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200B1 - Controlled gain transistor amplifier without dc shift or signal phase reversal in load current - Google Patents

Controlled gain transistor amplifier without dc shift or signal phase reversal in load current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200B1
KR0143200B1 KR1019930703454A KR930703454A KR0143200B1 KR 0143200 B1 KR0143200 B1 KR 0143200B1 KR 1019930703454 A KR1019930703454 A KR 1019930703454A KR 930703454 A KR930703454 A KR 930703454A KR 0143200 B1 KR0143200 B1 KR 014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s
collector
electrodes
emitter
inter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크라프트 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896,442 external-priority patent/US5184088A/en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70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32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200B1/en

Links

Abstract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의 부하 전류에서 DC 시프트 뿐만 아니라 신호 위상 반전은 하기의 수단을 갖는 유형의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를 사용함으로서 제거될 수 있다. DC 시프트 뿐만 아니라 신호 위상 반전을 제거시키는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는 제1 이미터결합 차동증폭기로서 접속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입력신호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제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되는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전극들 사이의 상호접속을 포함하는 제1 전류 스플리터로서 접속된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되는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전극들 사이에 상호연결을 포함하는 제2 전류 스플리터로서 접속된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와,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와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와,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와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제어신호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제3 및 제6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 사이의 제1 상호접속에 동작전위를 인가하는 수단과,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 사이의 제2 상호접속에 동작전위를 인가하며 상기의 동작전위 인가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가 출력부하를 포함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호 위상 반전은 개선된 다음 수단을 구비하여 제거될 수 있다. 제2 이미터결합 차동증폭기로서 접속된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와,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입력신호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과,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을 제1 상호접속과 제2 상호접속에 분리하여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신호위상 반전은 제거될 수 있다.Signal phase inversion as well as DC shift in the load current of the gain control transistor amplifier can be eliminated by using a gain control transistor amplifier of the type having the following means. The gain control transistor amplifier, which eliminates signal shifts as well as DC shift, applies an input signal volt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connected as first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s and the base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he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connected as first current splitters including means for interconnecting the emitter electrodes of the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connected to the collector electrodes of the first transistors; Between the fifth and sixth transistors connected as a second current splitter including an interconnection between the emitter electrodes of the fifth and sixth transistors connected to the collector electrode, and the base electrodes of the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Control signal voltages between the fifth and sixth transistors, the base electrodes of the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and the base electrodes of the fifth and sixth transistors. Means for applying, an operating potential to the first interconnect between the collector electrodes of the third and sixth transistors, and an operating potential to the second interconnect between the collector electrodes of the fourth and fifth transistors. And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potential applying means includes a means including an output load. Signal phase inversion can be eliminated with improved following means. Means for applying an input signal voltage between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connected as the second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the base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and the collector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Signal phase inversion can be eliminated by having means for connecting separately to the first interconnect and the second interconnect.

Description

[발명의 명칭][Name of invention]

부하전류에 있어서 직류 변화나 신호우상반전이 없는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Gain Controlled Transistor Amplifier with No DC Change or Signal Idol Inversion in Load Current

[도면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제1도는 증폭기 이득의 값을 설정하는 제어신호의 값 변화에 응답하여 이득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일정 정지 부하전류를 가지는 종래 기술에 대한 이득제어 증폭기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ain control amplifier for the prior art having a constant quiescent load current despite a change in gain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value of a control signal that sets the value of the amplifier gain,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도를 개선한 이득제어 증폭기의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ain control amplifier improved from FIG. 1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도를 개선한 이득제어 증폭기의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ain control amplifier improved from FIG. 1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2도를 개선한 이득제어 증폭기의 개략도,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ain control amplifier improved from FIG. 2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더욱더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를 개선한 이득제어 증폭기의 개략도.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ain control amplifier that improves FIG. 3 as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술분야][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제어신호의 값 변화에 응답하여 이득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일정 정지 부하전류를 가지는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Controlled-Gain Transistor Amplifiers)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ain-controlled transistors (Controlled-Gain Transistor Amplifiers) having a constant quiescent load current despite a change in gain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value of the control signal.

