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360B1 - Eencoding/decoding method for audio data - Google Patents

Eencoding/decoding method for audio data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360B1
KR0130360B1 KR1019940034716A KR19940034716A KR0130360B1 KR 0130360 B1 KR0130360 B1 KR 0130360B1 KR 1019940034716 A KR1019940034716 A KR 1019940034716A KR 19940034716 A KR19940034716 A KR 19940034716A KR 0130360 B1 KR0130360 B1 KR 0130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mpeg
information
bit allocation
al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27869A (en
Inventor
이성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3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360B1/en
Publication of KR96002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8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36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2Dynamic bit allo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5Correction of errors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hannel, if related to the coding algorith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A coding and decoding method of an audio data in accordance with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which can scrambling using a bit allocation information is disclosed. The coding/decod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decision whether scrambling or not by reading an overhead information of transferred bit stream; de-scrambling the scrambled bit allocating information by input to a scramble decoder; re-formatting an audio data using the de-scrambled bit allocating information; an outputting a PCM data by decoding using MPEG table.

Description

엠펙(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Encoding / Decoding Method of Audio Data According to MPEG

제1도는 (a)는 MPEG 오디오 비트스트림 구성도.1 is a (a) MPEG audio bitstream configuration diagram.

(b)는 제1도 (a)의 오디오 데이터의 구성도.(b) is a block diagram of audio data of FIG.

(c)는 제1도 (b)의 비트할당 정보의 구성도.(c) is a block diagram of the bit allocation information shown in FIG.

제2도는 일반적인 MPEG 오디오 수신장치의 구성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 typical MPEG audio receiver.

제3도는 본 발명의 스크램블/디스크램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amble / descrambl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MPEG 오디오 스크램블 오버헤더 신호의 구성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of an MPEG audio scrambled header signal.

제5도 (a)는 스크램블된 비트할당 정보의 구성도.5A is a block diagram of scrambled bit allocation information.

(b)는 본 발명의 SMR 구성도.(b) is an SMR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의 MPEG 오디오 수신장치의 구성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MPEG audio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 (a)는 MPEG 오디오 LAYER 1의 레퍼런스 테이블.FIG. 7A is a reference table of MPEG audio LAYER 1. FIG.

(b)는 MPEG 오디오 LAYER 2의 레퍼런스 테이블.(b) is a reference table of MPEG audio LAYER 2.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 스크램블 해독기 31 : 마이컴30: Scramble Decryptor 31: Micom

32 : MPEG 오디오 IC 33 : DF/DAC32: MPEG Audio IC 33: DF / DAC

본 발명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따른 오디오 테이타의 부호/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PEG 오디오 정보중에서 비트할당(Bit Allocation)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Scrambling)을 하는 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ncoding / decoding audio data according to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ncoding of audio data according to MPEG that is scrambling using bit allocation information among MPEG audio information. / Decryption method.

일반적으로 스크램블(Scrambling)은 특정 프로그램을 보호하려는 목적에서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scrambling is used to protect a specific program.

통상적으로 스크램블은 A/V 기기에서 비디오 신호에 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In most cases, scrambled video signals are used in A / V devices.

그러나 오디오 전용방송 및 MPEG등 데이터 압축을 이용한 알고리듬을 적용한 오디오 기기가널리 사용되면서 오디오, 특히 MPEG 관련 오디오 프로그램의 보호가 예상된다.However, as audio devices using data compression algorithms such as audio-only broadcasting and MPEG are widely used, protection of audio, especially MPEG-related audio programs, is expected.

MPEG에서의 음성신호의 압축/신장방법에 대한 MPEG 오디오에는 LAYER1, LAYER2, LAYER3가 있는데 LAYER3는 알고리듬 복잡도에 비해 음질향상이 미미하기 때문에 많이 채택되지 않는다.There are LAYER1, LAYER2, and LAYER3 for MPEG audio compression / extension method in MPEG. LAYER3 is not adopted because it has a small sound quality improvement compared to algorithm complexity.

LAYER1과 LAYER2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The difference between LAYER1 and LAYER2 is as follows.

LAYER1은 1프레임당 이산신호 표본화수가 384Samples이고, LAYER2는 1프레임당 이산신호 표본화수가 1152Samples이다.LAYER1 has 384 samples of discrete signal samples per frame, and LAYER2 has 1152 samples of discrete signal samples per frame.

