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960B1 -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960B1
KR0139960B1 KR1019940037692A KR19940037692A KR0139960B1 KR 0139960 B1 KR0139960 B1 KR 0139960B1 KR 1019940037692 A KR1019940037692 A KR 1019940037692A KR 19940037692 A KR19940037692 A KR 19940037692A KR 0139960 B1 KR0139960 B1 KR 013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storage
scsi
dual port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062A (ko
Inventor
김천수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40037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960B1/ko
Publication of KR96002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960B1/ko

Links

Landscapes

  • Bu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SCSI 콘트롤러(46, 47)가 데이터를 롱워드로 입출력하고 내부에 DMAC 기능과 FIFO를 내장하고 있어 SCSI 버스정합을 위한 별도의 DMAC와 FIFO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SCSI 콘트롤러(46, 47)가 SCSI-2 접속방식으로 운용되어 정보전송 속도가 빠르고 외부 DMAC에 의해 VME 버스점유권을 할당받지 않고 직접 듀얼포트 메모리(42)를 통해 주제어부(10)와 통신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VME 버스점유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VME 버스 정합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회로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VME 버스점유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VME 버스 정합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버스점유 중재절차에 의한 오류발생 가능성이 배제되며, DMAC의 버스점유시 주제어부(10)의 내부버스 점유에 기인하여 주제어부(10) 내부 프로세서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주제어부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SCSI 콘트롤러(46, 47)가 업그레이드 된 SCSI-2 접속방식으로 운용되어 정보 입출력 속도가 빠르므로, 주제어부(10)와 대용량 저장매체간의 정보를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SCSI 콘트롤러(46, 47)는 SCSI-2 방식의 빠른 구동속도와 기존 콘트롤러와의 호환성을 가져 현재 및 향후의 대용량 저장매체에 그 기종에 관계없이 정합이 가능하고 기존에 사용된 대용량 저장매체도 호환성 있게 접속이 가능하므로 시스템 유지 보수에 안정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제 1 도는 종래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듀얼포트 중재부42 : 듀얼포트 메모리
43 : 로칼메모리44 : 로칼중재부
45 : CPU46, 47 : SCSI콘트롤러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종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SCSI(Synchronous Circuit Switched Interface)버스에 접속된 대용량 저장매체를 전전자 교환기에 정합하는 경우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하여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20)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ME버스 정합부(21), FIFO부(22;First-In First-Out), DMAC(23;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데이터 다중화부(24), 로칼중재부(25), SCSI 콘트롤러(26, 27), 듀얼포트 중재부(28), 듀얼포트 메모리(29), 16비트 CPU(30) 및 로칼메모리(3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20)는 전전자 교환기의 주제어부(10)와 대용량 저장매체 사이에 입출력 되는 정보를 전달한다.
주제어부(10)가 자신의 메모리부에 존재하는 응용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대용량 저장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주제어부(10)의 프로세서는 해당 명령을 듀얼포트 중재부(28)를 경유하여 듀얼포트 메모리(29)에 기록하며, 16비트 CPU(30)는 그 명령을 듀얼포트 메모리(29)로부터 읽어들여 해당 명령에 따라 처리한다. 16비트 CPU(30)는 대용량 저장매체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때 먼저 SCSI 콘트롤러(26, 27)를 동작가능한 초기화 상태로 만들고, DMAC(23)에게 직접 주제어부(10)를 억세스하여 데이터 전송할 것을 명령한다. 이에 따라, DMAC(23)는 로컬중재부(25)에 의해 로컬버스 점유권을 갖게 되고 VME버스 정합부(21)를 통해 주제어부(10)에게 VME버스 점유권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주제어부(10)는 VME버스 점유권을 잡고 있지 않을 때 DMAC(23)에게 버스 점유권을 넘기게 되며, 이에 버스 점유권을 잡은 DMAC(23)는 주제어부(10)의 주메모리를 억세스하여 대용량 저장매체에게 전송할 정보 데이터를 롱워드로 FIFO부(22)에 전송하게 되고, FIFO부(22)에 쌓인 데이터는 제 1 도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로칼 카운트에 의해 데이터 다중화부(24)를 통해 바이트 단위로 SCSI 콘트롤러 A, B(26, 27) 양쪽에 차례로 전송된다. 각 SCSI 콘트롤러(26, 27)는 자기의 SCSI버스를 통해 대용량 저장매체에 이들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전송 완료를 16비트 CPU(30)에 보고함으로써 주제어부(10)로부터 대용량 저장매체측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끝나게 된다.
