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367B1 - Cup holder - Google Patents

Cup holder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367B1
KR0136367B1 KR1019950044037A KR19950044037A KR0136367B1 KR 0136367 B1 KR0136367 B1 KR 0136367B1 KR 1019950044037 A KR1019950044037 A KR 1019950044037A KR 19950044037 A KR19950044037 A KR 19950044037A KR 0136367 B1 KR0136367 B1 KR 013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fixing
center
support memb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4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26373A (en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367B1/en
Publication of KR97002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3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36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시이트 사이로 배치되는 센터 콘솔박스에 배치되어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띠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센터 콘솔박스의 전측부 내벽과 이에 연장되는 양 측벽의 전측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의 양측단이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 하단부에 전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절곡되는 상, 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턱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편이 콘솔박스의 내벽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면서 지지부재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구와, 그리고 중앙부분이 뚫려지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변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내측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후측의 탄발부재에 의하여 중앙부로 서로 마주하는 탄발력을 받으며, 서로 마주하는 면의 중앙부에 소정의 반원형 요입홈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면서 하나의 용기 고정공이 형성되는 한쌍의 용기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컵 홀더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which is disposed in a center console box disposed between front seats so that the cup holder can also be used as a support for a tape cassette.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both side ends are ben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ide of both side walls to be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jaws are bent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end, and bent to face each other again is formed Combination with the support member is made, the fixing piec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locking jaw is fixed to the fixing hole form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console box and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center portion is made of a square shape that is drilled Rotation is formed by a fixing projection that can be fixed to penetrate the support member through the central portion side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fram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edg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receives a resilient force facing each other to the center portion by the rear elastic member, facing each other The semi-circular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cup hold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cup holder member consisting of a pair of container support plate is formed with one container fixing hole facing each other.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Car Cup Holder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4도는 본 발명의 컵 홀더를 다른 용도로 사용한 예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n example in which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other purposes.

제5도의 (a), (b)는 컵 홀더와 지지 플레이트와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실시예도.Figure 5 (a), (b)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up holder and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시이트 사이로 배치되는 센터 콘솔박스에 배치되어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which is disposed in a center console box disposed between front sheets so as to be used as a support for a tape cassette.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장시간 운행하는 경우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들은 각종 음료수나 식수를 마시고 싶은 욕구가 생기게 되는 바, 장거리 여행을 떠나는 경우에는 식수나 음료수를 준비하게 된다.In general, when driving a car for a long time, the driver or passengers have a desire to drink a variety of drinks or drinking water, so if you are going to travel long distance to prepare a drink or a drink.

그리고 자동차의 운행중에 준비한 식수나 음료수를 마시게 되는데, 운전을 직접 하지 않는 탑승자들로서는 컵이나 캔음료 등을 손으로 잡고 마실 수 있으나, 운전자들은 컵이나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이나 음료수가 들어 있는 캔을 들고 운전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the drinking water or drink prepa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r is drunk, while passengers who do not drive directly can hold a cup or a drink with their hands, but drivers can hold a cup or a drink containing a drink or a can. You will not be able to drive.

이에 따라 최근 제작 판매되고 있는 차량에 있어서는 운전자들이 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는 한도내에서 식수나 음료를 먹을 수 있도록 컵 홀더를 장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Accordingly, in a vehicle that is recently manufactured and sold, it is common to mount a cup holder so that drivers can eat drinking water or drink within a limi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safe driving.

그러나 종래의 컵 홀더는 대개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부로 위치하는 페이서 패널의 하단부에 인출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편적인 바, 컵 홀더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cup holder is generally formed to be pulled out at the lower end of the pacer panel, which is usually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and only serves as a cup holder.

