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086Y1 - 절첩식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절첩식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086Y1
KR0133086Y1 KR2019960024513U KR19960024513U KR0133086Y1 KR 0133086 Y1 KR0133086 Y1 KR 0133086Y1 KR 2019960024513 U KR2019960024513 U KR 2019960024513U KR 19960024513 U KR19960024513 U KR 19960024513U KR 0133086 Y1 KR0133086 Y1 KR 0133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ger
pipes
folding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1025U (ko
Inventor
양승룡
Original Assignee
양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룡 filed Critical 양승룡
Priority to KR2019960024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08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1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대의 2중 지탱에 의한 높은 지지력 보다 견고하여 무거운 세탁물을 걸치더라도 자세가 안정되고, 절첩이 간편하여 보관이나 사용을 편리하도록 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쪽으로 위치하는 상하에 지지간(12)(12')을 부착한 지지대(2)(2')와, 지지대(2)(2')의 뒷편 상하에 종관(33)(33')을 끼워서 횡장공(43)을 관통하여 보울트(53)를 조여 붙이게 한 회동관(13)(13')과, 회동관(13)(13')의 횡관(23)(23')상에 양측단을 억지 끼움한 상하의 버팀대(3)(3')와, 양쪽 대칭상의 체결대(14)(14') 내측에 걸이봉(24)(24')의 양측단이 매입되고 외측에는 지지대(2)(2') 상단에 끼워지는 반원형 고정구(34)(34')를 일체로 형성한 걸이대(4)와, 걸이대(4)의 전후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한 절첩대(5)(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식 빨래 건조대
본 고안은 세탁후의 빨래를 걸쳐서 말릴 수 있는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절첩이 보다 간편하고 펼친 상태에서는 지지력이 견고하며 최소의 부피로 절첩되어 보관을 편리하게 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빨래 건조대는 일반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베란다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절첩형으로서 베란다의 천정면에 부착하는 천정 부착식과 바닥면에 세우는 입식의 2가지 유형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2가지 유형중 바닥면에 세우는 입식을 안출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입식의 빨래 건조대는, 2개를 1조로 한 지지대 및 걸이대의 각 선단을 겹친 상태로 동일축상에서 절첩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고, 이들을 X:자형으로 펼친 후 하부의 지지대는 서로 걸고리로 걸어서 지지각을 유지되게 하며, 상부의 걸이대는 경사각을 맞춘 다음에 그 하부를 받침대로 받쳐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빨래 건조대는 절첩조작은 가능하지만 상부의 걸이대를 양측으로 펼쳐서 받치게 한 받침대의 지탱력이 미약하여 빨래를 걸칠 때는 항상 자세가 불안정하고, 중량물을 자주 걸칠 때에는 자세 불량으로 원형이 쉽게 변형되거나 지그러져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부 지지대의 지지각 유지를 위한 걸고리는 단순히 지지대간을 서로 걸치게 한 것이므로 빨래의 중량이 무거우면 지지력이 미흡하여 아예 주저앉게 되어 빨래를 버리기가 일쑤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대의 높은 지지력으로 중량물을 걸치더라도 자세가 안정되고, 절첩이 용이하여 보관 및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 의한 빨래 건조대는, 양쪽 지지대를 버팀대와 더불어 걸이대에 의해 2중으로 지탱되도록 하고, 걸이대와 양쪽 지지대를 차례로 절첩되게 함으로써 사용이나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빨래 건조대 사시도.
제2도의 (a)(b)(c)는 빨래 건조대의 절첩과정을 보인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의 A부분의 종단면 확대도.
제4도는 제1도의 B부분의 횡단면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지지대 3,3' : 버팀대
4 : 걸이대 5,5' : 절첩대
12,12' : 지지간 13,13' : 회동관
14,14' 체결대 23,23' : 횡관
24,24' : 걸이봉 33,33' : 종관
34,34' : 고정구 43 : 횡장공
53 : 보울트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1)는 양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대(2)(2')와 이 지지대(2)(2') 뒷편 상하의 버팀대(3)(3') 및 상방의 걸이대(4)로 구성된다.
지지대(2)(2')는 상하에 전후로 가로지르는 지지간(12)(12')이 부착되어 있다.
지지대(2)(2')의 각 지지간(12)(12')의 후측단 상부에는 양측으로 가로지르는 버팀대(3)(3')가 위치되게 한다.
상기 버팀대(3)(3')의 양측단은 지지대(2)(2')상에 수직으로끼운 회동관(13)(13')의 횡관(23)(23')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하고, 종관(33)(33')의 횡장공(43)상에는 보울트(53)를 관통시켜 지지대(2)(2')에 조여 붙인다.
걸이대(4)는 양쪽에 체결대(14)(14')를 대칭상으로 위치시켜 그 내측에는 평행상태의 걸이봉(24)(24') 양측단을 매입되도록 하고, 외측에는 지지대(2)(2') 상단에 끼워서 고정하는 반원형의 고정구(34)(34')를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체결대(14)(14')는 합성수지재 사출성형품으로서, 그 내·외측에 각각 걸이봉(24)(24') 양측단을 매입하는 것이나 고정구(34)(34')를 일체화로 구성하는 것은 사출성형 과정에서 인서트에 의한 일체형 사출로서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또한, 체결대(14)(14')에는 전후로 절첩 가능하게 하여 걸이대(4)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절첩대(5)(5')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첩식 빨래 건조대(1)이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쪽의 지지대(2)(2')를 버팀대(3)(3')에 대하여 외측으로 90°각도로 펴지게 하고, 걸이대(4)의 양쪽 체결대(14)(14')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구(34)(34')를 각각 지지대(2)(2') 상단에 끼워지게 하며, 절첩대(5)(5')가 전후로 펼쳐지게 하면 제1도와 같은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같은 자세에서 양쪽 지지대(2)(2')가 뒷편 상하의 버팀대(3)(3')와 상부의 걸이대(4)에 의해 2중으로 지탱되므로 지지력이 견고하게 된다.
