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827B1 - 승화형 칼라 프린터 - Google Patents

승화형 칼라 프린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827B1
KR0132827B1 KR1019940018713A KR19940018713A KR0132827B1 KR 0132827 B1 KR0132827 B1 KR 0132827B1 KR 1019940018713 A KR1019940018713 A KR 1019940018713A KR 19940018713 A KR19940018713 A KR 19940018713A KR 0132827 B1 KR0132827 B1 KR 0132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lutch assembly
reel
color printer
typ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974A (ko
Inventor
강동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1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827B1/ko
Publication of KR96000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 B41J33/2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directly to rib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04Mechanical power drives with driven mechanism arranged to be clutched to continuously- operating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04Ink-ribbon guides
    • B41J35/08Ink-ribbon guides with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16Multicolour arrangement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기록지의 선단에서 부터 프린팅을 행하기 위한 프린터에 있어서, 기록지공급 초기에 프린팅 위치를 지난 기록지의 선단을 드럼을 역회전하여 프린팅 위치로 이송시킬시 잉크리본도 함께 역회전되어 기록지와 함께,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록지(21)와 잉크리본(43)은 기록헤드(30)의 가압력으로 눌리지만 함께 이송되므로 기록지의 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잉크리본(43)의 역회전시 느슨해지는 잉크리본을 감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승화형 칼라 프린터
제1도는 종래의 프린터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를 나타낸 동작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 채용되는 클러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실시예.
제8도 및 제9도는 클러치 어셈블리의 동작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드럼 21 : 기록지
23 : 클램프 30 : 기록헤드
40 : 카트리지 41, 42 : 릴
43 : 잉크리본 44, 45 : 릴기어
50 : 모터 60 : 클러치 어셈블리
61 : 소경기어 62 : 대경기어
61', 62' : 환형턱 66 : 스프링
70 : 전달기어 71, 72 : 제1, 2기어
80 : 캠부재 81 : 캠구멍
82 : 제1레버 86 : 제2레버
86' : 경사면 90 : 제2모터
91 : 워엄
본 발명은 승화형 칼라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잉크리본을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록지의 선단과 잉크리본의 초기위치를 정확하게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한 승화형 칼라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화형 칼라 프린터는 열기록 헤드와 인사(印寫)대상인 기록지 사이에 잉크가 도포된 필름상의 리본이 위치되어 있어서, 열기록 헤드에 의해 소정패턴으로 승화된 잉크가 상기 기록지에 옮겨지도록 되는 전사구조를 가지며, 특히 칼라형 열전사 프린터는 풀 칼라(full color)를 실현하기 위하여 색분해된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분해화상을 3번에 걸쳐 중복인쇄되는 형태를 갖는다.
제1도에 종래의 승화형 칼라 프린터의 요부가 발췌되어 도시되어 있다. 플래튼 드럼(2)의 하부 일측에는 기록지 카세트(미도시)가 마련되어 있고, 플래튼 드럼(2)의 외주면에는 기록지 카세트로부터 급지된 기록지(4)를 드럼측에 밀착하여 이송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드럼축(2')에는 기록지(4)선단을 크램핑하여 기록지를 드럼(2) 주위로 이송시키는 클램프(5)가 설치되어 있으며, 드럼(2)의 상부에는 소정의 발열체에 의해 발열되는 열기록 헤드(1)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열기록 헤드(1)와 기록지(4)사이에는 잉크리본(7)이 설치되어 있어서, 열기록 헤드(1) 발열 및 가압에 의해서 잉크가 승화되어 기록지(4)에 화상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잉크리본(7)은 두개의 릴(9)(9')에 권회된 채로 카트리지(8) 내에 내장되어서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일측방향으로 감기어 지도록 되어 있다.
이 구동수단은 카트리지(8)의 외측에 릴(9)로부터 연장된 기어(11)에 2단기어로된 중간기어(12)가 치합되고, 그 2단기어(12)에 모터(15)의 워엄(14)과 연결되어 구동되는 2단의 구동기어(13)가 치합되어서 잉크리본(7)이 일방향으로 감기어 지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승화형 칼라 프린터는, 먼저 카세트로부터 드럼(2)측으로 기록지(4)를 이송시키고, 드럼(2)하부에 기록지(4)가 위치되면 클램프(5)가 기록지(4)선단을 클램핑한다.