역으로, 주제어부(10)가 대용량 저장매체의 정보를 읽어 오기를 원할 때는 마찬가지로 해당 명령을 듀얼포트 메모리(29)에 기록하고, 16비트 CPU(30)는 그 명령을 듀얼포트 메모리(29)에서 읽어 처리하게 된다. 이때, 16비트 CPU(30)는 SCSI 콘트롤러(26, 27)를 구동시켜 대용량 저장매체의 정보를 해당 SCSI 버스를 통해 읽도록 한 후 DMAC(23)에게 로칼 버스점유권을 넘긴다. 이와 같이 하면, DMAC(23)는 SCSI 콘트롤러(26, 27)가 읽어온 정보데이타를 로칼 카운트에 의해 FIFO부(22)로 옮겨 놓고, 이어 FIFO부(22)의 데이터가 주제어부(10)의 주메모리에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VME버스 정합부(21)를 통해 주제어부(10)에게 VME 버스점유권을 요청하게 되는데, 이에 DMAC(23)가 버스점유권을 갖게 되면 FIFO부(22)의 데이터가 주제어부(10)의 주메모리로 직접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로칼메모리(31)는 16비트 CPU(30)의 프로그램 구동영역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20)는, SCSI 콘트롤러(26, 27)의 데이터 포트가 바이트로 되어 있는데다가 SCSI 콘트롤러(26, 27) 내부에 DMAC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아 외부 DMAC를 이용한 VME 버스 이중 구조로 구현하다 보니 SCSI 콘트롤러(26, 27)와 VME 버스 사이의 전송속도가 일치하지 않아 FIFO부(22)와 데이터 다중화부(24)가 필요하게 되고, DMAC(23)에게 VME 버스점유권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VME버스 정합부(21)가 필요하게 됨으로써 주변 로직이 하드웨어에 종속되어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DMAC(23)가 주제어부(10)에게 버스점유권을 할당하는 경우 중재 절차에 의한 오류발생 가능성 및 DMAC(23)의 버스점유권 행사시 주제어부(10)의 내부 버스점유로 인하여 주제어부(10)의 프로세서 동작이 일시 중단되어 해당 프로세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SCSI 콘트롤러(26, 27)가 SCSI-1 방식의 구형이므로 구동속도가 느려 현재 및 향후의 대용량 저장매체에서 요구되는 SCSI-2 방식의 접속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저장매체에 따른 호환성이 결여되어 시스템 유지보수에 커다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도 정보를 효율적으로 입출력 하도록 한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제어부와 대용량 저장매체간에 정보를 입출력하는 경우 주제어부의 프로세서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써 주제어부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제어부와 대용량 저장매체간의 정보전달을 고속으로 행하게 함으로써 SCSI-2 방식으로도 접속가능하도록 한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매체를 호환성 있게 정합하도록 하는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제어부에 접속된 VME 버스에 대한 정보 입출력과 로칼버스에 대한 정보 입출력을 중재하는 듀얼포트 중재부, 상기 듀얼포트 중재부측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듀얼포트 메모리, 32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에 기록된 명령에 따라 로칼버스를 통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CPU,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대용량 저장매체의 정보를 읽어내어 로칼 버스와 상기 듀얼포트 중재부를 통해 듀얼포트 메모리측에 출력하고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로부터 듀얼포트 중재부와 로칼 버스를 통해 읽어들인 정보를 상기 대용량 저장매체측에 출력하는 다수의 SCSI 콘트롤러, 상기 CPU와 SCSI 콘트롤러간의 로칼버스 점유를 중재하는 로칼중재부,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SCSI 관련 파일 시스템에 보내질 데이터를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SCSI 콘트롤러에 의해 억세스되는 로칼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40)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포트 중재부(41), 듀얼포트 메모리(42), 로칼메모리(43), 로칼중재부(44), CPU(45) 및 SCSI 콘트롤러(46, 4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듀얼포트 중재부(41)는 전전자 교환기의 주제어부(10)로부터 VME 버스를 통해 인가되는 정보를 듀얼포트 메모리(42)에 전달하고, 듀얼포트 메모리(42)의 정보를 로칼버스를 통해 CPU(45)와 SCSI 콘트롤러(46, 47)측에 전달하고, SCSI 콘트롤러(46, 47)로부터 로칼버스를 통해 인가되는 정보를 듀얼포트 메모리(42)측에 전달하며, 듀얼포트 메모리(42)에 저장된 정보를 VME 버스를 통해 주제어부(10)측에 출력한다. CPU(45)는 정보를 32비트 단위로 처리하고, SCSI 콘트롤러(46, 47)의 정보송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SCSI 콘트롤러(46, 47)는 SCSI-2 접속방식으로 동작하고 내부에 FIFO와 DMAC를 구비하며, CPU(45)의 제어에 따라 대용량 저장매체의 정보를 듀얼포트 메모리(42)측으로 전송하거나 듀얼포트 메모리(42)의 정보를 읽어들여 대용량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로칼중재부(44)는 