[발명의 배경기술]Background of the Invention

일반적으로 특정한 도전형의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이미터 결합 차동증폭기(Emitter-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의 이득은 제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를 제1 제어전류 스플리터(Splitter)로 공급함에 의해, 제1 제어전류 스플리터와 유사하게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를 제2 제어전류 스플리터로 공급함에 의해, 동일한 제어신호를 사용한 제1 및 제2 제어전류 스플리터들을 제어함에 의해, 그리고 부하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 스플리터 출력 전류들을 크로스 결합함에 의해 제어되고, 그럼으로써 제어신호의 값 변화에 응답하여 이득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일정 정지 부하전류를 얻도록 한다. 각각의 제어전류 스플리터들은 그들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제어전압을 수신하고, 그들의 이미터 전극들 사이에 상호 연결을 통해서 흐르는 스플리트(Split)된 전류를 가지고, 그들 각각의 콜렉터 전극들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스플리트된 몫들을 가지는 각각 한쌍의 이미터 결합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플리터들의 제3, 제4,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들은 구조에 있어서 서로 유사하고, 집적회로안에서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에 대해 유사한 도전형이다. 이득제어 증폭기의 선행기술은 1984년 9월 11일에 출원된 Hirata의 DETECTOR CIRCUIT HAVING AGC FUNCTION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4,471,311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1990년 5월 22일에 출원된 Sato와 다수인의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4,928,074에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the gain of an emitter-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of a particular conductivity type is obtained by supplying the collector current of the first transistor to the first control current splitter. Similar to the first control current splitter, by supplying the collector current of the second transistor to the second control current splitte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current splitters using the same control signal, and a current splitter for applying to the load Controlled by cross-coupling the output currents, thereby obtaining a constant quiescent load current despite a change in gain in response to a change in value of the control signal. Each control current splitter receives a control voltage between their base electrodes and has a spli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nterconnect between their emitter electrodes, the current of which flows through their respective collector electrodes. And a pair of emitter coupled transistors each having split shares.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transistors of the splitters are similar in structure to each other, adjacent to each other in an integrated circuit, and of similar conductivity type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Prior art of gain control amplifiers is disclosed in US Pat. No. 4,471,311, entitled DETECTOR CIRCUIT HAVING AGC FUNCTION, filed September 11, 1984. It is also disclosed in US Pat. No. 4,928,074, filed May 22, 1990, entitled Sato and many others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그러나 이러한 이득제어 증폭기는 베이스 전극들 사이의 제어전압이 영전위로 줄어듬에 따라 발생하는 영점을 기준으로 진동하는 제어전압때문에 부수적인 위상 반전을 갖는 증가하는 이득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어떠한 응용에 있어서도 극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예를 들면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 이하 AGC라 칭함) 시스템에 있어서, 어떤 조건들하에서는, 이러한 신호위상반전 특성은 강한 신호조건에서 AGC의 이득을 감소시키는 것보다는 오히려 이득을 증가시키는 바람직하지 못한 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이득의 변화에 따라 일정 정지 부하전류를 가진 이득제어 증폭기의 문제점이 인식되었고, 본원 발명의 목적은 이득의 변화에 따라 일정 정지 부하전류의 특성을 잃지 않고 인가된 구동 공급전압에 기인하여 영향을 받는 출력전압에 있어서 어떤 레인지를 잃지 않는 이득제어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However, such a gain control amplifier has a problem in that an increase gain with an incident phase inversion occurs due to a control voltage oscillating based on a zero generated as a control voltage between base electrodes decreases to zero potential. This property is extremely undesirable for any application. For example, in an Automatic Gain Control (AGC) system, under certain conditions, this phase reversal characteristic is not desirable to increase the gain rather than reduce the gain of the AGC under strong signal conditions. Cause failure. Accordingly, a problem of a gain control amplifier having a constant stop load current according to a change in gain has been recognize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fluence the result of the applied driving supply voltage without lo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ant stop load curre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gain. It is to provide a gain control amplifier that does not lose any range in the received output voltage.

[발명의 요약][Summary of invention]

본 발명은 제어신호전압에 응답하여 이득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일정정지 부하전류를 갖니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를 개선하여 구현한다. 상기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는 제1 이미터 결합 차동증폭기로서 연결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입력신호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과, 제1 전류 스플리터로서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과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전극들 사이에 상호 연결을 포함하는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와, 제2 전류 스플리터로서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과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전극들 사이에 상호 연결을 포함하는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들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와 상기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들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제어신호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3 및 제6 트랜지스터들의 콜렉터 전극들 사이에 제1 상호접속하여 구동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들의 콜렉터 전극들 사이에 제2 상호접속하여 구동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한 형태이다. 구동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수단중 적어도 하나는 출력부하를 포함한다. 상기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를 개선한 것은 제2 이미터 결합 차동증폭기로서 연결된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들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입력 신호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상호접속들과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들의 콜렉터 전극들을 분리하여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improving the gain control transistor amplifier having a constant stop load current even though the gain chang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voltage. The gain control transistor amplifier includes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connected as first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s, means for applying an input signal voltage between the base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and a first current splitter. And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connected as a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llector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emitter electrodes of the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and connected as a second current splitter and the collector of the second transistor. Fifth and sixth transistors comprising an interconnection between an electrode and emitter electrodes of the fifth and sixth transistors, between base electrodes of the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and the base of the fifth and sixth transistors Means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voltage between the electrodes and a first interconnect between the collector electrodes of the third and sixth transistors And means for applying a drive potential and means for applying a drive potential by second interconnection between collector electrodes of said fourth and fifth transistors. At least one of the means for applying the driving potential includes an output load. Improvements in the gain control transistor amplifier include: means for applying an input signal voltage between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connected as a second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and the base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Means for separating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connections and the collector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제1도는 NPN 트랜지스터들(Q1, Q2)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인가하는 전원(S1)인 입력신호 전압에 의해 설정된 비율로 콜렉터 전류들을 요구하기 위한 이미터 결합 차동증폭기 구성으로서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들(Q1, Q2)을 도시한 것이다. NPN 트랜지스터들(Q3, Q4)들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인가하는 전원(S2)인 이득제어 전압에 의해 설정된 비율을 가진 각각 Q3 및 Q4의 이미터 전류들을 공급받기 위해서 Q3 및 Q4의 이미터 전극들 사이에 있는 노드(N1)에 Q1의 콜렉터 전극은 연결되어 있고, 상기 Q1은 제1 전류 스플리터로서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들(Q3, Q4)들에 의해 스플리팅(Splitting)된 각각의 이미터 전류들을 상기 노드(N1)로 통해서 콜렉터 전극으로 공급받는다. NPN 트랜지스터들(Q5, Q6)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인가하는 전원(S2)인 이득제어 전압에 의해 설정된 비율을 각각 Q5 및 Q6의 이미터 전류들을 공급받기 위해서 Q5 및 Q6의 이미터 전극들 사이에 있는 노드(N2)에 Q2의 콜렉터 전극은 연결되어 있고, 상기 Q2는 제2 전류 스플리터로서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들(Q5, Q6)에 의해 스플리팅된 각각의 이미터 전류들을 상기 노드(N2)로 통해서 콜렉터 전극으로 공급받는다.FIG. 1 shows NPN transistors connected as an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ation for requesting collector currents at a rate set by an input signal voltage which is a power supply S1 applied between base electrodes of NPN transistors Q1 and Q2. Q1 and Q2) are shown. Emitter electrodes of Q3 and Q4 to receive the emitter currents of Q3 and Q4, respectively, with a ratio set by the gain control voltage, which is the power supply S2 applied between the base electrodes of the NPN transistors Q3, Q4. The collector electrode of Q1 is connected to the node N1 in between, and Q1 divides each emitter current split by the NPN transistors Q3 and Q4 connected as the first current splitter. It is supplied to the collector electrode through the node N1. The ratio set by the gain control voltage, which is the power supply S2 applied between the base electrodes of the NPN transistors Q5 and Q6, between the emitter electrodes of Q5 and Q6 so as to receive the emitter currents of Q5 and Q6, respectively. The collector electrode of Q2 is connected to node N2 at which Q2 is coupled to each node by the emitter currents split by NPN transistors Q5 and Q6 connected as a second current splitter. It is supplied to the collector electrode through the furnace.

