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457B1 - Hair cutter - Google Patents

Hair cutter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457B1
KR0135457B1 KR1019950003821A KR19950003821A KR0135457B1 KR 0135457 B1 KR0135457 B1 KR 0135457B1 KR 1019950003821 A KR1019950003821 A KR 1019950003821A KR 19950003821 A KR19950003821 A KR 19950003821A KR 0135457 B1 KR0135457 B1 KR 013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attachment
blade
main body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26631A (en
Inventor
쇼우지 후지가와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께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까 기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께,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까 기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께
Publication of KR95002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6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45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with provision for shearing hair of preselected or variable length
    • B26B19/205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with provision for shearing hair of preselected or variable length by adjustment of the cutting me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깎이높이를 설정한 후, 털의 깎이높이가 불시에 바뀌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헤어커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ir cutter which can reliably prevent the height of the hair sharply changed after setting the height of the sharpener.

본체 하우징(1)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날(3b) 및 가동날(3c)과 본체 하우징(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서 깎이높이를 변화시키는 어태치먼트(5)와 어태치먼트(5)를 조작하는 다이얼과 어태치먼트(5)의 이동과 다이얼(10)의 조작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어태치먼트(5)의 조작가능 위치와 조작불가능 위치에서 다이얼(10)을 이동가능하게 하고 또, 다이얼(10)이 조작불가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다이얼(10)의 회전 및 어태치먼트(5)의 이동을 저지하는 로크 수단(12)을 설치한다.(제1도)An attachment 5 and an attachment 5 for changing the cutting height by being installed on the fixed blade 3b and the movable blade 3c and the main housing 1 in an end direction of the main housing 1 so as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a linkage means for interlocking the operation of the dial and the movement of the attachment 5 and the operation of the dial 10 to move the dial 10 in an operable position and an unoperable position of the attachment 5; And locking means 12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dial 10 and movement of the attachment 5 in a state where the dial 10 is located at an inoperable position. (FIG. 1)

Description

헤어 커터Hair cutter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한 방향에서 투시한 부분 사시도.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direction.

제2도는 제1도 실시예를 다른 방향에서 투시한 부분 분해사시도.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bodiment of FIG. 1 from another direction.

제3도는 제1도 실시예의 어태치먼트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ttachment of the first embodiment.

제4도는 제1도 실시예의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분해사시도.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terior of the first embodiment.

제5도는 제1도 실시예의 다이얼의 회전불능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FIG. 5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non-rotatable state of the dial of the FIG. 1 embodiment; FIG.

제6도는 제1도 실시예의 다이얼의 회전불능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사시도.6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on-rotatable state of the dial of the embodiment of FIG. 1;

제7도는 제1도 실시예의 다이얼의 회전가능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FIG. 7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rotatable state of the dial of the first FIG. Embodiment; FIG.

제8도는 제1도 실시예의 다이얼의 회전가능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사시도.FIG. 8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able state of the dial of the FIG. 1 embodiment;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본체하우징 1b:안내부1: Body Housing 1b: Information Center

3b:고정날 3c:가동날3b: Fixed day 3c: Operation day

5:어태치먼트 5b:피안내부5: Attachment 5b: Blood guide

6:연동수단 9a:피걸림부6: Interlocking means 9a: blood caught part

10:다이얼 12:로크 수단10: Dial 12: Lock means

12a:걸림부12a: catching part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use]

본 발명은 전기 이발기나 전기 면도기의 트리머(trimmer)등 같이 머리나 수염 등의 털을 깎는데 쓰이는 헤어커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ir cutter for cutting hair such as a hair or a beard such as an electric hair clipper or a trimmer of an electric shaver.

[종래의 기술][Prior art]

종래부터, 이 종류의 헤어커터로선 일본국의 특허출원 공고공보의 평1-5203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것은 내부에 구동부를 수납한 본체와, 본체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날과 구동부에 의한 구동으로 고정날에 대해서 왕복 미끄럼 이동하도록 본체의 단부에 설치된 가동날과, 본체의 인체에 맞닿는 곳에 소정범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에 따라서 고정날 및 가동날 에 의한 털의 깎이 높이를 변화시키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를 조작하기 위해서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이얼과, 다이얼의 조작과 어태치먼트를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다이얼을 회전조작함으로써, 연동수단을 거쳐서 어태치먼트를 이동시키므로, 어태치먼트로 인체와 고정날 또는 가동날의 절단 위치와의 간격을 규제하고 깎이높이를 조정하게 되어 있다.Conventionally, this kind of hair cutter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52034. It moves to a predetermined range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main body housing the drive unit, the fixed blade provided at the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movable blade provided at the end of the main body to reciprocate sliding with respect to the fixed blade by the drive by the drive unit. It is installed as possible, the attachment to change the height of the hair clipper by the fixed blade and the movable blad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the dial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perate the attachment, the interlocking means for interlocking the operation and attachment of the dial Equipped with. Then, by rotating the dial, the attachment is moved through the interlocking means. Thus, the attachment reg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cutting position of the fixed blade or the movable blade and adjusts the sharpening height.

