state can be easily prevented.

Description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Tray for lower drum of automatic tray changer

제1도는 일반적인 피가공물의 가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1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ing state of the general workpiece.

제2도는 본 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한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ray changer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same applicant.

제3도 및 제4도는 종래 피가공물이 탑재되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tray on which a conventional workpiece is mounted.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워 드럼용 트레이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for a lower dr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FIG.

제7도는 제5도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FIG.

제8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대차에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정단면도.9 and 10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on the trolley.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가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되어 클램핑 수단을 통해 클램핑 되는 과정을 보인 배면도 및 정면도.11 and 12 are rear and front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to an automatic tray changer and clamped through clamping mean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로워 드럼용) 트레이 110:프레임100: (for lower drum) Tray 110: Frame

111:캐비티 112:테두리111: Cavity 112: Border

112a,112b:단차부 113,114:림(rim)112a and 112b: stepped portions 113 and 114: rim

115,116:서포트 리브 115a,116a:경사면115,116: Support rib 115a, 116a: Slope

117,118:윈도우 119:표시부117,118: Windows 119: display unit

120,130: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140:서포트 바들 141:플랜지부140: support bars 141: flange

142:허브 150:안착부142: hub 150: seating part

200:자동 트레이 체인저 300:대차(臺車)200: Automatic tray changer 300: Balance

본 발명은 트레이(Tray)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을 대차를 통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하기 위한 자동 트레이 체인저(automatic tray changer)의 로워드럼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y for a rotary drum of an automatic tray changer for supplying a workpiece to a automatic tray changer through a bogie.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VCR)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의 헤드드럼(head drum)은,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다.In general, the head drum of a tape recorder such as a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VCR) is to reproduce or record a signal recorded on a tape traveling along a certain driving path of the odometer. .

이러한 헤드드럼은 하나이상의 비디오헤드가 부착되는 어퍼드럼(upper drum)과 로워드럼(lower drum)이 축에 끼워져 장착되고, 이들사이에는 로우터 및 스테이터 트랜스포머가 각각 개재된다.The head drum is mounted with an upper drum and a lower drum to which one or more video heads are attached, and a rotor and a stator transformer are interposed therebetween.

그리고, 로워드럼의 하측에는 드럼모터(drum motor)가 설치되며, 이 드럼모터의 구동에 따라 어퍼드럼이 회전되면서 비디오헤드에 의해 재생 또는 기록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a drum motor is installed below the lower drum, and the upper drum is rot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um motor to perform a playback or recording function by the video head.

이와 같이 헤드드럼을 구성하는 어퍼 및 로워드럼의 가공공정에 대한 하나의 예를 제1도에 나타내어 설명한다.One example of the upper and lower drum processing steps constituting the head drum is described in FIG.

어퍼 및 로워드럼이 다이 캐스팅(die casting)에 의해 주조된 경우에는, 이를 기계적으로 가공해야 하는 피가공물, 즉 블랭크(blank) 상태에 놓이게 된다.If the upper and the royal rum are cast by die casting, they are placed in a blank, that is, a workpiece to be machined.

이러한 어퍼 및 로워드럼의 피가공물은 황삭가공(荒削加工)에 의해 표면을 가공하고, 이를 드릴링(drilling)과 탭핑(tapping)에 의한 홀(hole)가공한다. 그리고, 홀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은 사상가공(仕上加工)후에 세척공정을 통해 표면에 오염된 절삭유나 오일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The upper and lower workpieces are machined by roughing, and the holes are processed by drilling and tapping. In addition, the workpiece after the hole processing is finish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cutting oil or oil contaminated on the surface through a washing process after finishing finishing (仕 上 加工).

또한, 세척공정후에는 외관검사를 통해 불량품을 선별하고, 어퍼드럼의 피가공물은 테이프 버핑(tape buffing)가공과, 선택적으로 경질탄소막 코팅처리를 한다. 이와 같은 가공공정을 통해 어퍼 및 로워드럼의 피가공물을 가공완성품으로 제작하여 헤드드럼 조립라인에 공급한다.In addition, after the washing process, the defective product is sorted out through the external inspection, and the workpiece of the upper drum is subjected to tape buffing processing and, optionally, a hard carbon film coating treatment. Through this processing process, the workpieces of upper and lower rum are manufactured as finished products and supplied to the head drum assembly line.