저항(R1)은 Q3 및 Q6의 콜렉터 전극들 사이에 있는 노드(N3)와 직류 전압 공급기들(B1, B2, B3 및 B4)이 직렬 연결에 의해 확정된 구동공급전압단 사이에 연결된다. R1은 Q3 및 Q6에 공용 콜렉터 부하를 제공한다. 저항(R2)은 Q4 및 Q5의 콜렉터 전극들 사이에 있는 노드(N4)와 직류 전압 공급기들(B1, B2, B3 및 B4)의 직렬 연결에 의해 확정된 구동공급전압단 사이에 연결된다.The resistor R1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N3 between the collector electrodes of Q3 and Q6 and the drive supply voltage terminal where the DC voltage supplies B1, B2, B3 and B4 are determined by series connection. R1 provides a common collector load for Q3 and Q6. The resistor R2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N4 between the collector electrodes of Q4 and Q5 and the driving supply voltage terminal determined by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DC voltage supplies B1, B2, B3 and B4.

유사한 일정 전류들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Q1 및 Q2의 이미터 전극들에 연결된 노드(N5) 및 노드(N6)로부터 요구된다. 이미터 저항(R3)을 가진 NPN 트랜지스터들(Q9)는 직류 전압공급기(B1)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을 베이스 전극으로 수신함으로써, 노드(N3)로부터 일정 콜렉터 전류를 요구하는 조건을 설정한다. 이미터 저항(R4)을 가진 NPN 트랜지스터들(Q10)는 직류 전압공급기(B1)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을 베이스 전극으로 수신함으로써, 노드(N4)로부터 일정 콜렉터 전류를 요구하는 조건을 설정한다. 노드(N5)와 노드(N6) 사이에 연결된 저항(R0)은 Q1 및 Q2에 결합된 이미터 축퇴(Emitter-Degeneration)저항을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은 이미터 축퇴저항(R0)을 통해서 걸리는 직접적인 전위 강하를 피하고, 구동 전압 범위를 유지한다.Similar constant currents are required from node N5 and node N6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s of Q1 and Q2 as shown in FIG. The NPN transistors Q9 having the emitter resistor R3 set the conditions for requesting a constant collector current from the node N3 by receiving the bias voltage from the DC voltage supply B1 as the base electrode. The NPN transistors Q10 having the emitter resistor R4 set a condition for requesting a constant collector current from the node N4 by receiving a bias voltage from the DC voltage supply B1 to the base electrode. Resistor R0 coupled between node N5 and node N6 provides an emitter-degeneration resistor coupled to Q1 and Q2. This arrangement avoids the direct potential drop across the emitter degeneration resistor R0 and maintains the drive voltage range.

다른 실시예로, 만을 직류 전압공급기(B1)가 충분히 높은 전압을 제공한다면, 로드(N5) 및 로드(N6)는 Q9 및 Q10보다 오히려 각각의 저항들을 통해서 접지 전위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저항(R0)은 중간 탭(Center-Tap)에 접속되고 정전류는 노드(N5) 및 노드(N6)로부터 요구되어진 정전류들보다 오히려 중간 탭으로부터 요구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중간 탭 저항(R0)의 절반이 실질적으로 영저항 값을 갖는 특별한 경우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if only DC voltage supply B1 provides a sufficiently high voltage, rod N5 and rod N6 may be connected to ground potential through respective resistors rather than Q9 and Q10. In another embodiment, resistor R0 is connected to the middle tap (Center-Tap) and a constant current is required from the middle tap rather than the constant currents required from node N5 and node N6. Another such embodiment includes the special case where half of the intermediate tap resistor R0 has a substantially zero resistance value.

