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901Y1 -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 Google Patents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901Y1
KR0133901Y1 KR2019950040804U KR19950040804U KR0133901Y1 KR 0133901 Y1 KR0133901 Y1 KR 0133901Y1 KR 2019950040804 U KR2019950040804 U KR 2019950040804U KR 19950040804 U KR19950040804 U KR 19950040804U KR 0133901 Y1 KR0133901 Y1 KR 0133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housing
access device
lock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536U (ko
Inventor
손치왕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40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901Y1/ko
Publication of KR970048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9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7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specific features for mounting the housing on an exter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5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wherein modules are associated together, e.g. electromechanical assemblies, modul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텔레비젼 세트 등의 가정용 전기/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원터치식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에 관하여 개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의 특징에 의하면, 기기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에 대해 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콘트롤 판넬을 취출시키기 위한 동시에, 취출시 댐핑작용을 할 수 있는 댐핑수단으로서 탄성부재,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최소한의 부품 구성으로 구조를 단순화시켜 조립성 향상 및 부품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동시에 보다 안정된 취출동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콘트롤 판넬 출입 장치에 있어서의 록킹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 그리고
제4도는 제3도의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 12 : 판넬
12a : 공간부 13,13' : 스프링
14 : 랙 15 : 피니언
16,16' : 걸림턱 17,17' : 걸림홈
18 : 제1록킹부재 19 : 프레임
20,20' : 록킹수단 21 : 케이스부재
22 : 제2록킹부재 22a : 걸림턱
23 : 스프링 25 : 지지판
26 : 걸림핀 31 : 하우징
31a : 가이드부 31b : 구형체
32 : 콘트롤 판넬 32a : 스위치 노브
41 : 코일스프링 42 : 지지부재
42a : 슬라이드 가이드부
본 고안은 다양한 기능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기계장치 등에 설치되는 콘트롤 판넬 출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텔레비젼 세트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과 같은 가정용 전기/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원터치식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능이 부여된 기계장치는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용 스위치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 조작 스위치는 통상 기계장치의 가동 시작과 중단을 결정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등과 같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되는 조작 스위치와, 조절 및 조정 등과 같이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되는 조작 스위치 등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예로서, 가정용 전기/전자기기 중에서 텔레비젼 세트를 예로 들면 전원 공급 및 단절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 음량 조절 스위치 및 채널 선택 스위치 등과 같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와, 화면밝기의 조정이나 콘트라스트의 조정 및 화면의 상하좌우 이동 등과 같이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조작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 스위치들은 종래에는 거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기기의 캐비넷 전면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였다. 이러한 외부 노출형의 경우 스위치의 보호기능이 떨어짐은 물론, 외관 다자인이 중요한 세일즈 포인트로 작용하는 요즈음에 있어서는 외관미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한 조작 스위치들의 사용 빈도를 고려해 볼 때, 특수 기능 조작 스위치가 기본 기능 조작 스위치보다 훨씬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개선한 것이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개폐가능한 스위치 보호용 도어를 설치한 것이다. 즉, 사용 빈도가 낮은 특수 기능 조작 스위치를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고, 스위치의 조작 등 필요시에만 상기 보호용 도어를 오픈하여 해당 스위치의 조작행위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스위치 보호용 도어는 단순 개페작용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보호용 도어를 오픈하고 조작자가 몸을 굽혀서 내부 공간을 들여다 보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제1도에 예시한 본체에 출입가능한 콘트롤 판넬이다. 이 콘트콜 판넬은 기능 조작 스위치 노브를 판넬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하여 판넬 하우징이 수평상태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스위치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여기서, 제1도를 참조해 보면 종래 기술에 의한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는 텔레비젼 세트 등의 기기본체에 장착되는 박스형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판넬(1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12)은 내부에 공간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부(12a)에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등 콘트롤러를 형성하기 위한 부품이 장착되며, 상기 판넬(12)의 상면에 콘트롤러를 형성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스위칭되는 다수의 콘트롤 스위치 노브(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는 별도의 판넬부재(미도시)가 결합됨으로써 기기본체로부터의 개폐가능한 콘트롤 판넬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가 상기 판넬(1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판넬(12)을 취출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1쌍의 스프링(13)(13')과, 상기 판넬(12)의 취출시 이송속도를 조절해주는 댐핑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판넬(12)에 상보적으로 마련되는 랙(14) 및 피니언(15), 상기 판넬(12)의 취출시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판넬 이탈방지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판넬(12)에 상보적으로 마련되는 걸림턱(16)(16') 및 걸림홈(17)(17')을 구비하며, 상기 판넬(12)을 원터치식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판넬(12)의 취출 및 록킹을 허용하도록 상기 하우징(12)과 상기 판넬(12)에 상보적으로 마련되는 록킹수단으로서, 상기 판넬(12)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1록킹부재(18)와, 상기 제1록킹부재(18)의 삽입에 따라 상기 판넬(12)의 취출 및 록킹을 허용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19)의 내부에 마련되는 록킹수단(20)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이룬다.
