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179Y1 -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179Y1
KR0136179Y1 KR2019950021430U KR19950021430U KR0136179Y1 KR 0136179 Y1 KR0136179 Y1 KR 0136179Y1 KR 2019950021430 U KR2019950021430 U KR 2019950021430U KR 19950021430 U KR19950021430 U KR 19950021430U KR 0136179 Y1 KR0136179 Y1 KR 0136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water
cold water
bottle
bottl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638U (ko
Inventor
이차준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1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179Y1/ko
Publication of KR970010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6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고내에 저장된 냉수를 냉장고의 도아를 개방하지 않고도 고외에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냉장고의 고내(41)를 개폐시키도록 냉장고의 본체에 배설된 도아(40)와, 상기 도아(40)에 배설되어서 고외에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냉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하여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생수통(1)을 고정시키며 상기 도아(40)의 내측에 배설되고 하부에 숫나사부(12)가 형성된 고정수단(10)과, 상기 고정수단(10)에 의해 고정된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수단(10)의 숫나사부(12)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3)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생수통(1)의 일측을 절결시키는 절결부재(21)가 돌설된 코크수단(20)으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생수통을 고내에 배설하여 사용자가 고외에서 생수통에 저장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써 위생적인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여 보건 위생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있음과 동시에 사용의 편리성으로 제품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물분배장치가 배설된 냉장고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물분배장치가 배설된 냉장고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물분배장치의 주요부분을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수통 2 : 저장부
10 : 고정수단 11 : 몸체
12 : 숫나사부 13 : 힌지부재
14 : 탈착부 15 : 제1돌설부
16 : 제2돌설부 17 : 체결부재
18 : 구멍 19 : 지지부
20 : 코크수단 21 : 절결부재
22 : 테이퍼면 23 : 암나사부
24 : 취출구 30 : 제어장치
31 : 제어수단 32 : 밸브부재
40 : 도아 41 : 고내
50 : 가이드부재 51 : 칼날
60 : 씨일부재 70 : 패킹수단
본 고안은 냉장고의 고내에 저장된 냉수를 냉장고의 도아를 개방하지 않고도 고외에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일반 생수통의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수통을 도아의 내측에 장착하여 고외에서 뚜껑이 개방되지 않은 생수통에 저장된 생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도아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고외에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는 여러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의 일예로써는 일본국의 三菱電氣株式會社에서 일본국에 1972년 10월 18일자로 실용신안출원하여서 1975년 10월 31일자로 공고된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소 50-37546호가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소 50-37546호에 의한 종래의 냉장고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용레버(15')의 지점축(16')을 수용하는 베어링부(24')와, 상기 베어링부(24')에 상기 지점축(16')을 착탈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스프링부(28')를 구비한 고정구(25')를 도아(2')외측부에 설치하고, 또 상기 고정구(25')에는 상기 조작용레버(15')에 반전력을 부여하는 제2스프링부(2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에 의하면 상기 조작용레버(15')를 냉장고의 본체(1')를 개폐시키는 도아(2')로 부터 착탈할 수 있으므로써 물분배장치부분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는 상기 도아(2')의 내측에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재(7')가 전용으로 사용되었다.
즉, 상기 도아(2')의 내측에 장착되는 상기 저장부재(7')에 생수를 충만시키기 위해서는 시판되는 생수통을 열고 전용의 상기 저장부재(7')를 상기 도아(2')로부터 추출하여서 상기 저장부재(7')에 생수를 충만시켜야 했다.
