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360Y1 - 세탁기의 모터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360Y1
KR0139360Y1 KR2019960012192U KR19960012192U KR0139360Y1 KR 0139360 Y1 KR0139360 Y1 KR 0139360Y1 KR 2019960012192 U KR2019960012192 U KR 2019960012192U KR 19960012192 U KR19960012192 U KR 19960012192U KR 0139360 Y1 KR0139360 Y1 KR 0139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otor
stator
washing machin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415U (ko
Inventor
박철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12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360Y1/ko
Publication of KR970062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3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모터는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극부가 형성된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의 돌극부에 감겨진 코일의 전자흡인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돌극부가 구비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중심에 삽입 고정되어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모터축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상부 및 하부베어링과, 상기 고정자를 상하측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하며 상기 상부및 하부베어링을 상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탁기의 모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202)에 세탁기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경량화함과 동시에 안정된 세탁을 행할 수 있도록 홈부(20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비교적 안정된 세탁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모터
제1도는 종래의 세탁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세탁기의 고정자 및 회전자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종래에 의한 세탁기 모터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고정자 및 회전자를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외조
50 : 세탁겸탈수조 60 : 펄세이터
200 : 모터 201 : 고정자
202 : 회전자 203 : 모터축
204, 205 : 상부 및 하부베어링 206,207 : 상부 및 하부하우징
본 고안은 세탁기 모터의 형상을 축소시켜 세탁기 전체 중량 및 부피를 저감한 세탁기의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본체(10)내에는 외조(2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외조(20)의 저면에는 모터(30)의 회전력을 벨트(40)를 통해 전달받아서 세탁겸탈수조(50) 또는 펄세이터(6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70)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상기 외조(20)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3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을 탈수하는 세탁겸탈수조(50)가 구동수단(70)의 탈수축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탁겸탈수조(50)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30)의 구동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겸탈수조(50)내에 저류되어 있는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켜 세탁을 행하는 펄세이터(60)가 구동수단(70)의 세탁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조(20)는 이 외조(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외조(20)의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댐퍼(80)를 개재하여 텐션바(90)에 현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호스(100)를 통하여 수도전(110)과 접속되어 상기 세탁겸탈수조(50)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1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조(20)의 하부면에는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수단(1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30)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내주면에 12개의 돌극부(31a)가 형성된 고정자(31)와, 상기 고정자(31)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돌극부(31a)에 감겨진 코일의 전자흡인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돌극부(32a)가 구비된 회전자(32)와, 상기 회전자(32)의 중심에 삽입 고정된 모터축(33)과, 상기 모터축(33)의상하측에 설치되어 모터축(33)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상부 및 하부베어링(34)(35)과, 상기 고정자(31)를 상하측에서 체결수단(150)에 의해 고정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베어링(34)(35)를 상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부(36a)(37a)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하우징(36)(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는 외조(20)내에 배설된 세탁겸탈수조(50)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판넬상에서 세탁조건을 선택하면, 급수수단(120)을 통하여 온수 또는 냉수가 세탁겸탈수조(50)에 공급되며, 이어서 모터(30)의 고정자(31)에 다수개 형성된 돌극부(31a)에 감겨진 코일에 스위칭소자(도시안됨)를 통해 전원을 인가시키면 상기 고정자(31)의 돌극부(31a)가 자화되어 그 내에 배설된 회전자(32)의 돌극부(32a)를 순차적으로 당기게 된다. 이러한 상기 동작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이 벨트(40)를 통하여 구동수단(70)에 전달되고, 이 회전력이 상기 구동수단(70)에서 감속되어 펄세이터(60)를 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펄세이터(60)는 전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겸탈수조(50)내에 수류를 형성시켜 세탁을 행한다. 