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148Y1 - 압박대 - Google Patents

압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48Y1
KR0137148Y1 KR2019950010925U KR19950010925U KR0137148Y1 KR 0137148 Y1 KR0137148 Y1 KR 0137148Y1 KR 2019950010925 U KR2019950010925 U KR 2019950010925U KR 19950010925 U KR19950010925 U KR 19950010925U KR 0137148 Y1 KR0137148 Y1 KR 0137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orearm
subject
coupled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304U (ko
Inventor
최태영
Original Assignee
최태영
세인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영, 세인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태영
Priority to KR2019950010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148Y1/ko
Publication of KR960036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33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지는 천(30, 50)과, 상기한 천의 내부에 들어 있는 에어백을 혈압계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31, 51)와, 상기한 천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진 뒤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암, 수 패스터(33, 34, 53, 54)와, 상기한 천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쇠(35, 55)와, 상기한 천이 걸림쇠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완충부(36, 56)로 구성되어 있으며, 팔뚝 굵기의 상하 차이에 의한 감음오차를 삼각링으로 보정함으로써 불필요한 가압을 제거하고, 상기한 걸림쇠의 밑에 보호천을 댐으로써 살집이 물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촉감의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는 압박대에 관한 것.

Description

압박대
제1도는 종래의 압박대를 펼쳐 놓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2도의 (a)는 종래의 압박대가 굵은 팔뚝에 감겨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종래의 압박대가 가는 팔뚝에 감겨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박대의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A-A부분의 단면도이고,
제5도는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박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50 : 천 31, 51 : 커넥터
33, 34, 53, 54 : 암,수 패스터 35, 55 : 걸림쇠
36, 56 : 완충부
이 고안은 압박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팔뚝 굵기의 상하 차이에 의한 감음오차를 삼각형 걸림쇠로 보정함으로써 불필요한 가압을 제거하고, 상기한 삼각형 걸림쇠의 밑에 보호천을 댐으로써 살집이 물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촉감의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는 압박대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혈압은 의학적으로 중요한 요소이다.
병원에서는 환자의 혈압을 검사하기 위하여, 환자의 팔뚝에 압박대를 감은 뒤에 펌프질을 함으로써 압박대가 환자의 팔뚝에 밀착되도록 하고, 이어서 인체의 동맥으로부터 전달되는 맥파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전자회로를 통하여 처리함으로써 사람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압박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압박대를 펼쳐 놓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2도의 (a)는 종래의 압박대가 굵은 팔뚝에 감겨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의 (b)는 종래의 압박대가 가는 팔뚝에 감겨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압박대의 구성은,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지는 천(10)과, 천(1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에어백을 혈압계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11)와, 천(1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진 뒤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 제2 패스터(+) (12,13) 및 패스터(-) (14)와 천(1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쇠(15)와 천(10)이 걸림쇠(15)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완충부(1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압박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도의 (a),(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체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완충부(16)를 걸림쇠(15)에 집어 넣은 뒤에 반대방향으로 끌어 올려서 압박대가 원기둥의 형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원기둥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압박대의 내부로 피측정자의 팔뚝이 들어가도록 한 뒤에, 완충부(16)쪽의 천을 끌어 당겨서 천(1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지도록 한다.
천(1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지면, 제1 패스터(+) (12) 또는 제2 패스터(+) (13)가 패스터(-) (14)와 함께 잠겨지도록 함으로써 천(1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경우에, 제2도의 (a)에서와 같이 압박대가 굵은 팔뚝에 감겨질 때는 제1 패스터(+) (12)와 패스터(14)가 서로 잠겨지게 되고,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압박대가 팔뚝에 감겨질 때는 제2 패스터(+) (13)와 패스터(14)가 서로 잠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박대가 피측정자의 팔뚝에 장착되면, 커넥터(11)를 통해서 천(10)의 내부에 있는 에어백으로 공기가 주입된 뒤에 미세배기됨으로써 혈압을 측정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압박대는, 'C'자 형태를 취하고 있는 걸림쇠(15)가 반복적으로 계속되는 압력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한채로 가압을 하게 되면 걸림쇠 끝부분의 예리한 모서리가 인체에 손상을 입히게 되어 의료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을 해소하기 위하여, 걸림쇠가 없이도 압박대를 인체에 단단하게 조일 수 있음으로써 사용 안전도를 높임과 동시에 원가절감의 효과를 갖는 압박대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11111호(출원일자 : 서시 1994년 5월 19일)의 압박대가 본 출원인에 