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627Y1 -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627Y1
KR0137627Y1 KR2019930000083U KR930000083U KR0137627Y1 KR 0137627 Y1 KR0137627 Y1 KR 0137627Y1 KR 2019930000083 U KR2019930000083 U KR 2019930000083U KR 930000083 U KR930000083 U KR 930000083U KR 0137627 Y1 KR0137627 Y1 KR 0137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support
ray tube
holder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709U (ko
Inventor
정종규
Original Assignee
박경팔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팔,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경팔
Priority to KR2019930000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627Y1/ko
Publication of KR9400197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7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6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13Solid thermionic cathodes
    • H01J1/20Cathodes heated indirectly by an electric current; Cathodes heated by electron or ion bombardment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는 히터의 열에 의하여 열전자를 방출하게 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캐소우드를 지지함에 있어서, 용접 방법 및 위치에 따른 불균일한 용접 강도의 산포를 제거하므로서, 전자총의 화이트 밸런스 및 전자방출 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캐소우드(1)가 결합된 홀더의 측면 둘레를 지지하는 관상의 홀더지지체(20)와 서포트(30,40,50)의 결합부에 서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31,41,5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소우드 2 : 홀더지지체
30, 40, 50 : 서포트 31, 41, 51 : 돌기
6 : 비이드 그라스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의 열에 의하여 열전자를 방출하게 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캐소우드를 지지함에 있어서, 용접이 용이하고 보다 견고한 용접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캐소우드의 홀더 지지체 및 서포트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신규한 캐소우드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해상도의 음극선관이나 투사형 수상기와 같은 대형 수상기용 음극선관등은 전자빔의 직경을 작게해서 해상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며, 수상기의 대형화에 따라 화면의 밝기를 높이기 위하여서는 히터에 의해 열전자를 방출하게 되는 전자총용 캐소우드의 작용특성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적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구조는 홀더에 의해 그 하부가 지지되는 대략 관상의 슬리이브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측 개구부에는 캡상의 베이스 메탈이 씌워지는 한편, 이 베이스 메탈의 상측 표면에는 열전자를 방출하게 되는 탄산염의 전자방사물질이 적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열되면 히터의 열이 탄산염에 전달되므로서 탄산염 즉, 전자방사물질에 함유된 열전자가 방출되고, 이어서 전자총의 전극을 통하면서 집속되어 하나의 전자빔으로 방사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는 그 지지구조에 따라 통상 홀더 타입과 리본 타입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홀더에 의해 캐소우드의 하부가 지지되어 있으며, 후자는 홀더에 연결되는 리본에 의해 그 하부가 지지되는 관상의 슬리이브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고, 그 상측 개구부에는 캡이 씌워지며, 이 캡의 표면에는 탄산염의 전자방사물질이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는 홀더지지체에 결합된 각각의 R, G, B 캐소우드가 서포트에 고정되고, 이 캐소우드 지지용 서포트가 비이드 그라스에 매립되므로서,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구성하게 되는 바, 도면을 통하여 종래에 공지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종래에 공지된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R, G, B 캐소우드(1)의 홀더(도시생략)를 감싸며 상측 둘레를 지지하는 대략 관상의 홀더지지체(2)는 그 측면 둘레의 소정부위가 서포트(3,4,5)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각각의 서포트(3,4,5)는 양측의 비이드 그라스(6)에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구조는 캐소우드를 지지함에 있어 R, G, B 캐소우드를 각각의 홀더지지체(2)의 원통속에 지지·고정시키고, G 캐소우드를 지지하는 홀더지지체를 센터의 서포트(4)에, R, B 캐소우드를 지지하는 홀더지지체를 각각 양측의 서포트(3,5)에 용접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접공정에 있어서, 각각의 서포트(3,4,5)에 용접되는 홀더지지체(2)의 용접부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용접 위치 및 강도 측면에서 산포가 발생하게 되어, R, G, B 3색의 합성에 의한 전체적인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가 열화되고, 전자빔 발생 특성인 방사(Emission)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대략 원통형 홀더지지체(2)의 임의의 지점을 주어진 형태의 캐소우드 서포트(3,4,5)에 용접할 경우, 홀더지지체 혹은 서포트에 일정형태의 용접부위를 인위적으로 만들어주지만, 이로 인한 용접 방법과 용접 위치 및 구조에 의하여 용접 강도의 산포가 불균일하게 되어, 결국 전자빔 발생 특성인 에미션 성능 및 화이트 밸런스 특성을 열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캐소우드 지지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접 방법 및 위치에 따른 불균일한 용접 강도의 산포를 제거하므로서, 전자총의 화이트 밸런스 및 에미션 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캐소우드가 결합된 홀더의 측면 둘레를 지지하는 관상의 홀더지지체와 서포트의 결합부에 서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한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를 제안한다.
이하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면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2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R, G, B 캐소우드(1)의 홀더(도시생략)를 감싸며 상측 둘레를 지지하는 대략 관상의 홀더지지체(20)와, 이 홀더지지체(20)의 임의 측면 둘레부가 용접되어 지는 서포트(30,40,50)와, 이 각각의 서포트(30,40,50)의 끝단이 일체로 매립·지지되는 양측의 비이드 그라스(6)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30,40,50)에는 돌기(31,4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홀더지지체(20)에도 상기 돌기(31,41,51)에 대응하는 돌기(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31,41,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소우드(1)의 홀더지지체(20)가 용접되어 지는 상기 각각의 서포트의 라운드부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며, 이 각각의 돌기(31,41,51)는 서포트와 홀더지지체의 용접되어 지는 면적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다수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기(31,41,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홈상의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고, 구멍과 같이 관통된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구조에 의하면, 캐소우드를 지지함에 있어서 R, G, B 각각의 캐소우드(1)를 지지하는 홀더지지체(20)에 하나 이상의 돌기(도시생략)를 형성하고, 이 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서포트(30,40,50)의 일정 위치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돌기(31,41,51)를 형성하여, 상기 홀더지지체(20)와 서포트(30,40,50)에 형성된 서로 대응하는 돌기를 기준으로 용접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서포트(3,4,5)와 홀더지지체(2)의 일정하지 않은 용접에 따른 문제점을 양호하게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용접 방법과 용접 위치 및 구조에 의하여 용접 강도 측면에서 발생하였던 산포를 제거함은 물론, 서로 대응·용접되는 돌기에 의하여 용접 강도가 강화되기 때문에, R, G, B 3색의 합성에 의한 전체적인 화이트 밸런스 및 전자빔 발생 특성인 에미션 방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는 히터의 열에 의하여 열전자를 방출하게 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캐소우드를 지지함에 있어서, 용접이 용이하고 보다 견고한 용접강도를 갖도록 캐소우드의 홀더지지체 및 서포트에 돌기를 형성한 것으로서, 용접 방법 및 위치에 따른 불균일한 용접 강도의 산포를 제거하므로서, 전자총의 화이트 밸런스 및 전자방출 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1)

