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158B1 -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1158B1 KR0141158B1 KR1019950009128A KR19950009128A KR0141158B1 KR 0141158 B1 KR0141158 B1 KR 0141158B1 KR 1019950009128 A KR1019950009128 A KR 1019950009128A KR 19950009128 A KR19950009128 A KR 19950009128A KR 0141158 B1 KR0141158 B1 KR 01411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tch
- closed loop
- candidate
- frame
- satisfi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08—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 G10L19/12—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the excitation function being a code excitation, e.g. in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CELP] vocoders
- G10L19/125—Pitch excitation, e.g. pitch synchronous innovation CELP [PSI-CELP]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90—Pitch determination of speech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
- 음성부호화함에 있어서, 음성 프레임을 분석하여 각 부프레임별로 구해진 N개의 폐쇠 루프피치들로부터 선형회귀법에 의해 상기 음성 프레임의 후보피치를 구하는 후보피치단계; 곱셈인자(M[x])의 변수 (x)를 초기화하고, 상기 곱셈인자의 승산순서를 정하는 곱셈인자단계; 상기 곱셈인자를 상기 후보피치에 곱사여 새로운 후보피치(P')를 구한는 피치곱셈단계;상기 N개의 폐쇠 루프 피치들 중 하나의 폐쇠 루프 피치가 상기 후보피치(P')의 제1소정수배보다 크거나 같고, 제2소수정수배보다 적거나 같은가를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 상기 제1판단단계를 만족하면 상기 변수(x)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폐쇠 루프 피치를 상기 프레임의 피치로 추정하는 피치추정단계; 상기 제1판단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폐쇠 루프 피치들이 모두 판단되었는가를 한탄하는 제2판단단계; 상기 제2판단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게 판단할 폐쇠루프 피치를 지정하여 상기 제1판단단계로 진행하는 인자 지정단계 : 상기 제2판단단계를 만족하면 상기 변수(x)를 1만큼증가시켜 상기 피치곱셈단계로 진행하는 변수증가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버.
- 제1항에 있어서, 후보피치단계는 상기 피치를 추적할 상기 음성프레임을 구하는 프레임단계;상기 프레임별로 상기 폐쇠 루프 피치를 계산하는 피치계산단계; 계산된 상기 폐쇠 루프 피치들을 분류하는 피치분류단계;상기 선형회귀법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별로 상기 후보피치를 구하는 후보피치계산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은 상기 피치 곱셈단계후에 상기 페쇠 루프 피치들 중 제1폐쇠 루프 피치가 상기 후보피치보다 제1소정수배 크거나 같고, 제2소정수배보다 적거나 같은가를 판단하는 제3판단단계; 상기 제3판단단계를 만족하면 상기 변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1폐쇠 루프 피치를 상기 프레임을 피치로 추정하는 제1피치 추정단계; 상기 제3판단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폐쇠루프 피치들 중 제2폐쇠 루프 피치가 상기 후보피치보다 제1소정수배보다 크거나 같고, 제2소정수배보다 적거나 같은가를 판단하는 제4판단단계; 상기 제4판단단계를 만족하면 상기 변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2페루프 피치를 상기 프레임의 피치로 추정하는 제2피치 추정단계; 상기 제4판단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폐쇠 루프 피치들 중 제3폐쇠 루프 피치가 상기 후보피치보다 제1소정수배보다 크거나 같고, 제2소정수배보다 적거나 같은가를 판단하는 제5판단단계; 상기 제5판단단계를 만족하면 상기 변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3폐쇠 루프 피치를 상기 프레임의 피치로 추정하는 제3피치 추정단계; 상기 제5판단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폐쇠 루프 피치들 중 제4폐쇠 루프 피치가 상기 후보피치보다 제1소정수배보다 크거나 같고, 제2소정수배보다 적거나 같은가를 판단하여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변수증가단계로 진행하는 제6판단단계; 상기 제6판단단계를 만족하면 상기 변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4폐쇠 루프 피치를 상기 프레임의 피치로 추정하는 제4피치 추정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회귀법은 과거 두개의 프레임들의 선형성을 이용하여 상기 후보피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수는 0.8이고, 상기 제2소정수는 1.2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9128A KR0141158B1 (ko) | 1995-04-18 | 1995-04-18 |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9128A KR0141158B1 (ko) | 1995-04-18 | 1995-04-18 |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9666A KR960039666A (ko) | 1996-11-25 |
KR0141158B1 true KR0141158B1 (ko) | 1998-07-15 |
Family
ID=1941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9128A Expired - Fee Related KR0141158B1 (ko) | 1995-04-18 | 1995-04-18 |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115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3000B1 (ko) * | 2003-03-31 | 2007-11-05 |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 음성 신호에 대한 주파수 영역 피치 추출법과 시간 영역피치 추출법을 결합한 시스템 및 방법 |
-
1995
- 1995-04-18 KR KR1019950009128A patent/KR014115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3000B1 (ko) * | 2003-03-31 | 2007-11-05 |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 음성 신호에 대한 주파수 영역 피치 추출법과 시간 영역피치 추출법을 결합한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9666A (ko) | 1996-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91120B2 (en) | Speech encoding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 |
US7155386B2 (en) | Adaptive correlation window for open-loop pitch | |
JP3197155B2 (ja) | ディジタル音声コーダにおける音声信号ピッチ周期の推定および分類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US5819213A (en) | Speech encoding and decoding with pitch filter range unrestricted by codebook range and preselecting, then increasing, search candidates from linear overlap codebooks | |
US2004025815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ulti-stage predictive motion estimation | |
EP1581928B1 (en) | Reducing scale factor transmission cost for mpeg-2 aac using a lattice | |
JP3565869B2 (ja) | 伝送エラーの修正を伴う音声信号の復号方法 | |
US20070064804A1 (en) | Adaptive motion estimation for temporal prediction filter over irregular motion vector samples | |
US7957466B2 (en) | Adaptive area of influence filter for moving object boundaries | |
JPH08263099A (ja) | 符号化装置 | |
US5313553A (en) | Method to evaluate the pitch and voicing of the speech signal in vocoders with very slow bit rates | |
KR20040042903A (ko) | 일반화된 분석에 의한 합성 스피치 코딩 방법 및 그방법을 구현하는 코더 | |
WO1997035301A1 (en) | Vocoder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itch estimation using an adaptive correlation sample window | |
EP1932247A2 (en) | Adaptive area of influence filter | |
JPH1097294A (ja) | 音声符号化装置 | |
KR0141158B1 (ko) | 음성 부호화의 피치 추정방법 | |
US5671327A (en) | Speech encoding apparatus utilizing stored code data | |
FR2716556A1 (fr) | Procédé de codage source, pour subdiviser une image en des plages d'image de taille fixée. | |
CN114757350B (zh) | 一种基于强化学习的卷积网络通道裁剪方法及系统 | |
WO2002056298A1 (en) | Linking of signal components in parametric encoding | |
JP2004532558A (ja) | 高速ロバストデータ圧縮方法及びシステム | |
JP2002368625A (ja) | 符号量予測装置、符号化選択装置および符号化装置ならびにその方法 | |
JP3435310B2 (ja) | 音声符号化方法および装置 | |
EP1997104A2 (en) | Open-loop pitch track smoothing | |
JP3471889B2 (ja) | 音声符号化方法及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10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