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948Y1 -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 - Google Patents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948Y1
KR0134948Y1 KR2019960005591U KR19960005591U KR0134948Y1 KR 0134948 Y1 KR0134948 Y1 KR 0134948Y1 KR 2019960005591 U KR2019960005591 U KR 2019960005591U KR 19960005591 U KR19960005591 U KR 19960005591U KR 0134948 Y1 KR0134948 Y1 KR 0134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connection
socket
ho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406U (ko
Inventor
송덕범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05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948Y1/ko
Publication of KR970055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4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27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Abstract

본 고안은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형광등은 형광램프를 교체하기 위하여 소켓부의 접속구멍에 형광램프의 양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돌부가 정확하게 삽입해야 되는데, 상기 접속구멍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특히 접속구멍의 내경이 작기 때문에 형광램프의 접속돌부를 정확하게 삽입시키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형광램프(10)의 양측단 중앙부와 양측단부에 하나의 돌출단자(12)와 삽입부(14)를 형성하고, 이와 접속되는 소켓부(16)에는 소켓커버(18)의 삽입홀(21) 내주면에 돌기부(24)가 형성된 접속면(26)과, 접속구에의 중앙부에 접속단자(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형광램프(10)의 삽입부(14)를 소켓부(16)의 삽입홀(22)에 삽입시키면 돌출단자(12)는 자연히 접속단자(30)에 삽입되면서 하나의 접점을 이루게 되고 다른 하나의 접점은 삽입부(14)와 접속면(26)의 돌기부(14)가 밀착되어 접점을 이루게 되어 형광램프(10)는 점등이 되는 것으로, 특히 접속면에 야광물질을 도포하면 야간에 삽입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형광램프를 매우 효과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
제1도는 종래의 형광등의 접속부분을 표현하기 위한 분해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의 접속부분에 대한 전체 분해예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 - 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의 접속상태를 표현한 단면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의 접속되기전 상태를 표현한 단면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형광램프 12 : 돌출단자
14 : 삽입부 16 : 소켓부
18 : 소켓커버 20 : 접속구
22 : 삽입홀 24 : 돌기부
26 : 접속면 28 : 외주면
30 : 접속단자 32 : 관통홀
34 : 홈부 36 : 돌출환
38 : 스프링 40 : 지지판
42 : 걸림턱 44 : 접속홈
본 고안은 접속구가 개선된 형광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소켓몸체에 내장되어 있는 접속구에 하나의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소켓커버의 삽입홀 내주면에 다른 하나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접속면에 형광램프의 양측단 중앙부와 양측단부에 돌출단자와 삽입부를 형성시켜, 삽입시에 접점이 이루어지는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은 형광램프의 양측단 중앙부에 한쌍의 접속돌기가 형성되어 소켓부의 접속판에 형성된 한쌍의 접속구멍에 삽입되면서 접점을 이루게 되어 양측단자에 순간적으로 고압이 걸리게 되면, 형광램프의 내부는 진공상태에서 전도성을 지닌 형광물질에 의해 전류가 양측으로 흐르게 되어 형광램프는 점등이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형광등 접속부는 예시도면 제1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소켓부(1)에 형광램프(2)의 양측단부(양측단부는 대칭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도면상 일측단부만을 표현하고 다른 일측단부는 생략되었음)가 삽입되어 접속부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소켓부(1)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지닌 접속판(3)이 내부에 삽착되어 지고, 접속판(3)의 중앙부에 한쌍의 접속구멍(4)이 형성되어지며, 형광램프(2)에는 양측단부에 삽입부(5)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한 쌍의 접속돌부(6)가 형성되어 형광등의 접속부를 이루고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형광등 접속부는 소켓부(1)의 내부에 삽착되어 있는 접속판(3)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지되어 소켓커버(7)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홀(8)의 내주면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소켓커버(7)는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지지판(9)과 결합이 되어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접속구멍(4)이 형성되어 밌는 접속판(3)이 소켓부(1)에 삽착된 상태에서, 형광램프(2)의 양측단에 형성된 한쌍의 접속돌부(6)를 상기 접속구멍(4)에 삽입시키면서 소켓부(1)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삽입홀(8)에 삽입부(5)가 삽입되면서 소켓부(1)와 형광램프(2)는 접점을 이루게 된다.