어떤 경우에는 전원(S1)으로부터 공급된 전압(VS1)이 영전위일 때, Q1 및 Q2의 콜렉터 전류들은 동등 정지 또는 직류 전류값들을 가진 원인이 된다. 그리고 VS1이 영전위보다 다른 값을 가질 때 Q1 및 Q2의 콜렉터 전류들은 동등 전위와 반대 극점 변화들 -VS1/R0와 VS1/R0을 나타낸다. 여기서 저항(R0)의 저항값은 R0이다. (상대적으로 트랜지스터들(Q1, Q2, Q3, Q4, Q5 및 Q6)의 미소 베이스 전류들은 구동에 대한 간단한 분석에 있어서 무시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이미터전류들은 실질적으로 콜렉터전류들과 동일한 전류의 크기로 가정될 것이다.) 전원(S2)로부터 공급된 전압(VS2)이 영전위일 때, Q3 및 Q4는 각각의 이미터전류들로서 동등 양으로 공급되어진 Q3 및 Q4에서 요구하는 -VS1/R0 콜렉터 전류를 할당하고, 또한 Q5 및 Q6은 각각의 이미터전류들로서 동등 양으로 공급되어진 Q5 및 Q6에 Q2에서 요구하는 -VS1/R0 콜렉터 전류를 할당한다. Q3의 -VS1/2R0 이미터 전류와 Q6의 VS1/2R0 이미터 전류는 각각 Q3 및 Q6에서 요구되는 콜렉터 신호전류와 Q6의 VS1/2R0 콜렉터 신호전류가 요구된다. 상기 Q3와 Q6에서 요구되는 콜렉터 신호전류들의 합은 Q3 및 Q6의 공용 콜렉터 부하 저항(R1)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전류의 값은 Q3와 Q6의 콜렉터 신호전류들의 합인 0이다. 옴의 법칙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동 조건들 동안에 R1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영 신호전압이다. Q4의 -VS1/2R0 이미터 전류와 Q5의 VS1/2R0 이미터 전류는 각각 Q4 의 -VS1/2RO 콜렉터 신호전류와 Q5의 VS1/2RO 콜렉터 신호전류가 요구된다. 상기 Q4 및 Q5에서 요구되는 콜렉터 신호전류들의 합은 Q4 및 Q5의 공용 콜렉터 부하저항(R2)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이며, 상기 전류의 값은 Q4 및 Q5의 콜렉터 신호전류의 합인 0이다. 옴의 법칙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동 조건들동안에 R2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영 신호전압이다. 전원(S1)에 의해 공급된 직접 전압이 양값을 가질 때, Q3에 의한 이미터 전류로서 공급된 Q1에서 요구되는 콜렉터 신호전류값은 (1+δ)(-VS1/2R0)으로 증가하고, Q4에 의한 이미터전류로서 공급된 Q1에서 요구되는 콜렉터 신호전류의 값은 (1-δ)(-VS1/2R0)으로 감소한다. 또한 Q5에 의한 이미터전류로서 공급된 Q2에서 요구되는 콜렉터 신호전류의 값은 (1+δ)(VS1/2R0)으로 증가하고, Q6에 의한 이미터전류로서 공급된 Q2에서 요구되는 콜렉터 신호전류의 값은 (1-δ)(VS1/2R0)으로 감소한다. Q3 및 Q6에서 요구된 콜렉터 신호전류들은 실질적으로 Q3 및 Q6 각각의 이미터 신호전류들 (1+δ)(-VS1/2R0) 및 (1-δ)(VS1/2R0)과 동일하다. 옴의 법칙에 따라 Q3 및 Q6에서 요구된 콜렉터 신호전류들의 결합된 전류(-δ VS1/R0)는 Q3 및 Q6이 공유하는 콜렉터 부하저항(R1)을 통해서 (-δ VS1R1/2R0)으로 전압 강하하는 원인이 된다. 여기서 저항(R1)의 저항값은 R1이다. Q4 및 Q5에서 요구된 콜렉터 신호전류들은 실질적으로 Q4 및 Q5의 이미터 신호전류들 (1-δ)(-VS1/2R0) 및 (1+δ)(VS1/2R0)과 동일하다. 옴의 법칙에 따라 Q4 및 Q5에서 요구된 콜렉터 신호전류들의 결합된 전류(δ VS1/R0)는 Q4 및 Q5가 공유하는 콜렉터 부하저항(R2)을 통해서 (δ VS1R2/R0)으로 전압 강하하는 원인이 된다. 여기서 저항(R2)의 저항값은 R2이다. 상술한 발명의 배경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콜렉터 부하저항들(R1, R2)을 통한 신호 전압들의 극성감도들은, 전원(S1)에 의해 공급된 직접 전압이 옴전위값으로 될 때 바람직하지 못하게 반전된다. Q3의 이미터 전류로서 공급된 Q1의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의 몫은 (1-δ)(-VS1/2R0)으로 감소하고, Q4의 이미터 전류로서 공급된 Q1의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의 몫은 (1+δ)(-VS1/2R0)으로 증가한다. 또한 Q5의 이미터 전류로서 공급된 Q2의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의 몫은 (1-δ)(VS1/2R0)으로 감소하고, Q6의 이미터 전류로서 공급된 Q2의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의 몫은 (1+δ)(VS1/2R0)으로 증가한다. Q3 및 Q6에서 요구된 콜렉터 신호전류들은 실질적으로 Q3 및 Q6의 이미터 신호 전류들 (1-δ)(-VS1/2R0) 및 (1+δ)(VS1/2R0)과 동일하다. 옴의 법칙에 따라 Q3 및 Q6에서 요구된 콜렉터 신호전류들의 결합된 전류 (δ VS1/R0)는 Q3 및 Q6이 공유한 콜렉터 부하저항(R1)을 통해서 (δ VS1R1/R0)의 전압으로 강하한다. 여기서 저항(R1)의 저항값은 R1이다. Q4 및 Q5에서 요구된 콜렉터 신호전류들은 실질적으로 Q4 및 Q5의 이미터 신호 전류들 (1+δ)(-VS1/2R0) 및 (1-δ)(VS1/2R0)과 동일하다. 옴의 법칙에 따라 Q4 및 Q5에서 요구된 콜렉터 신호전류들의 결합된 전류 (-δ VS1/R0)는 Q4 및 Q5가 공유한 콜렉터 부하저항(R2)을 통해서 (-δ VS1R2/R0)의 전압으로 강하한다. 여기서 저항(R2)의 저항값은 R2이다.In some cases, when the voltage VS1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S1 is zero potential, the collector currents of Q1 and Q2 cause the same stop or direct current current values. And when VS1 has a value other than zero potential, the collector currents of Q1 and Q2 represent the equipotential and opposite pole changes -VS1 / R0 and VS1 / R0. He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0 is R0. (The relatively small base currents of transistors Q1, Q2, Q3, Q4, Q5 and Q6 will be ignored in a simple analysis of driving. Thus, the emitter currents of each of these transistors are substantially equal to collector currents. The same amount of current will be assumed.) When the voltage VS2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S2 is zero potential, Q3 and Q4 require -VS1 / required by Q3 and Q4 supplied in equal amounts as the respective emitter currents. R0 collector current is assigned, and Q5 and Q6 also allocate the -VS1 / R0 collector current required by Q2 to Q5 and Q6 supplied in equal amounts as the respective emitter currents. The -VS1 / 2R0 emitter current of Q3 and the VS1 / 2R0 emitter current of Q6 require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required by Q3 and Q6 and the VS1 / 2R0 collector signal current of Q6 respectively. The sum of collector signal currents required by Q3 and Q6 i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mmon collector load resistor R1 of Q3 and Q6, and the value of the current is 0, which is the sum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s of Q3 and Q6. According to Ohm's law, the voltage across R1 during these driving conditions is a zero signal voltage. The -VS1 / 2R0 emitter current of Q4 and the VS1 / 2R0 emitter current of Q5 require the -VS1 / 2RO collector signal current of Q4 and the VS1 / 2RO collector signal current of Q5 respectively. The sum of collector signal currents required by Q4 and Q5 i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mmon collector load resistor R2 of Q4 and Q5, and the value of the current is 0 which is the sum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s of Q4 and Q5. According to Ohm's law, the voltage across R2 during these driving conditions is a zero signal voltage. When the direct voltage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S1 has a positive value,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value required at Q1 supplied as the emitter current by Q3 increases to (1 + δ) (-VS1 / 2R0), and Q4 The value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required at Q1 supplied as the emitter current by? Decreases to (1-?) (-VS1 / 2R0). In addition, the value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required in Q2 supplied as the emitter current by Q5 increases to (1 + δ) (VS1 / 2R0), and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required in Q2 supplied as the emitter current by Q6. The value of decreases to (1-δ) (VS1 / 2R0). The collector signal currents required at Q3 and Q6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itter signal currents (1 + δ) (−VS1 / 2R0) and (1-δ) (VS1 / 2R0) of Q3 and Q6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Ohm's law, the combined current (-δ VS1 / R0)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s required at Q3 and Q6 drops across the collector load resistor (R1) shared by Q3 and Q6 to (-δ VS1R1 / 2R0). It causes. He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1 is R1. The collector signal currents required at Q4 and Q5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itter signal currents (1-δ) (-VS1 / 2R0) and (1 + δ) (VS1 / 2R0) of Q4 and Q5. The combined current (δ VS1 / R0)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s required at Q4 and Q5 according to Ohm's law causes the voltage drop to (δ VS1R2 / R0) through the collector load resistor (R2) shared by Q4 and Q5. Becomes He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2 is R2. A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olarities of the signal voltages through the collector load resistors R1 and R2 are undesirably inverted when the direct voltage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S1 becomes an ohmic potential value. . The share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demand of Q1 supplied as the emitter current of Q3 is reduced to (1-δ) (-VS1 / 2R0), and the share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request of Q1 supplied as the emitter current of Q4 is ( 1 + δ) (−VS1 / 2R0). Also, the share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request of Q2 supplied as the emitter current of Q5 is reduced to (1-δ) (VS1 / 2R0), and the share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request of Q2 supplied as the emitter current of Q6 is ( 1 + δ) (VS1 / 2R0). The collector signal currents required at Q3 and Q6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itter signal currents (1-δ) (−VS1 / 2R0) and (1 + δ) (VS1 / 2R0) of Q3 and Q6. According to Ohm's law, the combined current (δ VS1 / R0)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s required at Q3 and Q6 drops to the voltage of (δ VS1R1 / R0) through the collector load resistance (R1) shared by Q3 and Q6. . He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1 is R1. The collector signal currents required at Q4 and Q5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itter signal currents (1 + δ) (−VS1 / 2R0) and (1-δ) (VS1 / 2R0) of Q4 and Q5. In accordance with Ohm's law, the combined current (-δ VS1 / R0) of the collector signal currents required at Q4 and Q5 is passed through the collector load resistor (R2) shared by Q4 and Q5 to the voltage of (-δ VS1R2 / R0). Descend. He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2 is R2.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NPN 트랜지스터들(Q7, Q8)은, 전원(S1)이 Q1 및 Q2의 각각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뿐만아니라 그들 각각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인가하는 입력신호 전압에 의해 결정된 비율을 가지고 콜렉터 전류들을 요구하기 위한 이미터 결합 차동증폭기 구성으로서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들(Q1, Q2)과 유사하다. Q7 및 Q8의 이미터 회로는 대체로 Q1 및 Q2의 이미터 회로와 동일하다. 즉 저항(R0)와 같이 저항(R7)은 Q7 및 Q8의 이미터 전극들이 각각 연결된 노드(N7) 및 노드(N8)에 사이에 연결되고, NPN 트랜지스터들(Q11, Q12)은 Q9 및 Q10이 노드(N5) 및 노드(N6)으로부터 요구하는 것과 같이 노드(N7) 및 노드(N8)로부터 동일한 일정 콜렉터 전류들을 요구하고, Q9 및 Q10에 대해 이미터 축퇴 저항들(R3, R4)을 가지는 것과 같이 Q11 및 Q12에 대해 이미터 축퇴 저항들(R5, R6)을 가진다. VS1이 영전위보다 다른 값을 가질 때 Q7 및 Q8은 콜렉터 전류들(-VS1/R0 및 VS1/RO)을 요구한다. 제2도에 있어서 Q7 및 Q8의 콜렉터 전극들은 각각 노드(N3) 및 노드(N4)에 연결된다. 전원(S1)에 의해 공급된 직접 전압이 양전위 값을 가질 때, 중첩의 원리에 따라, Q3 및 Q6의 결합된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들에 기인하는 콜렉터 부하저항(R1)을 통해서 신호 전압 강하(-δ VS1R1/R0)는 Q7의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에 기인하는 신호 전압 강하 -VS1R1/R0의 성분에 의해 증대된다. 따라서 R1을 통해서 VR1=(1+δ)(VS1R12/R0)의 신호 전압 강하의 결과가 된다. VR1의 극성 감도는 δ의 전체 -1에서 1 레인지 이상에서 음으로 된다. Q4 및 Q5의 결합된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들에 기인하는 콜렉터 부하저항(R2)를 통해서 신호 전압 강하(δ VS1R2/RO)의 성분은 Q8의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에 기인하는 신호 전압 강하 VS1R1/R0의 성분에 의해 증대된다. 따라서 R2를 통해서 VR2=(1+δ)(VS1R1/R0)의 신호 전압 강하의 결과가 된다. VR2의 극성 감도는 δ의 전체 -1에서 1범위 이상에서 양으로 된다.In FIGS. 2 and 3, the NPN transistors Q7 and Q8 are applied to the input signal voltage that the power supply S1 applies between their respective base electrodes as well as between their respective base electrodes of Q1 and Q2. It is similar to NPN transistors Q1 and Q2 connected as an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ation for requiring collector currents with a ratio determined by. The emitter circuits of Q7 and Q8 are largely the same as the emitter circuits of Q1 and Q2. That is, like the resistor R0, the resistor R7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N7 and the node N8 to which the emitter electrodes of Q7 and Q8 are connected, respectively, and the NPN transistors Q11 and Q12 are connected to Q9 and Q10. Requiring the same constant collector currents from node N7 and node N8 as required from node N5 and node N6, and having emitter degeneracy resistors R3 and R4 for Q9 and Q10; Likewise, it has emitter degeneration resistances R5 and R6 for Q11 and Q12. Q7 and Q8 require collector currents (-VS1 / R0 and VS1 / RO) when VS1 has a value other than zero potential. In FIG. 2, collector electrodes of Q7 and Q8 are connected to node N3 and node N4, respectively. When the direct voltage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S1 has a positive potential valu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uperposition, the signal voltage drop through the collector load resistor R1 due to the combined collector signal current demands of Q3 and Q6 ( -δ VS1R1 / R0) is increased by the component of the signal voltage drop -VS1R1 / R0 due to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demand of Q7. Therefore, R1 results in a signal voltage drop of VR1 = (1 + δ) (VS1R12 / R0). The polarity sensitivity of VR1 becomes negative at one range or more at the total -1 of δ. The component of the signal voltage drop (δ VS1R2 / RO) through the collector load resistance (R2) due to the combined collector signal current requests of Q4 and Q5 results in the signal voltage drop VS1R1 / R0 Increased by ingredients Therefore, R2 results in a signal voltage drop of VR2 = (1 + δ) (VS1R1 / R0). The polarity sensitivity of VR2 becomes positive in the range of -1 to the total -1 of δ.