그리고 LAYER 1에서는 스케일 팩터 셀렉트 정보(Scale Factor Select Information)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신택스(SYNTAX)상에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다.In LAYER 1, since no scale factor select information is used, no field exists on the syntax SYNTAX.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일반적인 MPEG 오디오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general MPEG audio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a)는 MPEG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구성도이고, (b)는 제1도(a)의 오디오 데이터 영역의 구성도이고, (c)는 제1도 (b)의 비트할당 정보영역의 구성도이다.FIG. 1A is a block diagram of an MPEG audio bitstream, (b)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data area of FIG. 1A, and (c) is a bit allocation information area of FIG. The configuration diagram.

먼저, 제1도 (a)는 MPEG상의 오디오 정보의 포맷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헤더정보 영역에서 부가데이타 필드영역 까지의 하나의 프레임 단위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First, FIG. 1 (a) shows the format structure of audio information on MPEG, and shows the structure of one frame unit from the header information area to the additional data field area.

헤더정보 영역은 프레임의 SIDE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선택모드,표본화 주화수(Samples Frequency : Fs, 44.1KHz, 48KHz, 32KHz), 채널 비트율(Bit rates per channel), 음의 강약(Pre-emphasis), 동기(SYNC)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The header information area shows the SIDE information of the frame.Selection mode, Sample Frequency (Fs, 44.1KHz, 48KHz, 32KHz), Bit rates per channel, Pre-emphasis, Sync ( Information such as SYNC).

CRC(Cyclic Redundancy Check Bit)영역은 프레임내 주요필드를 보호하기 위해 다항식 함수(Polynomial Function)형태로 16비트가 할당된 정보영역이다.The cyclic redundancy check bit (CRC) area is an information area in which 16 bits are allocated in the form of a polynomial function in order to protect main fields in a frame.

그리고 부가데이타 필드는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다.The additional data field is an area that can be arbitrarily used by a user.

그리고 오디오 영역의 구성은 제1도(b)에서와 같이, 각 서브밴드(Subband)에 할당된 비트수가 몇 비트씩인가를 나타내는 정보로써, 표본화된 대역분할 신호(Subband Samples)를 디코딩하는 기준이 되는 데이터 정보인 비트할당(Bit Allocation)정보영역과, MPEG 오디오 LAYER 2에서만 사용되는 기법으로 한 서브밴드의 세블럭 가운데서 몇 개의 스케일 팩터를 전송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정보인 스케일 팩터 샐렉트 정보 영역등으로 구성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audio reg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how many bits are allocated to each subband as shown in FIG. 1 (b), and the reference for decoding the sampled subband samples is Bit Allocation information area, which is the data information, and scale factor select information area, which is information indicating how many scale factors are transmitted among three blocks of one subband by a technique used only in MPEG Audio LAYER 2. do.

그리고 비트할당 정보영역은 LAYER 1 의 스테레오 모드의 데이터 포맷구성을 나타낸 제2도 (c)에서와 같이, MPEG 오디오 LAYER 1은 서브밴드 #0∼#31의 32개로 이루어지며 LAYER 2는 서브밴드 #0에서 서브리미트 서브밴드(Sublimit Subband)전까지 비트할당 정보를 나타낸다.The bit allocation information area is composed of 32 subbands # 0 to # 31 and LAYER 2 is subband # as shown in FIG. 2 (c) showing the data format configuration of the stereo mode of LAYER 1. Bit allocation information from 0 to before the sublimit subband.

LAYER 2에서는 각 표본화 주파수(Sampling Frequency)와 채널비트율(Bit rates per channel)에 따라 서브밴드의 수가 정해져 있다.In LAYER 2, the number of subbands is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sampling frequency and bit rates per channel.

이때 정해진 비트가 할당되지 않은 처음 서브밴드를 서브리미트 서브밴드(Sublimit Subband)라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subband to which a predetermined bit is not allocated is called a sublimit subband.

비트할당 정보영역은 약간의 에러발생시에도 음성신호가 깨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CRC에 의해 보호되게 된다.In the bit allocation information area, the voice signal is often broken even when a slight error occurs, which is protected by the CRC.

상기와 같은 포맷으로 구성되는 비트할당 정보영역은 MPEG 오디오 LAYER1에서는 4비트로 구성되며 0000∼1111로써 0∼15비트가 서브밴드에 할당되게 한다.The bit allocation information area having the above-described format is composed of 4 bits in the MPEG audio player 1, and 0 to 15 bits are allocated to the subbands as 0000 to 1111.