그런데, 피가공물의 황삭, 홀 및 사상가공에서 가공기는 주로 수치제어 공작기계가 사용되고 있는 바, 이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가동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By the way, in roughing, hole and finishing of the workpiece, the machine is mainly used a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this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is widely used as an automated mean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rate.

이와 같은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채용한 자동화 라인에서는, 피가공물의 공급이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자동 트레이 체인저를 사용하고 있으며, 자동 트레이 체인저는 피가공물을 트레이에 탑재하여 각 가공공정에 따라 가공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In an automated line employing such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an automatic tray changer is used to continuously supply the workpiece to the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and the automatic tray changer mounts the workpiece on a tray for each machining process. Therefore, it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processing machine.

이와같은 자동 트레이 체인저는 통상적으로 트레이의 투입과 배출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시스템(conveyer system)이나 체인타입 버퍼(chain type buffer)를 설치하고 있다.Such automatic tray changers typically install a conveyor system or a chain type buffer in order to perform tray input and discharge operations.

그러나, 컨베이어 시스템이나 체인타입 버퍼는 트레이의 초기 투입과 배출작업을 수동으로 수행해야만 하므로, 제품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높으며,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작업준비시간이 지연되므로 작업성 및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However, the conveyor system or chain type buffer has to carry out the initial loading and discharging of the tray manually, which may cause damage to the product, increase worker fatigue, delay work preparation time, and increase productivity. This deterioration problem was brought about.

또한, 설비의 설치공간이 과다하게 점유되어 설비의 효율적 이용이 제한되며, 초기 설비투자비용이 증가되어 경제성이 저하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 가공공정에 따라 가공기에 트레이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대차가 필요하게 되고, 이 전용 대차의 이송과 대기에 불필요한 시간 및 장소가 많이 소요되어 체계적인 작업 관리와 생산관리가 번거롭고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quipment is occupied excessively, the efficient use of the equipment is limited, and the initial equipment investment cost is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economic efficiency. In addition, in order to transport the tray to the processing machine according to each processing process, a separate dedicated truck is required, and a lot of unnecessary time and place are required for the transport and waiting of this dedicated truck, which makes systematic work management and production management cumbersome and difficult. There wa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무인반송대차를 채택하여 통괄제어(統括制御)하는 군관리(direct numerical control) 방식을 운영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n unmanned transfer truck is adopted to operate a direct numerical control method for integrating control.

그러나, 군관리 방식은 초기 설비투자비용이 과다하게 필요할 뿐만 아니라, 1군의 가공기들에서 이상이 발생되면 전체적인 작업라인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작업의 유연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However, the military management method not only requires excessive initial capital investment, but also causes abnormality in the group 1 machines, which affects the overall work line, resulting in a decrease in flexibility and productivity.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동일자 출원으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has proposed an automatic tray changer 200 as shown in FIG.

이는, 다수의 피가공물이 탑재되는 트레이들을 투입실(210)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투입수단과; 투입실(210)의 트레이들을 작업실(230)로 승강시키는 제1리프팅수단과; 트레이들중 최상단에 위치되는 하나의 트레이를 클램핑하는 수단과; 최상단의 트레이에 탑재된 피가공물을 순차적으로 가공기에 공급하는 로보트(240)와; 로보트(240)의 작동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이 최상단의 트레이에 다시 탑재가 완료되면, 이 트레이를 배출실(220)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수단과; 배출실(220)의 상부에 위치되는 트레이들을 그 내부로 하강시키는 제2리프팅수단과; 배출실(220)의 외부로 트레이들을 이송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is includes: feed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trays on which a plurality of workpieces are mounted into the feeding chamber 210; First lifting means for elevating the trays of the input chamber 210 to the working chamber 230; Means for clamping one tray located at the top of the trays; A robot 240 for sequentially supplying a workpiece mounted on the uppermost tray to a process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tra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chamber 220 when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by the operation of the robot 240 is again mounted on the uppermost tray; Second lifting means for lowering the trays positioned above the discharge chamber 220 therein; Discharge means for transferring the trays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chamber 220 is provided.