이어서 클램프(5) 및 드럼(2)이 회전되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지(4)의 선단을 열기록 헤드(1) 직하방으로부터 약간 벗어난 위치까지 이송시킨다. 이후 열기록 헤드(1)가 하강되어 잉크리본(7)을 가압/가열하여 잉크를 승화시켜 화상을 기록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화형 칼라 프린터에 있어서는 기록지(4) 선단을 클램프(5)가 클램핑한 상태로 기록지(4)를 이송시키므로 기록지(4) 선단부분에는 원고의 화상을 기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록된 화상 주위에는 특히, 기록지(4) 선단에는 여백이 남아있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기 기록지(4)를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1)의 하방으로 위치시킨 후, 기록지(4)의 선단을 클램핑한 클램프(5)를 크램핑해제시키고, 플래튼 드럼(2)을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서 기록지(4)의 선단이 기록헤드(1)의 직하방으로 놓이도록 하여서 기록지(4)의 선단에서부터 프린팅이 되게 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드럼(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시 기록헤드(1)가 드럼(2), 기록지(4) 및 잉크리본(7)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그 가압력에 의해서 기록지(4)에 잉크리본(7)의 염료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럼(2)이 역회전(시게방향 회전) 될 때 기록헤드(1)의 가압력 및 드럼(2)의 회전력에 의해서 잉크리본(7)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잉크리본(7)이 감기도록 구동하는 다수의 기어(11-14)가 항시 맞물리어서 잉크리본(7)의 릴(9)(9')을 고정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잉크리본(7)에 변형이 발생하여 화상의 질이 저하 되는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록지의 선단이 초기 프린팅 위치에 놓이도록 드럼을 회전시킬 때 잉크리본도 같이 드럼회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잉크리본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승화형 칼라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기록지를 이송하는 플래튼 드럼과, 복수의 칼라 염료가 면순차적으로 도포되어서 릴에 감기어진 잉크리본과, 잉크리본이 권회되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잉크리본을 열가압하는 기록헤드를 구비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동력을 상기 릴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 어셈블리와, 상기 동력이 상기 릴에 전달 또는 차단되도록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화형 칼라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도를 참조하면, 기록지(21)를 이송하는 플래튼 드럼(20)이 소정의 구동원(미도시)으로 회전가능하게 축(20')설치되어 있고, 그 축(20')에는 기록지(21)의 선단을 클램핑/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드럼(20)의 주면에는 기록지(21)를 안정하게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튼 드럼(20)의 상부에는 복수의 칼라 염료가 면순차적으로 도포되어서 두개의 릴(41)(42)에 감기어진 잉크리본(43)이 수납된 카트리지(40)가 마련되어 있고, 그 카트리지(40)의 관통공(46)(제5도 참조)을 통해 잉크리본(43)을 열가압하는 기록헤드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릴(41)(42)은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권회도록 되어 있는 바, 이 구동수단은 제2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카트리지(40)의 외측에는 상기 릴(41)과 동축으로 릴기어(44)가 설치되고, 그 릴기어(44)에 맞물리는 제1기어(71)와 이 제1기어(71)와 동축으로 제2기어(72)를 가지는 전달기어(70)가 마련되고, 제2기어(72)에는 모터(50)의 동력을 상기 릴(41)에 전달/차단하도록 작동되는 클러치 어셈블리(60)가 설치된다. 이 클러치 어셈블리(60)는 소정의 작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모터(50)의 동력을 전달/차단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6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기어 (44)와 연결되며 제1환형턱(61')을 가지는 소경기어(61)와, 제1환형턱(61')과 대응하는 제2환형턱(62')을 가지며 상기 모터(50)의 워엄(51)과 연결되는 대경기어(62)와, 상기 제1, 2환형턱(61')(62')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프링(65)과, 대경기어(62)에 압입설치되는 회전축(6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경기어(61)는 회전축(6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2환형턱(61')(62')은 상기 스프링(65)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작동수단은 제2도를 참조하면, 소정의 동력원(미도시)으로 회전구동되며 소정형상의 캠구멍(81)이 형성된 캠부재(80)와, 힌지(83)설치되어 회동가능하고 그 일단이 상기 캠구멍(81)에 연동하는 돌기(84)가 형성된 제1레버(82)와, 일단이 제1레버(82)의 타단과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60)의 회전축(66)에 결합되는 제2레버(8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캠구멍(81)은 상기 제1, 2환형턱(61')(62')을 접촉시키는 제1, 3위치(181)(183)와, 제1, 2환형턱(61')(62')을 분리시키는 제2위치 (182)를 가진다. 그리고 제1레버(82)의 타단에는 가이드 핀(88)이 형성되고, 이와 연결되는 제2레버(86)에는 가이드 핀(8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85)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제2레버(86)에는 다른 장공(87)이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보조 가이드 핀(89)이 마련되어 있다.
