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771Y1 - 접촉폭기식 정화조 - Google Patents

접촉폭기식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771Y1
KR0130771Y1 KR2019960008633U KR19960008633U KR0130771Y1 KR 0130771 Y1 KR0130771 Y1 KR 0130771Y1 KR 2019960008633 U KR2019960008633 U KR 2019960008633U KR 19960008633 U KR19960008633 U KR 19960008633U KR 0130771 Y1 KR0130771 Y1 KR 0130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eration
septic tank
contact
dec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368U (ko
Inventor
이경섭
Original Assignee
이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섭 filed Critical 이경섭
Priority to KR2019960008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771Y1/ko
Publication of KR970058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3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촉폭기식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즉, 오수처리에 적용되는 접촉폭기식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10)의 내부를 개선한 본 고안의 구성은 부패실(20), 예비 침전실(30), 폭기실(40) 접촉여재실(50), 최종침전실(60)로 1차 혐기성 분해실과 2차 호기성 산화실로서 이를 독립적으로 분리처리하여 각기 특성에 맞는 정화실을 형성함으로서, 유기물의 분해 기능을 증대시키며 사용 시간에 관계없이 오수처리 효율을 대폭 증대시켜 정화수를 배출할 수 있게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접촉폭기식 정화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화조 11 : 점검맨홀
12 : 유입구 13 : 배출구
14 : 가스 배출구 20 : 부패실
21 : 부패 분리벽 30 : 예비 침전실
31 : 차단벽 32a : 측면벗플
32b : 하부벗플 32c : 침전 유입공
33 : 침전 배출공 40 : 폭기실
41 : 순환수 유입공 42 : 여재실 분리벽
43 : 순환수 배출구 44 : 폭기 유입구
50 : 접촉여재실 60 : 최종침전실
61 : 굴곡형 경사판
본 고안은 각종 오수처리에 적용되는 접촉폭기식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화조 내부를 크게 2단계로 구획 분리하면 1차 혐기성 분해실과 2차 호기성 산화실로서 이를 독립적으로 분리처리하여 오수처리 효율을 대폭 증대시켜 보다 정화된 처리수를 얻어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접촉폭기식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조는 각종 오수를 정화시켰던 것으로서, 이들의 구조는 각양각색으로 제품이 형성되지만 그 기본구조는 대략 정화실의 내부로 크게 2가지로 분리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혐기성 분해실이고 둘째로는 호기성 산화실로 구분되는 것으로서, 이를 상,하수직으로 배열하며, 산소를 공급하는 폭기실의 유입구 및 부패실은 같은 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호기성 분해실에 설치된 것으로서, 정화조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화조는 혐기성 분해실과 호기성 산화실이 상호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되는 오수의 유동현상이 많게되는 결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이때 혐기성 분해실에서 처리되지 않은 큰 용량 및 유기물 고형물 호기성 산화실로 유입하게 되면 상기 기술적 구성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산소를 공급하는 폭기실이 수심의 중앙 하단에 있어 입자가 큰 고형물이 폭기실의 입구를 차단함은 결과로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이 저하되어 처리효율을 떨어지는 현상이 극심하며 부패실의 상부 스캄 발생층의 단위 단면적이 적어 사용중 발생 스캄에 의한 스캄층이 하단부까지 이어져 부패실의 분리 기능이 점점 퇴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1차 혐기성 분해실과 2차 호기성 산화실로서 이를 독립적으로 분리처리하여 각기 특성에 맞는 정화실을 형성함으로서, 유기물의 분해 기능을 증대시키며 사용 시간에 관계없이 오수처리 효율을 대폭 증대시켜 정화수를 배출할 수 있게 