이때 전술한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에 있어서, 특히 피가공물이 탑재되는 트레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인바, 이는, 로보트(240)를 통해 트레이에 탑재된 피가공물을 그 가공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가공실로 이송시켜야 함은 물론이고, 탑재된 피가공물의 손상등도 방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in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tray changer 200, in particular, the tray on which the workpiece is mounted is one of very important factors, which means that the workpiece mounted on the tray through the robot 240 is accurately maintained in the machining position.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transfer to the processing chamber, but also the damage to the mounted workpiece is to be prevented.

이를 위하여 트레이는, 피가공물 즉, 어퍼드럼과 로워드럼이 구별되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는 것과, 로보트(240)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파손 및 변형의 방지가 요구된다. 이외에도 피가공물이 세척공정등을 거쳐야 함으로써, 세척물질에 대한 내구성등도 요구되고 있다.To this end, the tray is required to be precisely positioned workpieces, that is, the upper drum and the lower drum, and to prevent breakage and deformatio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rough the robot 240. In addition, since the workpiece has to go through a washing process or the like, durability of the cleaning material is required.

제3도에는 이와같은 피가공물이 탑재되는 종래의 트레이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conventional tray on which such a workpiece is mounted.

이는, 바닥판(1)의 상면에는 에폭시 수지재의 패드(2)가 전면적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이 바닥판(1)과 패드(2)에는 각각 피가공물이 탑재될 수 있는 탑재홈(3)이 소정간격으로 다수 마련된다. 이때 패드(2)를 에폭시 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은 낙하충격등이 발생되었을시 피가공물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the pad 2 of the epoxy resin material is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 The bottom plate 1 and the pad 2 are eac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3 on which the workpieces can be moun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is case, the pad 2 is formed of an epoxy resin material to prevent damage to the workpiece when a drop impact or the like occurs.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트레이에 있어서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가공실이 안착되어 로보트를 통해 탑재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로보트와 접촉되는 패드의 상면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로보트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트레이를 다수 적층하여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투입실로 투입하는 것이어서, 적층된 상태의 무게에 의해 패드의 표면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tray,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in contact with the robot may be damaged by the relatively strong robot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workpiece mounted on the robot through the processing chamber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In particular, since a plurality of trays are stacked and put into the input chamber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rface damage of the pad may occur due to the weight of the stacked state.

또한 피가공물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공정으로 이송함에 있어서, 세척기의 행거를 통해 운반하지 못하고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운반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 및 작업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fer to the washing process to wash the workpiece, there is a problem causing the worker's fatigue and workability deterioration because the worker must be transported by hand rather than carried through the hanger of the washing machine.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트레이가 제안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other tray as shown in FIG. 4 is conventionally proposed.