이때, 지지대(2)(2')가 외측으로 90°각도로 펴지게 되는 동작은 버팀대(3)(3')에 회동관(13)(13')상의 횡관(23)(23')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동관(13)(13')상의 종관(33)(33')이 자유롭게 회동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회동관(13)(13')이 회동각도는 횡장공(43)상의 보울트(53)에 의해서 90°각도 범위내로 제어된다.
이러한 회동관(13)(13')의 회동각도에 대한 제어를 가능케 하는 구성은 제4도의 횡단면도에서 잘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빨래 건조대(1)의 절첩과정을 제2도의 (a)(b)(c)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빨래 건조대(1)를 측면에서 바라 본 (a)와 같이, 절첩대(5)(5')를 각각 내측으로 접어지게 한다.
절첩대(5)(5')를 접은 상태에서 정면에서 보는 (b)와 같이, 걸이대(4)의 양쪽 체결대(14)(14')중에 어느 한 쪽 체결대(14)(14')의 고정구(34)(34')측을 상방으로 당겨서 지지대(2)(2')와 분리한 다음, 지지대(2)(2')를 조금 벌리고 하방으로 걸이대(4)를 절곡시켜 걸이대(4)가 일측의 지지대(2)(2')에 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평면에서 보는 (c)와 같이, 양쪽의 지지대(2)(2')중 어느 한 쪽의 지지대를 먼저 내측으로 접어서 버팀대(3)(3')에 닿게 한 다음에 다른 쪽의 지지대를 접어서 먼저 접은 지지대에 겹쳐지도록 한다.
이렇게 절첩대(5)(5')를 접어 붙인 걸이대(4)를 절곡시켜 어느 한 쪽의 지지대(2)(2')에 닿게 한 후, 양쪽 지지대(2)(2')를 차례로 접게 되면, 보관에 편리한 최소의 부피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는 지지대의 2중 지탱에 의한 높은 지지력보다 보다 견고하여 중량물을 걸치더라도 자세가 안정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고, 절첩이 간편하여 보관이나 사용이 편리한 등의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양쪽으로 위치하는 상하에 지지간(12)(12')을 부착한 지지대(2)(2')와, 지지대(2)(2')의 뒷편 상하에 종관(33)(33')을 끼워서 횡장공(43)을 관통하여 보울트(53)를 조여 붙이게 한 회동관(13)(13')과, 회동관(13)(13')의 횡관(23)(23')상에 양측단을 억지 끼움한 상하의 버팀대(3)(3')와, 양쪽 대칭상의 체결대(14)(14') 내측에 걸이봉(24)(24')의 양측단이 매입되고 외측에는 지지대(2)(2') 상단에 끼워지는 반원형 고정구(34)(34')를 일체로 형성한 걸이대(4)와, 걸이대(4) 전후의 절첩 가능하게 설치한 절첩대(5)(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19960024513U 1996-08-16 1996-08-16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0133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513U KR0133086Y1 (ko) 1996-08-16 1996-08-16 절첩식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513U KR0133086Y1 (ko) 1996-08-16 1996-08-16 절첩식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025U KR19980011025U (ko) 1998-05-25
KR0133086Y1 true KR0133086Y1 (ko) 1998-12-01

Family

ID=1946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513U KR0133086Y1 (ko) 1996-08-16 1996-08-16 절첩식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0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80Y1 (ko) * 2012-06-15 2013-08-06 조영행 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840B1 (ko) * 2002-12-06 2005-03-10 강수원 빨래건조대의 걸이대의 결합구조
KR101264808B1 (ko) * 2010-10-15 2013-06-13 주식회사 와이엘통상 빨래건조대의 반원통형거치대 및 반원통형거치대가 구비된 빨래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80Y1 (ko) * 2012-06-15 2013-08-06 조영행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025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3314B1 (en) Foldable rack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KR100953909B1 (ko) 안정된 단계적 접힘 기능이 구비된 행거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KR200425524Y1 (ko) 옷걸이 걸이대가 구비된 y자형 빨래 건조대
KR0133086Y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102461923B1 (ko) 벽체 고정식 빨래 건조대
KR101359703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450680Y1 (ko) 다용도 이동식 건조대
KR0133084Y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US5219080A (en) Clothes drying rack
KR200438210Y1 (ko) 빨래 건조대
KR101976072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70054822A (ko) 빨래건조대
KR101487907B1 (ko) 가변 확장 구조의 건조대
JPH07204393A (ja) 物干し具
KR101025092B1 (ko) 연동 전개가 가능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0436358Y1 (ko) 빨래 건조대의 받침대
CN210425847U (zh) 栏杆型干燥架
KR910006237Y1 (ko) 세탁물 건조대
KR200208072Y1 (ko) 야외용 세탁물 건조대
JP4465229B2 (ja) 物干し具
KR200403290Y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101212594B1 (ko) 빨래건조대의 걸이대 지지장치
JPH0638890U (ja) 物干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