또, 이 종래예에서 어태치먼트에 걸리는 외력으로 어태치먼트가 불시에 이동해서 깎이 높이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이얼의 회전축에 다이얼의 외경보다 외경이 작은 피니언을 부착하는 동시에, 연동수단의 단부에 설치한 랙을 피니언에 맞물리게 하므로써 다이얼측에서 어태치먼트를 이동시키는데 작은 힘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어태치먼트 측에서 다이얼을 돌리려면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에 클릭 스프링을 설치하고 다이얼에 설치한 작은 구멍에 클릭 스프링의 돌기를 탄성 걸어맞춤으로써 다이얼의 자유로운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conventional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attachment from moving unexpectedly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attachment, the height of the sharpener is changed, a pinion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al is attach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dial, and provided at the end of the linkage means. By engaging the rack with the pinion, a small force is required to move the attachment on the dial side and a large force is required to turn the dial on the attachment side. In addition, free rotation of the dial is restricted by providing a click spring in the main body and elastically engaging the projection of the click spring with a small hole provided in the dial.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Problems to Solve Invention]

상기 종래예에 있어선 상기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므로써 어태치먼트에 어느 정도의 힘밖에 걸리지 않을때엔 어태치먼트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오동작을 방지하는 기능은 충분하다고 할 수 없었다. 즉, 상기 종래예의 것으로는 사용중에 어태치먼트에 과대한 힘이 작용하거나 잘못 다이얼을 돌리거나 하면 어태치먼트가 불시에 이동되고 말며, 털의 깎이 높이가 바뀐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xample, when the attachment takes only a certain amount of force by adopt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attachment is configured to prevent malfunction, but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malfunction is not sufficient. That i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if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or the dial is incorrectly used during use, the attachment is unintentionally moved and the hair clipper height is changed.

또, 어태치먼트를 슬라이드식으로 조작자에 의해서 조작하는 방식에 있어서, 예컨대, 일본국의 공개특허공보 평4-117986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같이 어태치먼트의 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로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있는데, 상기 종래예와 같이 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어태치먼트의 이동을 조작하는 것에선 불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로크 수단을 구비한 것이 없고, 상기 종래예의 구조인 것에서는 오동작을 하지 않게 로크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ttachment by the operator in a sliding manner, there is a locking means for reliably preventing the attachment of the attachment, a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Hei 4-117986. When the movement of the attachment is operated by rotating the dial as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xample, there is no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malfunction.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exampl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ocking so as not to malfunction. .

본 발명은 이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털의 깎이높이를 설정한 후, 이 깎이높이가 불시에 바뀌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헤어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the objective is to provide the hair cutter which can reliably prevent this height of a sharp change after setting the height of a sharpener of a hair.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헤어커터의 제 1특징은 깎이 높이 조정수단(5; 3b, 3c)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가능 위치와,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조작불능 위치에서, 상기 다이얼(10)을 이동가능하게 하고 다이얼(10)이 조작 불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다이얼의 회전 및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이동을 저지하는 로크 수단(1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feature of the hair cu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ble position that enables the operation of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5; 3b, 3c) and an inoperable operation that makes it impossible to operate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In the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12 is provided for moving the dial 10 and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dial and the movement of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while the dial 10 is in an inoperable position. do.

또, 제 2의 특징은 다이얼(10)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다이얼을 이동가능하게 하므로써 다이얼을 조작가능한 위치에 위치시키거나 조작 불능위치에 위치시키게 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feature is that the dial is positioned in an operable position or in an inoperable position by allowing the dial to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of the dial 10.

제 3의 특징은 다이얼(10)측에 설치한 피걸림부(9a)와 본체(1)측에 설치한 걸림부(12a)로 로크 수단(12)로 구성하고 다이얼을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조작불능 위치에 이동시켰을 때 피걸림부(9a)와 걸림부(12a)가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feature is the locking portion 12a provided on the dial 10 side and the locking portion 12a provided on the main body 1 side, which is composed of the locking means 12 and the operation of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ught portion 9a and the engaging portion 12a are caught when moved to the disabled position.

제 4의 특징은 다이얼(10)이 통상,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하도록 스프링(11)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fea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l 10 is pressurized with the spring 11 such that the dial 10 is normally located at an inoperable position of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제 5의 특징은 상기 깎이높이 조정수단이 인체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인체와 고정날(3b)이나 가동날(3c)의 절단 위치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어태치먼트(5)로 이루며, 이 어태치먼트(5)가 상기 본체(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feature is the attachment 5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cutting position of the fixed blade 3b or movable blade 3c by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contacting the human body. (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

제 6의 특징은 상기 본체(1)에 어태치먼트(5)를 소정방향으로 인도하는 안내부(1b)를 설치하는 동시에, 어태치먼트(5)에 안내부(1b)로 인도되는 피안내부(5b)를 설치하고 안내부(1b)와 피안내부(5b)로 안내해서 본체(1)에 대해서 어태치먼트(5)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xth feature is that the guide portion 1b for guiding the attachment 5 to the main body 1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s provided, and the guide portion 5b guided to the attachment portion 5 as the guide portion 1b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hment 5 is configur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1 by guiding the guide portion 1b and the guided portion 5b.