이는, 그 내면에 사각형상의 캐비티(11)를 형성하는 알루미늄재의 사각틀체(10)를 구비한 것으로서, 이 사각틀체(10)의 캐비티(11) 바닥면에는 예컨대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과 어퍼드럼이 장착될 수 있는 안착부(12)가 마련되어 있다.It is provided with the square frame body 10 made of aluminum which forms the rectangular cavity 11 in the inner sur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cavity 11 of this square frame body 10, for example, the lower column and upper drum of a to-be-processed state There is provided a seating portion 12 to which it can be mounted.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트레이에 있어서는, 로워드럼과 어퍼드럼을 장착시키기 위한 안착부의 성형이 매우 어렵고, 또한 금속재(예컨대 알루미늄 등)로 사각틀체를 성형하는 것이어서, 단가상승을 초래하며, 그 무게 또한 매우 무거워 작업자가 이를 처리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또한 세척공정시 세척물질에 의해 금속재의 사각틀체에 부식이 발생되는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tray,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the sea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royal rum and the upper drum, and also to form a rectangular frame body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luminum, etc.), resulting in a unit cost increase, and the weight is also very high. It was heavy and it was very difficult for the worker to handle it.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corrosion occurs in the rectangular frame of the metal material by the cleaning material during the cleaning process.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피가공물의 적재가 용이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손상을 극소화 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용이성 및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드럼용 트레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easy to load the workpiece, and can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impact or contact from the outside, and to facilitate the workability and cost reduction of the work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y for the low rum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는, 다수의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을 적재하여 대차를 통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용 트레이에 있어서, 내면에 사각형상체의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그 내,외면에 단차부를 갖는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의 양측면에는 림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교차되어 격자형상체로 형성되는 수평 및 수직 거더들과; 상기 수평 및 수직 거더들의 각방향에서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바들과; 상기 서포트 바들의 교차지점에 마련되며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이 안착되는 안착부들; 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ray for a lower drum of an automatic tray 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nal surface in an automatic tray changer tray which is loaded with a plurality of workpieces in the state of a workpiece and supplied to the automatic tray changer through a bogie. A cavity having a quadrangular body formed therein, an upper edge formed at an inner side and an outer side thereof having a stepped portion, and a rim extending at both sides of the edge;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to form a lattice; Support bars formed in a grid in eac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Seating parts provided at intersections of the support bars and seated at a lower rum in a workpiece state; 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이와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Such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and the resulting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워드럼용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제6도는 평면도이며, 제7도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제8도는 6도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제9도 및 제10도는 대차에 적층된 상태도이며, 제11도 및 제12도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적용된 상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for royal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and FIG. 7 is a front view. 8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and FIGS. 9 and 10 are state diagrams stacked on a trolley, and FIGS. 11 and 12 are state diagrams applied to an automatic tray changer.

그리고 본 발명은 제2도에 도시된 자동 트레이 체인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utomatic tray changer shown in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면에 사각형상체의 캐비티(111)가 형성된 프레임(110)을 구비한다. 전술한 프레임(110)의 상부 내,외면에는 단차부(112a,112b)를 갖는 테두리(112)가 형성되며, 이 테두리(112)의 양측면에는 림(113,114)(rim)이 연장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10 in which a cavity 111 of a quadrangular body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Edges 112 having stepped portions 112a and 112b are formed on upper and inner surfaces of the above-described frame 110, and rims 113 and 114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edge 112.

한편, 사각형상체의 캐비티(111)의 내측면으로부터는 서로 교차되어 격자(格子)형상체로 형성되는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girder))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120,130) (girder) are form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111 of the quadrangular body to cross each other to form a lattice shape.

또한 이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의 상부측 각 방향에서는 서로 교차되어 격자형상체로 서포트 바들(140)(support bar)이 다수 마련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bars 140 (support bars) are provided in a lattice shape by crossing each other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120 and 130.

이때 특히 서포트 바들(140)의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는 전술한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이 안착되는 안착부(150)가 마련된다.In this case, in particular, a seating portion 150 is provided at the point where the support bars 140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the above-described workpiece (B).

전술한 림(113,114)의 하부측 프레임(110)의 측면에는 소정간격으로 서포트 리브(115,116)가 형성된다. 이때 서포트 리브(115,116)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의 클램퍼 수단 즉, 조(251)를 통해 클램핑되는 부위이다. 이때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의 클램퍼 수단 즉, 조(251)를 통해 용이하게 클램핑 되도록 서포트 리브(115,116)의 각 외측면에는 외측을 경사진 경사면(115a,116a)을 갖는다.Support ribs 115 and 116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lower frame 110 of the above-described rims 113 and 114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is case, the support ribs 115 and 116 are clamping means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200, that is, a portion clamped through the jaw 251. At this time,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support ribs 115 and 116 so as to be easily clamped through the clamper means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200, that is, the jaw 251 has inclined surfaces 115a and 116a inclined outward.

이때 전술한 프레임(110)의 테두리(112)는 그 모서리의 2부분이 라운딩부(112c)를 이루고 나머지 모서리 2부분이 모따기부(112d)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바, 이는, 트레이(100)를 다수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호간의 조립위치를 한방향으로 일치시키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edge 112 of the above-described frame 110 is preferably such that two portions of the corners form the rounding portion 112c and two remaining corners are formed with the chamfers 112d, which is the tray 100. This is to match the assembly position of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laminating a plurality of.