제3도에 있어서 Q7 및 Q8의 콜렉터 전극들은 각각 노드(N4) 및 노드(N3)에 연결된다. 전원(S1)에 의해 공급된 직접 전압이 양전위의 값을 가질 때, 중첩의 원리에 따라, Q3 및 Q6DML 결합된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들에 기인하는 콜렉터 부하저항(R1)을 통해서 신호 전압 강하 (-δ VS1R1/R0)의 성분은 Q8의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에 기인하는 신호 전압 강하 VS1R1/R0의 성분에 의해 증대된다. 따라서 R1을 통해 VR1=(1-δ)(VS1R1/R0)의 신호 전압 강하의 결과가 된다. VR1의 극성 감도는 δ의 전체 -1에서 1범위 이상에서 양으로 된다. Q4 및 Q5의 결합된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들에 기인하는 콜렉터 부하저항(R2)을 통해서 신호 전압 강하 (δ VS1R2/R0)의 성분은 Q7의 콜렉터 신호전류 요구에 기인하는 신호 전압 강하 -VS1R1/R0의 성분에 의해 증대된다. 따라서 R2을 통해서 VR2 = (-1+δ)(VS1R2/R0)의 신호 전압의 결과가 된다. VR2의 극성 감도는 δ의 전체 -1에서 1범위 이상에서 음으로 된다.In FIG. 3, the collector electrodes of Q7 and Q8 are connected to node N4 and node N3, respectively. When the direct voltage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S1 has a positive potential valu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uperposition, the signal voltage drop through the collector load resistor R1 due to the Q3 and Q6DML coupled collector signal current demands ( The component of -δ VS1R1 / R0) is increased by the component of the signal voltage drop VS1R1 / R0 due to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demand of Q8. Therefore, R1 results in a signal voltage drop of VR1 = (1-δ) (VS1R1 / R0). The polarity sensitivity of VR1 becomes positive in the range of 1 or more in the total -1 of δ. The component of the signal voltage drop (δ VS1R2 / R0) through the collector load resistance (R2) due to the combined collector signal current requests of Q4 and Q5 causes the signal voltage drop due to the collector signal current demand of Q7 -VS1R1 / R0. It is increased by the component of. Therefore, R2 results in a signal voltage of VR2 = (-1 + δ) (VS1R2 / R0). The polarity sensitivity of VR2 becomes negative in one or more ranges from the total -1 of δ.