제 7의 특징은 상기 깎이높이 조정수단이 고정날(3b)의 두께를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얇아지게 형성하고 고정날(3b)과 가동날(3c)을 중첩한 상태에서 고정날(3b) 또는 가동날(3c)을 가동날의 왕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venth feature is that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is formed to become thinner as the thickness of the fixed blade 3b is directed toward the tip side, and the fixed blade 3b or the movable blade 3b and the movable blade 3c are overlapped. The blade 3c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movable blade.

[작용][Action]

제 1의 특징에 의하여 다이얼(10)을 조작가능 위치에 위치시키면 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연동수단(6)을 거쳐서 깎이높이 조정수단(5; 3b, 3c)을 이동시켜서 깎이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또, 다이얼(10)을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시키면, 다이얼을 회전해서 깎이높이를 조정할 수 없게 된다. 다이얼을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로크 수단(12)으로 깎이높이 조정수단이 이동하거나 다이얼(10)이 회전하지 않게 로크되며, 깎이높이 조정수단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다이얼(10)을 오조작하거나 해도 깎이높이 조정수단이 불시에 움직여서 깎이높이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dial 10 is positioned in the operable position by the first feature, the sharpener height can be freely adjusted by moving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5; 3b, 3c via the interlocking means 6 by rotating the dial. If the dial 10 is positioned at an inoperable position, the dial height cannot be adjusted by rotating the dial. When the dial is placed in an inoperable position,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is moved to the locking means 12 or the dial 10 is locked so as not to rotate,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or the dial 10 is misoperated. Even if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moves unintentionally, the sharpener height can be prevented from changing.

제 2의 특징에 의하면 다이얼(10)을 축방향으로 가압해서 이동시키므로서 다이얼(10)을 조작가능 위치에 이동시키거나 다이얼을 조작불능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고, 다이얼을 조작가능 위치에 이동시키거나 조작불능 위치에 이동시키는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feature, the dial 10 can be moved to an operable position or the dial can be moved to an inoperable position by pressing the dial 10 in the axial direction and moving the dial to the operable position. Or moving to an inoperable position becomes easy.

제 3의 특징에 의하면 다이얼(10)을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깎이높이 조정수단이 이동하지 않게 하는 동시에 다이얼이 회전하지 않게 로크하는 로크 수단(12)을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the locking means 12 which locks the dial not to rotate while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does not move in a state where the dial 10 is positioned at an inoperable position can be realized with a simple structure.

제 4의 특징에 의하면 통상 다이얼(10)의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있고 사용중에 깎이높이 조정수단이 불시에 동작하거나 다이얼이 불시에 회전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feature, the dial 10 is normally positioned at an inoperable posi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from being inadvertently operated or the dial from being inadvertently rotated during use.

제 5의 특징에 의하면 어태치먼트(5)가 소정 범위로 이동 가능으로 되어서 털의 깎이높이를 변화시키르로 깎이높이 조정수단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feature, the attachment 5 can be mov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o that the height of the sharpener can be easily realized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sharpener of the hair.

제 6의 특징에 의하면 어태치먼트(5)가 안내되어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가능으로 되므로 어태치먼트가 소정방향 이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the attachment 5 is guided and mov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the attachment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ut of the predetermined direction.

제 7의 특징에 의하면 고정날(3b) 내지 가동날(3c)을 이동시키므로서 깎이높이 조정수단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can be easily realized by moving the fixed blades 3b to the movable blades 3c.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8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선 전기 이발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lectric hair clipp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면부호(1)는 본체의 외각을 이루는 본체 하우징이며, 그 내부에 구동부인 모터(2)와 모터(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수용하고 있으며, 단부에는 날블록(3)이 착탁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이 본체 하우징(1)은 일면에 가늘고 긴 개구구멍(1a)을 가지며 다른면에 날블록(3)의 돌출하는 방향, 즉 전후방향에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된 안내부(1b)를 가지며 내부에 축받이부(1c)와 고정 리브(1d)를 갖고 있다.Reference numeral 1 is a main body housing forming an outer shell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es a motor 2, which is a driving unit,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2, and a blade block 3 is deposited at the end. It is mounted as possible. In addition, the main body housing 1 has an elongated opening hole 1a on one surface and a guide portion 1b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blade block 3 on the other surface, that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has the bearing part 1c and the fixed rib 1d at the back side.

날블록(3)은 본체 하우징(1)에 착탈 가능한 베이스(3a)와 베이스(3a)에 고정되어서 빗 형상의 날끝을 가진 고정날(3b)과, 고정날(3b)에 대해서 왕복 미끄럼 이동하도록 베이스(3a)에 유지되는 동시에 빗 형상의 날끝을 가진 가동날(3c)을 구비한다. 이 날 블록(3)은 이것은 본체 하우징(1)에 장착했을 때 가동날(3c)과 전달수단이 연결되어서 가동날이 전달 수단으로 왕복 이동되게 되어 있다.The blade block 3 is fixed to the base 3a and the base 3a, which ar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housing 1, so as to reciprocally slide with respect to the fixed blade 3b having a comb-shaped blade tip and the fixed blade 3b. It is provided in the base 3a, and is provided with the movable blade 3c which has a comb-shaped blade tip. When this blade block 3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housing 1, the movable blade 3c and the transmission means are connected so that the movable blade reciprocates to the transmission means.