또한 전술한 프레임(110)의 양측면에는 윈도우(117,118)와 행거홀(H)(hanger hole)을 마련함이 바람직한 바, 이는 윈도우(117,118)를 통해서는 다수의 트레이(100)를 적층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트레이가 적층되었을 시 즉, 예컨대, 어퍼드럼용 트레이가 적층되었을시 이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또한 행거홀(H)은, 트레이(100)에 적재된 피가공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의 행거가 끼워 삽입되는 부위로써, 이를 통해 트레이(100)에 적재된 피가공물 즉, 로워드럼(B)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windows 117 and 118 and a hanger hole (H) on both sides of the frame 110 described above, which is unnecessary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trays 100 through the windows 117 and 118. When the trays are stacked,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trays for upper drums are stacked, this is to easily identify. In addition, the hanger hole (H) is a portion inserted into the hanger of the washing machine for washing the workpieces loaded on the tray 100, through which the workpieces loaded on the tray 100, that is, the lower rum (B) It can be easily cleaned.

이때 전술한 윈도우(117,118)는 표시부(119)에 의해 좌,우 윈도우(117,118)로 각각 분할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측면에 길게 연장 형성된 홈을 갖는 트레이가 적층되었을 경우 다른 트레이의 탑재여부를 확실히 분별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aforementioned windows 117 and 118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windows 117 and 118 by the display unit 119, respectively. This is to prevent thi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reliably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 other trays are mounted when the trays having the grooves extending to the side are stacked.

한편,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이 안착되는 안착부(150)의 구조를 보면, 서포트 바들(140)의 교차지점에는 그 상측 방향으로 소정길이의 허브(142)들이 각각 연장 형성된다. 이때 허브(142)들의 외경으로는 전술한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의 축 구멍이 끼워 삽입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seating portion 150 in which the low rum R in the workpiece state is seated, the hubs 142 of predetermined lengths are form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support bars 140 in the upper direction.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hub 142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low column (B) in the above-described workpiece state.

이때 서포트 바들(140)의 교차지점의 직하방에는 다수의 트레이(100)를 적층함에 있어서, 그 직하방에 위치된 트레이(100)의 안착부(150)에 안착되는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보강역할을 도모하기 위하여 플랜지부(141)가 소정길이로 연장 형성된다.At this time, in the stacking of a plurality of trays 100 directly below the intersection of the support bars 140, a low rum in the workpiece sta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50 of the tray 100 located directly below The flange portion 141 is formed to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order to prevent B)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by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and to attain a reinforcing role.

한편, 전술한 프레임(110)과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 그리고 서포트 바들(140) 및 안착부(150)들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PPS; POLYPHENYLENE SULFIDE RESINS)의 재질로 일체로 성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120,130), the support bars 140 and the seating portion 150 is integrally molded with a material of polyphenylene sulfide resin (PPS; POLYPHENYLENE SULFIDE RESINS) This would be desirable.

이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는 벤젠고리를 골간(骨幹)으로 한 단순구조의 고결정성 쇄상(鎖狀)고분자로 모든 환경(내열성, 내유성, 내화학성 등)에서 대단히 우수하고 안정된 소재특성을 보이는 고기능수지(Super EP)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일체로 성형하게 되면, 충격이나 로보트(240)등과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탑재된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polyphenylene sulfide resin is a highly crystalline chain polymer having a benzene ring as a bone structure, and exhibits excellent and stable material properties in all environments (heat resistance, oil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etc.). Since it is a resin (Super EP), when integrally molded through this, damages due to impact or contact with the robot 24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damage to the rodum in the state of the mounted workpiece is performed. This can be prevented.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사용예를 설명한다.The use example of the tra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omprised in this way is demonstrated.

