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319Y1 - Reading rack - Google Patents

Reading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319Y1
KR0131319Y1 KR2019960015086U KR19960015086U KR0131319Y1 KR 0131319 Y1 KR0131319 Y1 KR 0131319Y1 KR 2019960015086 U KR2019960015086 U KR 2019960015086U KR 19960015086 U KR19960015086 U KR 19960015086U KR 0131319 Y1 KR0131319 Y1 KR 0131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arm
support
coupled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0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00458U (en
Inventor
안종규
Original Assignee
안종규
주식회사엑토사무용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규, 주식회사엑토사무용품 filed Critical 안종규
Priority to KR2019960015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319Y1/en
Publication of KR980000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45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319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를 하거나 또는 컴퓨터에 의한 문서작성시 등의 경우에 책 또는 참고서류를 지지하기 위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판의 경사각의 넓은 범위로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절된 경사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서배를 견고하게 파지함으로써 책의 판심 양쪽에 위치한 부분이 앞으로 튀어나와 글자를 가리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는 독서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table for supporting a book or reference document when reading or writing a document by a computer.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 wide range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and maintain the adjusted inclination angle firmly. It is also aimed at providing a reading stand that can firmly hold the pear so that the par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ook's judgement do not protrude forward and obscure the letters.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플랜지(11)가 하단에 형성되고, 제1결합링(13)이 배면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지지판(1)이 제공된다. 상기 지지판(1)의 지지플랜지(11)의 중앙부에는 비틀림스프링(78)에 의하여 제1고정클립(7)이 탄력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책(10)의 판심의 하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의 제1결합링(13)에는 제2결합링(23)이 형성된 제1아암(2)이 상하회동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지판(1)의 경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아암(2)은 제2아암(4)과, 상기 제2아암(4)은 엘보우 아암(5)과 차례로 좌우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지지판(1)의 좌우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보우 아암(5)은 책상의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지지대(6)에 승강 및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지판(1)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lange 11 protruding forward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support plate 1 is provided with the first coupling ring 13 form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The first fixing clip 7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flange 11 of the support plate 1 by a torsion spring 78 so that the bottom end of the plate core of the book 10 can be gripped. It is supposed to be. In addition, the first arm 2 having the second coupling ring 23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ring 13 of the support plate 1 so as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and detachably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late 1 can be arbitrarily adjusted. The first arm 2 is connected to the second arm 4, the second arm 4 and the elbow arm 5 in turn so tha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upport plate 1 can be arbitrarily adjusted. Can be. In addition, the elbow arm 5 is coupled to the support 6 which is fixed to the edge of the desk so as to be lifted and rotated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1).

Description

다관절을 구비한 독서대Reading stand with multiple joints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동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same.

제3도는 동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same.

제4도는 동 좌측면도.4 is the same left side view.

제5도는 동 우측면도.5 is the same right side view.

제6도는 동 배면도.6 is the same rear view.

제7도는 일부를 절취한 제6도의 VII - VII선 단면도.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with a portion cut away; FIG.

제8도는 지지판과 제1아암과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first arm.

제9도는 제1아암의 좌측면도.9 is a left side view of the first arm.

제10도는 지지판과 제1아암과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first arm is released.

제11도는 각 아암들과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rms and the support.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지지판 2 : 제 1 아암1: support plate 2: first arm

3 : 제 1 고정장치 4 : 제 2 아암3: first fixing device 4: second arm

5 : 엘보우 아암 6 : 지지대5: elbow arm 6: support

7 : 제 1 고정클립 8 : 제 2 고정클립7: 1st fixed clip 8: 2nd fixed clip

9 : 힌지자 13 : 제 1 결합링9: hinge 13: first coupling ring

15 : 제 1 직선베벨기어부 23 : 제 2 결합링15: first straight bevel gear portion 23: second coupling ring

25 : 제 2 직선베벨기어부 31 : 힌지핀25: second straight bevel gear portion 31: hinge pin

33, 72 : 캠핸들 35, 36, 73, 74 : 캠부33, 72: cam handles 35, 36, 73, 74: cam portion

78, 83 : 비틀림스프링 91 : 승강브래킷78, 83: torsion spring 91: lifting bracket

92 : 가로자92: horizontal

본 고안은 독서를 하거나 또는 컴퓨터에 의한 문서작성시 등의 경우에 책 또는 참고서류를 지지하기 위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배(書背 : 책등)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관절 구조에 의하여 책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여하한 위치에서도 책 또는 참고서류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한 다관절을 구비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table for supporting a book or reference document in the case of reading or writing a document by a computer. In particular, the articulation structure can be firmly held and a book can be h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table having a multi-joint that allows a user to face the book or reference document in any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book.

독서를 하거나 또한 컴퓨터에 의한 문서작성시 등에 사용하기 위한 독서대로서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있고, 그 중에서 책상의 모서리에 다리의 하단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는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 92-7146호로 개시된 것이 대표적인 것이다.Various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as a reading table for reading or writing documents using a computer, and among them, the lower part of the leg is detachably fixed to the corner of the desk. The one disclosed by reference is representative.

