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143Y1 - 세탁기의 교반기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143Y1
KR0134143Y1 KR2019940021218U KR19940021218U KR0134143Y1 KR 0134143 Y1 KR0134143 Y1 KR 0134143Y1 KR 2019940021218 U KR2019940021218 U KR 2019940021218U KR 19940021218 U KR19940021218 U KR 19940021218U KR 0134143 Y1 KR0134143 Y1 KR 0134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tirrer
outer body
washing machine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132U (ko
Inventor
홍권표
안기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1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143Y1/ko
Publication of KR960008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날개부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발생되는 세탁수류 외에 회전반경방향으로 분출수류를 형성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교반기(2)는 회전반경방향으로 별도의 분출수류를 형성하도록 중심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원뿔대 형상이 외체(30)와 내체(32)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행정시 교반기(2)의 정역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세탁수류와 외체(30) 내부에서 회전반경방향으로 분출되는 수류가 부딪쳐 세탁물이 꼬임이 방지되며, 세제이 용해가 촉진됨으로써 전체적인 세탁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교반기
제1도는 종래 펄세이터방식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 교반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3도는 (a)는 제2도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교반기의 단면구성도이고,
(b)는 제2도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교반기이 단면구성도이다.
제4도는 교반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구성도이다.
제5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교반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고,
(b)는 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교반기 21 : 몸체
22 : 날개부 30 : 외체
31 : 공간부 32 : 내체
33 : 유입공 34 : 배출공
40 : 안내날개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탁조 내에서 세탁물들과 세탁수를 교반시키는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행정시 교반기가 좌우로 반전할 때 발생하는 회전수류에 교반기 내측에서 발생하는 환류상태인 또 다른 세탁수를 강제 분출시킴으로써 회전수류에 의한 세탁물의 꼬임을 방지하고 세제이 용해를 촉진하며 세탁효율을 향상시키는 세탁기의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과 헹굼, 그리고 배수 및 탈수 등의 행정을 콘트롤부의 마이콤에 미리 프로그램화 시켜두고 이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세탁 구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된다. 현재 세탁기는 주로 펄세이터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펄세이터이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회전수류를 이용하여 세탁을 함으로써, 세탁시간이 짧고 담요세탁과 같은 부피가 큰 세탁물이나 많은 양의 세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펄세이터 방식이 세탁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 외형 몸체를 이루는 본체(100) 내부에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200)와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세탁조(300), 펄세이터(400) 및 구동부(500) 등이 장착되어 있다.
세탁조(300)는 수조(200) 내측에 설치되며, 펄세이터(400)는 세탁조(300)의 저부에 설치되어 세탁조(300)에 투입된 세탁물과 세탁수를 교반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구동부(500)는 수조(200)의 외측 하부에 구성되는데,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510), 모터(5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세탁조(300) 또는 동력전달축(540)을 통해 펄세이터(400)로 동력을 구분하여 전달하는 동력구분전달부(520)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모터(510)와 동력구분전달부(520)의 축에는 각각 모터플리(511)와 동력풀리(521)가 고정되며, 이 풀리(511, 521)들은 벨트(530)를 매개로 연동된다. 즉, 세탁(또는 헹굼) 작용시 모터(510)의 동력은 모터풀리(511)와 벨트(530) 그리고 동력풀리(521)와 동력구분전달부(520)를 통해 펄세이터(400)에 전달된다. 따라서 펄세이터(400)가 좌우로 회전을 하게 되면, 이의 정역회전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세탁조(300) 내의 세탁수와 세탁물 및 세제 등이 교반되어 세탁(또는 헹굼)작용이 수행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펄세이터(400)와 세탁조(300) 벽면 및 세탁수와 마찰작용을 하면서 세탁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에는 펄세이터(4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회전수류와 함께 세탁물이 회전하며 세탁조(300)의 내벽면 그리고 펄세이터(400)와 마찰되는 과정에 의해 세탁이 수행되므로, 세탁물이 꼬이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수류를 따라 회전하는 세탁물이 펄세이터(400)에 엉키게 되어 세탁효율이 저하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첫 번쩨 목적은 세탁기의 세탁 및 헹궁행정시 펄세이터가 좌우로 반전할 때 발생하는 회전수류에 환류상태인 또 다른 세탁수를 강제 공급함으로써, 회전수류에 의한 세탁물이 꼬임을 방지하는 세탁기의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세탁 및 행굼행저시 세탁수의 일부를 교반기내에서 지속적인 환류도게 함으로써, 그 회전력에 의해 세탁수의 함유된 미용해 세제의 용해를 촉진하는 세탁기의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세탁 및 헹굼행정시 회전수류와 함께 회전하는 세탁물이 교반기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기의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네 번쩨 목적은 세탁수의 회전수류와 함께 회전하는 세탁물에 대해 또다른 물줄기를 강제 분사시킴으로써 분사되는 물줄기의 충격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효율을 향상시키는 세탁기의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탁조 내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회전시 세탁수류를 형성하도록 원판상의 몸체 상면에 다수개의 날개부가 방사상으로 마련된 세탁기의 교반기에 있어서, 몸체의 중심부위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세탁수 일부가 저장되도록 이들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내체와 외체, 외체에 형성되며 세탁행정시 공간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외체의 회전반경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다수개 이루어진 배출공, 배출공을 통해 공간부의 세탁수가 환류되면서 강제배출되도록 외체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선회되며 소정높이로 돌출된 안내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교반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제3도의 (a)와 (b)는 교반기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세탁조 저부에 마련되는 교반기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내용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탁기의 세탁조(300, 제1도참조) 저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교반기(2)가 마련되는데, 이것은 세탁이나 헹굼행정시에 정역회전하면서 세탁수류를 형성하고, 탈수행정시에는 세탁조와 같이 회전된다.
