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818B1 - Commodities carrying out commodities device for automatic - Google Patents

Commodities carrying out commodities device for automatic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818B1
KR0133818B1 KR1019940024493A KR19940024493A KR0133818B1 KR 0133818 B1 KR0133818 B1 KR 0133818B1 KR 1019940024493 A KR1019940024493 A KR 1019940024493A KR 19940024493 A KR19940024493 A KR 19940024493A KR 0133818 B1 KR0133818 B1 KR 0133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oods
storage column
carrying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09510A (en
Inventor
데쯔오 마쯔다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95000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81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공판매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방출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cle discharging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that can facilitate product storage and can prevent public sales.

나선상의 반출 부재(2)를 수직설치하는 상품 수납 컬럼(8)을 원통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상품 수납 컬럼(8)의 주위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품 수납 문짝(9)가 설치된 상품 수납구(7)로부터 반출 부재(2)의 삽입부(5a)에 삽입되는 상품(10)을 상품 수납 컬럼(8)의 내주면을 따라서 반출 부재(2) 상을 미끄럼 낙하시킨다. 상품 수납 컬럼(8)의 하단부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돌출 설치한 고정 가이드(11)에 반출 부재(2)의 반출 동작에 따라 취하부 상품(10a)로 되는 상품(10)을 순서대로 접촉시켜 반출시 반출 부재(2)의 회전에 따라 최하부 상품(10a)를 상품 수납 컬럼(8)의 상품 출구(1b)에 안내한다. 또 최하부 상품(10a)에 걸려 있던 다음번 판매 상품(10b)를 고정 가이드(11)에 의하여 걸리게 하고 다음번 판매 상품(10b)를 최하부 상품(10a)와 분리시킨다.A product storage port formed with a cylindrical shape while a product storage column 8 that vertically installs a spiral carrying member 2 is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8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duct storage doors 9. The product 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5a of the carrying member 2 from (7) is slid down on the carrying member 2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duct storing column 8. According to the carrying out operation of the carrying-out member 2, the goods 10 which become the taking-down goods 10a are made to contact the fixed guide 11 which protruded at equal intervals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goods storage column 8 in order. The lowermost goods 10a are guided to the goods outlet 1b of the goods storage column 8 by the rotation of the carrying member 2 at the time of carrying out. Further, the next selling product 10b that has been caught on the bottommost product 10a is caught by the fixing guide 11, and the next selling product 10b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elling product 10a.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Product taking out device of vending machine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측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평단면도.2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the vending machine.

제3도는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8 : 상품 수납 컬럼2 : 스파이럴1,8: Goods storage column 2: Spiral

10 : 상품11 : 고정 가이드10: product 11: fixed guide

본 발명은 일정한 피치로 형성된 간극에 상품이 삽입된 나선상의 반출 부재를 회전시켜서 상품을 반출하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for discharging a product by rotating a spiral dispensing member into which a product is inserted in a gap formed at a constant pitch.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소) 61-243593호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피치로 형성된 간극에 상품이 삽입된 나선상의 반출 부재를 회전시켜서 상품을 판매하도록 한 소위 나선형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가 있다.As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a so-called spiral automatic that sells a product by rotating a spirally ejected member inserted with a product in a gap formed at a constant pitch as shown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1-243593. There is a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the vending machine.

제 3도는 이와 같은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수직 설치된 상품 수납 컬럼(1) 내에는, 사선상으로 형성된 반출 부재인 스파이럴(2)가 회전자재로 수직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스파이럴(2)의 중심에는 스파이럴(2)의 상하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품 수납 컬럼(1)의 상면(1a)에 설치된 구동부(3)에 의하여 저속으로 회전하는 축간(軸杆)(4)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축간(4)의 회전에 따라 스파이럴(2)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FIG. 3 shows an example of such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the vending machine, and spiral 2, which is a carrying member formed obliquely,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product storage column 1 provided vertically. He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piral 2 are fixed to the center of the spiral 2 and the shaft shaft rotates at a low speed by the driving unit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a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1 ( 4)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piral 2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4.