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된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수처리에 적용되는 접촉폭기식 정화조(10)의 외부 중앙에는 정화조(10)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점검맨홀(11)을 형성하고 정화조(10)의 우측에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를 형성하며, 이의 타측에는 오수를 최종 정화하여 배출되는 배출구(13)를 형성하고, 부패실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14)를 상기 점검맨홀(11)과 유입구(12)에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10)의 내부를 개선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이를 구획설정하면 20은 부패실, 30은 예비 침전실, 40은 폭기실 50은 접촉여재실, 60은 최종침전실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패실(20)의 좌측으로는 상기 유입구(12)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우측으로는 부패 분리벽(21)을 정화조(10)의 길이의 폭 만큼 설치하며, 부패 분리벽(21)의 상측 중앙에는 상기 예비 침전실(30)을 형성한 것으로 이의 하부에는 예비 침전실(30)과 부패실(20)을 분리하는 차단벽(31)을 설치하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침전실(30)의 하단에는 부패실에 유입된 오수가 1차 정화하여 유입되도록 측면벗플(32a)과 하부벗플(32b)를 각기 분리 형성하되 그 사이에는 침전 유입공(32c)을 형성하고, 예비 침전실(30)의 상부에는 침전실의 수심이 1cm 깊이에 설치된 삼각형 형상의 침전 배출공(33)을 형성하며, 예비 침전실(30)과 분리되어 우측에 형성된 상기 폭기실(40)의 하측에는 순환수 유입공(41)을 갖는 여재실 분리벽(42)을 설치하되 이의 하단의 경사면에는 순환수 배출구(43)를 형성하고 우측 하단에는 산소를 공급하는 폭기 유입구(44)를 설치하며, 폭기실(40)의 우측 하부에는 상기 접촉 여재실(50)을 형성하며, 이의 상측에는 복수의 굴곡형 경사판(61)을 갖는 상기 최종 침전실(60)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3)가 수심의 절반 정도가 설치된 상태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각종 오수가 유입구(12)로 유입하게되면 유입구(12)의 끝단의 배출구(12')가 부패실(20)의 수심의 3/1정도에 잠김 상태에서 오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입구(12)을 통과하여 부패실(20)로 유입된 오수가 부패실(20)의 내부에서 충만되면 각종 유기물이 침전 분해되면서 상,하부로 각기 분리되고 1차 정화된 처리수는 차단벽(31)의 내측으로 형성된 측면벗플(32a)과 하부벗플(32b)의 설치에 의하여 형성된 침전 유입공(32)으로 유입된다. 이때 측면벗플(32a)과 하부벗플(32b)에 의하여 부패실(20)과는 완전히 분리되며, 미분해된 고형물을 정선하여 측면벗플(32a)의 경사면을 따라 부패실(20)로 이송시켜 재처리 시켜주고 완전히 분리된 저농도의 1차 처리수만 예비침전실(30)로 유입하게 되며, 유입된 1차 처리수는 예비 침전실(30)의 상부 침전배출공(33)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침전 배출공(33)이 수심의 1cm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어 유입수의 수리부하의 지연 및 예비 침전실(30)과 폭기실(40)과의 일정량의 오수 치환을 유도하여 폭기실(40)의 슬럿지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폭기실(40)의 오니일령이 순조롭게 자연조정 되면서 폭기실(40)의 오니상 기능에 미생물의 지속적인 활성이 부여되는 것이다.
한편 침전 배출공(33)으로 배출되어 폭기실(40)로 유입한 1차 처리수는 폭기실(40), 접촉 여재실(50) 및 최종 침전실(60)이 완전히 구획분리된 2차 주처리 장치로 유입되는 것으로서, 폭기수에 의한 과도한 오니박리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고 굴곡형 경사판(61)의 접촉여재의 원활한 오니상을 구현하기 위한 폭기 유입구(44)와 여재실 분리벽(42)의 작용은 폭기 유입구(44)로 산소가 공급되면 통상의 대류 현상과 같이 상향류 흐름으로 1차 처리수가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다시 하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여재실 분리벽(42)에 중간위치에 있는 순환수 유입공(41)은 1차 처리수를 접촉 여재실(50)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그 하단에 형성된 순환수 배출공(43)으로는 접촉 여재실(50)의 박리오니를 폭기실(40)로 1차 처리수와 함께 유입시킴으로서, 적정량의 유입수와 폭기수가 재순환되는 구조를 갖게되면서 2차 접촉성 오니상에 의한 유기물의 호기성 2차분해는 연속성을 같게되어 활발한 정화가 진행되어진다. 