한편, 상기 록킹수단(20)은 상기 프레임(19)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케이스부재(21)에, 상기 제1록킹부재(18)와 상보적으로 결합 및 해제 가능하도록 된 걸림턱(22a)이 형성되어 있는 제2록킹부재(22)를 스프링(23)에 의해 상기 판넬(11)의 취출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21)의 후방에는 지지판(25)이 결합되어 있고, 이 지지판(25)에는 걸림핀(26)의 일단이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은 상기 제2록킹부재(22)의 후방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제2록킹부재(22)가 상기 판넬(11)의 취출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도 상기 케이스부재(21)를 이탈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콘트롤 판넬 출입 장치는 상기 판넬(12)을 원터치식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록킹부재(18)가 상기 제2록킹부재(22)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2록킹부재(22)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하트형 캠홈(미도시)에 삽입된 걸림핀(26)을 하트형 캠홈을 따라 이동시켜 록킹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판넬(12)이 스프링(13)(13')의 탄력에 의해 전방으로 취출된다. 이때, 상기 랙(14)가 피니언(15)의 댐핑작용에 의해 상기 판넬(12)은 유연하게 슬라이딩되어 취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성이 나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최소한의 부품 구성으로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조립성 향상 및 부품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정된 취출동작이 가능한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는, 기기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에 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콘트롤 판넬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록킹 및 해제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콘틀로 판넬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취출될 때 댐핑작용을 하는 댐핑수단을 구비하여 된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콘트롤 판넬을 취출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와, 이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를 나타낸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상기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판넬이 하우징으로부터 취출될시에 댐핑작용을 하는 댐핑수단이 개선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술한 바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는 댐핑수단으로서 랙과 피니언을 채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는 탄성부재를 댐핑수단으로 이용한다.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텔레비젼 세트 등의 기기본체에 결합되는 박스형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에 대하여 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콘트롤 판넬(32)과, 상기 하우징(31)에 대하여 상기 콘트롤 판넬(32)을 록킹 및 해제하여 그 출입을 간섭하는 록킹수단(20')과, 상기 하우징(31) 및 상기 콘트롤 판넬(3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31)으로부터 상기 콘트롤 판넬(32)이 취출되는 취출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댐핑작용을 하는 댐핑수단(40)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수단(20')은 상술한 바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에 마련되는 록킹수단(20)과 동일한 구조 및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상기 록킹수단(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판넬(32) 역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부에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 콘트롤러를 형성하기 위한 부품이 장착되며, 상기 판넬(32)의 상면에 콘트롤러를 형성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스위칭하는 다수의 콘트롤 스위치 노브(32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댐핑수단(40)은 상기 하우징(31)에 대하여 상기 콘트롤 판넬(32)을 취출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41)과, 이 코일스프링(41)을 지지하여 상기 콘트롤 판넬(32)에 결합되는 지지부재(42)를 포함하여 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록킹수단(20')이 고정되는 후방부가 돌출된 가이드부(31a)를 이루고 있고, 이 가이드부(31a)의 상·하면에는 각각 볼 등의 구형체(31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2)는 상기 콘트롤 판넬(32)과 결합되는 홈부(42b)와 상기 하우징(31)의 후방 가이드부(31a) 내부를 슬라이딩하도록 된 가이드 슬라이드부(42a)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는, 상기 콘트롤 판넬(32)의 전면을 가압함으로써 