한편, 이 스파이럴(2)에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간극(이하 '삽입부'라 함)(5)는 상품을 삽입하기 위한 것이며, 상품을 판매하기 전에 자동판매기의 관리자는 판매하는 상품을 이 삽입부(5)에 순서대로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6은 스파이럴(2)에 유지된 상품이 삽입부(5)로부터 벗겨져 상품 수납 컬럼(1)의 측면에 설치된 상품 수납구(7)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이며, 이 보호부(6)은 상품 수납시에 상품 수납구(7)을 개방할 수 있도록 회동자재로 축받이 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gap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sertion portion') 5 formed at a constant pitch on the spiral 2 is for inserting a product, and the manager of the vending machine sells the product to sell before selling the product. The insertion part 5 is inserted in order. And 6 is a protection part for preventing the goods hold | maintained in the spiral 2 from peeling off from the insertion part 5, and falling out from the goods storage opening 7 provided in the side of the goods storage column 1, and this protection part ( 6) is supported by a rotating material so that the product storage opening 7 can be opened at the time of storing the product.

그리고 선택 버턴이 눌러지면, (도시하지 않은)판매 제어 장치로부터의 구동 시니호에 따라서 구동부(3)이 구동되고, 이것에 의하여 축간(4)와 함께 스파이럴(2)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스파이럴(2)에 삽입된 촤하부 상품이 스파이럴(2)의 저면에 형성된 상품 출구(16)으로부터 아래쪽의 (도시하지 않은)상품 취출구에 낙하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후에도 선택 버턴이 눌러질 때마다, 스파이럴(2)가 회전하고, 순서대로 상품이 낙하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he driving unit 3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a driving sign from a sales control device (not shown), whereby the spiral 2 rotates together with the shaft 4, thereby spiraling. The lower part product inserted in (2) falls out from the goods outlet 16 formed in the bottom of the spiral 2 to the goods outlet (not shown) below. Thereafter, each time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he spiral 2 rotates so that the goods fall out in order.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컵 형상의 상품을 스파이럴에 삽입한 경우에 이 상품이 스파이럴을 따라서 미끄러져 떨어져서 상품끼리 연결된 상태에서 수납되도록 되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선택 버턴이 눌러지면 1회의 판매 동작에서 다수의 상품이 판매되기도 하고, 역으로 상품이 막히는 일도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컵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스파이럴의 삽입부에 구획용의 어댑터를 장치하여 삽입부를 몇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이 구획된 각 공간 내에 상품을 1개씩 삽입하도록 하고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the vending machine, when a cup-shaped product is inserted into a spiral, for example, the product slides along the spiral to be stored in a state where the produc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state,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a plurality of products may be sold in one selling operation, and conversely, the products may be blocked. For this reason, conventionally, when selling cup goods, a partition adapter is installed in the spiral insertion part to partition the insertion part into several spaces, and one produc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divided spaces.

그런, 이와 가은 구획된 공간 내에 1개씩 상품을 삽입하도록 한 경우, 상품 수납 작업에 시간이 걸릴뿐만 아니라, 삽입되지 않은 것이 있는 경우에는(상품이 나오지 않는) 공판매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어댑터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며 상품 수납 효율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품이 냉동 상품인 경우, 이와 같이 상품 수납 작업에 시간이 걸리면 상품 수납 컬럼 내의 냉기가 달아나 버리는 문제점도 생기게 된다.In such a case, when the products are inserted one by one in the divided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akes time to store the goods, but also if there is something that is not inserted (the product does not come out), a public sale occurs. In addition, since an adapter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high and the product storage efficiency is deteriorated.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product is a frozen product, if the product storage operation takes time in this way, the cold air in the product storage column may run away.

본 발명은 상품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공판매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that can facilitate product storage and can prevent public sales.

