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613Y1 - 파라솔 - Google Patents

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613Y1
KR0133613Y1 KR2019960031310U KR19960031310U KR0133613Y1 KR 0133613 Y1 KR0133613 Y1 KR 0133613Y1 KR 2019960031310 U KR2019960031310 U KR 2019960031310U KR 19960031310 U KR19960031310 U KR 19960031310U KR 0133613 Y1 KR0133613 Y1 KR 0133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oke
circumferential surface
groove
para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915U (ko
Inventor
김대일
Original Assignee
김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일 filed Critical 김대일
Priority to KR2019960031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61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7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9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가벼워 이동시키기가 편하고 지지대, 스포크 등이 부식되지 않으며 잘 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의 제1 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 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고 소정 형태의 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포크 지지캡, 지지대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대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소정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녹로, 스포크 지지캡의 홈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햇빛 가리개를 지지하여 주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제 2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스포크 및 녹로의 홈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결합되고 스포크에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스포크를 지지하여 주는 보조 스포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파라솔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파라솔
본 고안은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볍고 녹이 슬지 않으면서도 지지대의 휨이 발생되지 않으며 장시간 펼쳐 두었다가 접더라도 스포크가 변형되지 않는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라솔은 천 등으로 만들어진 햇빛 가리개, 햇빛 가리개를 지지하는 스포크(spoke), 지지대, 지지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파라솔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해주는 녹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파라솔은 지지대와 스포크가 강(steel)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을 사용하여 파라솔을 만들 경우 파라솔이 무거워 이동시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쉽게 녹이 슬어 외관상으로 보기에도 나쁘며 비용도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파라솔을 만들 경우 파라솔이 가벼운 반면에 강도가 약해 지지대, 스포크 등이 쉽게 휘며 특히 장시간 펼쳐 두었다가 접는 경우 스포크가 변형되어 원상태로 복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보다는 부식정도가 덜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표면이 부식되어 외관을 해치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벼워 이동시키기가 편하고 지지대, 스포크 등이 부식되지 않으며 잘 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파라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라솔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I-I에 따른 지지대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파라솔의 저면도.
제4도는 제1도 연결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5a도는 제3도 J-J에 따른 스포크의 단면모습을 나타낸 도면.
제5b도는 스포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제1도 파라솔의 골격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제6도 스포크 지지캡의 분해 사시도.
제8도는 제6도 녹로의 분리 사시도.
제9도는 지지대 하단부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대 12 : 제1돌조
14,44 : 내부돌조 15 : 원추체
20 : 연결관 30 : 스포크 지지캡
40,40a : 스포크 42,42a : 제2돌조
50 : 햇빛 가리개 60 : 녹로
70 : 보조 스포크
본 고안의 목적은 천 또는 비닐로 햇빛 가리개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한 파라솔에 있어서,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의 제1 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 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고 소정 형태의 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포크 지지캡, 지지대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대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소정 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녹로, 스포크 지지캡의 홈에 결합되고 스포크에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스포크를 지지하여 주는 보조 스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라솔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I-I에 따른 지지대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파라솔의 저면도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라솔은 지지대(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대(10)의 외주면에는 지지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의 제1돌조(12)가 형성되어 있다. 그 단면 모습은 제2도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제1돌조(12)는 단면 2차 모우먼트를 증가시켜 지지대(10)의 강도를 높여주어 지지대(10)가 쉽게 휘지 않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 지지대(10)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형성된 형태의 내부 돌조(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지지대(10)의 무게를 최대한 줄이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10)는 연결관(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데 이 연결관(20)은 파라솔을 테이블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결관(20) 내부의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대(10)의 위쪽 끝단에는 스포크 지지캡(3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포크 지지캡(30)은 제3도에 도시되는 스포크(4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스포크 지지캡(30)의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스포크 지지캡(30)에는 스포크(40)가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위에 햇빛을 가릴 수 있는 햇빛 가리개(50)가 부착되어 있다. 햇빛가리개(50)로는 천, 비닐 등을 사용하면 된다.
제4도는 제1도 연결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관(20)의 내부에는 상·하의 두 지지대(10a, 10b)가 걸릴 수 있는 단턱(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쪽과 아래쪽에 측방향으로 구멍(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멍(23)에는 볼(24)과 탄성부재(25)가 삽입되어 있고 그 바깥쪽에 나사(26)가 결합되어 있다. 즉, 볼(24)이 탄성부재(25)의 지지를 받아 제2도에 나타낸 돌조(12) 사이에 일부 삽입되어 지지대(10)를 밀어주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10)가 연결관(20) 내부에서 단단하게 결합되고 또한, 지지대(10)의 회전도 방지된다.
제5a도는 제3도 J-J에 따른 스포크의 단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5b도는 스포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5a도 스포크(40)의 외주면에는 지지대(10)에서와 동일한 형태의 제2돌조(42)가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돌조(42)들 역시 스포크(40)의 강성을 증가시켜 장시간 펼쳐두었다가 접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포크(40)의 내부는 비어있고 그 내주면에는 내부 돌조(44)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는 스포크(40)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스포크(40)가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5b도 스포크(40a)는 전체적으로 4각단면모양을 하고 있으며 외주면과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돌조(42a)에 큰 힘이 작용하더라도 개방된 부분이 벌어지거나 수축하면서 작용하는 힘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6도는 제1도 파라솔의 골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위쪽 끝단에 스포크 지지캡(30)이 결합되어 있다. 이 스포크 지지캡(30)에는 다수의 홈(32)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홈(32)은 스포크(40)가 결합되는 부분을 결합된 상태에서 스포크(4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여준다. 이 스포크 지지캡(30)은 제7도를 통해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스포크 지지캡(30) 아래쪽 지지대(10)에는 녹로(6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녹로(60)는 지지대(10)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대(10)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위쪽을 향해 형성된 T자 형태의 홈(62)을 구비하고 있다. 이 T자 형태의 홈(62)은 스포크(40)를 지지하여 주는 보조 스포크(7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녹로(60)에 대해서는 첨부된 제8도를 통해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스포크(40)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햇빛 가리개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끝단에는 스포크 지지캡(30)의 홈(32)에 결합하기 위한 원통형 형태의 결합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체(47)를 구비하여 2개가 서로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스포크(40)에는 연결체(47)를 통해 보조 스포크(70)가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이 보조 스포크(70)는 스포크(40)의 중간부분을 지지하여 주는 것으로 그 타측 끝단에는 스포크(40)에서와 동일한 형태의 연결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72)는 녹로(60)의 홈(62)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 스포크(7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제7도는 제6도 스포크 지지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포크 지지캡(30)은 제1링체(34), 뚜껑(36) 및 꼭지(38)로 이루어져 있다.
제1링체(34)의 외주면에는 스포크(40)의 결합될 수 있도록 T자 형태의 홈(32)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로는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제1링체(34)와 뚜껑(36)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 고주파를 이용해 접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32)에는 스포크(40)의 결합부(46)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구멍(33)에는 뚜껑(36)이 위쪽에서 결합된다. 뚜껑(36)은 플랜지부(36a)와 플랜지부(36a)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구멍(33)에 삽입되는 원통부(36)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 중앙에는 암나사(37)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6a)의 하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홈(3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30)의 암나사(37a)에 꼭지(38)가 결합된다.
제8도는 제6도 녹로의 분리 사시도이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로(60)는 제2링체(64)와 부시체(66)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2링체(64)의 외주면에는 T자 형태의 홈(62)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관통공(6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링체(64)와 부시체(66)는 결합된 상태에서 접착제 또는 고주파를 이용해 단단하게 접착해두는 것이 좋다. T자 형태의 홈(62)은 제6도에서 설명한 보조 스포크(70)의 연결부(72)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그 아래쪽의 부시체(66)는 플랜지부(66a)와 관통공(65)에 결합되는 원통부(66b)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관통구(67)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지지대(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6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66a)의 상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돌기(6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68)는 제2링체(60)의 아래쪽에서 T가 형태의 홈(62)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녹로(60)는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대(10)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고 보조 스포크(70)를 지지하여 주는 부분이다.
제9도는 지지대 하단부의 종단면도이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아래쪽 끝단에는 원추체(15)가 결합되어 있다. 이 원추체(15)는 파라솔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지지대(10)를 쉽게 꽂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파라솔의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파라솔은 만들기 쉽고 가벼우며 가격도 저렴한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더라도 지지대와 스포크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조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대와, 스포크가 잘 휘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포크의 탄성력 또한 크기 때문에 장시간 펼쳐두었다가 접더라도 스포크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 상태대로 복귀되어 손상되지 않는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부식되지 않고 가벼워서 이동시키기에도 좋다.