CPU(45)와 SCSI 콘트롤러(46, 47)간의 로칼 버스점유를 중재하며, 로칼메모리(43)는 CPU(45)의 제어에 따라 SCSI 관련 시스템에 보내질 데이터를 듀얼포트 메모리(42)로부터 읽어들여 저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주제어부(10)가 자신의 주메모리부에 존재하는 응용프로그램이나 SCSI 관련파일 시스템, 기타의 대용량 저장매체에 저장해야할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명령과 함께 VME 버스를 통해 듀얼포트 메모리(42)에 롱워드 포트로 쓰면 인터럽트에 의해 CPU(45)는 듀얼포트 메모리(42)를 읽어 해당 명령에 따라 처리하게 되는데, 만약 대용량 저장매체로 바로 저장될 데이터이면 CPU(45)는 SCSI 콘트롤러(46, 47)에게 직접 듀얼포트 메모리(42)의 데이터를 읽어 SCSI 버스를 통해 대용량 저장매체에 저장하게끔 명령을 내리게 된다. 이때부터 두 개의 SCSI 콘트롤러(46, 47)는 차례로 로칼중재부(44)의 중재에 의해 로칼 버스를 점유하여 듀얼포트 메모리(42)의 데이터를 읽어 내부의 FIFO를 통해 해당 SCSI 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대용량 저장매체에 전송하게 된다. 만약 SCSI 관련 파일 시스템에 보내질 데이터이면 CPU(45)는 먼저 듀얼포트 메모리(42)의 데이터를 로칼메모리(43)의 파일 시스템 구조에 보낸 후, SCSI 콘트롤러(46, 47)에게 로칼메모리(43)의 파일 시스템을 억세스하도록 하여 SCSI 콘트롤러(46, 47)가 CPU(45)의 개입없이도 대용량 저장매체와 쉽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역으로, 주제어부(10)가 대용량 저장매체의 정보를 읽어 오기를 원할때는 마찬가지로 듀얼포트 메모리(42)에 데이터 전송 명령을 내리면 CPU(45)는 그 명령을 받아 SCSI 콘트롤러(46, 47)에게 해당 SCSI 버스의 대용량 저장매체를 읽도록 하고, 이에 SCSI 콘트롤러(46, 47)는 대용량 저장매체로부터 읽어들여 자신의 내부 FIFO에 로딩시킨 데이터를 듀얼포트 메모리(42)에 보내면 주제어부(10)가 VME 버스를 통해 롱워드 크기로 듀얼포트 메모리(42)의 데이터를 읽어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CSI 콘트롤러(46, 47)가 데이터를 롱워드로 입출력하고 내부에 DMAC 기능과 FIFO를 내장하고 있어 SCSI 버스정합을 위한 별도의 DMAC와 FIFO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SCSI 콘트롤러(46, 47)가 SCSI-2 접속방식으로 운용되어 정보전송 속도가 빠르고 외부 DMAC에 의해 VME 버스점유권을 할당받지 않고 직접 듀얼포트 메모리(42)를 통해 주제어부(10)와 통신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VME 버스점유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VME 버스 정합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회로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VME 버스점유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VME 버스 정합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버스점유 중재절차에 의한 오류발생 가능성이 배제되며, DMAC의 버스점유시 주제어부(10)의 내부버스 점유에 기인하여 주제어부(10) 내부 프로세서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주제어부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SCSI 콘트롤러(46, 47)가 업그레이드 된 SCSI-2 접속방식으로 운용되어 정보 입출력 속도가 빠르므로, 주제어부(10)와 대용량 저장매체간의 정보를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SCSI 콘트롤러(46, 47)는 SCSI-2 방식의 빠른 구동속도와 기존 콘트롤러와의 호환성을 가져 현재 및 향후의 대용량 저장매체에 그 기종에 관계없이 정합이 가능하고 기존에 사용된 대용량 저장매체도 호환성 있게 접속이 가능하므로 시스템 유지보수에 안정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에 있어서, 주제어부(10)에 접속된 VME 버스에 대한 정보 입출력과 로칼버스에 대한 정보 입출력을 중재하는 듀얼포트 중재부(41), 상기 듀얼포트 중재부(41)측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듀얼포트 메모리(42), 32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42)에 기록된 명령에 따라 로칼버스를 통한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CPU(45), 상기 CPU(45)의 제어에 따라 대용량 저장매체의 정보를 읽어내어 로칼 버스와 상기 듀얼포트 중재부(41)를 통해 듀얼포트 메모리(42) 측에 출력하고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42)로부터 듀얼포트 중재부(41)와 로칼 버스를 통해 읽어들인 정보를 상기 대용량 저장매체측에 출력하는 다수의 SCSI 콘트롤러(46, 47), 상기 CPU(45)와 SCSI 콘트롤러(46, 47)간의 로칼버스 점유를 중재하는 로칼중재부(44), 상기 CPU(45)의 제어에 따라 SCSI 관련 파일 시스템에 보내질 데이터를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42)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SCSI 콘트롤러(46, 47)에 의해 억세스되는 로칼메모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PU(45)는 듀얼포트 메모리(42)에 상기 주제어부(10)가 전송한 데이터 수신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듀얼포트 