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311Y1 -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311Y1
KR0138311Y1 KR2019930018312U KR930018312U KR0138311Y1 KR 0138311 Y1 KR0138311 Y1 KR 0138311Y1 KR 2019930018312 U KR2019930018312 U KR 2019930018312U KR 930018312 U KR930018312 U KR 930018312U KR 0138311 Y1 KR0138311 Y1 KR 0138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output
digital
clock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784U (ko
Inventor
박시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30018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311Y1/ko
Publication of KR950009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치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CDG/CDEG 디스크 재생중에 탐색(SCAN)동작을 행하면 동기신호가 무너져 화상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것을, 탐색동작이 행하여 지면 탐색하기 바로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탐색시 깨끗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고자한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디지탈 영상출력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복합동기 신호에서 수직동기 신호만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수직동기 분리수단과, 상기 수직동기 분리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수직동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탐색신호에 따라 판독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 부터 출력된 판독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판독클럭 신호를 제어하는 판독클럭 제어수단과, 상기 판독클럭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판독클럭에 따라 디지탈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제1도는 종래 다중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 : 수직동기 분리부 107 : 마이콤
108 : 판독클럭 제어부
본 고안은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CDG/CDEG 디스크 재생중에 탐색(SCAN)동작을 행하면 동기신호가 무너져 화상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은것을, 탐색동작이 행하여 지면 탐색하기 바로 이전이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정지시키므로써 탐색시 깨끗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고자한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CDG/CDEG 디스크를 재생하는 다중 레이저 디스크 시스템은 첨부한 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부(100)와,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로 부터 출력된 신호(SBSY, SFSY, PW)에 따라 제1, 제2램(101)(102)에 저장된 디지탈 영상신호(R,G,B)를 출력시키는 디지탈 영상출력부(103)와,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영상신호(R,G,B)를 그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와,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복합동기 신호(composite stnchronous : 수직동기 신호 + 수평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엔코딩하여 비디오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엔코더부(105)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다중 레이저 디스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DG/CDEG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는 디스크로 부터 얻어진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여 그 처리된 신호(SBSY, SFSY, PW)를 출력하여 디지탈 영상출력부(103)에 인가한다.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디지탈 영상신호(R, G, B)를 출력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에 입력시키게 된다.
아울러 복합동기 신호(수평동기 신호 + 수직동기 신호)도 출력하여 엔코더부(105)에 입력시키게 된다.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불(104)는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엔코더부(105)에 입력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엔코더부(105)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300(horizontal) 216(vertical) 픽셀로 처리한 비디오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게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데이타는 CDG일 경우 최대 16가지 이지만, CDEG일 경우에는 256가지(4096 가지 가운데 선택된 갯수)나 되기에 CDEG경우에 해상도는 300216이지만 더 풍부하고 실감나는 화상을 얻을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데이타는 제1, 제2램(101)(102)에 순서대로 저장이 되며, 이후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판독 클럭(read clock)에 따라 읽혀져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 시스템은 재생중에 탐색동작을 하게되면 램의 엑세스 속도 한계에 따라 동기 신호가 무너져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은 깨진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안하기 위한 방안으로 CDEG 모드시에는 재생중 탐색 키 자체를 받아들이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블루 백 OSD 화면을 덮어 씌우는 방법이 있으나 이 두가지 방법 모두 사용자에게는 충분한 만족을 줄수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CDG/CDEG 디스크 재생중에 탐색(SCAN)동작을 행하면 동기신호가 무너져 화상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것을, 탐색동작이 행하여 지면 탐색하기 바로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정지시키므로써 탐색시 깨끗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디지탈 영상출력수단으로 분리 출력된 복합동기신호로 부털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수직동기 분리수단과, 상기 수직 동기 분리수단에서 출력된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탐색신호에 따라 판독클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 부터 출력된 판독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제어하여 판독클럭을 제어하는 판독 클럭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구성도록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와,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디지탈 영상신호(R, G, B)를 출력시키는 디지탈 영상출력부(103)와,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영상신호(R, G, B)를 그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R, G, B)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로 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복합동기 신호(Csync)에 엔코딩하여 비디오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부(105)와, 상기 엔코더부(105)로 부터 출력된 비디오 영상데이타를 저장하는 제1, 제2램(101)(102)와,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복합동기 신호에서 수직동기 신호만을 분리하는 수직동기 분리부(106)와,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탐색신호(LED) 및 상기 수직동기 분리부(106)로 부터 출력된 수직동기 신호에 따라 판독클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107)과, 상기 마이콤(107)으로 부터 출력된 판독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판독클럭을 제어하는 판독클럭 제어부(108)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의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DG/CDEG 디스크의 재생원리는 종래와 같이 CDG/CDEG 디스크로 부터 읽어들인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에 입력되어지며, 이에 따라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는 디스크로 부터 얻어진 디지탈 신호를 처리하여 그 처리된 신호 (SBSY, SFSY, PW)를 출력하여 디지탈 영상출력부(103)에 인가한다.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디지탈 영상신호(R, G, B)를 출력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에 입력시키게 된다.