Claims (3)

  1. 천 또는 비닐로 된 햇빛 가리개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한 파라솔에 있어서,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의 제1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 ;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고 소정 형태의 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포크 지지캡 ; 상기 지지대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지지대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소정 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녹로 ; 상기 스포크 지지캡의 홈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햇빛 가리개를 지지하여 주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제2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스포크 ; 및 상기 녹로의 홈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스포크에 상호 회동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스포크를 지지하여 주는 보조 스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는 외주면과 내주면에 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단면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는 외주면과 내주면에 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이 개방된 4각 단면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KR2019960031310U 1996-09-25 1996-09-25 파라솔 KR0133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310U KR0133613Y1 (ko) 1996-09-25 1996-09-25 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310U KR0133613Y1 (ko) 1996-09-25 1996-09-25 파라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915U KR19980017915U (ko) 1998-07-06
KR0133613Y1 true KR0133613Y1 (ko) 1999-01-15

Family

ID=1946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310U KR0133613Y1 (ko) 1996-09-25 1996-09-25 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6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915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2740A (en) Structure of a paint container for spray gun
US5393023A (en) Collapsible bag holder
US5412554A (en) Compound lamp shade frame
WO2008008787A2 (en) Adjustable support assembly for a collapsible canopy
US7766023B2 (en) Portable structure with linking pole
USD409747S (en) Urine specimen collector
CA2317348A1 (en) Two piece camper attachment
KR0133613Y1 (ko) 파라솔
CA2257605A1 (en) Multi-state shippable lampshade
KR20180063467A (ko) 조립식 스탠딩 해먹장치
US3559661A (en) Foldable wind-resistant umbrella
US6527421B1 (en) Lampshade frame with segmented ribs to achieve both an erect and collapsed state
KR200293682Y1 (ko) 파라솔 지지장치
ES2333583T3 (es) Conjunto de union para la conexion de una pata a una superficie de trabajo.
KR200382808Y1 (ko) 텐트용 폴대 절첩구조
KR102123165B1 (ko) 파라솔 말뚝
US6321920B1 (en) Rotatable rack
RU1813870C (ru) Тент
CN2584906Y (zh) 多杆调节定位装置
KR200267594Y1 (ko) 천막용 절첩식 차양막
KR200182870Y1 (ko) 조립식 천막의 골조.
JP2001275727A5 (ko)
KR100719175B1 (ko) 손잡이가 틸팅 된 우산
CN210391447U (zh) 一种可将把手快速组装及拆卸的机构
USD380224S (en) Combined binoculars, telescope and comp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