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944Y1 - 스피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피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944Y1
KR0139944Y1 KR2019950011496U KR19950011496U KR0139944Y1 KR 0139944 Y1 KR0139944 Y1 KR 0139944Y1 KR 2019950011496 U KR2019950011496 U KR 2019950011496U KR 19950011496 U KR19950011496 U KR 19950011496U KR 0139944 Y1 KR0139944 Y1 KR 0139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peaker system
horn
structure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774U (ko
Inventor
공병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1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944Y1/ko
Publication of KR960038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9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유니트와, 그 스피커 유니트를 고정하는 몸체를 구비하는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면부에는 혼 구조로 가변할 수 있는 소정 형태의 제1구조물이 몸체에 회동식으로 삽입 및 추출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몸체외 상, 하 면부에는 상기 제1구조물과 함께 혼 구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1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구조물이 상기 몸체에 삽입 및 추출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단순 배플면에서 혼 구조로, 혼 구조에서 단순 배플면으로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음향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시스템
제1도는 종래 스피커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스피커 시스템의 측단면도.
제3도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제1, 제2구조물이 모두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제1, 제2구조물을 모두 추출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혼구조로의 변형을 위해 제1구조물을 추출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다른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제2구조물까지 추출하여 혼구조가 완성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31 : 본체 12, 13, 32 : 스피커 유니트
13a, 32a : 진동판 33a, 33b : 제1구조물
34a, 34b : 회동축 35a, 35b : 제2구조물
35h, 35h' : 요홈 36a, 36b : 가이드 레일
37a, 37a', 37b, 37b' : 고정부재
본 고안은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피커 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음향에 대해 음향 변환기 역할을 하는 혼(horn) 구조를 적용할 수 있도록, 스피커가 설치된 박스형 몸체에 혼의 형태로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에는 다이나믹형, 리본형, 콘덴서형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업무용으로 다이나믹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이나믹형 스피커는 다시 진동판의 형식이나 구조에 따라 콘(cone) 스피커와 호온(horn) 스피커의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콘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피커로서, 진동판이 완만한 원뿔모양의 특수한 종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콘 스피커의 진동판은 원뿔종이로 불리우기도 한다. 콘 스피커는 스피커 그 자체만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반드시 조절판(baffle board)에 붙이거나 소정의 지지구조물(스피커 박스)에 넣어져서 사용된다.
한편, 호온 스피커는 호온과 드라이버 유니트로 구성되며, 주로 중,고역의 재생에 사용된다. 드라이버 유니트의 진동판은 다이어프램(diaphragm)이라 불리는 돔(dome)형의 구조체로 되어 있으며, 재질로는 알루미늄 합금 등이 사용된다. 이 드라이버 유니트는 약하여 그냥 드라이버로 불리기도 한다.
첨부 도면의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스피커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1도는 정면도이고, 제2도는 측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종래 스피커 시스템은 직육면체의 박스형의 본체(11)가 마련되고, 그 본체(11)의 일측면에 스피커 유니트(12,13)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3a는 진동판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스피커 시스템은 스피커 유니트(13)에 음향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스피커 유니트(13)에서 음향신호는 운동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 운동 에너지는 진동판(13a)을 구동하게 되고, 진동판(13a)의 진동에 의해 입력된 음향신호는 재생된다. 이때, 스피커 유니트(13)에서 발생한 음향은 박스형의 본체(11)를 구성하는 6면에 의해 저음이 보강되며, 하나의 무한 배플(baffle)의 상태를 이루며 음향이 재생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스피커 시스템은 박스형 몸체를 통하여 저음을 보강할 수 있고, 무한 배플의 상태를 얻을 수는 있지만 재생되는 음향의 지향성과 좌, 우 채널에서의 상호 간섭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정확한 헤드라이트 겸칩현상을 구현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피커 시스템이 음향을 재생할 때, 스피커 시스템으로부터 재생되는 음향신호를 음향변환기의 역할을 하는 혼 구조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향의 출력성능 및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유니트와, 그 스피커 유니트를 고정하는 몸체를 구비하는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면부에는 혼 구조로 가변할 수 있는 소정 형태의 제1구조물이 몸체에 회동식으로 삽입 및 추출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몸체의 상, 하 면부에는 상기 제1구조물과 함께 혼 구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1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구조물이 상기 몸체에 삽입 및 추출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서는 혼 구조로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음향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음향의 지향성을 한층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3도는 제1, 제2구조물이 모두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제4도는 제1, 제2구조물을 모두 추출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스피커 시스템은 스피커 유니트(32)가 설치된 본체(31)가 마련되고, 그 본체(31)의 좌, 우면 즉, 스피커 