이때 2차 처리수는 최종 침전실(60)의 하부로 부터 동일 단면적의 수리부하에 의하여 서서히 상승되면서 상승류에 포함된 미립자의 부유물이 최종 침전실(60)에 내장된 굴곡형 경사판(61)에 의해 침전 면적이 대폭 증대되고 침전시간이 단축됨으로서, 많은 미립자까지 침전된다. 또한 침전물은 굴곡형 경사판(61)을 따라 하부로 이송되어 접촉 여재실(50)에 보내어 재처리 기능에 임하게 되고 최종 처리수는 미립자가 완전히 분리된 후 경사판(61)의 상부에 자연 월류됨으로서, 최종 처리수가 깨끗하게 배출구(13)을 경유하여 최종 방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1차 혐기성 분해실과 2차 호기성 산화실로서 이를 독립적으로 분리처리하여 각기 특성에 맞는 정화실을 형성함으로서, 유기물의 분해 기능을 증대시키며 사용 시간에 관계없이 오수처리 효율을 대폭 증대시켜 정화수를 배출할 수 있게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오수처리에 적용되는 접촉폭기식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의 내부에는 부패실, 예비 침전실, 폭기실, 접촉여재실, 최종침전실로 구분된 것으로서, 부패실의 우측으로는 유입구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좌측으로는 부패 분리벽을 길이의 폭 만큼 설치하며, 부패 분리벽의 상측 중앙에는 예비 침전실을 형성한 것으로 이의 하부에는 예비 침전실과 부패실을 분리하는 차단벽을 설치하며, 예비 침전실의 하단에는 측면벗플과 하부벗플을 각기 분리 형성하되 그 사이에는 침전 유입공을 형성하고, 예비 침전실의 상부에는 삼각형 형상의 침전 배출공을 형성하며, 예비 침전실과 분리되어 우측에 형성된 폭기실의 하측에는 순환수 유입공을 갖는 여재실 분리벽을 설치하되 이의 하단의 경사면에는 순환수 배출구를 형성하고 우측 하단에는 산소를 공급하는 폭기 유입구를 설치하며, 폭기실의 우측 하부에는 상기 접촉 여재실을 형성하며, 이의 상측에는 복수의 굴곡형 경사판을 갖는 최종 침전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폭기식 정화조.
KR2019960008633U 1996-04-19 1996-04-19 접촉폭기식 정화조 KR0130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633U KR0130771Y1 (ko) 1996-04-19 1996-04-19 접촉폭기식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633U KR0130771Y1 (ko) 1996-04-19 1996-04-19 접촉폭기식 정화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368U KR970058368U (ko) 1997-11-10
KR0130771Y1 true KR0130771Y1 (ko) 1998-12-01

Family

ID=1945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633U KR0130771Y1 (ko) 1996-04-19 1996-04-19 접촉폭기식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7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368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27174B2 (en)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US3878097A (en) Contaminated water treating apparatus
CA2132592A1 (en) A method of treating wastewater
US3567629A (en) Process and plant for treating sewage
KR102058956B1 (ko)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H09323092A (ja) 汚水処理装置
KR800000035B1 (ko) 집적식 원형 폐수 처리 플랜트
CN218058594U (zh) 一种集约式生物法污水处理设备
KR0130771Y1 (ko) 접촉폭기식 정화조
KR101814983B1 (ko) 미생물 슬러지 회수 장치
JPH11244891A (ja) 廃水の脱窒素処理方法と処理システム
JPH0871578A (ja) 浮遊ろ材を用いた生物的水処理装置及びその逆洗方法
JPS6084198A (ja) 活性汚泥処理装置
JPH05285485A (ja) 汚水処理装置
JP2709357B2 (ja) 好気性廃水処理装置
JPH08318287A (ja) 浄化槽
WO2009129590A1 (en) Multi-stage water clarifier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KR960003926B1 (ko) 고효율의 호기성 분뇨 정화조
KR100481821B1 (ko) 기체용해 및 물질분리에 의한 수처리 장치
JP2004122080A (ja) 各室が所定の容積比の汚水浄化槽
JPH0636918B2 (ja) 廃水処理方法
JP3716461B2 (ja) 生物ろ過逆洗排水の受槽での濃縮方法
KR200165322Y1 (ko) 정화조용 오수 분배조
SU1165634A1 (ru) Отстойник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