세탁이 끝난 다음에는 배수수단(130)의 작동에 따라 세탁수가 배출된 후, 다시 급수수단(120)을 통하여 급수가 이루어지면 헹굼을 여러 차례 행한 다음, 상기 세탁겸탈수조(50)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의 탈수를 행하여 세탁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세탁기의 모터는 그 중량 및 부피가 비교적 커 세탁기의 안정된 세탁 행정을 행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세탁기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모터의 중량 및 부피를 축소하여 비교적 안정된 세탁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의 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모터는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극부가 형성된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의 돌극부에 감겨진 코일의 전자흡인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돌극부가 구비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중심에 삽입고정되어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모터축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상부 및 하부베어링과, 상기 고정자를 상하측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베어링을 상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탁기의 모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에 세탁기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경량화함과 동시에 안정된 세탁을 행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고정자 및 회전자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 모터의 종단면도를 나타낸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모터(200)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극부(201a)가 형성된 고정자(201)와, 상기 고정자(20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201)의 돌극부(201a)에 감겨진 코일의 전자흡인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돌극부(202a)가 구비된 회전자(202)와, 상기 회전자(202)의 중심에 삽입 고정된 모터축(203)과, 상기 모터축(203)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모터축(203)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상부 및 하부베어링(204)(205)과, 상기 고정자(201)를 상하측에서 체결수단(150)에 의해 고정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베어링(204)(205)를 상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부(206a)(207a)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하우징(206)(207)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회전자(202)에 세탁기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경량화함과 동시에 안정된 세탁을 행할 수 있도록 홈부(20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모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외조(20)내에 배설된 세탁겸탈수조(50)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판넬상에서 세탁조건을 선택하면, 급수수단(120)을 통하여 온수 또는 냉수가 세탁겸탈수조(50)에 공급되며, 이어서 모터(200)의 고정자(201)에 다수개 형성된 돌극부(201a)에 감겨진 코일(도시안됨)에 스위칭소자(도시안됨)를 통해 전원을 인가시키면 상기 고정자(201)의 돌극부(201a)가 자화되어 그 내에 배설된 회전자(202의 돌극부(202a)를 순차적으로 당기게 된다. 이러한 상기 동작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이 벨트(40)를 통하여 구동수단(70)에 전달되고, 이 회전력이 상기 구동수단(70)에서 감속되어 펄세이터(60)를 회전시킨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모터에 의하면, 세탁기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경량화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자의 중심 상하단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안정된 세탁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극부가 형성된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의 돌극부에 감겨진 코일의 전자흡인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돌극부가 구비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중심에 삽입 고정되어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모터축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상부 및 하부베어링과, 상기 고정자를 상하측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베어링을 상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탁기의 모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202)에 세탁기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경량화함과 동시에 안정된 세탁을 행할 수 있도록 홈부(20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모터.
KR2019960012192U 1996-05-16 1996-05-16 세탁기의 모터 KR0139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192U KR0139360Y1 (ko) 1996-05-16 1996-05-16 세탁기의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192U KR0139360Y1 (ko) 1996-05-16 1996-05-16 세탁기의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415U KR970062415U (ko) 1997-12-10
KR0139360Y1 true KR0139360Y1 (ko) 1999-05-15

Family

ID=1945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192U KR0139360Y1 (ko) 1996-05-16 1996-05-16 세탁기의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3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415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718B1 (ko) 세탁기
NZ334867A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with separate agitator and rotatable tub drive motors
KR0139360Y1 (ko) 세탁기의 모터
JPH09239191A (ja) 全自動洗濯機の分離洗濯装置
KR20030024964A (ko) 부력 클러치가 구비된 세탁기
KR100399324B1 (ko) 절수형 세탁기
KR19980076976A (ko) 세탁기의 와류발생장치
KR200165362Y1 (ko) 임펠러식 세탁기
KR100311126B1 (ko) 직결식세탁기의 세탁장치
KR100766024B1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KR950007078B1 (ko) 세탁기 구동장치
KR20000015672A (ko) 절수형 전자동 투과세탁기
KR200153545Y1 (ko) 세탁기의 이중 세탁조
KR20000014201A (ko) 원심투과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 제어방법
KR100202556B1 (ko) 복합세탁기의 구동장치
KR100223703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0144001Y1 (ko) 전자동 세탁기의 분리 세탁판
JPS62183796A (ja) 波形脱水兼洗濯槽
KR0122693Y1 (ko) 세탁기의 탈수장치
KR200198847Y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취부구조
KR950007052B1 (ko) 분리세탁기
KR20000059984A (ko) 세탁기용 모터구조
KR200172932Y1 (ko) 세탁기
KR10020195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모터구조
KR100214177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