상기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 92-7146호의 독서대는, 하단에 형성된 받침판의 양쪽에 종이고정팔이 상하선회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경사지지체와, 상기 경사지지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회전체가 일단에 좌우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제2회전체가 좌우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아암과, 상기 아암을 책상에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회전체에 결합되는 통상의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reading table of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2-7146 is a pedestal, each of which has a paper fixing arm coupled to both sides of a support plat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so as to be able to swing up and down, and an inclined place for supporting the pedestal so as to be able to lift the pedestal. Supporting the arm and the desk, the first rotating body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inclined suppor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supporting the arm on a desk. It consists of a fixing means consisting of a conventional bolt and nut coupl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독서대에 의하여 책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책을 펼쳐 받침대에 안치한 상태에서 양쪽 종이고정팔을 위로 선회하여 책의 양쪽 서근(書根 : 책을 펼쳤을 때의 책의 아래쪽)을 파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책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판에 지지한 상태에서 책을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받침대의 좌우 회전상태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2 회전체에 의한 아암의 회전에 의하여 받침대를 좌우선회할 수 있으므로 받침대의 좌우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의 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경사지지체를 따라 받침대를 승강시킴으로써 받침대의 높이를 눈높이에 맞출 수 있다.In order to view a book by a conventional reading table as described above, first, while holding the book open and resting on the stand, turning both paper fixing arms up to grasp both roots of the book (the bottom of the book when the book is opened). Do it. In this way, the book can be view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in the inclined state. In this state, when the left and right rotation states of the pedestal do not match, the pedestal can be left and right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arm by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so tha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pedestal can be adjusted. When the height of the pedestal does not match, the height of the pedestal can be adjusted to the eye level by lifting the pedestal along the inclined suppor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독서대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ading tabl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받침대 및 아암이 좌우방향으로만 선회되고, 또한 받침대가 경사지지체를 따라 승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받침대의 높이와 눈높이를 적절하게 맞추기에는 한정이 있다. 즉, 이는 받침대를 상하회동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받침대의 최저 위치가 눈높이 보다 높은 위치로 되어 있는 경우나, 받침대의 최고 위치가 눈높이 보다 상당히 낮은 위치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받침대에 안치된 책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 없으므로 글씨가 명확히 눈에 들어오지 않아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since the pedestal and the arm are pivoted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pedestal is lifted along the inclined support, there is a limitation in properly matching the height and the eye height of the pedestal. That is, since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pedestal cannot be rotated up and down, for example, when the lowest position of the pedestal is higher than the eye level, or when the highest position of the pedestal is considerably lower than the eye level, the pedestal is placed on the pedest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yes are easily tired because the letters are not clearly visible because the old books cannot be viewed in front.

둘째, 상기한 것처럼 받침대를 상하회동할 수 없고 또한 받침대의 상단이 경사 지지체에 의하여 항상 뒤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구조로 인하여, 예컨대 누운 상태에서 책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도저히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as described above, the pedestal can not be rotated up and down, and the top of the pedestal is always kept inclined backward by the inclined support,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that is impossible to see the book in the lying down state.

셋째, 받침대를 경사지지체를 따라 승하강시킬 경우에는 받침대를 경사지지체상에 고정하고 있는 나비볼트를 풀어 경사지지체를 적절한 위치로 승하강시킨 다음 다시 나비볼트를 조여 받침대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Third, when lifting and lowering the pedestal along the inclined support, loosen the thumbscrews fixed on the inclined support and raise and lower the inclined support to an appropriate position, and then tighten the bow bolt again to fix the pedestal. Not only did it take a lot, but it was also quite uncomfortable.

넷째, 양쪽 종이고정팔은 서배(書背 : 책등), 또는 판심(版心 : 고서의 경우 책을 펼쳤을 때의 중앙부의 접은 부분, 즉 중앙부의 세로로 된 골)을 파지하지 못하고 책의 양쪽 서근을 파지하기 때문에, 판심 부분의 양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앞으로 튀어 나와 글자를 가림으로써 그 부분의 글자가 잘 보이지 않고, 특히 크기가 작은 책의 경우에는 책장이 지지아암에 의한 파지상태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으므로 책을 파지하는 것 조차도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Fourth, both paper fixing arms do not grasp the folds (books), or judges (版 心: in the case of old books, they do not grasp the folded part in the middle of the book, that is, the vertical goal in the middle). Because the gripping, the par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judgment core are protruded forward and obscure the letters, so the letters of the parts are not easily seen, especially in the case of small books, the bookcas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holding state by the supporting arm. Even holding a book was a difficult problem.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책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전방위에 걸쳐 위치할 수 있도록 다관절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지지판에 지지되는 책이나 참고서류를 항상 정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지판의 경사조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독서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dopts a multi-joint structure so that the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book can be positioned over all directions so that the book or reference document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can always be seen from the front.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ding stand that can firmly maintain the tilt adjustment state of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배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의 판심의 양쪽에 위치한 부분이 앞으로 튀어나와 글자를 가리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grip is firmly gripped so that the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ook's judgement do not protrude forward and obscure the letters.

본 고안의 부가적인 목적은 참고서류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An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support of reference documents.

따라서, 본 고안은,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플랜지가 하단에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배면 중앙에 선택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제1아암과; 상기 제 1, 2 결합링 상호간의 고정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1고정장치와; 상기 제1아암의 타단에 일단이 좌우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타단에 수평봉의 끝이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엘보우 아암과; 그리고, 판재의 모서리부에 결합되도록 하단에 고정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엘보우 아암의 수직봉이 삽입되는 중공을 가지고, 또한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수직봉을 좌우회동 및 선택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2고정장치를 가진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protruding forward and formed at the bottom; A first arm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center of a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selectively pivoted up and down; A first fixing devic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fixing st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rings; A second arm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in a rotatable manner; An elbow arm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so that the end of the horizontal rod is rotatable left and right; And a second hollow having a fixing portion at a lower end thereof to be coupled to an edge of the plate, and having a hollow into which the vertical rod of the elbow arm is inserted, and to support the vertical rod inserted into the hollow so as to be swivelable and selectively liftable. By including a support with a locking device, the first object can be achieved.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지지판의 대략 배면 중앙에는 제1직선베벨기어부가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1결합링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아암의 일단에는 상기 제1직선베벨기어와의 치합해제시 상하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직선베벨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직선베벨기어부를 가진 제2결합링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고정 장치는 상기 지지판과 제1아암 상호간의 상하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제1결합링 및 제2결합링의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에 스토퍼가 부착된 제1힌지핀과, 상기 제1힌지핀의 타단에 결합되는 양쪽 캠부를 가진 캠핸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캠핸들의 상하회동에 따라 상기 제 1, 2 직선베벨기어부를 선택적으로 치합 또는 치합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지지판과 제1아암 상호간의 상하회동을 할 수 있으므로, 지지판의 원하는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upling ring having a first linear bevel gear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at one end of the first arm, the first bevel gear is disengaged with the first linear bevel gear. A second engagement ring having a second linear bevel gear portion meshed with the first linear bevel gear portion is formed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and wherein the first fixing device selectively restricts vertical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first arm. And a cam handle having a first hinge pin having a stopper attached to one end thereof and a cam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pin so as to penetrate the holes of the first coupling ring and the second coupling ring.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bevel gear parts may be selectively engaged or released according to vertical movement of the cam handle.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is released, since the support plate and the first arm can be vertically rotated, the desired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상기 제1아암의 타단에는 상하의 결합고리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2아암의 일단에는 상기 제1아암의 상하의 결합고리와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3 개의 결합고리가 상하로 차례로 형성됨으로써, 제1아암과 제2아암은 상호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아암의 타단에는 상기 제1아암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고리와 동일한 상하의 결합고리가 형성되고, 엘보우 아암의 수평봉의 끝에도 상기 제2아암의 일단에 형성된 3개의 결합고리와 동일한 3개의 결합고리가 형성됨으로써, 제2아암과 엘보우 아암은 상호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rings are formed side by side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and three coupling rings which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rings of the first arm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are sequenti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arm,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is formed with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rings the same as the coupling ring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arm, the horizontal rod of the elbow arm At the end, three coupling rings identical to the three coupling ring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arm are formed, whereby the second arm and the elbow arm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left-right rotational manner.

