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411Y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411Y1
KR0131411Y1 KR2019960031213U KR19960031213U KR0131411Y1 KR 0131411 Y1 KR0131411 Y1 KR 0131411Y1 KR 2019960031213 U KR2019960031213 U KR 2019960031213U KR 19960031213 U KR19960031213 U KR 19960031213U KR 0131411 Y1 KR0131411 Y1 KR 0131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shing water
water supply
washing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823U (ko
Inventor
김신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1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41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78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8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4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4Spray arms status, e.g. detection of spray arm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조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세척조내에 설치되는 식기바스켓과, 거의 수직방향의 축선을 갖는 세척수공급용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식기바스켓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세척수노즐은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세척수노즐이 회전시 마다 다양한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의 여러부분을 골고루 세척할 수 있어 세척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수가 다양한 각도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2)내에 형성된 세척조(104)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식기를 수용하는 상부바스켓(106) 및 하부바스켓(108)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바스켓(106) 및 하부바스켓(108)의 하부에는 해당 바스켓(106,108)을 향하여 세척수를 상향 분사하는 상부노즐(110) 및 하부노즐(11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노즐(110,112)은 세척수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다수의 노즐공(114)을 통해 세척수를 상향 분사하여 각 바스켓(106,108)내의 식기를 세척한다. 상부노즐(110)은, 세척조(104)의 하부에서부터 세척조(104)측벽을 따라 상향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있는 급수관(116)에 연결되어 있다. 하부노즐(112)은 세척조(104)의 하부에 설치된 저수케이스(118)와 연통되어, 구동모터(120)의 펌핑에 의해 세척수를 상향 급송하여 공급받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에서는, 하부노즐(112)이 하부바스켓(108)을 향하여 수평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하부바스켓(108)에 배치된 식기를 향해 일정한 방향으로만 세척수를 상향 분사한다. 이에 따라, 식기바스켓내의 위치에 따라 세척수가 과도히 분사되는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세척수가 전혀 분사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여 균일하고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지지 아니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척수노즐이 경사지게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다양한 각도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노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 4 : 세척조
6,14 : 식기바스켓 8,16 : 세척수노즐
10,17 : 노즐공 20 : 급수관
26 : 노즐본체부 28 : 접속관부
30 : 연결관 32 : 회전안내턱
34 : 걸림돌기 36 : 회전노즐공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세척조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세척조내에 설치되는 식기바스켓과, 거의 수직방향의 축선을 갖는 세척수공급용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식기바스켓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세척수노즐은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세척수노즐은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있는 아암형상의 노즐본체부와, 노즐본체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관부를 가지며, 노즐본체부는 접속관부의 축선에 가로방향의 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관부와 급수관사이에 접속관부 및 급수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한 연결관을 개재하여, 하부노즐의 경사회전이 랜덤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관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안내턱을 형성하고, 접속관부에는 회전안내턱에 걸리어 회전안내되는 내향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회전안내 및 이탈방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때, 회전안내턱과 걸림돌기가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관의 자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연결관의 측벽에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회전노즐공을 마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내에 형성된 세척조(4)의 상부에는, 식기를 수용하는 상부바스켓(6)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바스켓(6)의 하부에 상부바스켓(6)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노즐(8)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노즐(8)에는 세척수 분사를 위한 다수의 노즐공(1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노즐(8)은, 세척조(4)의 하부로부터 벽면을 따라 상향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상부노즐(8)의 중앙하부에 이르는 급수관(12)에 연결되어 있다.
세척조(4)의 하부에는, 식기를 수용하는 하부바스켓(14)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바스켓(14)에 배치된 식기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향 분사하는 하부노즐(16)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하부노즐(16)은, 세척수분사를 위한 다수의 노즐공(17)을 가지며, 세척조(4)의 하부에 마련된 저수케이스(18)내에 설치된 급수펌프(22)로부터 급수관(20)을 통하여 세척수를 상향 공급받는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노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노즐(16)은, 세척수 분사를 위한 다수의 노즐공(17)이 형성되어 있는 아암형상의 노즐본체부(26)와, 노즐본체부(26)의 중앙하부에 결합되어 하향연장된 접속관부(28)를 가진다. 접속관부(28)는, 노즐본체부(26)와 접속되는 그 상단면에 걸림턱(27)을 가지고, 노즐본체부(26)의 중앙하부에 형성된 걸림공내에 이탈방지되도록 삽입되어 노즐본체부(26)에 일체로 결합된다. 접속관부(28)는 외벽부와 내벽부로 이루어진 거의 이중관형상을 가지며, 그 하단부에서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의 공간은 개방되어 있다.