본 발명은 상품 수납 컬럼 내에 상품을 삽입하기 위한 간극이 일정한 피치로 형성된 나선상의 반출 부재를 수직 설치하고, 이 반출 부재를 회전시켜서 이 반출 부재에 삽입된 상품 중에서 최하부 상품을 순서대로 상기 상품 수납 컬럼의 저면에 형성된 상품 출구에서 낙하 반출하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컬럼을 원통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상품 수납 컬럼의 주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상품 수납 문짝이 설치된 상품 수납구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품 수납 컬럼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반출 부재의 반출 동작에 따라 상기 최하부 상품으로 되는 상품에 순서대로 접촉하도록 등간격으로 돌출 설치되는 한편, 반출되는 최하부 상품을 상기 상품 출구에 안내함과 동시에, 다음번 판매 상품을 걸리게하여 최하부 상품과 분리시키는 복수의 고정 가이드를 설치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iral carrying member is vertically provided with a gap having a constant pitch for inserting a product into a goods storage column, and the bottom member is rot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owest goods among the goods inserted into the carrying member are sequentially rotated. In the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o drop out at the product outle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roduct, the product storage colum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product storage opening provided with the several product storage doors in the up-down direction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is product storage column. On the other han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is protrud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sequentially contact the goods to become the lowest goods in accordance with the carrying out operation of the carrying member, the lowest goods to be carried out to the product outlet At the same time, to take the next sale of goods A plurality of fixed guides are provided to separate the bottom goods.

상품을 삽입하기 위한 간극이 일정 피치로 형성된 나선상의 반출 부재를 상품 수납 컬럼에 수직설치하는 한편, 이 상품 수납 컬럼을 원통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품 수납 컬럼의 주위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에 복수의 상품 수납 문짝이 설치된 상품 수납구로부터 수납되는 상품을 상품 수납 컬럼의 내주면을 따라서 반출 부재 상에서 미끄럼 낙하시킬 수가 있다.While a spiral carrying member having a gap for inserting a product is vertically provided on the product storage column, the product storage colum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extending members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oods received from the goods storage opening provided with the goods storage door can be slid down on the carrying-out member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oods storage column.

또, 상품 수납 컬럼의 하단부 내주면에 복수의 고정 가이드를 등간격으로 돌출 설치하고, 이 고정 가이드에 반출 부재의 반출 동작에 다라 최하부 상품으로 되는 상품을 순서대로 접촉시킴과 동시에 반출 부재의 회전에 따라 최하부 상품을 상품 수납 컬럼의 저면에 형성된 상품 출구에 안내함으로써, 상품을 낙하 반출 할 수 있다. 또 그때까지 최하부 상품에 걸려있던 다음번 판매 상품을 고정 가이드에 의하여 걸리게 함으로써, 다음번 판매 상품을 최하부 상품과 분리시켜서 최하부 상품만을 반출할 수 있다.Further, a plurality of fixing guides are projec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at equal intervals, and the fixed guid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ducts, which are the lowest goods, in sequence according to the carrying out operation of the carrying members. By carrying out the bottom goods to the goods exit formed in the bottom face of the goods storage column, goods can be carried-out. In addition, the next selling product that has been hung on the lowest product until then is caught by the fixing guide, so that the next selling product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st selling product and only the lowest selling product can be taken ou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제1도에서 제3도에서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을 도시한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1 to FIG. 3 show the same or similar parts.

제1도서 8은 원통상으로 형성된 상품 수납 컬럼이며, 이 상품 수납 컬럼(8)의 주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품 수납구(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품 수납구(7)에는 복수의 원호상의 상품 수납 문짝(9,9a)가 상하 방향으로 또한 개폐자재로 부착되어 있다.The first book 8 is a cylindrical product storage column, and a product storage port 7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8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product storage port 7 has a plurality of arc-shaped products. The storage doors 9 and 9a are attached in the up-down direction and open and close.