LAYER2에서는 채널비트율, 표준화 주파수에 따라 MPEG 1172-3 테이블 3-B에 희해 정해지게 된다.In LAYER2, MPEG-1172-3 Table 3-B is determined according to channel bit rate and standardized frequency.

상기와 같이 구성된 MPEG 오디오 정보는 일반적인 MPEG 오디오 수신장치의 구성블럭도인 제2도에서와 같이 MPEG 오디오 및 다중화된 MPEG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디패킷타이저 및 IC 컨트롤을 수행하는 마이컴(1)과, 상기 마이컴(1)의 테이타를 디코딩하여 PCM 출력을 하는 MPEG 오디오 디코더 IC(2)와, 상기 MPEG 오디오 디코더 IC(2)의 PCM(Pulse Amplitude Modulation)출력데이타를 필터링 변환하여 오디오 신호(20Hz∼20 KHz)로 출력하는 디지탈 필터링 변환부(Digital filter and D/A Converter)(3)등으로 구성된 MPEG오디오 수신장치에 의해 디코딩 되게 된다.The MPEG audio inform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microcomputer 1 that receives MPEG audio and multiplexed MPEG bitstreams and performs depacketizer and IC control as shown in FIG. 2, which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MPEG audio receiver. The MPEG audio decoder IC 2 which decodes the data of the microcomputer 1 and outputs the PCM, and the PCM (Pulse Amplitude Modulation) output data of the MPEG audio decoder IC 2 are filtered and converted into an audio signal (20 Hz to It is decoded by an MPEG audio receiver composed of a digital filter and a D / A converter (3) output at 20 KHz).

그러나 상기와 같은 MPEG 오디오 부호/복호에 있어서는 스크램블링(Scrambling)을 비디오 신호에만 하게되어 MPEG의 적용에 따른 오디오 기기(CD-I, DCC, CD-vision, DAB(Digital Audio Broadcast)등)에 대하여 MPEG 관련 오디오 프로그램을 전혀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MPEG audio code / decoding as described above, scrambling is performed only on a video signal, and the MPEG for an audio device (CD-I, DCC, CD-vision, DAB (Digital Audio Broadcast), etc.) according to MPEG is applied. There was a problem of not protecting the related audio program at al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MPEG 오디오 부호/복호화 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MPEG 오디오 정보중에서 비트할당(Bit Allocation)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Scrambling)을 하여 효율적으로 MPEG 오디오 프로그램을 보호할 수 있는 MPEG에 따른 오디오 테이타의 부호/복호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PEG audio code / decoding process, and efficiently scrambling using bit allocation information among MPEG audio information to efficiently perform an MPEG audio progra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encoding / decoding audio data according to MPEG, which can protect the data.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은 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에 있어서, 보호할 오디오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비트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을 하는 단계와, 스크램블의 여부를 나타내는 오버헤드 정보를 비트스트림상에 코딩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된 비트스트림의 오버헤드 정보를 Read하여 스크램블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크램블된 비트할당 정보만을 스크램블 해독기로 입력하여 디스크램블링 하는 단계와, 디스크램블된 비트할당 정보에 의해 오디오 테이타를 리포맷팅하고, MPEG테이블에 의해 디코딩하여 PCM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encoding / decoding method of audio data according to MPE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ncoding / decoding audio data according to MPEG, an audio program to be protected is selected to use bit allocation information of an audio bitstream. Scrambling, coding and transmitting overhea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scrambling is performed on the bitstream, reading overhead information of the received bitstream,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scrambling is performed, and scrambled bits And inputting only the allocation information into the scramble decoder to descramble, reformatting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descrambled bit allocation information, and decoding the MPEG data to output PCM data by decoding the MPEG ta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MPEG에 따른 오디어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encoding / decoding audio data according to MP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3도는 본 발명의 스크램블/디스크램블 과정을 나나낸 플로우챠트이고, 제4도는 MPEG 오디오 스크램블 오버헤더 신호의 구성블럭도이고, 제5도 (a)(b) 는 스크램블 된 비트할당 정보의 구성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의 MPEG 오디오 수신장치의 구성블럭도이다.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scramble / descrambl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MPEG audio scrambled header signal, and FIG.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PEG audio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3도에서와 같이, MPEG의 적용을 받는 오디오 기기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오디오 프래그램을 선택하여 오디오 비트스트림상의 비트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스그램블링을 한다(701).First, as shown in FIG. 3, an audio program to be protected from an audio device subjected to MPEG is selected and scrambled using bit allocation information on the audio bitstream (701).