메모리(42)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대용량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상기 SCSI 콘트롤러(46, 47)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PU(45)는 듀얼포트 메모리(42)에 상기 주제어부(10)가 전송한 데이터 전송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대용량 저장매체의 정보를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42)측에 출력하도록 상기 SCSI 콘트롤러(46, 47)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KR1019940037692A 1994-12-28 1994-12-28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KR013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692A KR0139960B1 (ko) 1994-12-28 1994-12-28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692A KR0139960B1 (ko) 1994-12-28 1994-12-28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62A KR960025062A (ko) 1996-07-20
KR0139960B1 true KR0139960B1 (ko) 1998-07-01

Family

ID=6676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692A KR0139960B1 (ko) 1994-12-28 1994-12-28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9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62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1279A (en) Apparatus for conditioning priority arbitration
US5655151A (en) DMA controller having a plurality of DMA channels each having multiple register sets storing different information controlling respective data transfer
US5828856A (en) Dual bus concurrent multi-channel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and method
US5805927A (en) Direct memory access channel architecture and method for reception of network information
US4860244A (en) Buffer system for input/output portion of digital data processing system
US5978866A (en) Distributed pre-fetch buffer for multiple DMA channel device
US4481572A (en) Multiconfigural computers utilizing a time-shared bus
US6151651A (en) Communication link with isochronous and asynchronous priority modes coupling bridge circuits in a computer system
US47559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bandwidth shared memory
US5765036A (en) Shared memory device with arbitration to allow uninterrupted access to memory
US6148357A (en) Integrated CPU and memory controller utilizing a communication link having isochronous and asynchronous priority modes
EP0485507B1 (en) Modular input/output system for supercomputers
US200300560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i/o blocks between a host system and a host adapter
US6850998B2 (en) Disk array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k array system
WO2005089418A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data transfers with memory hub memory modules
US5471639A (en) Apparatus for arbitrating for a high speed direct memory access bus
US5664142A (en) Chained DMA devices for crossing common buses
JP3516431B2 (ja) プロセッサ・バスによるi/oトラフィック伝送
US6701387B1 (en) Adaptive data fetch prediction algorithm
KR0139960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대용량 저장매체 정합장치
KR100638378B1 (ko) 디스크 제어장치의 메모리 구조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KR980013132A (ko) 고 처리 능력의 주변 구성 요소 상호 접속 버스를 가진 데이터 처리 및 통신 시스템
EP0141753A2 (en) Adjustable buffer for data communications in data processing system
JP3684902B2 (ja) ディスクアレイ制御装置
US66091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mory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