그리고 최근의 자동차에는 라디오와 테이프 레코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오디오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데, 일반 자동차의 경우에는 테이프 카세트를 보관할 수 없는 테이프 카세트 홀더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바, 대개의 운전자들은 프론트 시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콘솔박스에 테이프를 보관하는 것이 보편적이다.And recent cars have an audio system in which radio and tape records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case of ordinary cars, there is no tape cassette holder that cannot hold a tape cassette. Most drivers are placed between the front seats. It is common to store the tape in the center console box.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센터 콘솔박스에 테이프 카세트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이들 카세트를 지지하여 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바, 자동차가 운행 조건에 따라 진동을 하는 경우에 테이프 카세트의 유동으로 잡음을 발생케 한다는 폐단이 있었다.However, when storing tape cassettes in the center console box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means for supporting these cassettes, and noise is generated by the flow of the tape cassette when the vehicle vibrates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There was a dismissal to mak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 시이트 사이로 배치되는 센터 콘솔박스에 배치되어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컵 홀더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that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a tape cassette, which is disposed in a center console box disposed between the front sheets. .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센터 콘솔박스의 전측부 내벽과 이에 연장되는 양 측벽의 전측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그의 양측단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 하단부에 전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절곡되는 상, 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턱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편이 콘솔박스의 내벽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면서 지지부재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구와; 중앙부분이 뚫려진 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변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내측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후측의 탄발부재에 의하여 중앙부로 서로 마주하는 탄발력을 받으며, 서로 마주하는 면의 중앙부에 소정의 반원형 요입홈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면서 하나의 용기 고정공이 형성되는 한쌍의 용기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컵 홀더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In order to realize th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med of a member having a shape in which both ends of the center are bent so as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ront side of the center console box and both side walls extending there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bent to the front side, and the upper and lower locking jaws are bent to face each other again to form a coupling with the support member, and the fixing piec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cking jaw is formed as the inner wall of the console box. A fixture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while being fixed to the fixing hole; A guide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t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edg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is formed, and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penetrating member through the supporting member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The frame and the guide groov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receives a resilient force facing each other to the center portion by the rear elastic member, a predetermined semi-circular recessed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fixed to one container facing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including a cup holder member comprising a pair of container support plates in which balls are formed.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부호 2는 컵 홀더를 지칭한다.1 to 5 show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2 denotes a cup holder.

상기 컵 홀더(2)는 지지부재(4)와 고정구(6) 그리고 컵홀더 부재(8)로 이루어진다.The cup holder 2 consists of a supporting member 4, a fastener 6 and a cup holder member 8.

상기에서 지지부재(4)는 형상의 부재로서, 콘솔박스(10)의 전측부 내벽과 이에 연장되는 양 측벽의 전측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의 양측단이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support member 4 is a member having a shape, and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both side ends thereof are ben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console box 10 and the front side portions of both side walls extending therefrom.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를 콘솔박스(10)의 전측부 내벽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구(6)는 그의 상, 하단부에 전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절곡되는 상, 하 걸림턱(14), (1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4), (16)의 중앙부에는 선단으로 각각 상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18), (20)을 갖는 고정편(22), (24)이 돌설된다.And the fastener 6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4 to the inner side wall of the front side of the console box 10 is bent in the upper side, the lower end i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and lower locking jaw bent to face each other again ( 14, 16 are formed, and the fixing pieces 22, 24 having protruding jaws 18, 20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respectively, at the central portions of the engaging jaws 14, 16. This is rushing.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14), (16)을 이용하여 지지부재(4)와 고정구(6)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편(22), (24)이 콘솔박스(10)의 내벽으로 형성된 고정공(26), (28)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지지부재(4)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4 and the fastener 6 are coupled using the locking jaws 14 and 16, and the fixing pieces 22 and 24 serve as inner walls of the console box 10. By inserting and fixing the formed fixing holes 26 and 28, the supporting member 4 is fixed.