먼저, 제8도는 본 발명의 트레이(100)를 다수 적층시키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서포트 바들(140)의 교차지점에 돌출설치된 허브(142)의 외경에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의 축구멍을 끼워 삽입한다.First,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tray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cked. First, the lower column B of the workpiece state is form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hub 142 protruding at the intersection of the support bars 140. Insert the shaft hole of

그리고 이와같은 트레이(100)들을 다수 적층하여 예컨대 자동 트레이 체인지(200)에 투입실(210)로 공급함에 있어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차(300)를 통해 다수 적층하여 공급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tacking a plurality of such trays 100 and supplying them to the input tray 210 in the automatic tray change 200,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trays 100 may be stacked and supplied through the trolley 300 as shown in FIG. 9. .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며, 트레이(100)들을 대차(300)의 적재부(320)에 다수 적층시킨다. 이때 최하단의 트레이(100)는 대차(300)의 레일부(310)의 롤러(311)에 의해 이송이 자유롭게 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a plurality of trays 100 are stacked on the loading part 320 of the trolley 300. At this time, the lowermost tray 100 is free to be transported by the roller 311 of the rail portion 310 of the trolley 300.

한편, 이때 트레이(100)들의 적층시에는 프레임(110)의 하부가 테두리(112)의 단차부(112a,112b)에 지지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트레이(100)들은 테두리(112)의 라운딩부(112c)의 모따기부(112d)에 의해 안정되게 적층된다. 즉, 트레이(100)들은 사출 성형시 사출오차등에 의해 어긋나지 않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이다.Meanwhile, in this case, when the trays 100 are stacked, the lower part of the frame 110 is supported by the stepped portions 112a and 112b of the edge 112 and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trays 100 are rounded portions of the edge 112. It is laminated stably by the chamfer 112d of 112c. That is, the trays 100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out shifting due to injection error during injection molding.

이때 대차(300)의 레일부(310)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트레이(100)를 적층함에 있어서는, 프레임(110)에 형성된 윈도우(117,118)에 의해 다른 트레이(100) 예컨대 어퍼드럼이 탑재된 트레이의 탑재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윈도우(117,118)가 표시부(119)에 의해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트레이의 탑재시 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n stacking a plurality of trays 100 sequentially on the rail portion 310 of the trolley 300, the trays on which the other trays 100, for example, the upper drum, are mounted by the windows 117 and 118 formed in the frame 110.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unting can be easily determined. This is because the windows 117 and 118 are divided by the display unit 119 so that this can be easily determined when the other trays are mounted.

이와같이 트레이(100)가 다수 적층된 대차(300)를 바퀴(330)와 핸들부(340)를 이용하여 이동시켜 대기장소 또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의 투입실(210)로 이동시키면 용이하게 트레이(100)에 적재된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을 공급시킬 수 있다. 한편, 이때 전술한 대차(300)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레일부(310)에 적층된 트레이(100)중 최하단에 위치된 (100)는 대차(300)의 스톱퍼 수단(350)을 통해 그 유동이 용이하게 방지되게 된다.In this way, by moving the trolley 300 having a plurality of trays 100 stacked using the wheels 330 and the handle part 340 to move to the standby space or the input chamber 210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200, the tray can be easily moved. The low rum B in the state of the workpiece loaded on the 100 can be supplied. Meanwhil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above-described bogie 300, the 10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tray 100 stacked on the rail 310 has its flow through the stopper means 350 of the bogie 300. Easily prevented.

한편, 제11도에 및 제12도에는 대차(300)에 의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200)의 투입실(210)에 공급되고, 리프팅 수단에 의해 작업실(230)로 공급된 트레이(100)를 클램핑 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Meanwhile, in FIGS. 11 and 12, the tray 100, which is supplied to the input chamber 210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200 by the trolley 300 and is supplied to the work chamber 230 by lifting means, is clamped. The process of doing so is illustrated.

이는, 리프팅 수단에 의해 작업실(230)로 공급된 최상단의 트레이(100)의 위치여부가 클램핑 플레이트(252)의 상부 중앙에 장착된 센서(253)에 의해 감지되게 되면, 실린더가 작동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 블록이 가동 플레이트축을 향하여 이송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tray 100 supplied to the work room 230 by the lifting means is detected by the sensor 253 moun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clamping plate 252, the cylinder is operated to guide the rail. The guide block is conveyed toward the movable plate shaft along this.

