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658B1 - 시계 - Google Patents

시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658B1
KR0142658B1 KR1019940013180A KR19940013180A KR0142658B1 KR 0142658 B1 KR0142658 B1 KR 0142658B1 KR 1019940013180 A KR1019940013180 A KR 1019940013180A KR 19940013180 A KR19940013180 A KR 19940013180A KR 0142658 B1 KR0142658 B1 KR 0142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hand
dial
display unit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931A (ko
Inventor
도종기
Original Assignee
도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종기 filed Critical 도종기
Priority to KR101994001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658B1/ko
Publication of KR96000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0Indicating by numbered bands, drums, discs, or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형의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계의 정면, 우측, 좌측, 상측, 하측 어느 방향에서도 현재 시간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시계를 제공하되, 시침과, 분침을 위한 표시 구간을 엄격히 구별하여 현재 시각을 일측 또는 그 반대측에서도 헷갈리지 않고 쉽게 인지하여 즉시 시간을 읽을 수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 중앙부분이 그 주위보다 만곡지게 돌출된 돔형의 문자판과, 중앙부분으로 돌출된 시침용 축과, 분침용 축과, 초침용 축에 축착하되, 호형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시침과, 분침과, 초침으로 이루어진 시계에 있어서, 상기한 돔형의 문자판을 시간 표시용 기호로 표시하되, 그 중앙부분에 표기한 제1 표시부와, 그 가장자리에 표기한 제3표시부와, 상기한 제1 표시부 및 제3 표시부의 사이에 표기한 제2 표시부로 구획한 후, 상기한 문자판의 제2 표시부와, 제3 표시부는 원주로 12로 나눈 후, 시간 표시 기호를 1부터 12까지의 숫자로써 차레로 배열 하되, 제3표시부의 12의 위치와 제2 표시부의 6의 위치가 동일하게 하고, 제3표시부의 12의 위치와 제2 표시부의 6의 위치가 동일하게 하고, 제3 표시부의 6의 위치와 제 2 표시부의 12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원주를 따라 차례로 배열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시계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벽시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계의 분해사시도와 시침, 분침, 초침의 축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시계에서 시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3시 정각을 나타낸 사시도,
(b)는 2시 35분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의 (a),(b)는 제3도의 (a)에 도시된 시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각각의 좌, 우측면도,
제5도의 (a),(b)는 제3도의 (b)에 도시된 시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각각의 좌, 우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사시도,
제7도의 (a),(b)는 9시 26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30:문자판 32, 132:제1표시부
34,134:제2표시부 36,136:제3표시부
42,142:시침 44,144:분침
46,146:초침
본 발명은 시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계의 문자판을 전방, 우측, 좌측, 상측 및 하측에서도 식별 가능하게 하여 현재의 시각이 몇시몇분인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입체형의 시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시계는 손목시계, 탁상시계 및 벽시계등으로 대분 되는바, 시계는 시침, 분침 및 초침등을 구비하여 대체로 그의 정면에서 현재시각을 사람이 감득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제1도에 도시한 벽시계(10)는 각종부품이 내장되는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며 시각을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 또는 로마자가 새겨진 시계판(14)과, 시침(15), 분침(16), 초침(17) 및 투명의 유리(18)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계(10)가 벽에 걸려 있을 경우, 시계의 정면 또는 정면으로 부터 약간의 좌,우측 방향에서만 시계의 분침(16)과, 시침(15)의 위치를 감독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시계(10)의 정우측 또는 정좌측위치에서는 시계의 시계판(14)에 표시된 숫자가 전혀 보이지 않을 뿐만아니라, 분침(16)과 시침(15)이 어느곳에 위치 되어 있는지를 알 수가 없으므로, 사람은 자신의 위치를 움직여야만 현재 시각을 식별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시계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했을 때, 장식용 또는 시각표시용으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구비하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구형, 또는 원통형등의 모양으로 제작한 시계가 있었다.