그리고 상기 고정구(6)는 그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이 개구되어 그 중앙부를 관초하여 컵 홀더부재(8)가 지지부재(4)에 고정되는데, 상기 컵 홀더부재(6)는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외곽을 이루는 프레임(30)과,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지지판(32), (34)과, 상기 용기 지지판(32), (34)이 프레임(30)의 중앙부로 밀릴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36), (38)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astener 6 has a portion except for the edge of the fastener 6, and the cup holder member 8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4 through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the cup holder member 6 is shown in FIGS. 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er frame 30, two pairs of container support plates 32 and 34, and the container support plates 32 and 34 can be pushed to the center of the frame 30. It is composed of a bullet member 36, 38 to exert an elastic force so that.

상기에서 프레임(30)은 중앙부분이 뚫려진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일측변 중앙부에는 고정돌기(40)가 돌설되는데, 그 고정돌기(40)의 선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둘레턱(42), (44)이 형성되며, 그 둘레턱(42), (44) 간격은 지지부재(4)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In the frame 30 is a rectangular fram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drilled, the fixing protrusion 40 is protru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4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eripheral jaw 42 ) And (44) are formed, and the gaps between the circumferential jaws 42 and 44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supporting member 4.

즉, 내측단 둘레턱(42) 부분이 지지부재(4)에 형성된 관통공(46)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이의 둘레턱(42), (44)이 컵 홀더부재(6)를 지지부재(4)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inner end circumferential jaw 42 part is coupled through the through hole 46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4, so that the circumferential jaws 42 and 44 support the cup holder member 6 with the support member ( 4) to be fixed.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40)는 그의 단면이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약간의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고정돌기(40)가 관통되는 관통공(46) 또한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고정돌기(40)가 회전하여 그의 장경부가 관통공(46)의 단경부와 접촉이 이루어질 때 고정돌기(40)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컵 홀더부재(6)의 회전을 억제토록 한 것이다.And the fixing protrusion 40 is made of a slight elliptical cross-sec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through-hole 46 through which the fixing protrusion 40 is also made of an oval made of the fixing protrusion 40 is rotated Thus, when the long diamet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46 is in contact with the short diameter portion, the fixed protrusion 40 is prevented from flowing, thereby suppressing the rotation of the cup holder member 6.

또한, 프레임(30)은 내측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이에 용기 지지판(32), (34)이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용기 지지판(32), (34)은 서로 마주하는 면의 중앙부에 소정의 반원형 요입홈(48), (50)을 형성하여 서로 마주하면서 하나의 용기 고정공(52)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frame 30 has a guide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t the center of the inner edge thereof, and thus the container support plates 32 and 34 are inserted therein so as to slide back and forth, and the container support plates 32 and 34 are provided. ) Forms a predetermined semi-circular recessed groove 48, 50 in the center of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to be one container fixing hole 52 while facing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용기 지지판(32), (34)은 그의 전, 후측단이 프레임(30)에 매몰되는 탄발부재(36), (38)에 의하여 탄지되어 항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발력을 받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support plates 32 and 34 are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s 36 and 38 whose front and rear ends are buried in the frame 30 to receive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이에 따라 식수 또는 음료가 들어 있는 용기(54)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기 지지판(32), (34)이 탄발부재(36), (38)의 탄발력을 받으며, 견고하게 음료 용기(54)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ntainer 54 containing the drinking water or beverage, the container support plates 32 and 34 receive the elasticity of the carburetor members 36 and 38 and firmly open the beverage container 54. It can be fixed.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컵 홀더(2)는 컵 홀더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제1도 내지 제3도에서와 컵 홀더부재(6)를 넓은 면적부가 상하측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용기 고정공(52)에 음료 용기(54)를 삽입하여 컵 홀더로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When the cup hold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up holder, the container fixing hole 52 is shown in FIGS. 1 to 3 and in a state in which the cup holder member 6 has a large area directed upward and downwar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insert the beverage container 54 into the cup holder, and to use it as a cup holder.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56)의 지지구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컵 홀더부재(6)를 90도 회전시키고, 콘솔박스(10)의 측벽과 컵 홀더부재(6) 사이에 테이프 카세트(56) 혹은 디스크(58)를 삽입하면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어 테이프 카세트(56) 혹은 컴팩트 디스크(58)의 유동으로 인한 잡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using as a support for the tape cassette 56, as shown in FIG. 4, the cup holder member 6 is rotated 90 degrees, and the tape cassette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console box 10 and the cup holder member 6. Insertion of the 56 or the disk 58 provides a firm support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flow of the tape cassette 56 or the compact disk 58.