도면부호(4)는 본체 하우징(1)의 일면에 설치된 스위치 핸들이며 모터(2)로의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4 is a switch handl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1 to turn on and off the power to the motor 2.

도면부호(5)는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일예인 어태치먼트이며, 본체 하우징(1)의 단부의 외주면을 덮게 형성되어 있다. 이 어태치먼트(5)의 선단측에는 다수의 슬릿을 나란히 설치하고 있고 슬릿으로 빗부(5a)를 형성하고 있다. 어태치먼트(5)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1)의 안내부(1b)에 안내되는 볼록 형태의 피안내부(5b)를 갖고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5)는 피안내부(5b)가 안내부(1b)에 안내되므로 본체 하우징(1)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서 고정날(3b)의 날끝 및 가동날(3c)의 날끝과 빗부(5a) 사이의 간격으로 결정되는 털으 깎이높이를 변화할 수 있고 또, 전후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본체 하우징(1)과의 사이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5 is an attachment which is an example of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and is form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1.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attachment 5, a number of slits are provided side by side, and the comb portion 5a is formed by the slits.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5 has a convex guide part 5b guided to the guide part 1b of the main body housing 1. Therefore, the attachment 5 is guided 5b is guided to the guide 1b, so that it is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housing 1, so that the blade end of the fixed blade 3b and the blade end of the movable blade 3c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height of the hair clipper determined by the interval between the comb portions 5a, and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can be restricted to prevent the fluctuation between the main body housing 1.

도면부호(6)은 본체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 줄기 형상의 연동 수단이다. 이 연동수단(6)은 어태치먼트(5)의 이동과 후술의 다이얼(10)의 회전조작을 연동시키는 것이며, 일단에 연결부(6a)를 가지며 다른단에 랙(6b)을 갖고 있다. 연동수단(6)의 일단의 연결부(6a)는 본체 하우징(1)의 개구구멍(1a)에서 외부로 돌출하고 있으며 이 연결부(6a)를 어태치먼트(5)에 연결하고 있다.Reference numeral 6 is a stem-shaped interlock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1. The interlocking means 6 interlocks the movement of the attachment 5 an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dial 10 to be described later,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6a at one end and a rack 6b at the other end. The connecting portion 6a of one end of the interlocking means 6 protrudes outward from the opening hole 1a of the main body housing 1 and connects the connecting portion 6a to the attachment 5.

도면부호(7)은 다이얼 몸체이며 축선이 개략 동일하게 되게 축받이부(1c)에 지지되는 축부(7a)와, 피니언(7b)과, 클릭치차(7c)와 통 형상체(7d)와, 후크부(7e)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피니언(7b)은 랙(6b)에 맞물려서 연동수단(6)을 그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클릭 스프링(8)은 본체 하우징(1)의 고정리브(1d)에 고정되어 있으며, 클릭 스프링(8)의 돌기를 클릭 치차(7c)의 치차부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한다. 통 형상체(7d)는 그 기단(클릭 치차(7c)측 단부)이 닫혀서 그 선단(후크(7e)측단부)이 개방하게 형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7 denotes a dial body and a shaft portion 7a supported by the bearing portion 1c so that the axes are approximately the same, a pinion 7b, a click gear 7c, a cylindrical body 7d, and a hook. The part 7e is formed integrally. The pinion 7b is to engage the rack 6b to move the interlocking means 6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click spring 8 is fixed to the fixed rib 1d of the body housing 1, and elastically engages the projection of the click spring 8 with the toothed portion of the click tooth 7c. The tubular body 7d is formed so that its base end (click gear 7c side end) is closed and its front end (hook 7e side end) is opened.