이때, 형광램프(2)의 삽입부(5)가 소켓부(1)의 삽입홀(8)에 삽입되면서 접속판(3)을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접속판(3)을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이 압착되면서 접촉판(3)을 밀어내는 탄발력이 높아지게 되어 접속판(3)의 접속구멍(4)에 삽입된 접속돌부(6)는 압착되는 상태로 안정된 접점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형광등은 형광램프(2)를 교체하기 위하여 소켓부(1)의 접속구멍(4)에 형광램프(2)의 양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돌부(6)가 정확하게 삽입되어야 하는데, 상기 접속구멍(4)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특히 접속구멍(4)의 내경이 작기 때문에 형광램프(2)의 접속돌부(6)를 정확하게 삽입시키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형광등의 형광램프(2)를 야간에 교환하려 할 경우에는 소켓부(1)의 접속구멍(4)이 보이지 않아 감각적으로 접속돌부(6)를 삽입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허비하거나, 촛불 또는 렌턴으로 불빛을 비추면서 교체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형광등 접속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소켓부의 접속구 중앙에 하나의 접속단자인 접속구멍을 형성하고 삽입홀의 내주면에 다른 하나의 접속단자인 접속면을 형성하여, 이와 접점을 이루게 되는 형광램프의 양측단부에 돌출단자와 삽입부를 형성시켜 돌출단자가 삽입부에 삽입되면서 접점을 이루게 되는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을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형광램프의 양측단 중앙부와 양측단부에 하나의 돌출단자와 삽입부를 형성하고, 이와 접속되는 소켓부는 소켓커버와 접속구 및 스프링과 지지판을 형성하되 소켓커버에는 삽입홀 내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접속면이 형성되고, 접속구에는 중앙부와 외주면에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관통홀과 일단에 홈부가 형성된 돌출환이 형성되어 스프링의 일단과 결합되고, 소켓커버가 지지판과 걸합되어 있으므로, 형광램프의 삽입부를 소켓부의 삽입홀에 삽입시키면 돌출단자는 자연히 접속단자에 삽입되면서 하나의 접점을 이루게 되고 다른 하나의 접점은 삽입부와 접속면의 돌기부가 밀착되어 접점을 이루게 되어 형광램프는 점등이 되는 것으로, 특히 접속면에 야광물질을 도포하면 야간에 삽입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형광램프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형광램프(10)의 양측단 중앙부와 양측단부에 하나의 돌출단자(12)와 삽입부(14)를 형성하고, 이와 접속되는 소켓부(16)의 소켓커버(18)와 접속구(20)에는 각각 삽입홀(22) 내주면에 돌기부(24)가 형성된 접속면(26)이 형성되고, 중앙부와 외주면(28)에 접속단자(30)가 삽입되는 관통홀(32)과 일단에 홈부(34)가 형성된 돌출환(3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2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형광램프(10)는 양측단(도면상 대칭이 되므로 일측만을 도시하였음)에 돌출단자(12)와 삽입부(14)로 형성되어 두개의 접점단자를 이루게 되고, 이와 접속되는 소켓부(16)에는 스프링(38)과 결합된 지지판(40)과 스프링(38)에 탄지되는 접속구(20), 이들을 내장하는 소켓커버(18)로 이루어지며, 접속구(20)에는 중앙부와 외주면(28)에 접속단자(30)와 돌출환(36)이 형성되고, 소켓커버(18)에는 삽입홀(22)의 내주면에 돌기부(24)가 형성된 접속면(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3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지지판(4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에 스프링(38)의 일단이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고 다른 일단은 접속구(20)의 일측에 삽입되어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접속구(20)는 소켓커버(18)와 삽입홀(22) 측으로 밀착되어 진다.
상기 접속구(20)는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31)에 접속홈(42)이 형성된 접속단자(30)가 삽입되어 지고, 외주면(28)에 형성된 돌출환(36)의 일단에 홈부(34)가 형성되어 각기 두개의 접점단자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게 되는데 하나의 전선은 관통홀(32)을 통해 접속단자(3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전선은 돌출환(36)의 홈부(34)를 통해 소켓커버(18)의 접속면(26)에 형성된 돌기부(24)에 연결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4도와 제5도에 표현된바와 같이, 소켓부(16)는 소켓커버(18)의 걸림턱(42)에 의해 지지판(40)과 결합이 되며, 그 내부에 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소켓커버(18)의 삽입홀(22) 측으로 밀착되는 접속구(20)가 형성된 상태에서 형광램프(10)의 일측단부인 삽입부(14)가 삽입홀(22)에 삽입이 되면 중앙에 형성된 돌출단자(12)는 자연스럽게 접속홈(44)이 형성된 접속단자(30)에 삽입이 된다.
