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029Y1 - 폐수처리용 산기기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용 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029Y1
KR0138029Y1 KR2019960020415U KR19960020415U KR0138029Y1 KR 0138029 Y1 KR0138029 Y1 KR 0138029Y1 KR 2019960020415 U KR2019960020415 U KR 2019960020415U KR 19960020415 U KR19960020415 U KR 19960020415U KR 0138029 Y1 KR0138029 Y1 KR 0138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s
main body
support
wastewater
waste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137U (ko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2019960020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029Y1/ko
Publication of KR9800081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01F23/23127Screens, nets, grades or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1.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폐수 등을 정화하기 위한 폐수처리용 산기기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산소를 주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킴에 있어서 본체의 내실에 산소공급량이 일정순간에 포화상태가 됨으로써 비교적 큰 기포가 서로 합쳐져서 빠른 속도로 상승되므로서 정화효율이 낮고 또 비록 적정수의 부유회전볼이 기포를 파쇄한다 하더라도 한순간에 산소공급량이 포화상태가 되므로 미세한 분출공으로 오물의 미립자와 함께 큰기포가 합쳐져서 외부로 분출됨에 따라 수중기와 같이 기포가 분출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량의 큰 기포와 오물의 미립자가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분출되므로 폐수처리조내의 기포발생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므로 오물이나 폐수의 산화작용을 방해하여 정화효과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체(1)의 저면 공기주입구(2)에 누름판(5)이 부설된 지지구(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구(3)상에 변판(4)을 밀, 개폐되도록 볼트(4')로 결합되어 있는 폐수처리용 산기기에 있어서, 상기의 본체(1)의 하부 외주면 일정위치에는 공기의 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망판(8)을 조밀하게 끼워 이등분한 후 각각의 공간에 다수의 부유회전볼(7)을 내장하여 된 것임.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폐수처리용산기기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것임.