도면부호(9)는 로크 다이얼이며 일단에 치차 형성의 피걸림부(9a)를 가지고 다른단에 원판 형상의 고정판(9b)을 가지며 그 사이에 통 형상부를 갖고 있다. 이통 형상부의 내면에는 단을 갖고 있다. 또, 로크 다이얼(9)은 통 형상부의 단과 피걸림부(9a)의 사이의 축선 방향의 길이가 다이얼 몸체(7)의 통 형상체(7d)의 축선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 다이얼(9)의 통 형상부내에 다이얼 몸체(7)의 통 형상체(7d)를 삽입하여 통하게 해서 통 형상체(7d)의 외주면 상에 로크 다이얼(9)을 이동가능하게 장착했을 때, 로크 다이얼(9)이 클릭 치차(7c)와 후크(7e)와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로크 다이얼(9)의 통 형상부내에 다이얼 몸체(7)의 통 형상체(7d)를 삽입하여 통하게 해서 통 형상체(7d)에 대해서 로크 다이얼(9)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했을 때, 로크 다이얼(9)이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게 되지만 로크 다이얼(9)이 회전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하지 않게 하고 있다. 즉, 로크 다이얼(9)의 통 형상부와 다이얼 몸체(7)의 통 형상체(7d)가 회전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로크 다이얼(9)의 통 형상부를 다이얼 몸체(7)의 통 형상체(7d)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하기 위해서 예컨대, 통 형상체의 내경과 통 형상체(7d)의 외경을 개략 같은 지름으로 하고 있으며 통형상체의 내면이나 통 형상체(7d)의 외면을 단면 다각형상으로 하고 있다. 고정판(9b)은 후술하는 다이얼(10)과 일체로 되어 동작하도록 연부의 3개소에 끼워넣는 오목부(9c)를 갖고 있다.Reference numeral 9 is a lock dial, has one end of gear formation 9a at the tooth, and a fixed plate 9b in the shape of a disc at the other end, and has a cylindrical portion there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ooth-shaped portion has a stage. The lock dial 9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caught portion 9a is shorter than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7d of the dial body 7. When the lock dial 9 is movably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7d by inserting the tubular body 7d of the dial body 7 into the tubular portion of the dial 9 so as to pass through it. The dial 9 can move between the click gear 7c and the hook 7e. In addition, the cylindrical body 7d of the dial body 7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lock dial 9 so that the lock dial 9 can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body 7d. In this case, the lock dial 9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but the lock dial 9 is not freely rotat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hat is, the cylindrical part of the lock dial 9 and the cylindrical body 7d of the dial body 7 are integrally rotat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For example, in order to make the cylindrical part of the lock dial 9 axi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body 7d of the dial body 7, and to rotate integrally in a rotation direction, for example, the inner diameter and cylindrical shape of a cylindrical body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body 7d is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7d are polygonal in cross section. The fixing plate 9b has a recessed portion 9c which is fitted into three locations of the edge portion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dial 10 to be described later.

도면부호(10)은 다이얼이며 회전 조작하므로서 어태치먼트(5)의 이동을 조작하는 것이며, 일단면이 닫히고 타단면이 개방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이얼(10)의 일단면에는 털의 깎이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부(10a)를 가지며 각부에널(knurl)(10b)을 가지고 있으며, 다이얼(10)의 내부에는 로크 다이얼(9)의 끼워넣는 오목부(9c)에 삽입시켜 고정되는 삽입 리브(10e)와 축선위치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10d)를 갖고 있다.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dial that rotates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attachment 5,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one end surface is closed and the other end surface is opened. One end of the dial 10 has a display portion 10a for indicating the height of the hair clipper, and has a knurl 10b at each end thereof, and a recess into which the lock dial 9 fits inside the dial 10. It has insertion rib 10e inserted into 9c and fixed, and spring support part 10d formed in the axial position.

도면부호(11)은 코일 스프링이며 일단이 스프링 지지부(10d)에 지지되며 다른단이 클릭 치차(7c)의 단면에 가압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다이얼(10)은 항상 다이얼 몸체(7)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로크 다이얼(9)은 통상적으로, 후크(7e)에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coil spring,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 10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ressed by the cross section of the click gear 7c. As a result, the dial 10 is always press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ial body 7 and the lock dial 9 is usually in a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hook 7e.

도면부호(12)는 본체 하우징(1)과 로크 다이얼(9)과 사이에 설치된 로크 수단이며 로크 다이얼(9)에 설치한 피걸림부(9a)와 본체 하우징(1)에 설치한 걸림부(12a)로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 다이얼(9)의 축방향의 이동으로 피걸림부(9a)와 걸림부(12a)가 떨어지게 되어 있다. 이 걸림부(12a)는 로크 다이얼(9)의 코일 스프링(11)의 가세력에 의해서 다이얼(10)과 일체로 되어서 외부 방향으로 이동해서 후크(7e)에 걸린 상태에 있을 때, 피걸림부에 걸린 상태로 되어서 다이얼(10)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어태치먼트(5)의 이동을 저지하게 되어 있으며, 또 로크 다이얼(9)이 다이얼(10)과 일체로 되어서 내쪽으로 이동해서 클릭 치차(7c)에 최접근했을 때 피걸림부(9a)오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다이얼(10)의 회전가능으로 하게 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lock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housing 1 and the lock dial 9, and the engaging portion 9a provided on the lock dial 9 and the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housing 1 ( 12a), and the engaging portion 9a and the engaging portion 12a are separated by the axial movement of the lock dial 9. This locking portion 12a is integral with the dial 10 due to the force of the coil spring 11 of the lock dial 9, and moves outward to catch the hook 7e. The lock dial 9 is integrated with the dial 10 to move inward to prevent rotation of the dial 10 and to prevent rotation of the dial 10. The close state of the caught part 9a is canceled | released by making it approach the most), and the dial 10 is rotatable.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털의 깎이높이의 조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이얼(10)을 코일 스프링(11)에 의한 가세력이 커지는 방향, 즉, 본체 하우징(1)의 내쪽으로 밀어 넣으면 로크 다이얼(9)이 다이얼(10)과 더불어 이동해서 피걸림부(9a)와 걸림부(12a)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므로 다이얼(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이얼(10)을 본체 하우징(1)의 내쪽으로 밀면서 회전하면 다이얼 몸체(7)가 다이얼(10) 및 로크 다이얼(9)과 일체로 되어서 회전가능하게 되므로, 어태치먼트(5)는 다이얼(10)의 회전에 따라서 본체 하우징(1)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즉, 다이얼(10)은 그것이 회전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어태치먼트(5)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Next, adjustment of the hair clipper height in this Example is demonstrated. When the dial 10 is p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applied by the coil spring 11 increases,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main housing 1, the lock dial 9 moves together with the dial 10 to catch the caught portion 9a. And sinc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12a is released, the rotation of the dial 10 becomes possible. As the dial 10 is rotated while pushing the dial 10 inwardly of the body housing 1, the attachment 5 becomes rotatable by being integrated with the dial 10 and the lock dial 9.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1 can be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at is, the dial 10 becomes able to operate the attachment 5 when it is in a rotatable position.