의해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압박대를 포함한 종래의 압박대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음으로써, 팔뚝에 압박대를 감는 경우에 팔뚝의 아랫부분에는 압박대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압박대에 의해 감겨지는 부분의 팔뚝의 굵기가 위아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은,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가압을 하는 경우에 팔뚝에 밀착되지 않은 부분을 위하여 불필요한 가압을 더 필요로 하게 된다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팔뚝 굵기의 상하 차이에 의한 감음오차를 삼각형 걸림쇠로 보정함으로써 불필요한 가압을 제거하고, 상기한 삼각형 걸림쇠의 밑에 보호천을 댐으로써 살집이 물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촉감의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는 압박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지는 천과, 천의 내부에 들어 있는 에어백을 혈압계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와, 천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진 뒤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암, 수 패스너와,
천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삼각 걸림쇠와, 천이 걸림쇠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완충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다른 구성은,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지는 천과, 천의 내부에 들어 있는 에어백을 혈압계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와,
천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진 뒤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암, 수 패스너와,
상기한 천에 삼각형태로 연결되어 상기한 천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쇠와,
천이 걸림쇠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완충부로 이루어진다.
이 고안의 구성은, 상기한 걸림쇠가 인체를 집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보호천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완충부의 주변 형상은 삼각 걸림쇠에 쉽게 들어가기 위하여 테이퍼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박대의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박대의 구성은,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지는 천(30)과, 천(3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에어백을 혈압계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31)와, 천(3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진 뒤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암, 수 패스너(33, 34)와, 천(3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삼각 걸림쇠(35)와, 천(30)이 삼각 걸림쇠(35)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테이퍼형 완충부(36)와, 삼각 걸림쇠(35)가 인체를 집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보호천(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천(30)은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박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인체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측정자는 천(30)을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은 뒤에, 테이퍼형 완충부(36)를 삼각 걸림쇠(35)에 집어 넣어 반대방향으로 끌어 올림으로써 압박대가 원기둥의 형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한 테이퍼형 완충부(36)는, 삼각 걸림쇠(35)에 집어 넣는 경우에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테이퍼형으로 구성한다.
다음에, 원기둥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압박대의 테이퍼형 완충부(36)쪽의 천을 끌어 당겨서 천(3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지도록 한다.
천(3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지면, 암, 수 패스너(33, 34)가 서로 잠겨지도록 함으로써 천(3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경우에, 삼각 걸림쇠(35)에 의해 감음오차가 보정됨으로써 압박대가 피측정자의 팔뚝의 아래부분도 단단하게 조여주게 된다. 따라서, 가압시에 불필요한 가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호천(32)이, 피측정자가 삼각 걸림쇠(35)로부터 받는 압박을 완화시켜줌으로써 피측정자에게 편안한 촉감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압박대가 피측정자의 팔뚝에 장착되면, 커넥터(31)를 통해서 천(30의 내부에 있는 에어백으로 공기가 주입된 뒤에 미세배기됨으로써 피측정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가 있다.
제5도는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박대의 평면도이다.
제5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박대의 구성은,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지는 천(50)과, 천(5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에어백을 혈압계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51)와, 천(5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진 뒤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암, 수 패스터(53, 54)와, 천(50)에 삼각형태로 연결되어 천(50)이 피측정자의 팔뚝에 단단히 조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삼각 걸림쇠(55)와, 천(50)이 걸림쇠(55)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테이퍼형 완충부(56)와, 걸림쇠(52)가 인체를 집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보호천(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천(50)은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박대의 작용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팔뚝 굵기의 상하 차이에 의한 감음오차를 삼각형 걸림쇠로 보정함으로써 불필요한 가압을 제거하고, 상기한 삼각형 걸림쇠의 밑에 보호천을 댐으로써 살집이 물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촉감의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는 압박대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의료기기 분야에서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6)