Description

폐수처리용 산기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분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종래기술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공기주입구
3 : 지지구 4 : 변판
5 : 누름판 7 : 부유회전볼
8 : 망판 9 : 덮개판
10 : 고정볼트
본 고안은 다량의 무기물이 함유된 폐액이나 오염된 폐수 및 분뇨 등을 정화하기 위한 폐수처리용 산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에는 용존산소가 부족하여 미생물이 번식하지 못하게 되므로 자연정화가 되지 못하고 오히려 더욱 부폐하게 됨으로써, 산소공급을 위한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어 현재까지 수많은 종류의 산기기들이 제안된 바 있으나, 대표적인 예로 본출원인이 1986년에 출원하여 1989년 12월 9일자로 공고 결정되고 1990년 4월 10일자 특허등록번호 제32492호를 살펴보면, 본체의 저면 공기주입구에 변판을 볼트로 나착시켜 밀, 개폐되도록 하여 폐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한 수중산기기에 있어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변판의 개폐효율을 높이기 위한 누름판이 부설되고 또한 내실에는 기포파쇄를 위한 적정수의 부유회전볼이 내장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선등록 특허는 산소를 주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킴에 있어서 본체의 내실에 산소공급량이 일정순간에 포화상태가 됨으로써 비교적 큰 기포가 서로 합쳐져서 빠른 속도로 상승되므로서 정화효율이 낮고 또 비록 적정수의 부유회전볼이 기포를 파쇄한다 하더라도 한순간에 산소공급량이 포화상태가 되므로 미세한 분출공으로 오물의 미립자와 함께 큰 기포가 합쳐져서 외부로 분출됨에 따라 수중기와 같이 기포가 분출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량의 큰 기포와 오물의 미립자가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분출되므로 폐수처리조내의 기포발생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므로 오물이나 폐수의 산화작용을 방해하여 정화효과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즉, 본체의 저면 공기주입구에 형성된 지지구상에 변판과 누름판을 볼트로 결합시켜, 밀, 개폐되도록 하고 내부에는 다수의 부유회전볼을 내장하여 개구부상에 망형상의 덮개판을 고정볼트로 고정한 폐수처리용산기기에 있어서, 본체의 하부 외주면 일정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를 이등분하는 망판을 조밀하게 끼워 삽입한 후 부유회전볼을 각각 내장하여 된 것으로서 공기의 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기포발생을 원활하게 하고 오물이나 폐수의 산화작용을 효과적으로 함으로써 정화효과를 극대화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저면 공기주입구(2)에 누름판(5)이 부설된 지지구(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구(3)상에 변판(4)을 밀, 개폐되도록 볼트(4')로 결합되어 있다. 반면에 상기의 본체(1)의 하부 외주면 일정위치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망판(8)을 조밀하게 끼워 이등분한 후 각각의 공간에 다수의 부유회전볼(7)을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상면 개구부상에는 망형상의 덮개판(9)을 고정볼트(10)로 고정하여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2는 공기주입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상술하면, 제1도와 같이 본 고안의 본체(1)를 폐액통 또는 정화조 저면상에 공기주입관(12)을 연설한 후 공기를 주입시키면 공기압에 의해 변판(4)의 사방이 들려서 개폐되면서 기포가 발생하고 이와 동시에 본체(1) 중간부에 조밀하게 끼운 망판(8)의 이면에 부유된 다수의 부유회전볼(7)과 상면 개구부 상에 형성된 망형상의 덮개판(9)의 이면에 부유된 다수의 부유회전볼(7)이 상측에서 진입되는 폐액과 와류현상을 일으켜 서로 부딪쳐서 상승되어 비교적 큰 기포를 연속 반복하여 미세한 크기로 파쇄시켜 작고 많은 기포가 상면 개구부상에 형성된 망형상의 덮개판(9)의 상측부로 상승되며, 이때 공기주입관으로부터 한 순간에 과다한 공기가 주입될 경우 정화작용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본체(1)의 하부 외주면 일정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구멍(11)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폐액에 고르고 일정하게 공기를 공급시켜 산화작용을 촉진시켜 정화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큰 기포를 다수의 부유회전볼(7)의 고속회전과 상측에서 진입되는 폐액과 와류현상을 일으켜 큰기포를 연속반복하여 미세하게 많은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측에서 압이 가해지면 주입구의 변판(4)이 자동 밀폐되어 폐액이 주입관으로 역류되지 않아 막히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체(1)의 중간부에 망판(8)을 형성하여 1차로 폐액을 정화시킨 후 상면의 망형상의 덮개판(9) 이면에 내장된 다수의 부유회전볼(7)에 의해 2차로 폐액을 정화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므로서 종래의 것보다 기포를 파쇄시켜 미세한 기포를 효과적으로 발생시켜 폐수의 산화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정화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의 하부 외주면 일정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구멍(11)을 형성함으로써 한꺼번에 큰 기포와 미세한 오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면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폐수처리조(d)내에서 폐수(c)를 정화시켜 기포를 발생시킴에 있어서 도면 제4도의 종래기술과 달리 기포의 발생을 원활하게 하여 정화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의 저면 공기주입구(2)에 누름판(5)이 부설된 지지구(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구(3)상에 변판(4)을 밀, 개폐되도록 볼트(4,)로 결합되어 있는 폐수처리용 산기기에 있어서, 상기의 본체(1)의 하부 외주면 일정위치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망판(8)을 조밀하게 끼워 이등분한 후 각각의 공간에 다수의 부유회전볼(7)을 내장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산기기.
KR2019960020415U 1996-07-10 1996-07-10 폐수처리용 산기기 KR0138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415U KR0138029Y1 (ko) 1996-07-10 1996-07-10 폐수처리용 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415U KR0138029Y1 (ko) 1996-07-10 1996-07-10 폐수처리용 산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37U KR980008137U (ko) 1998-04-30
KR0138029Y1 true KR0138029Y1 (ko) 1999-02-01

Family

ID=1946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415U KR0138029Y1 (ko) 1996-07-10 1996-07-10 폐수처리용 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0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37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0577A (en) Apparatus for treating and purifying waste water
US2798227A (en) Waste disposal system
JPH0919694A (ja) オゾン浄化装置
KR101824240B1 (ko) 미세기포 발생용 기체용해장치를 포함한 고밀도 미세기포 발생장치
JPH1085723A (ja) 気泡浮上式分離機
KR0138029Y1 (ko) 폐수처리용 산기기
KR920005952B1 (ko) 오수정화조의 여과재 순환 정화장치
KR100527091B1 (ko) 나선형 회전체가 구비된 산기장치
US3116347A (en) Sewage treating device
KR100301521B1 (ko) 거품 부상식 슬러지 제거장치
JPS59206096A (ja) 曝気装置
KR101281044B1 (ko)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960005869Y1 (ko) 오 · 폐수 처리용 산기 장치
KR20040092843A (ko) 기체의 용해 및 혼합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2362832B1 (ko) 고농도 폐수 슬러지의 막힘 없는 산기통
KR200353645Y1 (ko) 오수처리용 제트폭기장치
KR100513295B1 (ko)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KR200333975Y1 (ko) 오ㆍ폐수처리용 폭기장치의 산기관
KR100466288B1 (ko) 오수 처리시설의 스크린 장치
KR970001492Y1 (ko) 정화조용 산기관
KR200221182Y1 (ko) 오·폐수처리시설에서의 거품제어장치
KR102432336B1 (ko) 기존 고농도 폐수처리장에 개보수시 사용되는 막힘 없는 산기통
KR200354917Y1 (ko) 기액 혼합촉진 수중폭기장치
JP3156173B2 (ja) 加圧浮上浄化装置
GR77887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