즉,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소 59-183681호(이하 선출원고안이라함)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판상에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문자판을 형성하고, 여기에 시침과, 분침과, 초침을 설치하여 어느 방향에서나 시간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출원 고안은 시침과 분침을 보고 시간을 식별하는데 있어서, 그 바늘의 길고 짧음이 없기 때문에 일측 방향에서는 올바른 시간을 볼 수 있다 하더라도 그 반대쪽에서는 올바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제작한 문자판을 이용하여 시계를 구성하되, 시계의 바늘이 가르키는 숫자의 위치를 엄격히 구별하여 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는 혼동이며, 입체적인 시계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단점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계의 정면, 우측, 좌측, 상측, 하측 어느 방향에서도 현재 시각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시계를 제공하되, 시침과, 분침을 위한 표시 구간을 엄격히 구별하여 현재 시간을 일측 또는 그 반대측에서도 헷갈리지 않고 쉽게 인지하여 즉시 시간을 읽을 수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 중앙부분이 그 주위보다 만곡지게 돌출된 돔형의 문자판과, 중앙부분으로 돌출된 시침용 축과, 분침용 축과, 초침용 축에 축착하되, 호형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시침과, 분침과, 초침으로 이루어진 시계에 있어서, 상기한 돔형의 문자판을 시간 표시용 기호로 표기하되, 그 중앙부분에 표기한 제1표시부와, 그 가장자리에 표기한 제3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3 표시부의 사이에 표기한 제2표시부로 구획한 후, 상기한 문자판의 제2표시부와, 제3표시부는 원주를 12로 나눈 후, 시간 표시 기호를 1부터 12까지의 숫자로써 차례로 배열 하되, 제3표시부의 12의 위치와 제2표시부의 6의 위치가 동일하게 하고, 제3표시부의 6의 위치와 제2표시부의 12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원주를 따로 차례로 배열 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시계의 분해 사시도인 바, 시계(20)는 내부에 각종부품이 내장되는 문자판(30)을 포함한다.
이 문자판(30)은 제2도 및 제3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융기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지므로서 반구형 또는 돔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이는 종래의 원통형, 또는 구형의 문자판과 대동소이하다.
예컨데 이러한 곡률은 어느 특정 수치로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돔형, 또는 반구형, 또는 원통형 등으로 하여 사방에서 현재시각을 알 수 있을 정도의 곡률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또, 이 문자판(30)은 볼록한 부분의 중앙에 표시되어 정면에서 현재 시각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한 제1표시부(32)와, 좌, 우측 또는 상측, 하측에서도 시각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외주연의 제3 표시부(36)와, 제1표시부 및 제3표시부의 사이에 마련한 제2표시부(34)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제1 표시부(32)는 통상적인 시간 표시 눈금 즉, 원주방향을 12방향으로 나누어 눈금을 표시한 것이고, 제2 표시부(34) 및 제3 표시부(36)는 상호 연관을 가진다.
예를 들어서 제2 표시부와, 제3표시부는 원주를 12로 나눈 후, 시간 표시 기호를 1부터 12까지의 숫자로써 차례로 배열 하되, 제3표시부의 12의 위치와 제2표시부의 6의 위치가 동일하게 하고, 제3표시부의 6의 위치와 제2 표시부의 12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원주를 따라 차례로 배열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침(42)과, 분침(44)과, 시침(42)은 내부의 기기부(도시하지 않았음)로 부터 연장되어 상기한 문자판(30)의 정 중앙으로 돌출된 각각의 시침용 축(42a)과, 분침용 축(44a)과, 초침용 축(46a)에 축착되어 최종적으로 와셔(48)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되는 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싱기한 시침(42)은 시침용 축(42a)에 축착하되, 그 중단을 축착하여 일측 끝단부는 상기한 문자판(30)의 제2표시부(34)에 위치하고, 타측 끝단부는 제3표시부(36)에 위치하도록 호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분침(44)은 역시 분침용 축(44a)에 축착하되, 그 중단을 축착하여 일측 끝단부는 상기한 문자판(30)의 제3표시부(36)에 위치하고, 타측 끝단부는 제2표시부(34)에 위치하도록 