이로 인해서, 상기 저장부재(7')에 생수를 충만시키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세균이 함유되므로써 비위생적임은 물론이고 사용이 불편하여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된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 생수통의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수통을 도아의 내측에 장착한 후 사용자가 고외에서 뚜껑이 개방되지 않은 생수통에 저장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생적인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의 편리성으로 제품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물분배장치는 냉장고의 고내를 개폐시키도록 냉장고의 고내를 개폐시키도록 냉장고의 본체에 배설된 도아와, 상기 도아에 배설되어서 고외에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냉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생수통에 저장된 냉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생수통을 고정시키며 상기 도아의 내측에 배설되고 하부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기 생수통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수단의 숫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생수통에 저장된 냉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생수통의 일측을 절결시키는 절결부재가 돌설된 코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에 의하면,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생수통을 고정수단이 고정함과 동시에 코크수단의 절결부재가 생수통의 일측을 절결시켜 사용자가 고외에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위생적임과 동시에 사용이 편리하여 소비자에게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물분배장치가 배설된 냉장고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물분배장치의 주요부분을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40)은 냉장고의 고내(41)를 개폐시키는 도아로써, 그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는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생수통(1)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0)이 배설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10)은 상기 생수통(1)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부에 지지부(19)가 형성되고 하부의 외주면에 숫나사부(12)가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지지부(19)와 힌지부재(13)에 의해서 힌지결합되어서 상기 생수통(1)의 다른 일부와 면접촉되어 상기 생수통(1)을 탈착시키는 탈착부(14)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몸체(11)의 지지부(19)에는 제1돌설부(15)가 돌설되고, 상기 탈착부(14)에는 상기 제1돌설부(15)와 볼트등의 체결부재(17)에 의해서 체결되어 상기 탈착부(14)와 상기 지지부(19)에 의해 상기 생수통(1)이 유동됨이 없도록 고정시키는 제2돌설부(16)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착부(14)에는 구멍(18)이 형성되고, 이 구멍(18)에는 상기 생수통(1)의 일측에 구멍을 천공시키는 칼날(51)이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생수통(1)의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가이드부재(50)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탈착부(14)의 구멍(18)에는 상기 고정수단(10)에 고정된 상기 생수통(1)의 내부에 저장된 냉수가 후술하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생수통(1)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칼날(51)이 돌설된 가이드부재(50)가 고착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10)의 지지부(19)와 탈착부(14)의 내측면에는 기밀을 유지시키는 씨일부재(60)가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10)에 상기 생수통(1)이 고정될 경우 상기 생수통(1)이 유동됨이 없도록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19)와 상기 탈착부(14)의 내측면에는 씨일부재(60)가 고착되어 있다.
한편, 그림에서 (20)은 상기 고정수단(10)의 숫나사부(12)와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후술하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고외로 배출되도록 취출구(24)가 형성된 코크수단으로써,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수단(10)의 숫나사부(12)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3)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원활하게 취출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테이퍼면(22)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면(22)의 대체로 중심은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취출되도록 취출구(24)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22)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취출구(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생수통(1)의 측면 소정의 위치를 절결시키는 칼날(211)이 형성된 절결부재(21)가 돌설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10)과 상기 코크수단(20)이 나사결합될 경우 상기 고정수단(10)와 상기 코크수단(20)의 내부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수를 저장시키는 저장부(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0)과 상기 코크수단(20)의 사이에는 상기 저장부(2)에 저장된 냉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수단(70)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코크수단(20)에는 상기 저장부(2)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취출구(24)를 통해서 고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취출구(24)를 개폐시키는 제어장치(30)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어장치(30)는 상기 취출구(24)를 개폐시키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밸브부재(32)와, 상기 밸브부재(3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31)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저장부(2)에 저장된 냉수가 고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의 생수통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뚜껑이 개방되지 않은 생수통(1)을 준비하고, 상기 고정수단(10)의 체결부재(17)를 풀어서 상기 탈착부(14)를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제켜서 상기 코크수단(20)의 취출구(24)가 상부에서 보이도록 한다.
또, 상기 탈착부(14)를 제킨후에는 상기 생수통(1)을 상기 고정수단(10)의 지지부(19)에 재치시켜 상기 생수통(1)이 상기 고정수단(10)에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0)의 지지부(19)에 상기 생수통(1)을 지지시킨 후에는 상기 탈착부(14)를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제켜 상기 탈착부(14)의 제2돌설부(16)와 상기 지지부(19)의 제1돌설부(15)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1돌설부(15)와 상기 제2돌설부(16)가 접촉되면 상기 체결부재(17)로써 상기 제1돌설부(15)와 상기 제2돌설부(16)를 체결한다.
또, 상기 제1돌설부(15)와 상기 제2돌설부(16)를 체결하면 상기 생수통(1)이 상기 고정수단(10)에 의해서 유동됨이 없이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생수통(1)에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칼날(51)에 의해 구멍이 천공되어 상기 생수통(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0)에 상기 생수통(1)을 유동됨이 없이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코크수단(20)을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 C 혹은 D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코크수단(20)을 화살표 C 혹은 D 방향으로 유동시키면 상기 코크수단(20)의 절결부재(21)에 형성된 칼날(211)에 의해 상기 생수통(1)의 일측에 절결된 구멍이 형성되게 된다.
또, 상기 생수통(1)의 소정의 위치에 절결된 구멍이 형성될경우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고정수단(10)과 상기 코크수단(20)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저장부(2)로 공급되어 저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2)로 저장된 냉수는 상기 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취출구(24)를 통해 배출되므로써 사용자가 고외에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물분배장치는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상기 생수통(1)을 상기 고정수단(10)으로 고정시킨후 상기 코크수단(20)을 유동시키면 상기 생수통(1)의 일측 소정의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생수동(1)에 형성된 구멍으로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저장부(2)에 저장되어 상기 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냉수를 고외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장착된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뚜껑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생수통(1)을 상기 고정수단(10)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상기 도아(40)에 상기 생수통(1)을 장착할 수 있다.