그리고, 지지대의 제2고정장치는 지지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된 구멍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협지편과, 좌우회동에 따른 상기 협지편의 전후이동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의 중공에 삽입되는 엘보우 아암의 수직봉을 선택적으로 협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일측에 결합되는 캠핸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엘보우 아암을 지지대에 대하여 좌우회동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캠핸들의 좌우회동에 따라 엘보우 아암을 선택적으로 승강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device of the support is a clamping piece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the vertical rod of the elbow arm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support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lamping piece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am handles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o as to selectively sandwich the elbow arm, which can support the elbow arm in a left-right rotational st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nd selectively elevate the elbow arm according to the left-right rotation of the cam handle. I can support it in a state that I can do it.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는 책의 판심 하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플랜지의 중앙부에 비틀림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상하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클립이 더 부가됨으로써, 상기 두번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clip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flange by a torsion spring so as to be able to grip the lower end of the core of the book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is further added, the second The purpose can be achieved.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참고서류의 상단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비틀림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클립과, 참고서류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의 좌단부 또는 우단부를 따라 승강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좌우선회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는 가로자로 이루어진 힌지자가 더 부가됨으로써, 상기 부가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second fixed clip and the lower end of the reference document elastic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by a torsion spring so as to easily grip the upper end of the reference document. The additional object can be achieved by further adding a hinge consisting of a bracket which is lifted and detachably coupled along a left end or a right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a horizontal cross that one end is pivotally coupled to the bracket.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한 다음의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고안에 다른 독서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동 정면도, 제3도는 동 평면도, 제4도는 동 좌측면도, 제5도는 동 우측면도, 그리고 제6도는 동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FIG. 3 is a plan view, FIG. 4 is a left side view, FIG. 5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6 is a rear view.

도면에서와 같이, 참조부호 1은 책(10)(제12도 참조)을 지지하는 지지판(1)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2은 상기 지지판(1)의 배면 중앙에 선택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1)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제1아암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3은 지지판(1)과 제1아암(2)을 선택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고정장치를 나타낸다.As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support plate 1 for supporting the book 10 (see FIG. 12), and reference numeral 2 is selectively pivotal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 The 1st ar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aid support plate 1 is shown. Further,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first fixing device for selectively coupling the support plate 1 and the first arm 2 to be rotatable vertically.

상기 지지판(1)의 하단에는 지지플랜지(11)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좌측에서 상기 지지판(1)을 바라보면 지지판(1)은 상부가 위로 연장된 ㄴ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의 배면의 대략 중앙에는 제1직선베벨기어부(15)가 일측면(여기서는 우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링(13)이 일체로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제1결합링(13)의 중공(17)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support plate 1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1 to protrude forward, so that the support plate 1 has a c-shape with an upper portion extending upward when looking at the support plate 1 from the left sid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first coupling ring 13 having the first linear bevel gear portion 15 formed on one side (here right sid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 It protrudes. That is, the hollow 17 of the first coupling ring 13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다음에,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아암(2)은 제1직선베벨기어부(15)와 분리가능하게 치합되도록 상기 제1직선베벨기어(15)와 대향하는 면(여기서는 좌측면)에 제2직선베벨기어부(25)를 가지는 제2결합링(23)이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하의 결합고리(21)(22)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아암(2)의 제2결합링(23)의 중공(27)은 제1결합링(13)의 중공(17)과 일직선상에 놓임으로써 상호 연통하게 되고, 제1, 2 직선베벨기어부(15)(25)의 치합시에는 지지판(1)과 제1아암(2)이 상호 상하회동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이며, 또한 상기 치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지지판(1)과 제1아암(2)이 상호 상하회동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상기 치합해제상태에서는 지지판(1)의 경사각을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8 to 11, the first arm 2 faces the first straight bevel gear 15 so as to be detachably engaged with the first straight bevel gear portion 15. The second coupling ring 23 having the second linear bevel gear portion 25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n one side thereof (the left side here), and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rings 21 and 22 are formed side by side at the other end. It is. In addition, the hollow 27 of the second coupling ring 23 of the first arm 2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being in line with the hollow 17 of the first coupling ring 13, the first and second When the straight bevel gears 15 and 25 are engaged, the support plate 1 and the first arm 2 cannot be rotated up and down mutually, and in the state where the engagement is released, the support plate 1 and The 1st arm 2 is in the state which can be mutually rotated up and down. Therefore, in the disengaged stat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1 can be adjusted to an arbitrary angle.

그리고, 제1고정장치(3)는 상기한 바와 같은 치합 및 치합의 해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지지판(1)의 경사조절 및 조절된 경사각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2 결합링(13)(23)을 상호 회동 및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 1, 2 결합링(13)(23)의 중공(17)(27)을 관통하여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에 스토퍼(32)가 형성된 제1힌지핀(31)과, 상하회동에 따라 상기 제 1, 2 직선베벨기어부(15)(25)를 상호 치합 또는 치합해제하도록 상기 제1힌지핀(31)의 타단에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양쪽 캠부(35)(36)를 가진 캠핸들(33)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device 3 is to fix the inclination and the adjusted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1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engagement and the release of the teeth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econd coupling ring 13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32 are formed at one end and are installed through the hollows 17 and 27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rings 13 and 23 so as to couple the 23 to each other so as to pivot and move left and right. The hinge pin 31 and the first and second linear bevel gears 15 and 2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a vertical rotation so as to be pivot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pin 31 so as to engage or disengage each other. It consists of a cam handle 33 having both cam portions 35 and 36.