또, 10은 예를 들면 컵 현상을 갖는 상품이며, 통상 상품(10)의 수납은 상품수납 문짝(9) 중의 최상부의 상품 수납 문짝(9a)를 개방하고, 상품(10)을 스파이럴(2)의 상단부의 삽입부(5a)에 삽입함으로써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와 같이 상품(10)을 스파이럴(2)의 상부에 삽입하면, 상품(10)은 자중에 의하여 원통상의 상품 수납 컬럼(8)의 내주면을 따라서 스파이럴(2) 상을 미끄러져 낙하하여 가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10 is the product which has a cup phenomenon, for example, Usually, the storage of the goods 10 opens the goods storage door 9a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goods storage door 9, and the goods 10 are spiral 2 It is performed by inserting into the insertion part 5a of the upper end part of a. Here, when the goods 10 are inserted in the upper part of the spiral 2 in this way, the goods 10 slide and fall on the spiral 2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goods storage column 8 by their own weight. It is supposed to go.

그리고, 이와 같이 상품 수납 컬럼(8)을 원통상으로 형성하고, 스파이럴(2)에 삽입한 상품(10)을 미끄럼 낙하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납 상품의 수가 많은 경우라도 순서대로 상품(10)을 스파이럴(2)의 상단부의 삽입부(5a)에 연속하여 삽입하면 간단하게 상품(10)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way, the product storage column 8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product 10 inserted into the spiral 2 can be slid down so that the product 10 can be spirally ordered even when the number of items to be stored is large. The product 10 can be stored simply by inserting it continuously into the insertion part 5a of the upper end part of 2).

또, 이와 같이 상품(10)을 하나의 문짝(9)를 개방함으로써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냉기가 새는 것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품(10)이 미끄러지기 어려운 것이면 도중에서 상품(10)이 막히는 수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도중의 상품 수납 문짝(9)를 개방하여 아래쪽까지 미끄러지게 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store the goods 10 by opening one door 9 in this way, leakage of cold air can be reduced. If the product 10 is not slippery, the product 10 may be blocked on the way, but in such a case, the product storage door 9 on the way may be opened to slide downward.

한편, 상품 수납 컬럼(8)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상품(10)의 높이 치수와 거의 같은 높이 치수를 갖는 복수의 고정 가이드(1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고정 가이드(11)은 스파이럴(2)의 반출 동작에 따라 최하부 상품으로 되는 상품(10a)에 순서대로 접촉하도록 제2도에 도시하는 바 같이 등간격으로 돌출 설치되고, 반출되는 최하부 상품(10a)를 상품 출구(1b)에 안내하는 한편, 후술하는 바 같이 이 최하부 상품(10a)에 걸려있는 다음번 판매 상품(10b)를 최하부 상품(10a)와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part of the goods storage column 8, the some fixed guide 11 which has a height dimens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eight dimension of the goods 10 is provided. Here, the fixed guide 11 protrudes at equal intervals as shown in FIG. 2 so as to sequentially contact the goods 10a serving as the bottom goods according to the carrying out operation of the spiral 2, and the bottom goods to be taken out. The product outlet 1b is guided to the product outlet 1b, and as described later, the next sale product 10b hanging on the bottom product 10a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roduct 10a.

그리고, 이 고정 가이드(11)의 수는 스파이럴(2)의 각 삽입부(5)에 삽입할 수 있는 상품수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 삽입부(5)마다 4개의 상품(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가이드(11)은 4개의 돌출 설치되어 있다.The number of the fixing guides 11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product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insertion portions 5 of the spiral 2, and in this embodiment, four products 10 for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5 are provided. ), The fixing guide 11 is provided with four protrusions.