이와 동시에 클램프 플레이트(252)가 이송되면서 조(251)의 상측면에 림(113,114)의 하측면이 각각 받쳐져 트레이(100)가 클램핑된다. 이때, 조(251)의 경사면(251a)은 조(251)와 테두리(112)의 단차부(112a,112b)사이에서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하고, 하부측의 조(251)의 경사면(251b)은 조(251)와 트레이(100)의 테두리(112) 사이에서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경사면(251b)의 요홈은 림(113,114)의 끝부분에서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clamp plate 252 is transferred, the lower surfaces of the rims 113 and 114 are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jaw 251 to clamp the tray 100. 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251a of the jaw 251 prevents inter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jaws 251 and the stepped portions 112a and 112b of the edge 112, and the inclined surface 251b of the jaw 251 on the lower side. This prevents the inter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jaw 251 and the edge 112 of the tray 100. In addition, the groove of the inclined surface 251 b prevents interference generated at the ends of the rims 113 and 114.

그리고, 조(251)의 경사면(251a)은 서포트 리브(115,116)의 경사면(115a,116a)에 접촉되어 트레이(10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클램핑되고, 가이드 플레이트(254)와 서포트 플레이트(255)는 트레이(100)의 전면과 배면을 각각 견고하게 잡아주므로 트레이(100)의 유동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251a of the jaw 251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s 115a and 116a of the support ribs 115 and 116 and is clamped to prevent the flow of the tray 100, and the guide plate 254 and the support plate 255 are prevented. Since the front and back of the tray 100 firmly hold each, the flow of the tray 100 is prevented.

이와 같이 트레이(100) 로보트(240)는 트레이(100)에 탑재된 피가공물을 컨베이어 시스템의 공급라인으로 운반시키고 가공작업을 개시하게 된다.In this way, the robot robot 240 of the tray 100 transports the workpiece mounted on the tray 100 to the supply line of the conveyor system and starts the processing operation.

그리고 가공작업이 완료된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이 탑재된 트레이(100)는 윈도우(117,118)의 양측면에 형성된 행거홀(H)을 통해 세척기의 행거가 삽입됨으로써, 이를 통해 가공작업이 완료된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세척과정시 절삭유, 오일, 세척액등에 의한 변형의 우려는 트레이(100) 자체의 재질이 모든 환경에서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재지롤 성형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tray 100 in which the work column of the lower column B of the work state is mounted is inserted into the hanger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hanger holes H formed at both sides of the windows 117 and 118, thereby completing the processing work. It will be easy to wash the wardrum (B) in the workpiece state. At this time, the fear of deformation due to cutting oil, oil, washing liquid, etc. during the washing process will be effectively prevented because the material of the tray 100 itself is molded in excellent polyphenylene sulfide re-roll roll in all environments.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to describe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d can be changed appropriately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for example, It is applicabl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드럼용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에 다수의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의 탑재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대차 및 이 대차를 통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ray for the row rum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easy to mount the ward rum in the state of a plurality of workpieces on the tray,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these to the automatic tray changer through the bogie and this bogie. There is an easy advantage.

또한 트레이 자체를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한 것이어서, 성형의 용이성 및 탑재된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의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ay itself is integrally molded using a material of polyphenylene sulfid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ase of molding and damage of the royal rum in the mounted workpiece state can be easily prevented.

Claims (8)