상기 양쪽 캠부(35)(36)는 요크(34)의 양쪽 가지 선단에 차례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캠핸들(33)은 상기 양쪽 캠부(35)(36) 사이에 제1힌지핀(31)의 타단을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양쪽 캠부(35)(36)와 제1힌지핀(31)이 핀(37)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하회동할 수 있다.Both cam portions 35 and 36 are formed at the tip of both branches of the yoke 34 in turn, so that the cam handle 3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inge pins 31 between the two cam portions 35 and 36. Both cams 35 and 36 and the first hinge pin 31 may be coupled up and down by the pin 37 in a state where the other end is positioned.

즉, 캠핸들(33)을 위쪽으로 회동하면 양쪽 캠부(35)(36)는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제2결합링(23)을 제1결합링(13) 쪽으로 미는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제 1, 2 직선베벨기어부(15)(25) 상호간의 치합이 해제되며, 이 상태에서는 제 1, 2 직선베벨기어부(15)(25) 상호간의 회동, 즉 제 1, 2 결합링(13)(23)의 상호간의 회동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지지판(1) 또는 제1아암(2)을 상하회동하여 지지판(1)의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am handle 33 is rotated upward, both cam portions 35 and 36 rotate downward to release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ring 23 is pushed toward the first coupling ring 13 to thereby release the first, The engagement between the two linear bevel gear parts 15 and 25 is released, and in this state, the first and second linear bevel gear parts 15 and 25 rotate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rings 13 ( Since the mutual rotation of 23 is possibl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1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pivoting the support plate 1 or the first arm 2 up and down.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각이 조절된 상태에서 캠핸들(33)을 다시 아래쪽으로 회동하면 양쪽 캠부(35)(36)는 다시 윗쪽으로 회동하여 제2 결합링(23)을 제1결합링(13) 쪽으로 밀게 되므로 제 1, 2 직선베벨기어부(15)(25)가 서로 치합된다. 따라서 지지판(1)의 경사조절상태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m handle 33 is rotated downward again while the inclination angle is adjusted as described above, both cam portions 35 and 36 rotate upward again to form the second coupling ring 23 as the first coupling ring ( 13), the first and second linear bevel gear parts 15 and 25 mesh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tilt adjustment state of the support plate 1 can be firmly fixed.

한편, 제2아암(4)은 상기 제1아암(2)의 상하의 결합고리(21)(22)와 좌우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단에는 상기 제1아암(2)의 상하의 결합고리(21)(22)와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3개의 결합고리(41)(42)(43)가 위에서부터 아래로 차례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제1아암(2)의 일단에 형성된 상하의 결합고리(21)(22)와 동일한 상하의 결합고리(45)(46)가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second arm 4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rings 21 and 22 of the first arm 2 so as to be rotatable, and at one end,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rings 21 of the first arm 2 are connected. ) 22 and three coupling rings (41, 42, 43) that a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pivotal ord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ring formed on one end of the first arm (2) Coupling rings 45 and 46 which are the same as those of (21) and (22) are formed.

상기 제2아암(4)의 3 개의 결합고리(41)(42)(43)는 일단에 스토퍼(49)가 형성된 제2힌지핀(47)에 의하여 상기 제1아암(2)의 상하의 결합고리(21)(22)와 좌우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아암(2)과 제2아암(4)은 제2힌지핀(47)을 축으로 하여 상호 좌우회동가능하게 된다.The three engaging rings 41, 42, 43 of the second arm 4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rings of the first arm 2 by a second hinge pin 47 having a stopper 49 formed at one end thereof. By being coupled to (21) and (22) so that left and right rotation is possible, the 1st arm 2 and the 2nd arm 4 become mutually left and right rotatable with the 2nd hinge pin 47 as an axis.

그리고, 상기 제2아암(4)에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엘보우 아암(5)은, 수평봉(51)의 끝에 상기 제2아암(4)의 상하의 결합고리(45)(46)와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2아암(4)의 일단에 형성된 3개의 결합고리(41)(42)(43)와 동일한 3 개의 결합고리(52)(53)(54)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3개의 결합고리(52)(53)(54)가 상기 제2힌지핀(47)과 동일한 형태의 제3힌지핀(57)에 의하여 제2아암(4)의 상하의 결합고리(45)(46)와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3힌지핀(57)을 축으로 하여 제2아암(4)과 엘보우 아암(5)은 상호 좌우회동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lbow arm 5 coupled to the second arm 4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the left and right engagement rings 45 and 46 of the second arm 4 can rotate left and right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51. Three coupling rings (52, 53, 54) identical to the three coupling rings (41) (42) (43)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arm (4) are formed so that the three couplings Rings 52, 53 and 54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rings 45 and 46 of the second arm 4 by a third hinge pin 57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hinge pin 47. By being rotatably coupled, the second arm 4 and the elbow arm 5 can rotate left and right with the third hinge pin 57 as an axis.

그리고, 지지대(6)는 상기 엘보우 아암(5)의 수직봉(55)을 좌우회동 및 선택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공(62)을 가짐과 아울러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중공(62)과 연통하는 구멍(63)이 형성된 지지봉(61)과, 책상 등 판재의 모서리부에 고정하도록 상기 지지봉(61)의 하단부에 설치된 고정부(65)와, 상기 지지봉(61)에 삽입되는 엘보우 아암(5)의 수직봉(55)을 좌우회동 및 선택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고정장치(7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upport 6 is for supporting the vertical rod 55 of the elbow arm 5 so as to be swivelable and selectively liftable. The support 6 has a hollow 62 and a hollow 62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A support rod 61 having a hole 63 communicating therewith, a fixing portion 65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61 so as to be fixed to a corner portion of a plate such as a desk, and an elbow arm inserted into the support rod 61. And a second fixing device 70 for supporting the vertical bar 55 of (5) to be swivelable and selectively liftable.

상기 고정부(64)는 상기 지지봉(6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채널(66)과, 상기 채널(66)의 하부 플랜지(67)를 관통하여 좌우회동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단에 협지판(69)이 설치된 나사봉 핸들(68)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part 64 is installed to be elevated by left and right pivoting through the channel 66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rod 61 and the lower flange 67 of the channel 66 and is sandwiched at the upper end. It consists of a screw rod handle 68 provided with a plate 69.