그리고 마이컴(31)에서 오디오 비트스트림이 스트램블이 되었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스크램블의 여부를 나타내는 오버헤드 정보를 비트스트림상에 코딩하게 된다(702).In operation 702, the microcomputer 31 codes overhea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scramble is used a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udio bitstream is scrambled.

상기와 같이, 스크램블링 되어진 오디오 비트스트림이 수신되어 마이컴(31)으로 입력되면 오디오 비트스트림상의 오버헤드 정보를 Read하여(703) 스크램블이 되어진 오디오 비트스트림인가를 판단하여(704) 마이컴(31)에서 스크램블된 비트할당 정보만을 스크램블 해독기(30)로 입력시키고(705), 상기 스크램블 해독기(30)에서 디스크램블 되어진(706) 비트할당 정보는 다시 마이컴(31)으로 입력되어 마이컴(31)에서 디스크램블된 비트할당 정보를 레퍼런스로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리포맷팅(Reformatting) 하게된다(707).As described above, when the scrambled audio bitstream is received and input to the microcomputer 31, the overhead information on the audio bitstream is read (703) to determine whether the audio bitstream is scrambled (704), and the microcomputer 31 determines Only the scrambled bit al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scramble decoder 30 (705), and the bit allocation information descrambled by the scramble decoder 30 (706) is input again to the microcomputer 31 to descramble the microcomputer 31. The audio data is reformatted with reference to the allocated bit allocation information (707).

상기 리포맷팅 되어진 오디오 테이타는 MPEG 오디오 IC(32)에서 MPEG의 Look Up Table에 의해 디코딩 되어 PCM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708).The reformatted audio data is decoded by the MPEG Look Up Table in the MPEG audio IC 32 to output PCM data (708).

상기 PCM 출력은 디지탈 필터링 변환부(Digital Filter and D/A Comverter)(33)를 거쳐 아나로그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게 된다.The PCM output is output as an analog audio signal through a digital filter and D / A compressor 33.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스크램블 여부를 나타내는 오버헤드(Over Head) 정보는 제4도에서와 같이,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헤더정도 영역의 잉여비트(Private Bit)(제4도의 'a'부분)에 코딩하거나,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부가테이타 필드에 코딩하게 되는데, 스크램블 되지 않는 일반 일반 프로그램을 송출할 경우에는 그대로 방송되고, 오버헤드 정보가 코딩되어 보호할 프로그램을 송출하면 스크램블 해독기(30)를 장치하지 않은 사용자는 스크램블 되어진 비트할당 정보를 레퍼런스로 MPEG 오디오 IC(32)에서 디코딩되어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없게 된다.Overhea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audio bitstream is scrambled may be coded in a private bit (a portion of FIG. 4) of a header degree region of the audio bitstream, as shown in FIG. If a general general program that is not scrambled is transmitted, it is broadcast as it is, and if a user who does not have a scramble decoder 30 is sent when the overhead information is coded and a program to be protected is sent. The scrambled bit allocation information is decoded by the MPEG audio IC 32 as a reference so that the program cannot be listened to.

스크램블 해독기(30)는 4개의 Look up table을 갖는다.The scramble decoder 30 has four look up tables.

여기서 4개의 의미는 MPEG 규격에서 제시한 비트할당 정보테이블이 4개이며 모든 MPEG 오디오 IC가 4개의 비트할당 정보를 서포트(Support) 하기 때문이다(LAYER 2).The four meanings are that there are four bit allocation information tables proposed in the MPEG standard, and all MPEG audio ICs support four bit allocation information (LAYER 2).

4개의 Look up table은 다음과 같다.The four look up tables are as follows.

테이블 1. fs = 48KHz : 비트율 : 56, 64, 80, 96, 112, 128, 160, 192kbpsTable 1.fs = 48KHz: Bit rate: 56, 64, 80, 96, 112, 128, 160, 192kbps

fs = 44.1KHz : 비트율 : 56, 64, 80kbpsfs = 44.1KHz: Bit rate: 56, 64, 80kbps

fs = 32KHz : 비트율 : 56, 64, 80kbpsfs = 32KHz: Bit rate: 56, 64, 80kbps

테이블 2. fs = 44.1KHz : 비트율 : 96, 112, 128, 160, 192kbpsTable 2. fs = 44.1 KHz: Bit rate: 96, 112, 128, 160, 192 kbps

fs = 32KHz : 비트율 : 96, 112, 128, 160, 192kbpsfs = 32KHz: Bit rate: 96, 112, 128, 160, 192kbps