다수의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을 적재하여 대차를 통해 자동 트레이 체인저에 공급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에 있어서, 내면에 사각형상체의 캐비티(11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그 내,외면에 단차부(112a,112b)를 갖는 테두리(112)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112)의 양측면에는 림(113,114)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캐비티(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교차되어 격자형 상테로 형성되는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과; 상기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의 각방향에서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서포트 바들(140)괴; 상기 서포트 바들(140)의 교차지점에 마련되며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이 안착되는 안착부(150)들; 을 포함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In a tray for a lower drum of an automatic tray changer, which is loaded with a number of workpieces in the state of a workpiece, and is supplied to an automatic tray changer through a bogie, a cavity 111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reof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frame (110) having stepped portions (112a, 11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12), wherein the rims (113, 114) extend respectively;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120,130) form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111) to form a lattice shape; A support bar 140 ingot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eac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120 and 130; Mounting parts 150 are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upport bars 140, the seating portion 150 is a low rum (B) of the workpiece state; Tray for the lower drum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113,114)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15a,116a)을 갖는 서포트 리브(115,116)가 소정간격으로 떨어져 상기 프레임(11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The automatic tray changer of claim 1, wherein support ribs 115 and 116 having inclined surfaces 115a and 116a inclined outward ar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rims 113 and 114, respective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Lower drum tra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12)는 모서리의 2부분에 라운딩2c)가 각각 형성되고 그 나머지 부분에는 모따기부(112d)가 각각 형성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The lower drum tray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dges (112) have roundings (2c) formed at two portions of the edges, and chamfers (112d) are formed at the remaining portions thereof.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양측면에 윈도우(117,118)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117,118) 양쪽에 행거홀(H)이 각각 형성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The lower drum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indows 117 and 118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rame 110, and hanger holes H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window 117 and 118, respectively. tra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117,118)는 표시부(119)에 의해 윈도우(117,118)로 각각 분할형성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5. The lower drum tray of an automatic tray chang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windows (117, 118) are divided into windows (117, 118) by the display unit (119),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50)는 서포트 바들(140)의 교차지점에 그 상측방향으로 허브(142)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허브(142)들의 외경은 로워드럼(B)을 구성하는 축구멍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portion 150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upport bars 140, the hubs 142 are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respectively, the outer diameter of the hub 142 constitutes a ward rum (B) A tray for a lower drum of an automatic tray changer which is formed so that a shaft hole to be fitted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서포트 바들(140)의 교차지점에 그 직하방에 위치된 피가공물 상태의 로워드럼(B)의 상부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141)들을 마련하여 된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The lower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flange portions (141) are provid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support bars (140) to prevent the upper part of the lower row (B) in the state of the workpiece located below. Drum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과 수평 및 수직 거더들(120,130), 서포트 바들(140), 안착부(150)들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는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로워 드럼용 트레이.The lower drum of the automatic tray changer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girders 120 and 130, the support bars 140, and the seating portions 150 are integrally formed of a polyphenylene sulfide material. Tray.
KR1019950012342A 1995-05-18 1995-05-18 Lover drum tray of automatic tray changer KR01442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342A KR0144213B1 (en) 1995-05-18 1995-05-18 Lover drum tray of automatic tray 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342A KR0144213B1 (en) 1995-05-18 1995-05-18 Lover drum tray of automatic tray ch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535A KR960042535A (en) 1996-12-21
KR0144213B1 true KR0144213B1 (en) 1998-07-15

Family

ID=1941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342A KR0144213B1 (en) 1995-05-18 1995-05-18 Lover drum tray of automatic tray c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2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06B1 (en) * 2005-07-29 2006-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llet for loading cam c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06B1 (en) * 2005-07-29 2006-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llet for loading cam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535A (en) 199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488B1 (en) Automatic tray changer
KR0151471B1 (en) Auto-tray
KR0159656B1 (en) Reverser for use in an automatic tray changer
EP2246136B1 (en) Machine and method for machining crankshaft ends
JPH03503747A (en) Modular multi-workpiece mounting system for machine tools
KR20100047562A (en) Apparatus for grinding of friction material of brakepad
KR0144213B1 (en) Lover drum tray of automatic tray changer
KR0134425B1 (en) Upper drum tray of an automatic tray changer
EP0891126A2 (en) Drilling unit for printed circuit boards having two operating heads individually movable
KR20200106667A (en) Sliding cover for machine tool
JP5282490B2 (en) Production line work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JPH06106445A (en) Working system
KR0151477B1 (en) Auto-tray
JP2550071Y2 (en) FMS pallet and work transfer device
KR0171134B1 (en) Tray lifting device of automatic tray changer
KR0171136B1 (en) Conveyor for automatic tray changer
JP2001198762A (en) Automatic tool replacing device
KR19990082125A (en) Machine tool with multiple spindles
JP2927838B2 (en) Automatic processing system
KR0174922B1 (en) Automatic loader
JPH0117828B2 (en)
EP1920879A1 (en) Machine tool
KR0171125B1 (en) Work reversing feeding device of automatic work exchanger
KR0154004B1 (en) System for swivelling an automatic loader
JPS6334826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