또 이 고정 가이드(11)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바 같이 스파이럴(2)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하방 이동하는 최하부 상품(10a)를 확실히 상품 출구(1b)에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 최하부 상품(10a)의 하방 이동시에 최하부 상품(10a)와 함께 이동하는 다음번 판매 상품(10b)를 최하부 상품(10a)로부터 확실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좌우대칭 형상의 테이퍼부(12)가 상품 수납컬럼(8)의 내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part of this fixing guide 11, it is possible to reliably drop the lowest goods 10a which move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piral 2 to the product outlet 1b as described later. The tapered portion 12 of the left and right symmetrical shapes is provided with a product storage column so that the next selling product 10b moving together with the bottommost product 10a can be reliably separated from the bottommost product 10a when the bottommost product 10a moves downward. It is 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8).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 가이드(11)을 구비한 상품 수납 컬럼(8)에 상품(10)을 수납하면 최초로 수납되고, 최하부 상품으로 되는 10a는 상품 수납 컬럼(8)의 내주면을 따라서 스파이럴(2) 상을 미끄러져 하방으로 낙하하고, 결국 4개의 고정 가이드(11) 중의 소정의 고정 가이드(11), 이 도면에서는 예를 들면 최상부의 제1고정 가이드(11a)에 부딪쳐서 이 고정 가이드(11a)에 걸리게 된다.However, when the product 10 is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column 8 having the fixed guide 1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duct is stored. The 10a, which is the lowest product,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8. The upper surface is slid down and falls downward, eventually hitting the predetermined fixing guide 11 of the four fixing guides 11, in this figure,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guide 11a at the uppermost portion, to the fixing guide 11a. I get caught.

그리고 이 상품(10a) 다음에 수납되어서 다음번 판매 상품으로 되는 상품(10b)는 제1고정가이드(11a)에 걸린 상태의 최하부 상품(10a)에 부딪쳐서 상품(10a)에 걸린 상태에서 유지되고, 이하 순서대로 수납되는 상품(10)은 이 상품(10b)로 줄지어 늘어선 상태로 수납되도록 된다.The product 10b that is stored next to the product 10a and becomes the next sale product is held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product 10a by hitting the bottommost product 10a in a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first fixing guide 11a. The merchandise 10 that is stored in sequence is stored in a lined up state with the merchandise 10b.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상품(10)이 수납된 후, 선택 버턴이 눌려서 축간(4)가 도면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축간(4)와 함께 회전하는 스파이럴(2)에 의하여 최하부 상품(10a)에는 하방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 힘에 의하여 상품(10a)는 제1 고정 가이드(11a)의 테이프부(12)를 따라서 상품 출구(1b)에 안내 되어서 상품 출구(1b)로부터 낙하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Then, after the product 10 is stored in this manner,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and the shaft 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s shown by the arrow in the drawing, the spiral 2 that rotates with the shaft 4 is rotated. Downward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most product 10a, and by this force the product 10a is guided to the product outlet 1b along the tape portion 12 of the first fixing guide 11a. Dropping-out is carried out from the goods outlet 1b.

한편 이와 같이 최하부 상품(10a)가 낙하하면, 이에 따라 최하부 상품(10a)걸려있던 다음번 판매 상품(10b)도 하강하지만, 이 상품(10b)는 제1고정 가이드(11a)의 회전 방향과 반대측으로 위치하는 이 도면에 있어서는 우상부의 제2고정 가이드(11b)에 부딪치고, 이 제2고정 가이드(11b)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다음번 판매 상품(10b)를 최하부 상품(10a)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고 최하부 상품(10a)만을 반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lowermost product 10a falls in this way, the next selling product 10b, which has been caught by the lowermost product 10a, is also lowered accordingly, but this product 10b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guide 11a. In this figure located, it hits the 2nd fixed guide 11b of the upper right part, and is caught by this 2nd fixed guide 11b. As a result, the next sold product 10b can be separated from the bottommost product 10a, and only the bottommost product 10a can be carried out.

그런데, 상품 수납 컬럼(8)의 하단부에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 같이 제1스프링(13a)에 의하여 상품 출구(1b)에 임하도록 부세된 반출 레버(13)이 회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출 레버(13)이 반출되는 상품(190a)와 함께 하방회동하면(도시하지 않은)검지 스위치가 이것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에 설명한 판매 제어 장치는 이 검지 스위치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하여 상품이 반출 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파이럴(2)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By the way, at the lower end of the goods storage column 8, as shown in FIG. 1, the carrying out lever 13 urged by the 1st spring 13a to approach the goods exit 1b is provided with the rotating material. And when this carrying out lever 13 rotates downward with the goods 190a which are carried out, the detection switch (not shown) detects this, and the above-mentioned sales control apparatus is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is detection switch. It is judged that the goods have been taken out, and the rotation of the spiral 2 is stopped.