아울러 복합동기 신호(수평동기 신호 + 수직동기 신호)도 출력하여 엔코더부(105)에 입력시키게 된다.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는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엔코더부(105)에 입력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엔코더부(105)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300(horizontal) 216(vertical) 픽셀로 처리한 비디오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게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데이타는 CDG일 경우 최대 16가지 이지만, CDEG일 경우에는 256가지(4096 가지 가운데 선택된 갯수)나 되기에 CDEG경우에 해상도는 300216이지만 더 풍부하고 실감나는 화상을 얻을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데이타는 제1, 제2램(101)(102)에 순서대로 저장이 되며, 이후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판독 클럭(read clock)에 따라 읽혀져 디스플레이 되는데, 이와 같이 재생중에 탐색동작을 행하게 되면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는 탐색신호(LED)를 마이콤(107)에 인가한다.
한편,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복합동기 신호에서 수직동기 분리부(106)는 수직동기를 분리하여 마이콤(107)에 입력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마이콤(107)는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탐색신호(LED)가 하이가 되는 순간(정상적인 재생시에는 로우상태임)에 탐색동작으로 인식하여 판독클럭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판독클럭 제어신호는 판독클럭 제어부(108)에 인가되며, 이에 따라 판독클럭 제어부(108)는 입력되는 판독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되는 판독클럭이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판독클럭이 차단됨에 따라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는 데이타를 출력할수 없게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데이타는 탐색이전의 영상신호가 정지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화면상에는 마치 스틸상태의 화상처럼 깨끗한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후 탐색동작이 완료되면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는 탐색신호(LED)를 다시 로우신호로 하여 마이콤(107)에 입력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마이콤(107)은 상기와 다른 판독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판독클럭 제어부(108)에 입력시키게 되는데, 이때 바로 판독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탐색동작이 완료된 순간이 한 프레임의 시작점이라는 보장이 없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의 상태를 알수가 없다.
만약 한 프레임의 시작점이 아닐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이 순간적으로 깨진 화상이 디스플레이 될 확률이 많으므로 마이콤(107)은 수직동기 분리부(106)로 부터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판독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동기 신호에 맞추어 판독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판독클럭 제어부(108)는 다시 디지탈 영상출력부(103)로 부터 출력된 판독 클럭신호를 디지탈 신호 처리부(100)에 입력시키게 되므로써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신호는 한 프레임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하기에 탐색동작이 완료된후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은 깨끗한 화상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생중에 탐색동작을 행하게 되면 즉시 스틸동작과 같이 탐색동작 바로 이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 시키기에 탐색동작시 향상 깨끗한 화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탐색동작이 완료된후 수직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한 프레임의 시작점부터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어 탐색동작이 완료된 후에도 깨끗한 화상을 얻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디지탈 영상출력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복합동기 신호에서 수직동기 신호만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수직동기 분리수단과, 상기 수직동기 분리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수직동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탐색신호에 따라 판독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 부터 출력된 판독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 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판독클럭 신호를 제어하는 판독클럭 제어수단과, 상기 판독클럭 제어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판독클럭에 따라 디지탈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한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보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콤은 상기 디지탈 영상출력수단으로 부터 탐색 해제신호가 인가되면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판독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한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KR2019930018312U 1993-09-13 1993-09-13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KR0138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312U KR0138311Y1 (ko) 1993-09-13 1993-09-13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312U KR0138311Y1 (ko) 1993-09-13 1993-09-13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784U KR950009784U (ko) 1995-04-21
KR0138311Y1 true KR0138311Y1 (ko) 1999-04-15

Family

ID=1936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312U KR0138311Y1 (ko) 1993-09-13 1993-09-13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3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784U (ko) 199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742B1 (ko) 영상표시장치
KR940002277B1 (ko) 브이씨알의 자막문자 표시장치 및 방법
KR0161775B1 (ko) 와이드비전의 자막데이터 위치제어회로
JP3838012B2 (ja) 番組記録再生装置
JPH0698291A (ja) アスペクト比情報を担うビデオディスク及びアスペクト比変換機能を有するビデオディスクプレーヤ
KR0138311Y1 (ko) 정지화 디스크의 탐색시 화상 보상장치
JPH03273363A (ja) 動画像の内容一覧表示方式
JP2008092403A (ja) 再生支援装置、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KR100231646B1 (ko) 브이씨알에서의 캡션 데이터 구간 반복 제어방법
KR0176759B1 (ko) 브이씨알의 캡션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JPH0523297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960011736B1 (ko) 영상신호 저장 및 기록장치
KR100258589B1 (ko) 오에스디 데이터 처리장치
KR100667514B1 (ko) 광디스크 장치 및 그의 듀얼 자막 표시방법
KR900008244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화상기록 재생회로
KR0168999B1 (ko) 멀티비젼 프로세서 내장형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KR0123777B1 (ko) 화상타이틀 표시장치 및 방법
JPH04326261A (ja) 撮像装置
KR970004660B1 (ko) 영상신호 절환회로
JP323323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H07193787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0165245B1 (ko) 텔레비젼방송방식 변환장치
KR950005048A (ko) 도어 비디오폰의 다화면 동시 재생장치 및 방법
JP2910884B2 (ja) 2画面表示機能を備えた映像機器
KR20000014767A (ko) 캡션이 있는 영상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