급수펌프(22)로부터의 세척수를 상향공급하는 급수관(20)은 거의 수직방향의 축선을 가지며, 급수관(20)과 접속관부(28)사이에는 급수관(20)과 접속관부(28) 모두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한 연결관(30)이 개재되어 있다. 연결관(30)은 관벽에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두고 복수의 회전노즐공(36)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한 세척수의 분사압력에 의해 자체 회전할 수 있다. 연결관(30)의 상단부는 접속관부(28)의 내벽부와 외벽부사이에 하부로부터 삽입된다. 연결관(30)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안내턱(32)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접속관부(28)는 회전안내턱(32)에 걸리어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내향 걸림돌기(34)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연결관(30)와 접속관부(28)는 축선방향을 따른 이탈이 방지된다. 회전안내턱(32)과 걸림돌기(34)는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급수관(20)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안내돌기(38)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관(30)은 그 하단부에 내향 걸림돌기(40)이 형성되어있다. 이에 의해 연결관(30)은 급수돤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축선방향으로 이탈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저수케이스(18)에 공급된 세척수는, 세척팬(22)의 회전에 의해 급수관(20)을 통해 상향 급송되어 하부노즐(16)에 공급된다. 이때, 하부노즐(16)은, 접속관부(28)의 수직축선에 가로방향의 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부바스켓(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하부바스켓(14)에 배치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한다. 한편, 급수관(20)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면, 급수관(20)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한 연결관(30)도, 세척수가 연결관(30)에 형성된 회전노즐공(36)을 통하여 분사되면서, 축선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연결관(30)과 하부노즐(16)의 접속관부(28)는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두고 접촉하므로, 접속관부(28)에 접속된 하부노즐(16)은 연결관(30)의 각도위치에 따라 그 경사방향이 변동한다.
이에 따라, 하부노즐(16)에 의한 세척수의 분사방향은 규칙적이지 아니하고 랜덤하게 변동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하부노즐(16)에 의해 상향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을 끝낸 후 세척조(4)저부로 낙하하여 세척조(4)의 하부에 마련된 저수케이스(18)내에 모인 다음, 급수펌프(22)에 의해 재차 급송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는, 세척수노즐이 회전시 마다 다양한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의 여러 부분을 골고루 세척할 수 있어 세척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세척조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세척조내에 설치되는 식기바스켓과, 거의 수직방향의 축선을 갖는 세척수공급용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식기바스켓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세척수노즐은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세척수노즐은,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있는 아암형상의 노즐본체부와, 상기 노즐본체부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관부를 가지며,
    상기 노즐본체부는 상기 접속관부의 축선에 가로방향의 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부와 상기 급수관사이에 상기 접속관부 및 상기 급수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한 연결관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안내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부는 상기 회전안내턱에 걸리어 회전안내되는 내향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회전안내턱과 상기 걸림돌기는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측벽에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회전노즐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2019960031213U 1996-09-24 1996-09-24 식기세척기 KR0131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213U KR0131411Y1 (ko) 1996-09-24 1996-09-24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213U KR0131411Y1 (ko) 1996-09-24 1996-09-24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823U KR19980017823U (ko) 1998-07-06
KR0131411Y1 true KR0131411Y1 (ko) 1999-10-01

Family

ID=1946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213U KR0131411Y1 (ko) 1996-09-24 1996-09-2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4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823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6968A (en) Supplementary washing device of a dish washer
US9462927B2 (en) Nozzle assembly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CN112040828B (zh) 具有喷射装置的家用洗碗机
KR0131411Y1 (ko) 식기세척기
US20060054200A1 (en) Dishwasher
US6357460B1 (en) Dishwasher spray arm and feed system
KR0143430B1 (ko) 위성형 보조 노즐이 장착된 식기 세척기용 분사 노즐
KR0176673B1 (ko) 상단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
KR0165041B1 (ko) 식기 세척기
KR0176672B1 (ko) 회전아암이 설치된 중간관을 갖는 식기세척기
KR0136455Y1 (ko) 중간관을 갖는 식기세척기
KR19980055034U (ko) 위성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
CN111297293A (zh) 一种洗碗机喷淋装置及洗碗机
KR0176671B1 (ko) 식기세척기
KR0131405Y1 (ko) 식기 세척기
KR200144770Y1 (ko) 보조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
KR940001883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구(spray rotor) 회전구조
KR940001087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구조
KR0165045B1 (ko) 식기세척기
KR0131398Y1 (ko) 분사노즐장착용 커플러를 갖는 식기세척기
KR0182147B1 (ko) 식기세척기
KR0176681B1 (ko) 중간관을 갖는 식기세척기
KR0182150B1 (ko) 보조노즐을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0218931B1 (ko) 보조노즐을 구비한 식기세척기
KR950009984B1 (ko) 식기세척기의 보조아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