또 상품 수납 컬럼(8)의 하단부에는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하는 바 같이 제2 스프링(14a)에 의하여 제3고정 가이드(11c)와 제4고정 가이드(11d)와의 사이로부터 상품 수납 컬럼(8) 내에 부세된 판매 종료한 레버(14)가 회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8,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product storage colum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fixing guide 11c and the fourth fixing guide 11d by the second spring 14a. The sold-off lever 14 added to (8) is provided as a rotating material.

그리고, 통상 상기 판매 종료한 레버(14)는 상품(10)에서 눌려서 상품 수납 컬럼(8) 외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지만, 상품(10)이 다 판매되어 판매 종료한 레버(14)가 상품 수납 컬럼(8)에 돌출하면(도시하지 않은)검지 스위치가 이것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검지 스위치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하여 판매 제어장치는 상품(10)이 판매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이후 선태구 버턴이 눌려도 스파이럴(2)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여 공판매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elling ends of the levers 14 are normally pushed by the goods 10 to be located outside the goods storage column 8, the goods 14 are sold out and the sold goods lever 14 is finished selling. When it protrudes to (8), the detection switch (not shown) detects this,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is detection switch, the sales control device judges that the product 10 has been sold and the preselection button is pressed later. The spiral 2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to prevent public sales.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product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최상부의 상품 수납 문짝(9a)를 개방하여 순서대로 상품(10)을 스파이럴(2)의 상단부의 삽입부(5a)에 삽입하면, 상품(10)은 자중에 의하여 상품 수납 컬럼(8)의 내주면을 따라서 스파이럴(2)상을 미끄러져서 하방으로 낙하하고, 최초로 수납된 상품(10a)는 조금후에 제1고정 가이드(11a)에 부딪쳐서, 이 고정 가이드(11a)에 걸리게 된다.First, when the uppermost product storage door 9a is opened and the products 10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5a of the upper end of the spiral 2, the products 10 are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column 8 by their own weight. The upper surface of the spiral 2 is sli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fall downward, and the first stored product 10a strikes the first fixed guide 11a a little later and is caught by the fixed guide 11a.

또, 이 상품(10a) 다음에 수납되어서 다음번 판매 상품으로 되는 상품(10b)는 제1고정 가이드(11a)에 걸린 산태의 촤하부 상품(10a)에 부딪쳐서 상품(10a)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이하 순서대로 수납 도는 상품(10)은 이 상품(10b)에 줄지어 늘어선 상태로 된다.Moreover, the product 10b stored after this product 10a and used as the next sale product hits the low-grade lower part product 10a caught by the first fixing guide 11a, and is held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product 10a. The merchandise 10 that is stored or turned in the following order is in a lined-up state on the merchandise 10b.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상품(10)을 수납한 후, 선택 버턴이 눌러져서 스파이럴(2)가 회전하면, 이 스파이럴(2)의 회전에 의하여 최하부 상품(10a)는 제1고정 가이드(11a)의 테이퍼부(12)를 따라서 상품 출구(1b)에 안내되고, 상품 출구(1b)로부터 반출 레버(13)을 하방 회동시키면서 낙하 반출된다. 그리고, 이 반출 레버(13)의 하방 회동에 의하여 상품(10a)가반출되었다고 판매 제어 장치가 판단하면, 판매 제어 장치는 스파이럴(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 상품 반출 후, 반출 레버(13)은 제1스프링(13)에 의하여 복귀 회동하여 다음번 상품 반출을 준비한다.Then, after storing the product 10 in this way,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and the spiral 2 rotates, the lowermost product 10a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piral 2 to form the first fixing guide 11a. It guides to the goods outlet 1b along the taper part 12, and is carried out drop-off while rotating the carrying out lever 13 downward from the goods outlet 1b. And if the sales control apparatus determines that the goods 10a were carried out by the downward rotation of this carrying out lever 13, the sales control apparatus will stop the rotation of the spiral 2. As shown in FIG. Moreover, after carrying out goods, the carrying out lever 13 rotates back by the 1st spring 13, and prepares for carrying out next goods.