  1.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지는 천과, 상기한 천의 내부에 들어 있는 에어백을 혈압계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와, 상기한 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천의 한쪽 끝을 고정할 수 있는 암, 수 패스너와, 상기 패스너중 하나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한 천의 한쪽 끝이 끼워져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 나오며 팔뚝의 위 부분과 아래 부분의 굵기 차이에 의한 틀어짐이 정상 상태로 보정되도록 끼워지는 천의 길이 방향과 되돌아 나오는 천의 길이 방향이 경사지게 상기 천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압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가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천에 결합되어 있는 보호천을 더 포함하는 압박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은 상기 걸림쇠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쪽 끝단이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압박대.
  4. 피측정자의 팔뚝에 감겨지는 천과, 상기한 천의 내부에 들어 있는 에어백을 혈압계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와, 상기한 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천의 한쪽 끝을 고정할 수 있는 암, 수 패스너와, 상기 패스너중 하나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한 천의 한쪽 끝이 끼워져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 나오며 팔뚝의 위 부분과 아래 부분의 굵기 차이에 의한 틀어짐이 정상 상태로 보정되도록 끼워지는 천의 길이 방향과 되돌아 나오는 천의 길이 방향이 경사지게 상기 천에 결합되어 있는 삼각 걸림쇠를 포함하는 압박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가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천에 결합되어 있는 보호천을 더 포함하는 압박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은 상기 걸림쇠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쪽 끝단이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압박대.
KR2019950010925U 1995-05-22 1995-05-22 압박대 KR0137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925U KR0137148Y1 (ko) 1995-05-22 1995-05-22 압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925U KR0137148Y1 (ko) 1995-05-22 1995-05-22 압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304U KR960036304U (ko) 1996-12-16
KR0137148Y1 true KR0137148Y1 (ko) 1999-03-20

Family

ID=1941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925U KR0137148Y1 (ko) 1995-05-22 1995-05-22 압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1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05Y1 (ko) 2023-04-03 2023-11-02 주식회사 안앤락 더블프레셔 관절 압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304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6648A (en) Limb protective covering
US5720712A (en) Reusable limb protector
EP0274735B1 (en) Self applied blood pressure cuff
US4294239A (en) Steady support abdominal splint
US4204534A (en) Limb and/or body restraint
US5038799A (en) Restraint system
KR0137148Y1 (ko) 압박대
CN210044230U (zh) 一种电子约束带
US5370605A (en) Cervical visualization harness
CN209808685U (zh) 一种骨科固定夹板
KR200144688Y1 (ko) 혈압계용 압박대
CN112568954B (zh) 一种创口处皮肤固定装置
CN212996946U (zh) 一种预防患者拔管的多功能约束护理套件
KR0139481Y1 (ko) 혈압계용 손목 압박대
CN216823820U (zh) 一种便携式运动损伤应急护理装置
CN215020097U (zh) 可视四肢保护性约束装置
CN208677534U (zh) 一种骨针保护套
CN216455559U (zh) 多功能约束床单
CN213430856U (zh) 一种精神病人用止痛支具
CN213310711U (zh) 一种便于调节的骨科用腿部关节固定装置
CN209884125U (zh) 心血管患者遥测监护仪一体式便携袋
CN209172696U (zh) 多功能眼部固定带
CN213993887U (zh) 一种新型约束带
CN211300590U (zh) 一种新型约束带
CN215915161U (zh) 一种多功能神经外科护理用约束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