그리고, 표시부(10a)가 소정의 털의 깎이높이를 나타내는 곳까지 다이얼(10)을 회전하면 어태치먼트(5)가 본체 하우징(1)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해서 털의 깎이높이가 설정된다. 그리고, 다이얼(10)에서 손가락을 떼면 코일 스프링(11)의 가세력에 의해서 다이얼(10) 및 로크 다이얼(9)이 평상시 위치로 복귀해서 피걸림부(9a)가 걸림부(12a)에 걸리게되므로 다이얼(10)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는 동시에 어태치먼트(5)가 이동하지 못한다.And when the dial 10 rotates to the place where the display part 10a shows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hair cutting height, the attachment 5 moves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housing 1, and the hair cutting height is set. When the finger is released from the dial 10, the dial 10 and the lock dial 9 are returned to their usual positions by the force of the coil spring 11, so that the hooked portion 9a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12a.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dial 10 becomes impossible and the attachment 5 cannot move at the same time.

따라서, 본 실시예는 어태치먼트(5)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가능 위치와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조작불능 위치로 다이얼(10)을 이동가능하게 했으므로, 다이얼(10)이 어태치먼트(5)의 조작불능 위치로 이동했을 때 다이얼(10)의 오조작 또는, 어태치먼트(5)에 걸리는 외력으로 어태치먼트(5)가 불시에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어태치먼트(5)에 의해 털의 깎이 높이를 설정한 후, 털의 깎이높이가 불시에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the dial 10 to be moved to an operable position that enables the operation of the attachment 5 and an inoperable position that disables the operation, so that the dial 10 operates the attachment 5. When moving to the disabl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ttachment 5 from operating unintentionally due to an incorrect operation of the dial 10 or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attachment 5, and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hair clipper by the attachment 5 After setting, the height of the hair clipp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accidentally and the user can use it with confidence.

또한, 본 실시예에선 깎이높이 조정수단을 어태치먼트(5)로 했는데 이 이외에, 예컨대, 고정날(3b)을 그 날끝의 두께가 선단으로 향할수록 얇게 형성하고 고정날(3b)과 가동날(3c)을 중첩한 상태에서 고정날(3b) 또는 가동날(3c)을 가동날(3c)의 왕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이동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 깎이높이 조정수단은 전술한 특개평 4-117986호 공보등으로 공지의 구조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is used as the attachment 5. In addition to this, for example, the fixed blade 3b is formed thinner as the thickness of the blade tip is directed to the tip, and the fixed blade 3b and the movable blade 3c are formed. ), The fixed blade 3b or the movable blade 3c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movable blade 3c in the state of overlapping. This sharpener height adjustment means is a structure well-known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4-117986.

또, 본 실시예에선 안내부(1b)를 본체 하우징의 다른면에 형성하고, 피안내부(5b)를 어태치먼트(5)의 내면에 형성하고, 안내부(1b)에서 피안내부(5b)가 안내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안내부(1b) 및 피안내부(5b)를 설치하는 장소는 전술한 곳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art 1b is formed i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the guide part 5b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5, and the guide part 5b guides in the guide part 1b. Although configured as such, the place where the guide portion 1b and the guided portion 5b are provid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lace.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제1항에 있어서,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가능 위치와,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조작불능 위치에서 상기 다이얼을 이동가능하게 하고 다이얼이 조작 불능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이얼의 회전 및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이동을 저지하는 로크 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다이얼을 조작가능 위치에 위치시키면 다이얼을 회전하므로서 연동수단을 거쳐서 깎이높이 조정수단을 이동시켜서 깎이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또, 다이얼을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시키면 다이얼을 회전해서 깎이높이를 조정할 수 없게 하는 것이며, 게다가 다이얼을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로크 수단으로 깎이높이 조정수단이 이동하거나 다이얼이 회전하지 않게 로크되며, 깎이높이 수단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다이얼을 오조작해도 깎이높이 조정수단에 의해서 불시에 움직여서 깎이 높이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깎이높이 조정수단에 의해 털의 깎이높이를 설정한 후, 털의 깎이높이가 불시에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심하게 사용할 수 있다.2. A st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l is movable in an operable position that enables operation of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and an inoperable position that disables operation of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and the dial is in an inoperable position. Is equipped with a lock means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dial and the movement of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When the dial is placed in an operable position, the sharpening height can be freely adjusted by moving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through the interlocking means by rotating the dial. If the dial is placed in an inoperable position,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harpener by rotating the dial. In addition, when the dial is in an inoperable position, the height of the sharpening means is not moved by the locking means or the dial does not rot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harpener height means Even if it is misoperated, the height of the hai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unintentionally by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hair cutting is set by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thereby preventing the hair height from changing unexpectedly. I can do it and can use it in peace.