또한 형광램프(10)의 삽입부(14)가 삽입홀(22)에 삽입되면서 돌기부(24)와 접점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돌기부(24)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삽입부(14)가 접속면(26)에 압착되는 상태로 삽입되어 안정된 접점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형광램프(10)의 돌출단자(12)는 접속단자(30)의 접속홈(44)에 삽입되어지는데, 접속단자(30)가 형성된 접속구(20)가 압착된 스프링(38)에 의해 삽입홀(22) 측으로 강하게 밀착되어 접속단자(30)와 돌출단자(12)는 압착된 상태로 안정된 접점을 이루게 된다.
특히, 소켓커버(18)의 삽입홀(22) 내주면을 이루고 있는 접속면(26)에 야광물체를 도포하여 야간에 형광램프(1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삽입홀(22)의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형광램프(10)의 양측단부를 소켓부(16)에 접속시킬 경우 간단하게 삽입홀(22)에 삽입부(14)를 삽입시키게 되면, 삽입부(14)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단자(12)는 간단하게 접속구(20)의 접속단자(30)에 삽입되어 하나의 접점을 이루고, 다른 하나의 접점은 삽입부(14)와 경사면을 갖고있는 접속면(26)의 돌기부(24)가 압착상태의 안정된 접점을 이루는 효과가 있으며, 야간에 형광램프(10) 교체시 접속면(26)의 형광물질에 의해 삽입홀(22)이 정착하게 파악이 되므로 간단하게 형광램프(10)를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형광램프(10)의 양측단 중앙부와 양측단부에 하나의 돌출단자(12)와 삽입부(14)를 형성하고, 이와 접속되는 소켓부(16)의 소켓커버(18)와 접속구(20)에는 각각 삽입홀(22) 내주면에 돌기부(24)가 형성된 접속면(26)이 형성되고, 중앙부와 외주면(28)에 접속단자(30)가 삽입되는 관통홀(32)과 일단에 홈부(34)가 형성된 돌출환(3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
KR2019960005591U 1996-03-22 1996-03-22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 KR0134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591U KR0134948Y1 (ko) 1996-03-22 1996-03-22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591U KR0134948Y1 (ko) 1996-03-22 1996-03-22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406U KR970055406U (ko) 1997-10-13
KR0134948Y1 true KR0134948Y1 (ko) 1999-04-15

Family

ID=1945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591U KR0134948Y1 (ko) 1996-03-22 1996-03-22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9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406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8173A (en) Socket adaptor for fluorescent lamp
US4156265A (en) Safety sockets and loads
US4102558A (en) Non-shocking pin for fluorescent type tubes
US3781755A (en) Lamp holder
US4428034A (en) Light bulb mounting unit
EP0422024B1 (en) A bulb socket
US4595859A (en) Halogen incandescent lamp and socket combination, particularly for direct assembly into a fixture with bayonet lock
US5637020A (en) Socket for electrical elements
JP2006080075A (ja) くさび形ベースランプのためのセンタリングリングを備えるソケット
CA1122287A (en) Socket for baseless incandescent lamp
US3344390A (en) Fluorescent tube socket
KR100212598B1 (ko) 램프 소켓
US4360861A (en) Baseless lamp socket
KR0134948Y1 (ko) 접속부가 개선된 형광등
US2241065A (en) Lamp socket
US2627048A (en) Electric terminal connector
US4456322A (en) Lamp wattage limiting device
GB2105531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fittings for light bulbs
GB2214364A (en) Lamp holder for screw and bayonet lamps
DE59600310D1 (de) Lampenfassung, insbesondere für Halogenglühlampen
KR960001297Y1 (ko)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JPS645831Y2 (ko)
JPH0346472Y2 (ko)
US3456233A (en) Unitary separable double socket assembly
KR200324089Y1 (ko) 선택적 점등이 가능한 다중 필라멘트 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