이러한기능을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교반기(2)는 원판상으로 이루어진 몸체(21)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날개부(22)가 마련되어 이의 회전시 세탁수류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몸체(21)의 중심부는 모터(510, 제1도참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동력전달축(540)의 단부와 결합되어 일체로 연동된다. 또한, 몸체(21)의 중심부에는 날개부(22)에 의해 발생되는 세탁수류와 부딪쳐 세탁물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또다른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유로구조가 마련되는데, 이것은 동력 전달축(540)과 직접 결합되는 지집재(11)와 내체(32) 및 외체(30) 등으로 구성된다.
지지부재(11)는 하단부가 폐쇄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하부 중심에는 동력전달축(540)의 단부가 고정부재(1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내체(32)와 외체(30)는 몸체(21)의 중심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원뿔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체(32) 내부에 지지부재(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12)가 관통결합됨으로써 일체로 연동된다. 즉, 내체(32)는 하부가 개방되며 상부가 폐쇄된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 내체(32)의 하단부 내주면은 지지부재(11)가 정확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이와 동일한 각도로 테이퍼져 있다. 또한, 외체(30)는 이러한 내체(32) 외주면을 감싸도록 역시 원뿔대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외체(30) 내주면과 내체(32) 외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세탁수가 일시 저장되는 공간부(31)가 마련된다.
이러한 외체(30)와 내체(32)는 몸체(21) 중심부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동력전달축(540)과 결합된 지지부재(11)를 감싸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외체(30)와 내체(32) 및 지지부재(11)를 관통하도록 일종이 스크류(12)를 조인다. 따라서 외체(30)와 내체(32)가 돌출되게 마련된 원판상이 몸체(21)는 동력전달축(540)의 회전시 일체로 연동된다.
한편, 공간부(31) 하부와 인접하는 몸체(21)에는 공간부(31)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유입공(33)이 천공되어 있으며, 외체(30)에는 공간부(31)로 유입 저장된 세탁수를 몸체(21)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개의 배출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유입공(33)은 외체(30)의 하측단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배출공(34)은 세탁수의 배출시 노즐효과를 발휘하도록 입구부(34b) 단면적보다 출구부(34a)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세탁수의 배출시 빠른 속도로 분사 배출된다.
외체(30)의 내주면에는 몸체(21)이 회전시 공간부(31) 내부에서 세탁수를 환류시키는 세탁수 환류수단으로 나선상으로 선회된 안내날개(40)가 마련되어 있다. 안내날개(40)는 외체(3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교반기(2)는 회전시 공간부(31)에 유입된 세탁수는 교반기(2)의 회전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안내날개(40)의 돌출된 끝단부는 내체(32)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됨으로써, 공간부(31) 전체에 세탁수가 환류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세탁(또는 헹굼) 행정시 세탁에 필요한 일정량의 세탁수가 급수되면, 세탁수의 일부는 유입공(33)을 통해 외체(30)와 내체(3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31)로 유입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부(500, 제1도참조)가 작동되면 이의 동력이 동력구분전달부(520, 제1도참조)와 동력전달축(540), 그리고 지지부재(11)를 통해 교반기(2)에 전달된다.
날개부(22)가 방사상으로 마련된 교반기(2)의 정역회전운동에 따라 제3도에 도시된 화살표 D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세탁수류가 형성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수행된다. 또한, 교반기(2)의 정역회전시 외체(30)와 내체(32) 사이의 공간부(31)에 채워진 세탁수는 나선상으로 선회된 안내날개(40)를 따라 내부에서 환류되면서, 배출공(34)을 통해 교반기(2)의 회전반경방향 즉 화살표 E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공(34)이 노즐형상으로 이루어져 강하게 분출되는데, 이러한 수류는 날개부(22)에 의해 화살표 D 방향으로 발생되는 강한 세탁수류를 와해시킨다.