또한, 상기와 같이 음료 용기(54)나 테이프 카세트(56) 및 컴팩트 디스크(58)를 지지한 후에 콘솔박스(10)의 도어(60)를 닫으면 이들이 은폐됨으로써, 이들의 노출로 인하여 외관을 좋지 않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door 60 of the console box 10 is closed after supporting the beverage container 54, the tape cassette 56, and the compact disk 58 as described above, they are concealed, so that the appearance is poor due to their exposure.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 시이트 사이로 배치되는 센터 콘솔박스에 배치되어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많은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nvention that can be used in a center console box disposed between the front sheets so that it can also be used as a support for a tape cassette.

Claims (1)

띠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센터 콘솔박스의 전측부 내벽과 이에 연장되는 양 측벽의 전측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의 양측단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 하단부에 전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절곡되는 상, 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턱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편이 콘솔박스의 내벽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면서 지지부재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구와, 그리고 중앙부분이 뚫려지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변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내측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후측의 탄발부재에 의하여 중앙부로 서로 마주하는 탄발력으로 받으며, 서로 마주하는 면의 중앙부에 소정의 반원형 요입홈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면서 하나의 용기 고정공이 형성되는 한쌍의 용기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컵 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A support member formed of a band-shaped member and bent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ront side of the center console box and the front side portions of both sidewalls extending therefrom; The upper and lower locking jaw is formed to be bent in an opposite shape to form a coupling with the support member, and the fixing piec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cking jaw is fixed to the fixing hole formed by the inner wall of the console box to fix the supporting member. The main body has a fastener and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is drilled, and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penetrating member through the supporting member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The fram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having a depth, and coupled to the guide groove by the rear elastic member Received by a resilient force facing each other to the cent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p holder member consisting of a pair of container support plat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emi-circular recessed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one container fixing hole facing each other Cup holder for the car.
KR1019950044037A 1995-11-28 1995-11-28 Cup holder KR0136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037A KR0136367B1 (en) 1995-11-28 1995-11-28 Cup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037A KR0136367B1 (en) 1995-11-28 1995-11-28 Cup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373A KR970026373A (en) 1997-06-24
KR0136367B1 true KR0136367B1 (en) 1998-05-01

Family

ID=1943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4037A KR0136367B1 (en) 1995-11-28 1995-11-28 Cup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36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373A (en)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3677Y1 (en) A stand for handy-phone using in a car
JPH08207640A (en) Cup holder
KR0136367B1 (en) Cup holder
JP3594045B2 (en) Cup holder unit
JPH1059048A (en) Cup holder for vehicle
JPH0331621Y2 (en)
JP3251981B2 (en) Container support device
KR200155196Y1 (en) Cupholder of console box
JPH07266966A (en) Floor console device for vehicle
JP2001114009A (en) Cup holder
JPH0443390Y2 (en)
JP2569737Y2 (en) Door trim mounting clip
JP3650831B2 (en) Cup holder
JPS6039300Y2 (en) Lid with drop holder for automotive floor console box
JPH06115389A (en) Container support device
JP3205667B2 (en) Door lock device in refrigerator
JPS6236459Y2 (en)
KR100427980B1 (en) Folding Slide-Cup Holder-Mount Structure in Automobile-Console Box
JPS5972487U (en) Cold storage door shelf device
KR200186763Y1 (en) Cassette tape holder of vichle
JPH06115391A (en) Container support device
KR20010028180A (en) Device for Cup Holder Establishing Rearseat in Vehicles
KR0181457B1 (en) Cupholder with a console
KR200161585Y1 (en) A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KR100337778B1 (en) Cup hold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