테이블 3. fs = 48KHz : 비트율 : 32, 48kbpsTable 3. fs = 48KHz: Bit rate: 32, 48kbps

fs = 44.1KHz : 비트율 : 32, 48kbpsfs = 44.1KHz: Bit rate: 32, 48kbps

테이블 4. fs = 32KHz : 비트율 : 32, 48kbpsTable 4.fs = 32KHz: Bit rate: 32, 48kbps

제7도 (a)는 MPEG 오디오 LAYER 1의 레퍼런스 테이블이고,(b)는 MPEG 오디오 LAYER2의 레퍼런스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FIG. 7 (a) shows a reference table of MPEG audio LAYER 1, and (b) shows a reference table of MPEG audio LAYER2.

그리고, 제5도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인코더에서 비트할당 정보를 블록(Subband)별로 서플링(Shuffling)하여 스크램블링 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들어, 비트할당 정보를 블럭별로 L#0↔R#27, R#0↔L#6...등으로 서플링한다.FIG. 5 (a)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at the encoder allocates and scrambles bit al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block (Subband). For example, Suppress L # 0↔R # 27, R # 0↔L # 6 ... for each block.

수신측(디코터)에서는 이를 디스크램블 할 정보를 스크램블 해독기(30)에 프로그래밍 하게 된다.The receiving side (decoder) is to program the information to be descrambled to the scrambler 3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비트할당 정보의 부호화시에, MPEG 테이블(Look up table)의 데이터값 자체를 셔플링(Shuffling)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LAYER1에서는 서브밴드에 6비트가 할당될 경우 MPEG 테이블의 '0101'로 부호화 하지 않고 '1110'으로 부호화한다(6비트→'1110' 10비트→'0000' 12비트→'0101'....).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ncoding bit allocation information, the data value of the MPEG table (Look up table) is shuffl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LAYER1, 6 bits are allocated to a subband. Encoding is performed by '1110' without encoding by '0101' of the MPEG table (6 bits → '1110' 10 bits → '0000' 12 bits → '0101' ....).

디코더(수신기)에서는 마이컴(31)에서 오버헤드 정보가 검출(Detecting)되면 스크램블된 비트할당 정보를 스크램블 해독기(30)는 '1110'→'0101', '0000'→'1001', '0101'→'1011'로 변환하여 다시 마이컴(31)으로 보내게 된다.In the decoder (receiver), when overhead information is detected in the microcomputer 31, the scrambled decoder 30 reads the scrambled bit allocation information from '1110' → '0101', '0000' → '1001', and '0101'. → converted to '1011' and sent to the microcomputer 31 again.

그리고 LAYER 2에서는 서브밴드 #0∼#10은 비트할당 정보로 4비트, 서브밴드 #11∼#22는 비트할당 정보로 3비트, #23∼#26은 비트 할당 정보로 2비트를 사용한다.In LAYER 2, subbands # 0 to # 10 use 4 bits as bit allocation information, subbands # 11 to # 22 use 3 bits as bit allocation information, and # 23 to # 26 use 2 bits as bit allocation information.

LAYER 1과 마찬가지로 인코더에서 스크램블시에 MPEG 테이블의 데이타값을 셔플링하여 부호화한다.As in LAYER 1, the encoder shuffles and encodes data values of an MPEG table when scrambled.

예를 들어, 서브밴드 0에서 511→'0101', 1023→'0010' 8191→'1000로 스크램블하고 스크램블 해독기(30)는 '0101'→'1000', '0010'→ '1001', '1000'→'1011'로 디스크램블 하게 된다.For example, scramble scramble from subband 0 to 511 → '0101', 1023 → '0010' 8191 → '1000 and the scramble decoder 30 is' 0101 '→' 1000 ',' 0010 '→' 1001 ',' 1000. It descrambles' → '1011'.

이때, 스크램블 해독기(30)에는 상기의 스크램블된 비트 할당 정보를 디스크램블 할 수 있는 정보가 프로그램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scramble decoder 30 is programmed to descramble the scrambled bit allocation information.