제어된 신호들의 극성 감도 반전에 대한 더 나아간 보증으로써 저항(R7)이 만들어질 것이며, 이에 따라 저항(R7)의 저항값(R7)은 저항(R0)의 저항값(R0)보다 다소 적은 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득제어 증폭기에 이용할 수 있는 최종적인 신호 감쇠를 다소 줄일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영향은 지연된 AGC 시스템에서 장점으로 사용되어질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이득제어 증폭기의 개별적인 변형으로서, 공통 베이스 증폭기 NPN 트랜지스터 Q13과 Q14은 이미터결합 차동증폭기 NPN 트랜지스터인 Q7 및 Q8의 각각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Q13과 Q14의 베이스 전극들은 Q3, Q4, Q5 및 Q6의 베이스 전극과 유사하게 바이어스되고, 이에 따라 Q13과 Q14의 이미터 폴로워 동작은 Q3, Q4, Q5 및 Q6의 이미터 폴로워 동작이 Q1과 Q2의 콜렉터 전위를 위치시키는 것처럼 Q7과 Q8의 콜렉터 전위를 유사하게 위치시킨다. 상기의 사실은 이미터결합 차동증폭기 쌍 Q7과 Q8의 이득과 이미터결합 차동증폭기 쌍 Q1과 Q2의 이득이 매칭된다는 것을 다소 증명한다. 제1 이미터결합 증폭기의 트랜지스터 Q1과 Q2에 독립적인 트랜지스터 Q7과 Q8을 사용하는 제2 이미터결합 증폭기를 인식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Q1과 Q7을 하나의 제1 스플리트-콜렉터 트랜지스터로 대치하고, Q2와 Q8을 하나의 제2 스플리트-콜렉터 트랜지스터로 대치해도 무방하다. 상기의 제1및 제2 스플리트-콜렉터 트랜지스터는 이미터 결합되어있고, 각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 전압의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의 등가 회로들은 1980년 8월 5일 Lefferts에 의해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4,216,436의 제목 HIGH-GAIN DIFFERENTIAL AMPLIFIER 및 1986년 7월 22일 Single에 의해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4,602,168의 제목 LOW OFFSET CMOS COMPARATOR CIRCUIT에 개시되어 있다.As a further guarantee for the polarity sensitivity inversion of the controlled signals, a resistor R7 will be made,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R7 of the resistor R7 is somewhat less than the resistance value R0 of the resistor R0. Have Therefore, the final signal attenuation available for the gain control amplifier will be somewhat reduced. This effect will be used as an advantage in delayed AGC systems. 4 and 5 are individual variations of the gain control amplifiers of FIGS. 2 and 3, in which the common base amplifiers NPN transistors Q13 and Q14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f the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s NPN transistors Q7 and Q8. . The base electrodes of Q13 and Q14 are biased similarly to the base electrodes of Q3, Q4, Q5 and Q6, so that emitter follower operation of Q13 and Q14 results in emitter follower operation of Q3, Q4, Q5 and Q6. Position the collector potentials of Q7 and Q8 similarly as the collector potentials of and Q2. This fact somewhat demonstrates that the gains of the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pairs Q7 and Q8 match the gains of the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pair Q1 and Q2. Rather than recognizing a second emitter coupled amplifier using transistors Q7 and Q8 independent of transistors Q1 and Q2 of the first emitter coupled amplifier, replace Q1 and Q7 with a single split-collector transistor, Q2 and Q8 may be replaced by one second split-collector transistor. The first and second split-collector transistors are emitter coupled and are driven by a power supply of an input signal voltage applied between the base electrodes of each transistor. Such equivalent circuits are entitled HIGH-GAIN DIFFERENTIAL AMPLIFIER, filed U.S. Patent No. 4,216,436, filed by Lefferts on August 5, 1980, and LOW OFFSET CMOS COMPARATOR CIRCUIT, filed U.S. Patent No. 4,602,168, filed July 22, 1986. Is disclosed.