이는 캠부재(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레버(86)에 상기 소경기어(61)가 연동되어 제1, 2환형턱(61')(62')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66)에 결합되는 제2레버(86)의 측면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86')이 형성되어서, 제2레버(86)가 캠부재(8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될 시에 그 경사면(86')에 소경기어(61)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축(66)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서 제1, 2환형턱(61')(62')이 접촉/분리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릴(41)의 다른 릴(42)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바, 이는 릴(42)과 동축으로 카트리지(40)의 외측으로 릴기어(45)를 설치하고, 축에 워엄(91)을 가지는 모터(90)와, 이 워엄(91)과 릴기어(45)를 연결하는 연결기어(9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환형턱(61')(62')의 단부에는 서로 접촉시 동력전달이 확실히 되도록 톱니형 돌기(61)(62)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승화형 칼라 프린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된 드럼(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카세트로부터 기록지(21)가 드럼(20)주위로 공급되고 클램프(23)는 기록지(21)의 선단을 클램핑한채로 안정하게 기록지(21)를 프린팅 위치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기록지(21)의 선단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위치를 지난 위치까지 이송된다. 이는 기록지(21)의 선단을 클램핑한 클램프(23)와 하강되는 기록헤드(3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제1레버(82)의 돌기(84)는 캠구멍(81)의 제1위치(181)에 위치되어서,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60)의 제1환형턱(61')이 제2환형턱(62')에 접촉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경기어(61)는 제2레버(86)의 경사면(86')의 상단에 위치되어서 제1, 2환형턱(61')(62')이 접촉되도록 한다. 이어서 모터(50)이 구동되고, 그 동력은 대경기어(62)와 소경기어(61)를 거쳐서 전달기어(70) 및 릴기어(44)에 전달되어 릴(41)(4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리본(43)을 소정위치로 위치시킨다. 이어서 기록헤드(30)를 도시되지 않은 승강수단으로 하강시켜서 잉크리본(43), 기록지(21) 및 드럼(20)을 가압시킨다.
여기서 기록지(21)의 선단에서부터 프린팅을 행하기 위하여 드럼(20)을 역회전(시계방향회전)하여 기록지(21)의 선단이 프린팅 위치로 될 때까지 이송시킨다.
이 동작은 먼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1레버(82)의 돌기(84)가 캠구멍(81)의 제2위치(182)에 오도록 한다. 이때, 제1레버(8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레버(86)는 이에 연동하여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경기어(61)가 경사면(86')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제1, 2환형턱(61')(62')은 스프링(65)의 복원력에 의해서 분리된다. 이어서 클램프(23)를 해제시키고, 상기 드럼(20)을 기록기(21)의 선단이 프린팅 위치에 올때 까지 역회전시킨다. 이때 잉크리본(43)은 기록헤드(30)의 가압력과 드럼(20)의 회전력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인장되게 된다.
이때 릴(41)이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60)의 제1, 2환형턱(61')(62')이 분리됨으로써 공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기압력 및 회전력에 의해서 잉크리본(43)이 부하없이 릴(41)로부터 풀리어져 나오게 된다.
즉, 기록지(21)에 잉크리본(43)이 가압된 상태에 기록지(21)와 동시에 움직이게 되므로 기록지(21)와 잉크리본(43) 사이의 마찰에 따른 기록지(21)의 오염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릴(41)로부터 풀리어져 나오는 잉크리본(43)은 제2모터(90)의 구동으로 릴(42)에 감기어진다. 따라서 잉크리본(43)의 구겨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어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부재(80)를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1레버(82)의 돌기(84)를 캠구멍(81)의 제3위치(183)에 위치시킨다. 이때 제1레버(8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연동되어 제2레버(86)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경기어(61)가 제2레버(86)의 경사면(86')의 상단에 위치되어서 제1, 2환형턱(61')(62')이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환형턱(61')(62')의 단부에 톱니형 돌기(61)(62)를 형성한 경우에는 상호 접촉시 동력 전달을 확실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 드럼(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터(50)가 구동되어 동력이 클러치 어셈블리(60)와 전달기어(70)를 통해 릴(41)(42)에 전달되어 이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프린팅을 행한다.