원터치식에 의해 상기 록킹수단(20')이 상기 콘트롤 판넬(32)의 록싱상태를 해제하게 되어, 상기 하우징(31)에 대해 상기 콘트롤 판넬(32)을 취출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콘트롤 판넬(32)이 전방으로 취출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2)의 슬라이드가이드부(42a)가 상기 하우징(31)의 가이드부(31a)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구형체(31b)와의 표면 마찰작용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대한 댐핑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콘트롤 판넬(32)은 유연하게 슬라이딩되어 취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는 기기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에 대해 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콘트롤 판넬을 취출시키기 위한 동시에, 취출시 댐핑작용을 할 수 있는 댐핑수단으로서 탄성부재,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최소한의 부품 구성으로 구조를 단순화시켜 조립성 향상 및 부품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동시에 보다 안정된 취출동작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4)

  1. 기기본체에 마련된 하우징에 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콘트롤 판넬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록킹 및 해제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콘트롤 판넬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취출될 때 댐핑작용을 하는 댐핑수단을 구비하여 된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콘트롤 판넬을 취출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은 후방부가 돌출된 가이드부(31a)를 가지며, 이 가이두부(31a)의 상·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형체(31b)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2)는 상기 하우징(31)의 후방 가이드부(31a)의 내부를 슬라이딩하도록 된 가이드 슬라이드부(42a)를 가지며, 이 가이드 슬라이드부(42a)는 슬라이딩 운동시 상기 구형체(31b)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KR2019950040804U 1995-12-13 1995-12-13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KR0133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804U KR0133901Y1 (ko) 1995-12-13 1995-12-13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804U KR0133901Y1 (ko) 1995-12-13 1995-12-13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536U KR970048536U (ko) 1997-07-31
KR0133901Y1 true KR0133901Y1 (ko) 1999-04-15

Family

ID=1943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804U KR0133901Y1 (ko) 1995-12-13 1995-12-13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9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163B1 (ko) * 2006-05-29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자정보시스템(dis) 콘트롤패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536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501925A (en)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for door of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such a washing machine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actuator causing toothed wheel to rotate
CN112953582B (zh) 电子设备
CA2042850A1 (en) Auxiliary operator for circuit interrupting apparatus
KR0133901Y1 (ko) 콘트롤 판넬 출입장치
KR960043364A (ko) Ic 카드 커넥터 장치
KR950007481A (ko) Vtr내장텔레비젼수신기
KR900009247Y1 (ko) 전자기기의 도어 개폐장치
KR950013652B1 (ko) 전자렌지용 도어의 열림 및 잠금장치
KR910003460Y1 (ko) 콘트롤 스위치보드의 도아(door)개폐장치
KR0137169Y1 (ko) 전자렌지의 인터록 메카니즘
KR19990003568U (ko) 모니터의 도어 개폐 구조
KR93000731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970001232Y1 (ko) 휴대용 사무기기의 잠금장치
KR0146428B1 (ko) 카오디오용 양방향 노브의 작동구조
KR0136721Y1 (ko) 전자제품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KR0125474B1 (ko) 데크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77241Y1 (ko) 전기·전자제품의 전면 도어 개폐장치
KR910005984Y1 (ko) 다기능을 갖는 스위치 박스 보관장치
KR0137220Y1 (ko) 스냅 도어
KR20010091084A (ko) 텔레비젼 세트의 a/v잭 개폐용 도어장치
KR0138099Y1 (ko) 전자기기의 기능조절장치
JPH0412644Y2 (ko)
KR0121589Y1 (ko) 두개의 관절을 갖는 노브
KR0121588Y1 (ko) 2중 동작 노브
KR0158311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