그리고, 지지대(6)의 제2고정장치(70)는 지지봉(61)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된 사각형 구멍(63)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협지편(71)과, 좌우회동에 따라 상기 협지편(71)의 전후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대(6)의 중공(62)에 삽입되는 엘보우 아암(5)의 수직봉(55)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협지하도록 상기 지지대(6)의 상단부 일측에 결합되는 캠핸들(72)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엘보우 아암(5)을 지지대(6)에 대하여 좌우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캠핸들(72)의 좌우회동에 따라 엘보우 아암(5)을 선택적으로 승강할 수 상태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device 70 of the support 6 is a clamping piece 71 inserted into the square hole 63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rod 61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the clamping piece according to left and right pivoting. A cam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6 to selectively pin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rod 55 of the elbow arm 5 inserted into the hollow 62 of the support 6 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71. The handle 72 allows the elbow arm 5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6 and to selectively lift the elbow arm 5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cam handle 72. Can be placed in a state.

상기 협지편(71)은 사각형 구멍(63)과 대응하는 대략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안쪽에 위치하는 면은 지지봉(61)의 내주면과 동일한 반경을 가진 호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봉(61)에 삽입된 엘보우 아암(5)의 수직봉(55)의 외주면에 상기 협지편(71)이 밀착될 경우에 수직봉(55)을 좌우회동은 가능하지만 승강은 불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캠핸들(72)은 제1고정장치(3)의 캠핸들(33)에서와 같은 요크(34)가 없이 양쪽에 캠부(73)(74)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사각구멍(63) 주위에 형성된 결합부(64)에 핀(75)에 의하여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좌우회동에 의한 상기 협지편(71)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엘보우 아암(5)의 수직봉(55)의 승강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게 된다.The clamping piece 71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hole 63, and the inner surface preferably forms an arc surface having the same radius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61. This supports the vertical rod 55 in a state in which left and right pivoting is possible, but the lifting and lowering is impossible when the clamping piece 7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rod 55 of the elbow arm 5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rod 61. To do this. In addition, the cam handle 72 has cam portions 73 and 74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without the yoke 34 as in the cam handle 33 of the first fixing device 3. The left and right pivots of the vertical rods 55 of the elbow arm 5 are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64 formed around them by the pin 75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The lift is selectively limited.

즉, 캠핸들(72)을 핀(75)을 중심으로 좌로 회동하면 협지편(71)의 바깥면을 밀고 있던 양쪽 캠부(73)(74)가 우로 회동하여 협지편(71)이 지지봉(61)의 반경바깥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는 상태에 놓임으로써 엘보우 아암(5)의 수직봉(55)은 승강가능한 상태가 되고, 다시 캠핸들(72)을 우측으로 회동하면 양쪽 캠부(73)(74)가 다시 좌측으로 회동하여 협지편(71)을 지지봉(61) 쪽으로 미는 것에 의하여 지지봉(61)의 내주면과 협지편(71)의 안쪽면 사이에 수직봉(55)이 협지되므로 수직봉(55)은 좌우회동은 가능하지만 승강은 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다. 즉, 이 상태에서는 지지봉(61)의 내주면과 협지편(71)의 안쪽면은 호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수직봉(55)은 좌우회동만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cam handle 72 is rotated to the left about the pin 75, both cam portions 73 and 74 which have pushed the outer surface of the sandwich piece 71 rotate to the right, and the sandwich piece 71 supports the support rod 61. By being in a state capable of retracting in the radial outward direction, the vertical rod 55 of the elbow arm 5 is liftable, and when the cam handle 72 is rotated to the right, both cam portions 73 and 74 are rotated. ) Is rotated to the left side again and the vertical rod 55 is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od 6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inch piece 71 by pushing the clamping piece 71 toward the supporting rod 61. ) Is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but not ascend or descend. That is, in this state,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6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andwich piece 71 form an arc surface, the vertical rod 55 can only rotate left and right.

한편, 제1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클립(7)은 앵글형 단면을 지닌 것으로서, 상기 지지판(1)의 지지플랜지(11)의 중앙부에 비틀림스프링(78)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고정클립(7)의 제1플랜지(76)는 지지플랜지(11)의 앞면에 놓임과 아울러 제1고정클립(7)의 제2플랜지(77)는 지지플랜지(11)의 상면에 놓이고, 또한 제1플랜지(76)의 배면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스냅링(미도시)이 이와 대응하여 지지플랜지(11)의 저면 양쪽에 횡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축부(미도시)를 회동가능하게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쪽 축부에 감기는 비틀림스프링(78)의 중단부가 제2플랜지(77)의 저면에 지지됨과 아울러 또한 비틀림스프링(78)의 양쪽 단부가 지지플랜지(11)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제1고정클립(7)은 탄력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지지플랜지(11)에 결합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7, the first fixing clip 7 has an angular cross section, and is provided by the torsion spring 78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flange 11 of the support plate 1. Elastically coupled up and down rotatable. Specifically, the first flange 76 of the first fixing clip 7 is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flange 11 and the second flange 77 of the first fixing clip 7 is a support flange ( A shaft portion (not shown),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11 and formed on both rear surfaces of the first flange 76, is formed to face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lange 11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G) is designed to be rotated. In addition, the stop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78) wound on both shafts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flange 77, and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78) support the bottom of the support flange (11). The fixed clip 7 is coupled to the support flange 11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elastically.

따라서, 제1고정클립(7)의 제2플랜지(77)를 위로 선회시킨 상태에서 책(10)을 지지판(1)에 안치한 다음 제1고정클립(7)을 놓으면, 비틀림스프링(78)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플랜지(77)가 지지판(1) 쪽으로 선회하여 책(10)의 판심의 하단부, 즉 서배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판(1) 쪽으로 밀게 되므로, 책(10)을 지지판(1)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책(10)의 판심의 양쪽에 위치한 부분이 앞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파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ook 10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flange 77 of the first fixing clip 7 is turned upward, and then the first fixing clip 7 is placed, the torsion spring 78 Since the second flange 77 pivots toward the support plate 1 by the elastic force, the lower end of the plate core of the book 10,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pear is elastically pushed toward the support plate 1, so that the book 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 Can be firmly supported. Thereby, the par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re of the book 10 can be gripped so as not to protrude forward.

