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49Y1 -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49Y1
KR0133549Y1 KR2019960020429U KR19960020429U KR0133549Y1 KR 0133549 Y1 KR0133549 Y1 KR 0133549Y1 KR 2019960020429 U KR2019960020429 U KR 2019960020429U KR 19960020429 U KR19960020429 U KR 19960020429U KR 0133549 Y1 KR0133549 Y1 KR 0133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bend
writing implement
storage chamber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077U (ko
Inventor
송하경
Original Assignee
송하경
주식회사모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하경, 주식회사모나미 filed Critical 송하경
Priority to KR2019960020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549Y1/ko
Publication of KR980007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8Preventing l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잉크휘다와 잉크저장실사이에 충격이나 팽창을 완충시키는 완충수단과 잉크의 유동을 억제하는 유동억제수단을 구비하여 잉크가 잉크휘다에 오염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예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공기완충실 9 : 잉크차단부재
본 고안은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 도중 충격이나 기타 외부압력, 기압변화등으로 잉크 저장실의 잉크가 잉크휘다(INK FEEDER)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액식 필기구는 후축내부의 잉크 저장실과 잉크휘다가 접촉된 상태에서 선축에 구금으로 장착한 팁(TIP) 후단의 닙(NIB)만을 통하여 잉크가 팁으로 공급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기구는 잉크휘다와 잉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약한 외부의 충격이나, 기압변동, 온도변화시 잉크가 팽창하면 잉크가 쉽게 잉크휘다의 공기통로에 진입하여 잉크휘다를 오염시키게 되고, 심한 경우는 공기통로를 통하여 잉크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잉크휘다와 잉크 저장실사이에 충격이나 팽창을 완충시키는 완충수단과 잉크의 유동을 억제하는 유동억제수단을 구비하여 잉크가 잉크휘다에 오염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축(1)에 구금(2)과 팁(3)이 구비되고, 후축(4)에 잉크휘다(5)와 잉크저장실(6)을 구비하여 잉크저장실(6)의 잉크가 닙(7)을 통하여 팁(3)에 공급되는 직액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잉크휘다(5)와 잉크저장실(6)사이에 공기완충실(8)과 통기성 잉크차단부재(9)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한 장치이다.
상기 통기성 잉크 차단부재(9)는 스폰지, 휄트, 섬유질 휠타와 같은 다공질 또는 섬유질로서 잉크가 닙을 통하여 유출될 때, 필요한 공기는 공급하되 잉크휘다(5)와는 접촉되지 못하게 하며, 상기 공기완충실(8)은 공간으로서 충격이나 기압상승,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잉크가 팽창될 때 그 충격을 완충시켜 잉크가 잉크 차단부재(9)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완충기능을 부여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장치는 잉크저장실(6)에 잉크가 직접 잉크휘다(5)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2중으로 통기성 잉크 차단부재(9)와 공기완충실(8)을 설치한 것이어서 충격이나, 기압상승,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잉크가 팽창하여도 그 충격이동이나 팽창상태를 완충시켜 잉크휘다(5)에 잉크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저장실(6)과 잉크휘다(5)사이에 공기완충실(8)과 통기성 잉크 차단부재(9)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
KR2019960020429U 1996-07-10 1996-07-10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 KR0133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429U KR0133549Y1 (ko) 1996-07-10 1996-07-10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429U KR0133549Y1 (ko) 1996-07-10 1996-07-10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077U KR980007077U (ko) 1998-04-30
KR0133549Y1 true KR0133549Y1 (ko) 1999-01-15

Family

ID=1946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429U KR0133549Y1 (ko) 1996-07-10 1996-07-10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5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077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3001B1 (en) Liquid applicator implement
ATE164807T1 (de) Flüssigkeitsschreibgerät, insbesondere auf lösemittelbasis
JPH06510491A (ja) 筆記軸筒に自由に筆記液を保持する筆記具
US6164858A (en) Fluid regulator for supplying a consumer element with fluid from a fluid reservoir
MX9705872A (es) Instrumento de escritura que utiliza tinta liquida y que tiene un dispositivo adaptado con un sistema para evitar la perdida de cebado.
US6648539B2 (en) Free ink writing instrument with nano technology
DE9207098U1 (de) Vorrichtung zum Nachfüllen von Schreibgeräten
KR0133549Y1 (ko)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오염방지장치
DE69900111T2 (de) Filzschreiber oder ähnliches Schreibgerät sowie Herstellungsverfahren
JPH09202091A (ja) インク補給具及びマーキングペン
US6106180A (en) Handwriting or ink applying device
MY109323A (en) Marking instruments.
US4377815A (en) Recording device
NO305857B1 (no) Filtpenn for skriving pÕ plakater
JP2513929Y2 (ja) ボ―ルペン筆記先端部
JP2007008060A (ja) 筆記具
JP3924933B2 (ja) 筆記具
KR200191162Y1 (ko) 볼펜형 만년필
JP3198778B2 (ja) 筆記具
JPS6242895A (ja) 筆記具
JP2009083293A (ja) 筆記具
JPS6223785Y2 (ko)
JP3364661B2 (ja) 筆記具
KR960002939Y1 (ko) 잉크역류방지볼펜
JP2607229Y2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