  1. 홀더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는 대략 관상의 슬리이브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고, 그 상측 개구부에는 캡이 씌워지는 한편, 이 캡의 상측 표면에는 전자방사물질이 적층되어 있는 캐소우드를 지지하기 위한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측면 둘레를 지지하는 관상의 홀더지지체(20)와 서포트(30,40,50)의 결합부에 서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31,41,5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
KR2019930000083U 1993-01-06 1993-01-06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 KR0137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083U KR0137627Y1 (ko) 1993-01-06 1993-01-06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083U KR0137627Y1 (ko) 1993-01-06 1993-01-06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709U KR940019709U (ko) 1994-08-22
KR0137627Y1 true KR0137627Y1 (ko) 1999-02-18

Family

ID=1934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083U KR0137627Y1 (ko) 1993-01-06 1993-01-06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6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709U (ko) 199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627Y1 (ko)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지지구조
US5932957A (en) Cathode-ray tube having detentioning rod assembly for a tension mask frame
KR900001705B1 (ko) 컬러 수상관
KR10029769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조립체
KR10029769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조립체
KR200143743Y1 (ko) 음극선관용 음극구조
KR200155630Y1 (ko) 음극선관용 음극구조체
KR100254727B1 (ko) 음극선관용 음극
KR950003269Y1 (ko) 음극선관용 음극구조
KR920002586Y1 (ko) 전자총용 시일드 컵
KR97000412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터 지지체
KR940006969Y1 (ko) 음극선관 전자총의 히이터 탭
KR016601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31437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의 실드컵구조
KR920004302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구조체
KR012456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KR200143460Y1 (ko) 음극선관의 평향 요크 고정용 쐐기
KR100395809B1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683651B1 (ko) 캐소오드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93436Y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음극구조
KR930003508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서포트
KR20030089958A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US5296781A (en) Impregnated cathode
KR0137106Y1 (ko) 음극선관의 음극구조
KR0140112Y1 (ko) 음극선관용 캐소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