호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초침(46)은 초침용 축(46a)에 축착하되, 그 중단을 축착하여 적어도 한똑 끝단부가 제1 표시부(32)의 외주연까지 연장되도록 역시 호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시침과 분침과 초침은 그 색상을 달리하여 색상별로 시침, 분침, 초침을 구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문자판(30)의 시간 표시 기호는 가능한 아라비아 숫자 1부터 12까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투명한 프론트 커버(50) 역시 문자판(30)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이 당연한 것이고, 문자판(30) 뒤에는 시계의 구조상 필요한 백커버(60)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계에 있어서 현재 시간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의 (a)는 현재의 시각이 3시 정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것은 시계(20)를 좌측에서 바라본것으로서, 시침(42)의 일측 끝단부가 제3 표시부(36)의 3에 위치되고, 분침(44)의 일측 끝단부가 제2 표시부(34)의 12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은 현재시각이 3시 정각임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4도의 (a)에서와 같이 시침(42)의 일측 끝단부가 제3 표시부(36)에 정확히 위치되고, 분침(44)은 상측(수직)으로 위치됨으로써, 시계의 좌측에서도 현재 시각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우측에서 볼 경우에는 제4도의 (b)에서와 같이, 시침(42)의 타측 끝단부가 제2 표시부(34)의 3에 위치 되므로 사용자는 현재의 시각이 3시 정각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다시 제3도의 (b)를 참조하면, 이것은 2시 35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시침(42)은 2와 3사이에 위치되고, 분침(44)은 7에 위치되므로 현재의 시각은 2시 35분을 가리키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5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계(20)의 좌, 우측에서 볼때 시침(42)은 2와 3 사이에 있고, 분침(440은 7위치에 있음으로써 현재 시각이 2시 35분 임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 제5도의 (b)를 참조하면, 시침(42)은 제2 표시부(34)의 2와 3사이에 위치되고, 분침(44)은 제3표시부(36)의 7을 가리키게 되므로 현재의 시각은 2시 35분임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반구형 시계에 의하면 시계의 문자판(30)을 소정의 곡률을 갖는 반구형으로 형성시키고, 이의 외주변에는 제2표시부(34), 제 3 표시부(36)를 형성시킴으로써, 시계의 좌,우측 또는 상, 하측에서도 현재의 시각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사시도 인바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다른점은 문자판의 모양을 반구형이 아닌 원통형으로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6도에 있어서, 제2도와 다른점은 제2도의 참조번호앞에 1을 덧붙였다는 것이다.
이 경우 문자판(130)의 제2 표시부(134)와 제3 표시부(136)는 그 외주면의 상단과 하단에 나누어 표시한 것이고, 또 시침(142)과, 부침(144)과, 초침(146)은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문자판(130)의 정 중앙으로 돌출된 각각의 시침용 축(42a)과, 분침용 축(44a)과, 초침용 축(46a)에 축착하되, 호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원통형 문자판의 모서리에 맞추어 ㄷ자 모양이 되도록 꺾어서 형성한 것이다.
이때도, 상기한 시침(142)은 그 중단을 축착하여 일측 끝단부는 상기한 문자판(130)의 제2 표시부(134)에 위치하고, 타측 끝단부는 제3 표시부(136)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며, 분침(144)도 역시 일측 끝단부는 상기한 문자판(130)의 제 3 표시부(136)에 위치하고, 타측 끝단부는 제2 표시부(134)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제7도의 (a)는 9시 26분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시침(142)의 일측 끝단부는 제2표시부(34)의 9와 10사이에 위치되고, 분침(144)의 일측 끝단부는 제3 표시부(136)의 5자 위에 있음으로써, 기계를 보는 사람은 현재 시간이 9시 26분 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또, 제7도의 (b)와 같이 반대쪽에서 볼때도 같은 색상의 시침(142)의 타측 끝단부가 제3표시부(136)의 9와 10사이에 위치되고, 분침(144)의 타측 끝단부가 제2 표시부(134)의 5자 위에 있음으로써, 시계를 보는 사람은 현재 시간이 9시 26분 임을 즉시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각각의 시침, 분침, 초침은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색상을 달리하므로서 그 색상을 기준으로 시간을 보는 것이 편리하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원통형, 구형, 또는 반구형의 시계를 형성하되, 시계의 문자판을 제1 표시부, 제2 표시부, 제3 표시부로 나누고, 시침 및 분침의 끝단이 이들 각각의 표시부에서 시간을 가르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선출원 고안과 달리 좌, 우 측면, 상,하 측면 어디에서도 현재 시각을 용이하게 식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6)