또한, 본 고안에서는, 참고서류를 지지하고자 할 경우, 상기 지지판(1)의 상단에 비틀림스프링(83)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클립(8)이 더 부가되고, 또한 지지판(1)의 좌단부 또는 하단부를 따라 승강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브래킷(91) 및 이 승강브래킷(91)에 좌우선회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는 가로자(92)로 이루어진 힌지자(9)도 더 부가됨으로써, 참고서류의 지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ference document is to be supported, a second fixing clip 8 tha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ivots by the torsion spring 83 is further add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1, In addition, a hinge made of a lifting bracket 91 which is lifted and detachably coupled along a left end or a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1 and a horizontal arm 92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lifting bracket 91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9) is also added to facilitate the support of reference documents.

상기 제2고정클립(8)은 대략 채널형 단면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지지판(1)의 상단 중앙부를 위에서 아래로 덮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전술한 제1고정클립(7)의 조립상태와 같이, 비틀림스프링(83)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전후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고정클립(8)의 후측 플랜지부(82)를 누르면 제2고정클립(8)의 전측 플랜지부(81)가 위쪽으로 회동하여 지지판(1)의 상단과 전측 플랜지부(81)와의 사이가 벌어지고, 이 벌어진 사이에 참고서류의 상단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후측 플랜지부(82)를 놓으면 비틀림스프링(83)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상기 전측 플랜지부(81)가 지지판(1) 쪽으로 탄력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참고서류의 상단부를 파지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clip 8 has a substantially channe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is arranged to cover the top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 from top to bottom, as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first fixing clip 7 described above. , By the torsion spring 83 is elastically coupled back and forth. Therefore, when the rear flange portion 82 of the second fixing clip 8 is pressed, the front flange portion 81 of the second fixing clip 8 is rotated upwards so that the upper end and the front flange portion 81 of the support plate 1 are rotated. When the rear flange portion 82 is placed whil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ference document is inserted between the gaps, the front flange portion 81 again moves toward the support plate 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83. By flexibly rotating, the upper end of the reference document can be gripped.

또한, 상기 힌지자(9)의 승강브래킷(91)은 지지판(1)의 전면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된 레일(19)중 좌측 또는 우측 위치에 형성된 부분의 레일(19)을 따라 승강되도록 지지판(1)의 좌단부 또는 우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브래킷(91)에 결합된 가로자(92)는 지지판(1)의 앞면에 횡방향으로 위치하여 승강브래킷(91)을 중심으로 좌우선회할 수 있도록 됨으로써, 제2고정클립(8)에 의하여 지지판(1)에 참고서류를 지지한 상태에서 승강브래킷(91)의 승강 및 가로자(92)의 좌우선회에 따라 참고서류의 하단부가 날리지 않도록 참고서류의 적당한 위치를 파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bracket 91 of the hinge 9 is lifted along the rail 19 of a portion formed at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rail 19 form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support plate 1. It is coupled to the left end or the right end of the cross-section 92 is coupled to the elevating bracket 91 is loc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 so that it can be turned left and right around the elevating bracket (91). By doing so, while supporting the reference document on the support plate 1 by the second fixing clip (8)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bracket 91 and the left and right turning of the cross (92) the reference document so as not to fly You can grasp the proper position of.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제 1, 2 직선베벨기어부(15)(25)가 상호 치합된 상태를 해제하여 지지판(1)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핸들(33)을 상향회동하면, 제1고정장치(3)를 구성하는 캠핸들(33)의 양쪽 캠부(35)(36)의 하향 회동에 의하여 상기 양쪽 캠부(35)(36)가 제2결합링(23)을 제1결합링(13) 쪽으로 미는 상태가 해제되어 제2결합링(23)이 오른쪽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2 직선베벨기어부(15)(25) 상호간의 치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 치합이 해제된 상태는 제 1, 2 결합링(13)(23)의 상하회동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지지판(1) 또는 제1아암(2)을 상하회동하여 지지판(1)의 경사각을 적절하게 조절한다.First, as shown in FIG. 10, the cam handle 33 is upward to release the first and second linear bevel gear parts 15 and 25 from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1. When rotated, the two cam portions 35 and 36 move the second coupling ring 23 by downward rotation of both cam portions 35 and 36 of the cam handle 33 constituting the first fixing device 3. The state of pushing toward the first coupling ring 13 is released, so that the second coupling ring 23 slightly moves to the right, thereby releasing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near bevel gear parts 15 and 25. . Therefore, the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is released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rings 13 and 23 can be rotated up and down, so that the support plate 1 or the first arm 2 is rotated up and down to incline the angle of the support plate 1. Adjust it properly.

이와 같이 경사각 조절이 끝난 후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핸들(33)을 다시 아래로 회동하여 양쪽 캠부(35)(36)를 상승회동시키면, 양쪽 캠부(35)(36)가 제2결합링(23)을 제1결합링(13)쪽으로 밀어 제 1, 2 직선베벨기어부(15)(25)가 서로 치합됨으로써 제 1, 2 결합링(13)(23)의 상하회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판(1)의 경사조절상태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fter the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is finished, as shown in FIG. 5, when the cam handles 33 are rotated downward again to raise both the cam portions 35 and 36, the cam portions 35 and 36 are removed. By pushing the second coupling ring 23 toward the first coupling ring 13, the first and second linear bevel gear parts 15 and 2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rings 13 and 23 rotate up and down. It becomes impossible. Therefore, the inclination adjustment state of the support plate 1 can be firmly fixed.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판(1)의 경사각을 조절하는데 있어서는 지지판(1)이 제1아암(2)을 중심으로 거의 360°에 가깝게 상하회동될 수 있으므로 경사각을 넓은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In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1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pport plate 1 can be rotated up and down nearly 360 ° with respect to the first arm 2,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adjusted in a wide range.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조절을 완료하면, 다음에는 지지판(1)의 좌우위치를 조절한다. 즉, 지지판(1)을 잡고, 좌우로 회동하면, 제3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의 제1결합링(13)과 제1아암(2)과의 좌우회동, 제1아암(2)과 제2아암(4)과의 좌우회동, 제2아암(4)과 엘보우 아암(5)과의 좌우회동, 그리고 엘보우 아암(5)의 지지대(6)에 대한 좌우회동, 즉 다관절에 의한 좌우회동이 각각 이루어지므로, 지지판(1)이 어느 위치에 놓인다 할지라도 지지대(6)를 항상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놓을 수 있다.When the inclination adjustment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next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upport plate (1). That is, when holding the support plate 1 and rotating it left and right,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3, the left and right rotations of the 1st engagement ring 13 and the 1st arm 2 of the support plate 1, and 1st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arm (2) and the second arm (4),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econd arm (4) and elbow arm (5), and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upport (6) of the elbow arm (5), ie Since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y the multiple joints are made, respectively, the support plate 1 can be placed in a position where the support plate 6 can always be seen in the front, no matter where the support plate 1 is placed.