또, 상기 생수통(1)을 뚜껑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아(40)에 장착하므로서 보다 위생적인 냉수를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보건 위생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30)의 제어수단(31)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32)가 상기 취출구(24)를 개방하므로써 상기 저장부(2)에 저장된 냉수를 용이하게 고외에서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생수통(1)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칼날(51)에 의해 구멍이 천공되어 상기 생수통(1)의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므로 보다 원할하게 사용자가 고외에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에 의하면,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생수통을 고내에 배설하여 사용자가 고외에서 생수통에 저장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써 위생적인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여 보건 위생에 이바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의 편리성으로 제품의 신뢰도롤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냉장고의 고내(41)를 개폐시키도록 냉장고의 본체에 배설된 도아(40)와, 상기 도아(40)에 배설되어서 고외에서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냉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물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하여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생수통(1)을 고정시키며 상기 도아(40)의 내측에 배설되고 하부에 숫나사부(12)가 형성된 고정수단(10)과, 상기 고정수단(10)에 의해 고정된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수단(10)의 숫나사부(12)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3)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생수통(1)의 일측을 절결시키는 절결부재(21)가 돌설된 코크수단(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0)은, 상기 생수통(1)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부에 지지부(19)가 형성되고 하부의 외주면에 숫나사부(12)가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지지부(19)와 힌지부재(13)에 의해서 힌지결합되어서 상기 생수통(1)의 다른 일부와 면접촉되어 상기 생수통(1)을 탈착시키는 탈착부(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지지부(19)에는 제1돌설부(15)가 돌설되고, 상기 탈착부(14)에는 상기 제1돌설부(15)와 볼트등의 체결부재(17)에 의해서 체결되어 상기 탈착부(14)와 상기 지지부(19)에 의해 상기 생수통(1)이 유동됨이 없도록 고정시키는 제2돌설부(16)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14)에는 상기 구멍(18)이 형성되고, 이 구멍(18)에는 상기 생수통(1)의 일측에 구멍을 천공시키는 칼날(51)이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생수통(1)의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가이드부재(5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0)의 지지부(19)와 탈착부(14)의 내측면에는 기밀을 유지시키는 씨일부재(60)가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수단(20)은, 외주면에 상기 고정수단(10)의 숫나사부(12)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3)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원할하게 취출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테이퍼면(22)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면(22)의 대체로 중심은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취출되도록 취출구(24)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22)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생수통(1)에 저장된 냉수가 상기 취출구(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생수통(1)의 측면 소정의 위치를 절결시키는 칼날(211)이 형성된 절결부재(21)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0)과 상기 코크수단(20)이 나사결합될 경우 상기 고정수단(10)와 상기 코크수단(20)의 내부 공간에는 냉수를 저장시키는 저장부(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과 상기 코크수단(20)의 사이에는 상기 저장부(2)에 저장된 냉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수단(70)이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KR2019950021430U 1995-08-19 1995-08-19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KR0136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430U KR0136179Y1 (ko) 1995-08-19 1995-08-19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430U KR0136179Y1 (ko) 1995-08-19 1995-08-19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38U KR970010638U (ko) 1997-03-29
KR0136179Y1 true KR0136179Y1 (ko) 1999-10-01

Family

ID=1942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430U KR0136179Y1 (ko) 1995-08-19 1995-08-19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1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38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2631A (en) Removable liquid container for insulated coolers
US6862896B1 (en) Cooler chest and can dispensing structure
US5857596A (en) Water dispenser of a refrigerator
US6039219A (en) Liquid dispens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AU2004238745B2 (en) Combination of a dispenser and container for carbonated drink
WO2001010767A2 (en) Cooler with beverage dispenser
US5743106A (en) Water dispenser of a refrigerator
US4121600A (en) Oral hygiene dispenser
EP2395303A2 (en) Single or multiple dispense of beverages from a bulk container on a refrigerator
CA2340681A1 (en) Dispensing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KR20190126635A (ko) 냉장고의 자동물공급장치
US5862952A (en) Water dispenser of a refrigerator
MXPA05013395A (es) Deposito de agua para un refrigerador.
KR0136179Y1 (ko) 냉장고의 물분배장치
US6814261B1 (en) Mouthwash dispenser
EP0938265B1 (en) Spout for a frozen dessert bag
ATE313963T1 (de) Maschine für die herstellung von gefrorenen süsswaren
US10337789B2 (en) Refrigerator with removable water tank
JP2655593B2 (ja) 冷蔵庫用水分配器
WO2006043246A1 (en) Beverage dispenser
JPH10132456A (ja) 冷蔵庫
JP2018111512A (ja) 飲料注出装置
US20040099689A1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N212138847U (zh) 一种随身杯
KR2008006817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