제2항에 있어서, 다이얼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다이얼을 이동가능하게 하므로써 다이얼을 조작가능한 위치에 위치시키거나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시키므로, 다이얼을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므로서 다이얼을 조작가능한 위치로 이동하거나 다이얼을 조작불능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고, 다이얼을 조작가능 위치에 이동시키는 조작불능 위치에 이동시키거나 하는 조작이 용이해진다.3. A 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ial is positioned in an operable position or in an inoperable position by enabling the dial to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dial, so that the dial can be operated by pressing and moving the dial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dial to an inoperable position or to move the dial to an inoperable position for moving the dial to an operable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다이얼측에 설치한 피걸림부와 본체측에 설치한 걸림부로 로크 수단을 구성하고, 다이얼을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조작불능 위치에 이동시켰을 때 피걸림부와 걸림부가 걸리게 되어 있으므로, 다이얼을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깎이높이 조정수단이 이동하지 않게 하는 동시에 다이얼이 회전하지 않게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4. The locking mean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ocking means is constituted by the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dial side and the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side, and the caught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caught when the dial is moved to an inoperable position of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Therefore, the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dial so that the dial height does not rotate while the dial height adjustment means is positioned in an inoperable position can be realized with a simple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다이얼이 통상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하게 가압하므로 통상 다이얼이 조작불능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있으며, 사용중에 깎이높이 조정수단이 불시에 동작하거나, 또는 다이얼이 불시에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5. The dia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al is normally pressed at an inoperable position of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so that the dial is normally positioned at an inoperable position, and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is inadvertently operated or the dial is unused during use.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제5항에 있어서, 깎이높이 조정 수단이 인체에 맞닿으므로서 인체와 고정날이나 가동날의 절단위치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어태치먼트로 구성되며, 어태치먼트가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어태치먼트가 소정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서 털의 깎이높이를 변화시키게 되며 깎이높이의 조정수단을 용이하게 실현가능으로 할 수 있다.6. Th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is made of an attachment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cutting position of the fixed blade or the movable blade while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contacts the human body, and the attachment is mov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Therefore, the attachment can move in a predetermined range, there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hair clipper, and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realize the means for adjusting the sharpness height.

제6항에 있어서, 본체에 어태치먼트를 소정 방향으로 인도하는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어태치먼트에 안내부로 인도하는 피안내부를 설치하고, 안내부와 피안내부로 안내해서 본체에 대해서 어태치먼트를 이동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어태치먼트가 안내되어서 소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서 어태치먼트가 소정방향 이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7. The attachmen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guide portion for guiding attachment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guide portion to the attachment is provided, and the attachment and movement are guid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attachment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ince the attachment can be guided to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attachment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utside the predetermined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깎이높이 조정수단이 고정날의 두께를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얇아지게 형성하고 고정날과 가동날을 중첩한 상태에서 고정날 또는 가동날을 가동날의 왕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구성했으므로, 고정날 또는 가동날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깎이높이 조정수단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8. The cutting blade height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height of the fixed blade becomes thinner toward the tip side, and the fixed blade or the movable blade is orthogonal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movable blade while the fixed blade and the movable blade overlap. Since the structure is freely movable,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can be easily realized by moving the fixed blade or the movable blade.

Claims (7)