한편, 이와 같이 최하부 상품(10a)가 낙하하면, 이에 따라 최하부 상품(10a)에 걸려 있던 다음번 판매 상품(10b)가 하강하여 제2고정 가이드(11b)에 부딪쳐서 이 제2고정 가이드(11b)에 걸리고, 이것에 의하여 다음번 판매 상품(10b)는 최하부 상품(10)과 분리됨과 동시에 최하부 상품으로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st product 10a falls in this way, the next selling product 10b hanging on the lowest product 10a is thereby lowered and hits the second fixing guide 11b to hit the second fixing guide 11b. By this, the next sale product 10b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roduct 10 and becomes the bottom product.

그리고 이후, 다시 선택 버턴이 눌러져서 스파이럴(2)가 회전하면, 다음번 판매 상품(10b)가 제2고정 가이드(11b)의 테이퍼부(12)를 따라서 상품 출구(1b)에 안내되어 상품 출구(1b)로부터 반출되고, 또 이 상품(10b)에 걸려 있던 상품(10c)가 하강하여 제3고정 가이드(11c)에 부딪쳐서 제3 고정 가이드(11c)에 걸리고 그 다음번 판매 상품(10b)만이 반출되도록 된다.Then,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again and the spiral 2 is rotated, the next selling product 10b is guided to the product outlet 1b along the taper portion 12 of the second fixing guide 11b, and the product outlet ( 1b), and the product 10c hanging on the product 10b falls down, hits the third fixing guide 11c, hangs on the third fixing guide 11c, and only the next selling product 10b is taken out. do.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순서대로 상품(10)이 판매되고, 결국 판매 종료한 레버(14)가 상품 수납 컬럼(8)로 돌출하고 이것을 검지 스위치에서 검지하면 판매 제어 장치는 판매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 선택 버턴에 눌려져도 스파이럴(2)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In this way, when the merchandise 10 is sold in this order, and the lever 14 which has been finally sold out protrudes into the merchandise storage column 8 and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witch, the sales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sale has ended. Even if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he spiral 2 is not rotated.

이와 같이, 상품 수납 컬럼(8)을 원통상으로 형성하므로써 수납 상품(10)을 상품 수납 컬럼(8)의 내주면을 따라서 스파이럴(2) 상을 미끄럼 낙하시킬 수 있다. 또, 상품 수납 컬럼(8)의 하단부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고정 가이드(11)을 돌출 설치하고, 이 고정 가이드(11)에 최하부 상품(10a)를 순서대로 접촉시킴으로써 상품 반출시 최하부 상품(10a)를 상품 출구(1b)에 안내할 수 있는 동시에 다음번 판매 상품(10b)를 고정 가이드(11)에 걸리게 하여 반출되는 최하부 상품(10a)와 분리시킬 수 있다.Thus, by forming the goods storage column 8 in a cylindrical shape, the storage goods 10 can be slid down on the spiral 2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oods storage column 8. In addition, the fixed guide 11 is protrud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8, and the lowest goods 10a at the time of product removal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guide 11 in order. ) Can be guided to the product outlet 1b and at the same time, the next selling product 10b can be caught by the fixing guide 11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st goods 10a to be taken ou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 수납 컬럼을 원통상으로 형성하여 수납되는 상품을 상품 수납 컬럼의 내주면을 따라서 반출 부재상을 미끄럼 낙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품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품 수납 컬럼을 하단부 내주연에서 반출 부재의 반출 동작에 따라 최하부 상품으로 되는 상품을 순서대로 접촉시키는 복수의 고정 가이드를 등간격으로 돌출 설치함으로써, 상품 반출시 최하부 상품을 상품 출구에 안내할 수 있고, 공판매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duct storage colum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product to be stored is made to slide down on the carrying-out member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In addition, the lowermost product can be guided to the product outlet when the product is unload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fixed guides at regular intervals, in which the product storage column is in contact with the product which becomes the lowest product in order according to the carrying out operation of the carrying member at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part. And can prevent the public sale.