노드 N3에 접속된 콜렉터 부하와 노드 N4에 접속된 콜렉터 부하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명확하게 도시된 것 뿐만 아니라 다른 것에 의해 구성되어도 무방하다는 것을 회로 설계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된 회로의 변형은 출력 신호가 평형된 형태라기보다는 싱글 앤디드(Single-Ended)로 채택됨으로써 가능하며, 콜렉터 부하중의 하나는 동작전압 전원장치에 직접 접속하거나 실질적으로 임피던스가 없는 상태로 접속함으로서 대치되어진다.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circuit design recognizes that the collector load connected to node N3 and the collector load connected to node N4 may be configured not only as clearly shown in FIGS. You can do it. Modifications of the circuit described are possible by the output signal being adopted as single-ended rather than balanced, with one of the collector loads connected directly to the operating voltage supply or substantially free of impedance. It is replaced by

본 발명은 특히 잘 적용되어지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설계에 특히 중점을 두어 기술하였지만, 등가적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회로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더 특별한 예로서, 결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집적회로 기술에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이미터결합 차동증폭기는 본 명세서에 의해 제공된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소스결합 차동증폭기에 의해 대치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design of bipolar transistors that are particularly well applied, they may also be implemented in equivalent field effect transistor (FET) circuits. As a more particular example, an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a bipolar transistor in integrated circuit technology of coupled bipolar transistors and 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s can be source coupled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provided herein. It can be replaced by a differential amplifier.

트랜지스터 설계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와 전술한 설명에 정통한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선택적인 많은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해석할 때 상기의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of transistor design and those skilled in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able to design many altern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ar in mind the above facts when interpreting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do.

Claims (5)