즉, 교반기(2)의 정역회전시 날개부(22)에 의해 화살표 D 방향(역회전시 반대방향)으로 세탁수류를 발생되며, 이와 동시에 배출공(34)에서 E 방향으로 분출되는 수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배출공(34)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류가 회전수류를 와해시킴으로써, 세탁물이 꼬임이 방지된다.
그리고, 교반기(2)의 좌우 반전이 지속되는 세탁 행정시에는 유입공(33)을 통해 세탁수의 일부가 공간부(31) 내측으로 계속 유입되고, 공간부(31) 내부에서 환류하면서 배출공(34)을 통해 분출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세탁수에 함유된 미용해세제의 용해가 촉진된다.
또한, 교반기(2)의 좌우 반전시 발생하는 회전수류를 따라 세탁물이 회전되어 교반기(2)의 중심부위에서 엉키려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배출공(34)을 통하여 회전반경방향을 분출되는 수류에 의해 엉킴이 방지됨은 물론이고,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세탁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공(34')의 분출방향 공간부(31)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구성하게 되며 수류이 분출효과가 극대화된다. 즉, 교반기(2)의 회전시 배출공(34')을 통해 회전반경 방향으로 세탁수가 분출되는데, 배출공(34')이 회전반경에 대해 접선방향(화살표 E'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서 환류하는 세탁수의 분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세탁성능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세탁물이 꼬임방지효과가 탁월하게 된다.
또한, 제5도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체(30A)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선회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홈(40A)을 형성하고, 홈(40A)과 연통된 다수개의 배출공(34A)을 형성하여도 본 고안에 따른 소기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배출공(34A)은 이들은 이은 가상선이 외체(30A) 외주면에 나선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교반기(2)의 정역회전시 유입공(33)을 통해 공간부(31)로 유입된 세탁수는 나선상으로 선회 형성된 홈(40A)에 의해 내부에서 환류되며 배출공(30A)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이러한 분출수류는 교반기(2)의 날개부(22)에서 발생되는 세탁수류와 부딪쳐 이를 와해시킴으로써, 세탁물의 엉킴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교반기는 회전반경방향으로 별도의 분출수류를 형성하도록 중심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원뿔대형상이 외체와 내체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행정시 교반기의 정역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세탁수류와 외체 내부에서 회전반경방향으로 분출되는 수류가 부딪쳐서 세탁물의 꼬임이 방지되며, 세제이 용해가 촉진됨으로써 전체적인 세탁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세탁조 내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회전시 세탁수류를 형성하도록 원판상이 몸체(21) 상면에 다수개이 날개부(22)가 방사상으로 마련된 세탁기의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21)의 중심부위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세탁수 일부가 저장되도록 이들 사이에 공간부(31)가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내체(32)의 외체(30), 상기 외체(30)에 형성되며 세탁행정시 상기 공간부(31)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외체(30)의 회전반경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다수개 이루어진 배출공(34), 상기 배출공(34)을 통해 상기 공간부(31)의 세탁수가 환류되면서 강제배출되도록 상기 외체(3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선회되며 소정높이로 돌출된 안내날개(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교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34)은 상기 공간부(31)의 세탁수가 외부로 강하게 배출되도록 입구부(34b)보다 출구부(34a)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교반기.
KR2019940021218U 1994-08-22 1994-08-22 세탁기의 교반기 KR0134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218U KR0134143Y1 (ko) 1994-08-22 1994-08-22 세탁기의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218U KR0134143Y1 (ko) 1994-08-22 1994-08-22 세탁기의 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132U KR960008132U (ko) 1996-03-15
KR0134143Y1 true KR0134143Y1 (ko) 1999-04-15

Family

ID=1939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218U KR0134143Y1 (ko) 1994-08-22 1994-08-22 세탁기의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1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132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5072A (en) Water current forming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100315625B1 (ko) 상향분출수류를형성하는세탁기용펄세이터조립체
WO2013035278A1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13035277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308656B1 (ko) 세탁기의펄세이터
KR0134143Y1 (ko) 세탁기의 교반기
KR100213610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KR0127661Y1 (ko)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KR100238658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218286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0136203Y1 (ko) 세탁기의 수류제어장치
KR100352473B1 (ko) 세탁기의 측면수류 분출장치_
KR100213609B1 (ko) 세탁기
KR100213612B1 (ko) 세탁기
KR100238657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213611B1 (ko) 세탁기
KR100218967B1 (ko) 세탁기
KR100249805B1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KR100213608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KR100213620B1 (ko) 세탁기
KR100213617B1 (ko) 세탁기
KR19990021443U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9990021441U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9990043525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010111543A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