그리고 제5도(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비트 할당 정보를 블록단위(Subband)로 지연(Delay)또는 쉬프트(Shift)시키고 서브밴드의 이동여부, 이동비트수등 정보를 오디오 비트 스트림상의 부가 데이터 필드에 코딩하여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1.2.3.실시예에 따른 스크램블 해독기(30)는 마이컴(31)과 인터페이스 할 수 있도록 장치하며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SMART CARD)형태로 구입하여 기간별, 프로그램별로 스크램블 해독기를 설치하게 하여 사용을 하게 된다.FIG. 5 (b)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bit allocation information is delayed or shifted in block units (subbands), and whether subbands are moved or the number of bits to be moved. The information is encoded and transmitted in an additional data field on the audio bit stream. The scramble decoder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2.3. Is designed to interface with the microcomputer 31, and the user purchases a smart car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and installs the scramble decoder for each period and program. Will b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은 디코딩시의 기준이 되는 비트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 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오디오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The encoding / decoding method of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MPE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of efficiently protecting an audio program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because it is scrambled using bit allocation information as a reference for decoding.

Claims (6)

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복호화에 있어서,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비트할당 정보를 스크램블링하여 전송된 비트스트림의 오버헤드 정보를 Read하여 스크램블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크램블된 비트할당 정보만을 스크램블 해독기로 입력하여 디스크램블링 하는 단계와, 디스크램블된 비트할당 정보에 의해 오디오 테이타를 리포맷팅하고, MPEG 테이블에 의해 디코딩하여 PCM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In decoding the audio data according to MPEG, scrambled bit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bitstream to read overhead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bitstream to determine whether to scramble, and input only scrambled bit allocation information to the scramble decoder. Decode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descrambled bit allocation information, decode the audio data by decoding the MPEG table, and output the PCM data. Decryp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오버헤드 정보는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헤더정보 영역의 잉여비트(Private Bit)에 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verhead information is coded in a surplus bit of a header information area of an audio bitstream. 제1항 에 있어서 오버헤드 정보는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부가테이타 필드에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verhead information is coded in an additional data field of the audio bitstream.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의 스크램블링은 비트할당 정보를 블록단위(Subband)로 셔플링(Shuffling)하는 것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rambling of the audio data is performed by shuffling bit allocation information in block units (Subbands).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의 스크램블링은 비트할당 정보의 부호화시에 MPEG 테이블의 데이터 값을 셔플링(Shuffling)하는 것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rambling of the audio data is performed by shuffling data values of the MPEG table at the time of encoding the bit al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의 스크램블링은 비트할당 정보를 블록단위(Subband)로 지연 또는 쉬프트 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복호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rambling of audio data comprises delaying or shifting bit allocation information in block units (subbands).
KR1019940034716A 1994-12-16 1994-12-16 Eencoding/decoding method for audio data KR01303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716A KR0130360B1 (en) 1994-12-16 1994-12-16 Eencoding/decoding method for audio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716A KR0130360B1 (en) 1994-12-16 1994-12-16 Eencoding/decoding method for audio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69A KR960027869A (en) 1996-07-22
KR0130360B1 true KR0130360B1 (en) 1998-04-14

Family

ID=1940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716A KR0130360B1 (en) 1994-12-16 1994-12-16 Eencoding/decoding method for audio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36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69A (en)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4862B2 (en) Scalable coding method for high quality audio
EP0702458B1 (en)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signal, signal transmitting method, sign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signal
RU2129336C1 (en) Method for transmission and/or storage of digital signals of more than one channel
US7372375B2 (en) Signal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signal recording method and device, and code sequence generating method and device
US6188987B1 (en) Providing auxiliary information with frame-based encoded audio information
KR100904626B1 (en) Trick play for MP3
EP08925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masking in multi-channel audio signals
EP1394772A1 (en) Signaling of window switchings in a MPEG layer 3 audio data stream
JPH05276155A (en) Digital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used therefor
KR0130360B1 (en) Eencoding/decoding method for audio data
GB2321577A (en) Compression decoding and re-encoding
KR20010102334A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ata flow and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 a data flow
US6963860B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and distribution medium
KR1004724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signals
KR0152054B1 (en) Digital audio decoding apparatus for variable bit rate
KR100224582B1 (en) Error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peg-2 audio
KR0178743B1 (en) Sound multiplex system for mpeg-ii audio
KR0157666B1 (en) Audio scramble system, audio scramble apparatus and audio descramble apparatus
KR0181488B1 (en) Mpeg audio decoder and method using bit rate table
EP1398760B1 (en) Signaling of window switchings in a MPEG layer 3 audio data stream
KR980011023A (en) How to process audio data
JP3606388B2 (en) Audio data reproducing method and audio data reproducing apparatus
EP1116348B1 (en) Tandem audio compression
EP0554934B1 (en) Transmission of digital wideband signals
Furht et al. Speech and Audio Encry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