그리고, 눈높이와 지지판(1)의 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제2고정장치(70)의 캠핸들(72)을 회동하여 엘보우 아암(5)의 수직봉(55)을 승하강하여 눈높이에 맞춘 다음 다시 반대방향으로 캠핸들(72)을 회동하여 엘보우 아암(5)을 승강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눈높이와 지지판(1)의 높이를 맞추었는데도 불구하고, 눈높이가 엘보우 아암(5)의 수직봉(55)의 승하강거리를 벗어날 경우에는, 지지판(1)을 상기한 것처럼 상하회전하여 지지판(1)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조절하면 된다. 특히, 누워서 책(10)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책(10)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제2고정클립(8)에 의하여 책(10)의 판심 상단부를 파지하면 된다.If the eye height does not match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1, the cam handle 72 of the second fixing device 70 is rotated to raise and lower the vertical rod 55 of the elbow arm 5 to fit the eye level. The cam handle 72 may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fix the elbow arm 5 in a state in which the elbow arm 5 cannot be elevated. Even though the eye height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1 are adjusted in this way, when the eye height is out of the lifting distance of the vertical rod 55 of the elbow arm 5, the support plate 1 is rotated up and down as described abov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just so that the support plate 1 may be frontally seen. In particular, if you want to see the book 10 lying down, the book 10 is to grip the upper end of the core of the book 10 by the second fixing clip 8 so as not to fall down.

다음에, 제1고정클립(7)을 회동하여 제2플랜지부(77)를 위로 회동한 상태에서, 책(10)을 지지판(1)에 안치한 후 제1고정클립(7)을 놓으면, 비틀림스프링(83)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플랜지부(77)가 다시 지지판(1) 쪽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여 책(10)의 판심 즉, 서배의 하단부를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 쪽으로 탄력적으로 밀게 되므로, 책(10)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펼쳐진 책(10)의 판심 양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앞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할 수 있다.Next,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ixing portion 77 is rotated upward by rotating the first fixing clip 7, the book 10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 and then the first fixing clip 7 is released. The second flange portion 77 is elastically rotated back toward the support plate 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83 so that the plate center of the book 10,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pear, is shown in FIG. Since it is elastically pushed toward 1), the book 10 can be firmly gripped. Therefore, the part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open core of the open book 10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forward.

다음에, 참고서류를 지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고정클립(8)의 후측 플랜지부(82)를 누르면 제2고정클립(8)의 전측 플랜지(81)가 위쪽으로 회동하여 지지판(1)의 상단과 상기 전측 플랜지부(81)와의 사이가 벌어진다. 이 벌어진 사이에 참고서류의 상단부를 끼운 상태에서 후측 플랜지부(82)를 놓으면, 비틀림스프링(83)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전측 플랜지부(81)가 지지판(1) 쪽으로 탄력적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전측 플랜지부(81)가 참고서류의 상단을 지지판(1) 쪽으로 밀게 되므로 참고서류의 상단부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Next, in the case of supporting the reference document, when the rear flange portion 82 of the second fixing clip 8 is pressed, the front flange 81 of the second fixing clip 8 rotates upward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1. There is a gap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and the front flange portion 81. When the rear flange portion 82 is placed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ference document is sandwiched between the gaps, the front flange portion 81 is elastically rotated toward the support plate 1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83. Therefore, since the front flange 81 pushes the upper end of the reference document toward the support plate 1, the upper end of the reference document can be firmly gripped.

이와 같이, 참고서류가 파지된 상태에서 참고서류의 하단부가 예컨대 선풍기에 의한 바람 등에 의하여 날릴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힌지자(9)의 승강브래킷(91)을 중심으로 가로자(92)를 좌측으로 선회한 다음 지지판(1)과 가로자(92) 사이에 참고서류의 하단부를 위치한 상태에서 가로자(92)를 놓으면, 자중에 의하여 가로자(92)가 지지판(1) 쪽으로 선회하여 참고서류의 하단부를 파지하므로 참고서류의 하단부를 날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힌지자(9)의 승강브래킷(91)을 지지판(1)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참고서류의 길이에 따라 참고서류에 대한 힌지자(9)의 파지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Thus, when there is a risk that the lower end of the reference document may be blown away by, for example, a wind by a fan or the like while the reference document is held, the cross 92 is left on the lifting bracket 91 of the hinge 9. After turning to the horizontal plate 92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reference document is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 and the cross ruler 92, the cross ruler 92 pivots toward the support plate 1 by reference to the reference document. Since the lower part of the gripper can be avoided from flying the lower part of the reference document. In addition, since the lifting bracket 91 of the hinge 9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ail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late 1, the grip position of the hinge 9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ocument along the length of the reference document. Can be changed as appropriat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에 의하면, 지지판(1)을 좌우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지지판(1)의 경사각을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지판(1)이 어떤 위치에 있든지 간에 편안한 상태에서 책(10)이나 참고서류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누워서도 책(10)이나 참고서류를 볼 수 있다. 또한 경사각 조절이 완료된 지지판(1)과 제1아암(2)과의 고정상태를 제1고정장치(3)에 의하여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1 can be adjusted in a wide range by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1 so that it can be rotated not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plate 1 is Wherever you are, you can view the book 10 or reference books in a comfortable state, and especially when you lie down, you can see the book 10 or reference documents. In addition, the fixed state between the support plate 1 and the first arm 2 o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is completed can be firmly maintained by the first fixing device 3.

또한, 제1고정클립(7)에 의하여 책(10)의 서배의 하단부, 즉 판심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10)의 두께 및 크기에 관계없이 책(10)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펴진 책(10)의 판심 양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앞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그 부분의 글자를 잘 볼 수 있다.Further, the book 10 can be easily hel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book 10 by allowing the first fixing clip 7 to firmly grip the lower end of the book, ie, the lower end of the core, of the book 10. Not only can be supported, so that the par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open core of the open book 10 can not be protruded forward, so that the characters of the part can be seen well.