유니트(32)의 좌, 우측에는 추출시 혼 구조로 가변할 수 있는 한 쌍의 제1구조물(33a,33b)이 본체(31)에 회동식으로 삽입 및 추출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이 제1구조물(33a,33b)은 원기둥의 1/4분할체 형태를 가지며, 회동축(34a,34b)에 의해 각각 본체(31) 내부로 회동하여 삽입되고, 그 동일한 궤적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31)의 상, 하면에는 상기 제1구조물(33a,33b)의 추출에 의해 혼 구조가 형성될 때, 그 혼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조물(33a,33b)을 고정시키는 한편, 혼 구조의 상, 하면부를 이룸으로써 제1구조물(33a,33b)과 함께 혼 구조를 완성하기 위한 제2구조물(35a,35b)이 상기 본체(31)에 삽입 및 추출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2구조물(35a,35b)은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책상 서랍을 열고 닫는 식으로 본체(31)에 수평으로 밀어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이 제2구조물(35a,35b)의 삽입 및 추출 시, 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2구조물(35a,35b)의 양측면부에는 요()홈(35h,35h')이 형성되고, 본체(31)에는 요홈(35h,35h')에 삽입되어 제2구조물(35a,35b)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6a,36b)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2구조물(35a,35b)의 소정 부위에는 고정용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그 관통공에 대응하여 제1구조물(33a,33b)에도 고정용 홈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1구조물(33a,33b) 및 제2구조물(35a,35b)을 각각 본체(31)로부터 추출하여 혼 구조를 형성할 때, 소정의 고정부재(37a,37b)를 상기 고정용 관통공 및 고정용 홈에 삽입함으로써 제1구조물(33a,33b)과 제2구조물(35a,35b)은 상호 결합 고정되어 혼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고정 방식은 상기 제1구조물(33a,33b) 및 제2구조물(35a,35b)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하나의 방법을 예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고정 매커니즘을 얼마든지 다른 방식으로 변경 응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의 스피커 시스템의 작동관계에 대해 제3도~제6도를 참조하면서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스피커 유니트(32)에 음향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스피커 유니트(32)에서 음향신호는 운동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 운동 에너지는 진동판(32a)을 구동하게 되고, 그 진동판(32a)의 진동에 의해 상기 입력된 음향신호는 재생된다. 이와 같은 스피커 시스템의 작동에 있어서, 최초에 제3도와 같은 상태에서 음향재생이 이루어질 경우, 이는 단순 배플면 상태에서의 음향을 얻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그와 같은 단순 배플면 상태에서 혼 구조에서의 음향을 얻고자 할 때, 제5도에서와 같이 본체(31)로부터 제1구조물(33a,33b)을 추출한 후, 제2구조물(35a,35b)을 추출하여 전술한 제4도에서와 같이 고정부재(37a,37b)에 의해 제1구조물(33a,33b) 및 제2구조물(35a,35b)을 상호 결합 고정시킨다. 그렇게 하여 완성된 혼 구조상태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혼 구조를 형성하면, 혼의 음압과 용적 속도의 상호 관계에 의해 음향출력이 한층 향상되며, 또한 적절한 음향 부하와의 조합에 의해 음향변활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단순 배플면에서 혼 구조로, 혼 구조에서 단순 배플면으로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음향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 유니트와, 그 스피커 유니트를 고정하는 몸체를 구비하는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면부에는 혼 구조로 가변할 수 있는 소정 형태의 제1구조물이 몸체에 회동식으로 삽입 및 추출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몸체의 상, 하 면부에는 상기 제1구조물과 함께 혼 구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1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구조물이 상기 몸체에 삽입 및 추출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물은 소정 반지름과 높이를 가지는 원기둥의 1/4 분할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KR2019950011496U 1995-05-26 1995-05-26 스피커 시스템 KR0139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496U KR0139944Y1 (ko) 1995-05-26 1995-05-26 스피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496U KR0139944Y1 (ko) 1995-05-26 1995-05-26 스피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774U KR960038774U (ko) 1996-12-18
KR0139944Y1 true KR0139944Y1 (ko) 1999-05-15

Family

ID=1941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496U KR0139944Y1 (ko) 1995-05-26 1995-05-26 스피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9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774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8936B2 (en) Dynamic acoustic waveguide
US20070256888A1 (en) Speaker System With Improved Frequency Response
US7614479B2 (en) Sound enhancement module
EP0778720A4 (en) LOW SPEAKER
US20030174851A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the low frequency performance of electro acoustic transducers
US4464967A (en) Electric guitar having a guitar body and a loudspeaker attached to said guitar body
KR970073219A (ko) 소형 전기 음향 변환기
KR0139944Y1 (ko) 스피커 시스템
JP5611075B2 (ja) スピーカ用エンクロージャ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JP2769448B2 (ja) 定在波又は特定波の低減装置
US4232204A (en) High fidelity loudspeaker
US4512434A (en) Aerodynamic bass-reflex enclosure
JPH02301395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US6860363B2 (en) Planar acoustic waveguide
KR101559658B1 (ko) 스피커 장치
JP3006971U (ja) スピーカ付きスタンド
JPH03108999A (ja) スピーカーシステム
JPS5919678B2 (ja) スピ−カ装置
JPS6318234Y2 (ko)
KR0183670B1 (ko) 스피커 시스템
WO1996031105A1 (en) Low frequency audio coupler and method of coupling
KR100372265B1 (ko) 스피커
JPS6325814Y2 (ko)
KR960043962A (ko) 스피커장치
WO1984001681A1 (en) Loud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