내부에 구동부를 수납한 본체(1)와, 본체(1)의 단부에 설치되어 빗형상의 날끝을 가진 고정날(3b)과, 구동부에 의한 구동으로 고정날(3b)에 대해서 왕복 미끄럼 이동하도록 본체(1)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빗형상의 날끝을 가진 가동날(3c)과, 본체(1)의 소정의 장소에서 소정 범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동에 따라서 고정날(3b) 및 가동날(3c)에 의한 털의 깎이높이를 변화시키는 깎이높이 조정수단(5; 3b, 3c)과, 깎이높이 조정수단(5; 3b, 3c)을 조작하기 위해서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이얼(10)과 다이얼(10)의 조작과 깎이높이 조정수단(5; 3b, 3c)의 이동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6)을 구비한 헤어커터에 있어서, 깎이높이 조정수단(5; 3b, 3c)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가능 위치와 깎이높이 조정수단(5; 3b, 3c)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조작불능 위치에서 상기 다이얼(10)을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다이얼(10)이 조작 불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다이얼(10)의 회전 및 깎이높이 조정수단(5; 3b, 3c)의 이동을 저지하는 로크 수단(1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A main body 1 having a drive unit therein, a fixed blade 3b provided at an end of the main body 1, having a comb-shaped blade tip, and a reciprocating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xed blade 3b by driving by the drive unit. It is provided at the edge part of the main body 1, and is provided with the movable blade 3c which has a comb-shaped blade tip, and is movable so that it may move to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place of the main body 1, The fixed blade 3b and movable according to a movement. Sharpness height adjusting means (5; 3b, 3c) for changing the height of hair sharpening by the blade (3c), and dial (10)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for manipulating the sharpening height adjustment means (5; 3b, 3c). ) And a hair cutter having interlocking means 6 for interlocking the operation of the dial 10 and the movement of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5; 3b, 3c,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5; 3b, 3c. Inoperable position to enable operation and inoperability to disable operation of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5; 3b, 3c) To lock the dial 10 and to prevent rotation of the dial 10 and movement of the sharpening height adjustment means 5; 3b and 3c while the dial 10 is in an inoperable position. Hair c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ns 12 are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다이얼(10)의 회전축(7d)의 축방향으로 다이얼을 이동가능하게 하므로써 다이얼(10)을 조작가능 위치에 위치시키거나 조작불가능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2. The hair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l (10) is positioned in an operable position or in an unoperable position by making the dial move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7d) of the dial (10). cut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이얼(10)측에 설치한 피걸림부(9a)와 본체(1)측에 설치한 걸림부(12a)로 로크 수단(12)을 구성하고, 다이얼(10)을 깎이높이 조정수단의 조작불가능 위치에 이동시켰을 때 피걸림부(9a)와 걸림부(12a)가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The locking means 12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constituted by the engaging portion 9a provided on the dial 10 side and the engaging portion 12a provided on the main body 1 side. 10) The hair c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ught portion (9a) and the engaging portion (12a) to be caught when moving to the non-operational position of the sharpening height adjustment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10)을 통상, 깎이높이 조정수단(5; 3b, 3c)의 조작불가능 위치에 위치하도록, 스프링(11)으로써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The hair cut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l (10) is pressurized with a spring (11) so as to be located in an inoperable position of 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5; 3b, 3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깎이높이 조정수단은 인체에 맞닿으므로써 인체와 고정날(3b) 또는 가동날(3c)의 절단 위치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는 어태치먼트로 이루어지며, 어태치먼트(5)가 상기 본체(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The sharpener height adjusting means is made of an attachmen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cutting position of the fixed blade 3b or the movable blade 3c by contacting the human body. ) Is a hair c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1) is movably moun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어태치먼트(5)를 소정방향으로 인도하는 안내부(1b)를 설치하는 동시에, 안내부(1b)로 인도되는 피안내부(5b)를 어태치먼트(5)에 설치하고, 안내부(1b)와 피안내부(5b)로 안내해서 본체(1)에 대해서 어태치먼트(5)를 이동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6. The attachment part (5)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guide part (1b) for guiding the attachment (5)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 and the guide part (5b) guided to the guide part (1b)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art (5). And a guide (1b) and a guided portion (5b) to allow the attachment (5) to move relative to the main body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깎이높이 조정수단은 고정날(3b)의 두께를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얇게 형성하고 고정날(3b)과 가동날(3c)을 중첩한 상태에서 고정날(3b) 또는 가동날(3c)을 가동날(3c)의 왕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2. The cutting blade height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rpening height adjusting means is formed thinner as the thickness of the fixed blade 3b is directed toward the tip side, and the fixed blade 3b or the movable blade 3b and the movable blade 3c are overlapped. A hair c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3c)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movable blade (3c).
KR1019950003821A 1994-03-01 1995-02-27 Hair cutter KR01354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1240 1994-03-01
JP6031240A JPH07236780A (en) 1994-03-01 1994-03-01 Hair cu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631A KR950026631A (en) 1995-10-16
KR0135457B1 true KR0135457B1 (en) 1998-07-01

Family

ID=1232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821A KR0135457B1 (en) 1994-03-01 1995-02-27 Hair cut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36780A (en)
KR (1) KR01354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6051B2 (en) * 2003-08-29 2008-02-13 松下電工株式会社 Hair cutter cutting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631A (en) 1995-10-16
JPH07236780A (en) 1995-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117B2 (en) Electric hair cutting appliances
JP4046051B2 (en) Hair cutter cutting height adjustment mechanism
RU2737101C2 (en) Length adjustment mechanism for hair clipper
JP3017508B2 (en) Hair cutter
KR100586136B1 (en) Hair trimmer with rattle dampening structure
JPH04348789A (en) Hair cutter
KR0135457B1 (en) Hair cutter
EP4286115A1 (en) Depilatory device
EP2158066B1 (en) An electric apparatus and a shaving apparatus
JP2008541962A (en) Electric hair removal equipment
JP2826177B2 (en) Hair cutter
JPH0448664Y2 (en)
JP3015366B2 (en) Hair cutter
JP4610269B2 (en) Mower
JPH0121654Y2 (en)
JPH0121653Y2 (en)
JPS597908Y2 (en) electric razor
JPS5937171Y2 (en) electric razor
JPH0334356B2 (en)
JPS5927262Y2 (en) electric razor
JPS6130615Y2 (en)
JP3157869B2 (en) Hair cutter
JPH07185144A (en) Electric shaver
JPS5850754B2 (en) electric razor
JPH1167012A (en) Trigger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