게다가, 제2고정클립(8)에 의하여 참고서류의 상단을 파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2고정클립(8)을 지지판(1)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참고서류를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참고서류의 하단부를 파지할 경우에도 또한 힌지자(9)를 지지판(1)로부터 분리하는 일 없이 가로자(92)를 좌우선회함과 아울러 승강브래킷(91)의 자유로운 상하이동에 의하여 참고서류의 적당한 부위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참고서류의 파지가 용이해진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reference document by the second fixing clip 8, not only the reference document can be held without removing the second fixing clip 8 from the support plate 1, but also the reference document. In the case of holding the lower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hinge, the hinge 9 is also rotated horizontally 92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plate 1, and the appropriate portion of the reference document by the free shandong of the lifting bracket 91. It can be possible to hold, so that the holding of reference documents is easy.

Claims (3)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플랜지(11)가 하단에 형성되고,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1직선베벨기어부(15)를 가진 제1결합링(13)이 대략 배면 중앙에는 형성된 지지판(1)과; 상기 제1직선베벨기어(15)와의 치합해제시 상하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직선베벨기어부(15)와 좌우분리가능하게 치합되는 제2직선베벨기어부(25)를 가진 제2결합링(23)이 일단에 형성된 제1아암(2)과; 상기 제 1, 2 결합링(13)(23)의 치합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1고정장치(3)와; 상기 제1아암(2)의 타단에 좌우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제2아암(4)과; 상기 제2아암(4)의 타단에 수평봉(51)의 끝이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엘보우 아암(5)과; 그리고, 상기 엘보우 아암(5)의 수직봉(55)을 좌우회동 및 선택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중공(62)을 가지는 지지봉(61)과, 판재의 모서리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지지봉(6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통상의 고정부(65)와, 상기 지지봉(6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61)에 삽입되는 수직봉(55)을 좌우회동 및 선택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고정장치(70)로 이루어지는 지지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을 구비한 독서대.The support plate 11 protruding forward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support plate 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ring 13 having the first linear bevel gear portion 15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thereof. ; A second coupling ring having a second linear bevel gear portion 25 that is engaged with the first linear bevel gear portion 15 so that the first linear bevel gear 15 is disengaged from the left and right so as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when the first linear bevel gear 15 is disengaged; A first arm 2 formed at one end thereof; A first fixing device (3)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rings (13, 23); A second arm 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2 in a rotatable manner; An elbow arm 5 having an end of the horizontal rod 51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4; Then, the support rod 61 having a hollow 62 for supporting the vertical rod 55 of the elbow arm 5 to be swivelable and selectively liftable, and the support rod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edge of the plate A normal fixing portion 65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61 and a vertical rod 55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rod 61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rod 61 are pivotally supported and selectively liftable. Reading stand with a multi-j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6) consisting of a second fixing device (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에 지지되는 책의 판심 하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플랜지(11)의 중앙부에 비틀림스프링(78)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앵글형 제1고정클립(7)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The angle type first of claim 1, wherein the angle-type first portion is elastically coupled by a torsion spring 78 to a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flange 11 so as to hold the lower end of the plate core of the book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 Reading desk further comprises a fixed clip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의 상단에 비틀림스프링(83)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채널형 제2고정클립(8)과, 상기 지지판(1)의 좌단부 또는 우단부를 따라 승강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브래킷(91) 및 상기 지지판(1)의 앞면에 좌우선회가능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브래킷(91)에 일단이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로자(92)로 이루어진 힌지자(9)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According to claim 1 or 2, Channel-shaped second fixed clip (8)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1 by the torsion spring (83) and the support plate (1) Horizontally coupled one end to the elevating bracket (91) and the elevating bracket (91) so as to be left and right pivotal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 and the elevating bracket (91) is coupled to the lifting and detaching along the left or right end of the And a hinge (9) consisting of chairs (92).
KR2019960015086U 1996-06-07 1996-06-07 Reading rack KR01313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086U KR0131319Y1 (en) 1996-06-07 1996-06-07 Reading 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086U KR0131319Y1 (en) 1996-06-07 1996-06-07 Reading r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458U KR980000458U (en) 1998-03-30
KR0131319Y1 true KR0131319Y1 (en) 1998-12-15

Family

ID=1945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086U KR0131319Y1 (en) 1996-06-07 1996-06-07 Reading r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319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483B1 (en) * 2007-02-23 2008-02-20 이상혁 Bedside book holder
KR101414954B1 (en) * 2013-07-02 2014-07-04 정재환 reading tool for patient
KR200477809Y1 (en) * 2014-02-24 2015-07-24 정원배 Using Flexible hose reading desk used by 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8021A1 (en) * 2002-02-15 2003-08-21 Jae-Whoan Lee Multifunctional book hol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483B1 (en) * 2007-02-23 2008-02-20 이상혁 Bedside book holder
KR101414954B1 (en) * 2013-07-02 2014-07-04 정재환 reading tool for patient
KR200477809Y1 (en) * 2014-02-24 2015-07-24 정원배 Using Flexible hose reading desk used by 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458U (en)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5770A (en) Reclining mechanism for baby carriage
JPS60146997A (en) Vertical-position adjustable stand
JPS6235469Y2 (en)
US5458070A (en) Extendible table with two rotating elements, for use as a piece of furniture
KR0131319Y1 (en) Reading rack
US20160084432A1 (en) Self-positionable lifting device
CA1210295A (en) Book holder
JP4093936B2 (en) Armrest device
MX2007011729A (en) Portable carrier/table device .
KR0131318Y1 (en) Reading racks
CN216893357U (en) Architectural decoration auxiliary supporting device for building construction
CN201934446U (en) Self-locking two-bar mechanism with adjustable angle and joint connection mechanism of same
CN200947921Y (en) Multidirectional bracket for computer keyboard
CN213524345U (en) Students' dormitory bed is with activity type bed desk
KR200310970Y1 (en) Bookstand
JP3129892U (en) Supine writing device
JPS6249807A (en) Lifting, falling and inclination control apparatus
EP0392817A2 (en) Table
CN214904587U (en) Table angle adjusting and displaying mechanism
KR0131317Y1 (en) Reading rack
JP2016047043A (en) Grass shears which can be used in standing position
CN205267557U (en) Chair tray structure
CN211738557U (en) Tablet personal computer support
CN113439941B (en) Folding support frame with stable structure
WO2004010824A1 (en) Portable fold up work surface and seat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