이때 클램프(23)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서 기록지(21)의 선단을 클램핑하여 드럼(20)의 회전과 함께 기록지(21)를 이송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화형 칼라 프린터는 프린팅을 기록지(21)의 선단에서부터 행하기 위하여, 초기 급지시 그 선단이 프린팅위치를 지난 기록지(21)를 역회전 하여 프린팅위치로 이송시킬시 잉크리본(43)도 기록지(21)와 함께 역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록지(21)와 잉크리본(43)사이의 가압력 및 마찰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기록지(21)의 잉크리본(43)을 역회전 시킬시 느슨해지는 잉크리본(43)을 감아주는 수단(90-93)을 구비하여 잉크리본(43)의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록지의 오염 및 잉크리본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화상의 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를 제공한다.

Claims (9)

  1. 기록지를 이송하는 플래튼 드럼과 복수의 칼라 염료가 면순차적으로 도포되어서 두개의 릴에 감기어진 잉크리본과, 잉크리본이 권회되도록 한개의 릴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잉크리본을 열가압하는 기록헤드를 구비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동력을 상기 릴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 어셈블리와, 상기 동력이 상기 릴에 전달 또는 차단되도록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는 상기 릴과 연결되며 제1환형턱을 가지는 소경기어와, 제1환형턱과 대응하는 제2환형턱을 가지며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대경기어와, 상기 제1, 2환형턱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서,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1, 2환형턱이 서로 마찰접촉되도록 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환형턱의 단부에 서로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소정의 동력원으로 회전구동되며 소정형상의 캠구멍이 형성된 캠부재와, 힌지설치되어 회동가능하고 그 일단이 상기 캠구멍에 연동하는 제1레버와, 일단이 제1레버의 타단과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레버를 구비하여서,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레버에 상기 소경기어가 연동되어 제1, 2환형턱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상기 제2레버에 경사면을 형성하여서, 상기 소경기어의 일면이 경사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소경기어가 회전축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제1, 2환형턱이 서로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는 상기 릴과 연결되며 제1환형턱을 가지는 소경기어와, 제1환형턱과 대응하는 제2환형턱을 가지며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대경기어와, 상기 제1, 2환형턱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수단은 소정의 동력원으로 회전구동되며 소정형상의 캠구멍이 형성된 캠부재와, 힌지설치되어 회동가능하고 그 일단이 상기 캠구멍에 연동하는 제1레버와, 일단이 제1레버의 타단과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레버를 구비하여서,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레버에 상기 소경기어가 연동되어 제1, 2환형턱이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환형턱의 단부에 서로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릴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이 동력을 상기 릴에 전달하는 기어부재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칼라 프린터.
KR1019940018713A 1994-07-29 1994-07-29 승화형 칼라 프린터 KR013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713A KR0132827B1 (ko) 1994-07-29 1994-07-29 승화형 칼라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713A KR0132827B1 (ko) 1994-07-29 1994-07-29 승화형 칼라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974A KR960003974A (ko) 1996-02-23
KR0132827B1 true KR0132827B1 (ko) 1998-04-14

Family

ID=1938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713A KR0132827B1 (ko) 1994-07-29 1994-07-29 승화형 칼라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8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974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7722A (en) Thermal transfer printer for printing on both sides of a paper sheet
JPS60240482A (ja) リボン収納カセット
JP2658111B2 (ja) 手動式プリンタ
US4815870A (en) Receiver clamping arrangement for thermal printers
KR0132827B1 (ko) 승화형 칼라 프린터
JP2593268B2 (ja) ビデオプリンターの記録紙ホルダー装置
JPH1044553A (ja) プリンタ装置
US5839838A (en) Image printer
KR0170744B1 (ko) 열전사 프린터
EP0460182A1 (en) Clamping apparatus for thermal transfer printer
KR950011933B1 (ko) 비디오 프린터 홀더장치
EP0495411B1 (en) Paper clamping mechanism
JPH0230868B2 (ko)
JP2674278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KR0132865B1 (ko) 프린팅장치
JP3865267B2 (ja) 熱転写プリンターにおけるカーボンリボンの送りローラー装置
JPS61273976A (ja) 熱転写方式カラ−印刷装置のインクリボンカセツト装置
JPH0450124Y2 (ko)
JPS60165278A (ja) 画像形成装置
KR0141227B1 (ko) 프린팅 방법 및 그 장치
JPH0351163A (ja) 熱転写カラープリンタ
KR0155706B1 (ko) 열전사 기록장치
KR0132849B1 (ko) 프린터 기록지 클램핑장치
JPH0223355B2 (ko)
JPH01152085A (ja) 熱転写式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