또 다음번 판매 상품을 최하부 상품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합부 상품만을 반출할 수 있다. 또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 절감 및 상품 수납수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ext sale can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only the bottommost product can be taken out. In addition, since the adapter is not us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items stored can be increased.

Claims (1)

상품 수납 컬럼 내에 상품을 삽입하기 위한 간극이 일정한 피치로 형성된 나선상의 반출 부재를 수직 설치하고 이 반출 회전시켜서 이 반출 부재에 삽입된 상품 중 최하부에 있는 상품을 순서대로 상기 상품 수납 컬럼의 저면에 형성된 상품 출구로부터 낙하 반출하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컬럼을 원통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상품 수납 컬럼의 주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상품 수납 문작이 설치된 상품 수납구를 형성하고 상기 상품 수납 컬럼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반출 부재의 반축 동작에 따라 상기 최하부 상품으로 되고 상품에 순서대로 접촉하도록 등간격으로 돌출 설리되는 한편, 반출되는 최하부 상품을 상기 상품 출구에 안내하는 동시에 다음번 판매 상품을 걸리게하고 이 최하부 상품과 분리시키는 복수의 고정 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Vertically installing a spiral carrying member formed at a constant pitch with a gap for inserting the goods into the goods storage column, and rotating the carry-out so that the products at the bottom of the goods inserted in the carrying member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oods storage column.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for dropping out from a product outlet, wherein the product storage colum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roduct storage po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duct storage doors is install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product storage column, the lowermost product becomes the lowest product in accordance with the semi-axial motion of the carrying member and protrudes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sequentially contact the goods, while guiding the lowest goods to be discharged to the product outlet, Take the goods for sale and with this bottom Automatic goods carry-out device of th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xed guide to Lee.
KR1019940024493A 1993-09-30 1994-09-28 Commodities carrying out commodities device for automatic KR01338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65434 1993-09-30
JP5265434A JPH07105442A (en) 1993-09-30 1993-09-30 Commodity carrying-out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10A KR950009510A (en) 1995-04-24
KR0133818B1 true KR0133818B1 (en) 1998-04-23

Family

ID=1741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493A KR0133818B1 (en) 1993-09-30 1994-09-28 Commodities carrying out commodities device for automatic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05442A (en)
KR (1) KR01338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2957A1 (en) * 1996-10-17 1998-04-23 Merck Patent Gmbh cleaning supplies
JPH11340436A (en) 1998-05-25 1999-12-10 Nec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sto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05442A (en) 1995-04-21
KR950009510A (en)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44953A (en) Article vending machine having helical feeder coil
US6119737A (en) Tablet packing apparatus
US4542834A (en) Dispens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s
US4574980A (en) Vending machine dispensing mechanism
US4638922A (en) Shake compensated hole-punched product vending system
US3512679A (en) Multi-selection dispensing machine
US4776487A (en) Control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dispensing mechanism
US4565300A (en) Dispens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s or the like
US4671426A (en) Automatic article dispenser using screw-driven mobile trays
KR0133818B1 (en) Commodities carrying out commodities device for automatic
US2272859A (en) Dispensing machine
WO2020100795A1 (en) Article detection device for article vending machine
EP4280183A1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packaged product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packaged product from a vending machine
KR950015199B1 (en) Vending machine
US2178001A (en) Selective vending machine
US4069943A (en) Automatic carousel vendor for stacked articles
JPH05132160A (en) Ic card discharge device
JPH08315242A (en) Article payout device
JPS6037662Y2 (en) Goods storage/discharge device for vending machines, etc.
KR0135227B1 (en) Article carrying out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EP1857365A1 (en) Tablet packing apparatus
JP3322523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and ejection device
JPH05303681A (en) Dispenser
JPH0877449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S6037661Y2 (en) Goods storage/discharge device for vending machines, 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