  1. 중앙부분이 그 주위보다 만곡지게 돌출된 돔형의 문자판과, 상기 문자판의 중앙부분으로 돌출된 시침용 축과, 분침용 축과, 초침용 축에 축착하되, 호형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시침과, 분침과, 초침을 축착하여 이루어진 시계에 있어서, 상기한 돔형의 문자판을 시간 표시용 기호로 표기하되, 그 중앙부분에 표기한 제1표시부와, 그 가장자리에 표기한 제3표시부와, 상기한 제1 표시부 및 제3 표시부의 사이에 표기한 제2 표시부로 구획한 후, 상기한 문자판의 제2 표시부와, 제3 표시부는 원주를 12로 나눈 후, 시간 표시 기호를 1부터 12까지의 숫자로써 차례로 배열 하되, 제3 표시부의 12의 위치와 제2 표시부의 6의 위치가 동일하게 하고, 제3 표시부의 6의 위치가 제 2표시부의 12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원주를 따라 차례로 배열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침과, 분침과, 초침은 그 각각의 색상을 서로 달리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침과 분침은 그 각각의 중심으로 부터 일측 끝단부쪽을 향하는 임의의 표시를 하여 제1 표시부의 구간에서 적용되는 시간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4. 상기한 시침은 시침용 축에 축착하여 회전하도록 하되, 그 중단을 축착하여 일측 끝단부는 상기한 문자판의 제2표시부에 위치하고, 타측 끝단부는 제3표시부에 위치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침은 분침용 축에 축착하여 회전하도록 하되, 그 중단을 축착하여 일측 끝단부는 상기한 문자판의 제3 표시부에 위치하고, 타측 끝단부는 제2표시부에 위치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6. 상기한 초침은 초침용 축에 축착하여 회전하도록 하되, 그 중단을 축착하여 적어도 한쪽 끝단부가 적어도 제1 표시부의 외주연까지 연장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1019940013180A 1994-06-09 1994-06-09 시계 KR0142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180A KR0142658B1 (ko) 1994-06-09 1994-06-09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180A KR0142658B1 (ko) 1994-06-09 1994-06-09 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31A KR960001931A (ko) 1996-01-26
KR0142658B1 true KR0142658B1 (ko) 1998-07-15

Family

ID=1938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180A KR0142658B1 (ko) 1994-06-09 1994-06-09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6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31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5731A (en) Child's easy-to-read timepiece
US7079454B2 (en) Tactile timepiece
US5030104A (en) Time telling learning device
JP4286031B2 (ja) 不思議な回転ベゼル
JP6074313B2 (ja) 時計
KR0142658B1 (ko) 시계
JP4459606B2 (ja) 文字盤上の任意の位置を表示するアナログ表示デバイスを含む電子装置
US4899451A (en) Solar compass and time indicator device
US4119809A (en) Braille lens for telephone dials
JPS6190078A (ja) 段階式切換モ−タを備えた電子時計
KR200364272Y1 (ko) 원다이그램식 시분침판구조
JP6307577B2 (ja) 時計
KR200338270Y1 (ko) 만국시계
KR100332195B1 (ko) 시계
JPS646498Y2 (ko)
KR970003670B1 (ko) 시차 지역시간이 동시에 파악되는 시계
JP3063016U (ja) 掛け時計の時間表示装置
KR200363778Y1 (ko) 패션시계
KR200218867Y1 (ko) 판이 회전하는 시계
KR0128182Y1 (ko) 손목시계
KR100391146B1 (ko) 두 개 이상의 분침을 장착할 수 있는 세계시계
CN216351798U (zh) 一种高辨识性表盘指示装置
KR910007035Y1 (ko) 시각 판독공을 시판, 분판에 천설한 시계
KR200212680Y1 (ko) 판촉용 시계
JP3108071U (ja) 学習用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