각각의 베이스 전극과 이미터 전극과 콜렉터 전극을 구비하는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의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입력신호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1 이미터결합 차동증폭기로서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수단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전극들 사이의 상호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상기 제어신호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1 전류 스플리터로서 상기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수단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전극들 사이의 상호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상기 제어신호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2 전류 스플리터로서 상기 제5 제6 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수단과, 상기 제3 및 제6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 사이인 제1 상호접속에 구동전위를 인가하는 수단과, 상기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 사이인 제2 상호접속에 구동전위를 인가하는 수단중의 적어도 하나가 출력 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위 임가수단을 구비하여 제어신호 전압에 대응하여 이득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부하전류를 갖는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에 있어서; 각각의 베이스 전극과 이미터 전극과 콜렉터 전극을 구비하는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 사이에 상기 입력신호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을 상기 제1 상호접속과 제2 상호접속에 분리하여 접속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2 이미터결합 차동증폭기로서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An input signal between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transistors having respective base electrodes, emitter electrodes, and collector electrodes, and base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Means for connecting said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as a first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comprising means for applying a voltage, and the emitter electrodes of said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connected to a collector electrode of said first transistor; Means for connecting said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as a first current splitter comprising an interconnection therebetween and including means for applying said control signal voltage between base electrodes of said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Interconnecting the emitter electrodes of the fifth and sixth transistors connected to the collector electrodes of the second transistor and using the base electrodes of the fifth and sixth transistors. A second current splitter comprising means for applying said control signal voltage to said first sixth transistor and means for connecting said drive potential to a first interconnect which is between collector electrodes of said third and sixth transistors. And at least one of the means for applying and the means for applying the driving potential to the second interconnect between the collector electrodes of the fourth and fifth transistors comprises an output load. A gain control transistor amplifier always having a constant load current in spite of a change in gain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voltage; And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each having a base electrode, an emitter electrode, and a collector electrode, and means for applying the input signal voltage between the base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Means for connecting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as a second emitte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comprising means for separately connecting collector electrodes of an eighth transistor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connects; Gain control transistor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을 상기 제1 상호접속과 상기 제2 상호접속에 분리하여 접속하는 수단이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을 상기 제1 상호접속과 상기 제2 상호접속에 개별적으로 접속하는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eans for separately connecting collector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to the first interconnection and the second interconnection connect the collector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to the first interconnection. Gain control transis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f a type that connects separately to said second interconne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을 상기 제1 상호접속과 상기 제2 상호접속에 분리하여 접속하는 수단이,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되는 이미터 전극과 베이스 전극과 상기 제1 상호접속에 접속된 콜렉터 전극을 구비하는 제9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8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되는 이미터 전극과 베이스 전극과 상기 제2 상호접속에 접속된 콜렉터 전극을 구비하는 제10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제3, 제4, 제5, 제6, 제9 및 제10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에 유사한 직접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means for separately connecting collector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to the first interconnection and the second interconnection comprises: an emitter electrode connected to the collector electrode of the seventh transistor; A ninth transistor having a base electrode and a collector electrode connected to said first interconnection, an emitter electrode connected to a collector electrode of said eighth transistor, a base electrode and a collector electrode connected to said second interconnection; And a means for applying a similar direct bias voltage to the base electrodes of the third, fourth, fifth, sixth, ninth, and tenth transistor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을 상기 제1 상호접속과 상기 제2 상호접속에 분리하여 접속하는 수단이,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을 상기 제2 상호접속과 상기 제1 상호접속에 개별적으로 접속하는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eans for separately connecting collector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to the first interconnection and the second interconnection comprises: collecting collector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of the second Gain control transis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connection and the first interconnection type are individually connected. 상기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및 제8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들을 상기 제1 상호접속과 상기 제2 상호접속에 분리하여 접속하는 수단이,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되는 이미터 전극과 베이스 전극과 상기 제2 상호접속에 접속되는 콜렉터 전극을 구비하는 제9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8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극에 접속되는 이미터 전극과 베이스 전극과 상기 제1 상호접속에 접속되는 콜렉터 전극을 구비하는 제10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제4, 제5, 제6, 제9 및 제10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극들에 유사한 직접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제어 트랜지스터증폭기.An emitter electrod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means for connecting the collector electrodes of the seventh and eighth transistors separately to the first interconnection and the second inter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electrode of the seventh transistor. And a ninth transistor having a base electrode and a collector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connection, an emitter electrode connected to the collector electrode of the eighth transistor, and a collector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interconnection. And a means for applying a similar direct bias voltage to the base electrodes of the third, fourth, fifth, sixth, ninth, and tenth transistors. Transistor amplifier.
KR1019930703454A 1992-06-10 1993-03-10 Controlled gain transistor amplifier without dc shift or signal phase reversal in load current KR0143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703454A KR0143200B1 (en) 1992-06-10 1993-03-10 Controlled gain transistor amplifier without dc shift or signal phase reversal in load curr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96,442 1992-06-10
US07/896,442 US5184088A (en) 1992-06-10 1992-06-10 Controlled-gain transistor amplifier without D-C shift or signal phase reversal in load current
PCT/KR1993/000017 WO1993026090A1 (en) 1992-06-10 1993-03-10 Controlled-gain transistor amplifier without dc shift or signal phase reversal in load current
KR1019930703454A KR0143200B1 (en) 1992-06-10 1993-03-10 Controlled gain transistor amplifier without dc shift or signal phase reversal in load curr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3200B1 true KR0143200B1 (en) 1998-08-17

Family

ID=2663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454A KR0143200B1 (en) 1992-06-10 1993-03-10 Controlled gain transistor amplifier without dc shift or signal phase reversal in load curr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3200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3058A (en) Operational amplifier employ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JPS60233915A (en) Differential amplifier
US5283484A (en) Voltage limiter and single-ended to differential converter using same
JP2669435B2 (en) Single-chip receiver circuit
US7239204B2 (en) Current shunt instrumentation amplifier with extended bipolar input common mode range
US4636744A (en) Front end of an operational amplifier
US3579133A (en) Signal translating stage
US4462003A (en) Variable gain amplifier
US6642790B2 (en) Differential, complementary amplifier
US4068184A (en) Current mirror amplifier
JPH0514074A (en) Balanced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KR0143200B1 (en) Controlled gain transistor amplifier without dc shift or signal phase reversal in load current
US4271394A (en) Amplifier circuit
JP2894836B2 (en) Gain-controlled transistor amplifier without DC change and signal phase inversion in load current
EP1276231A2 (en) Variable gain amplifier
JPS606576B2 (en) signal conversion circuit
US4910477A (en) Bridge-type linear amplifier with wide dynamic range and high efficiency
US5426396A (en) Differential amplifier multiplexer
US5767662A (en) Amplifier having single-ended input and differential output and method for amplifying a signal
JPS63105516A (en) Multiplexer
US6424210B1 (en) Isolator circuit
US4329713A (en) Television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US4616172A (en) Voltage generator for telecommunication amplifier
US4435684A (en) Video amplifier mute circuit
JPH0685585A (en) Gain control type amplifi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