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988B1 -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988B1
KR0129988B1 KR1019930012408A KR930012408A KR0129988B1 KR 0129988 B1 KR0129988 B1 KR 0129988B1 KR 1019930012408 A KR1019930012408 A KR 1019930012408A KR 930012408 A KR930012408 A KR 930012408A KR 0129988 B1 KR0129988 B1 KR 0129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pattern
rom table
coefficient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02206A (en
Inventor
이원우
김양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988B1/en
Publication of KR95000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9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자동 음색 조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된 음악의 패턴을 데이타 메모리에 저장하고, 여러 종류의 음악패턴이 저장된 기준 패턴 롬 테이블의 기준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음악의 패턴이 상기 기준 패턴 롬 테이블에 저장된 음악패턴에 가장 가까운 패턴을 찾아 그 패턴에 할당된 계수를 계수 롬 테이블에서 검출하여 디지탈 이퀄라이저에 인가함으로써 디지탈 이퀄라이저가 자동으로 이퀄라이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되는 음악에 따라 번번히 이퀄라이저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 발명은 모든 오디오 기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tone adjustment, wherein the input music pattern is stored in a data memory, and the input music pattern is compared with a reference pattern in a reference pattern ROM table in which various types of music patterns are stored. The digital equalizer is automatically equalized by finding a pattern closest to the music pattern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detecting a coefficient assigned to the pattern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and applying the digital equalizer to the digital equalize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operate the equalizer once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music. This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audio devices.

Description

자동 음색조정방법 및 장치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제1도는 종래의 음색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tone adjusting device.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 음색 조정방법 및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의 (a)는 제 2도에 구성된 기준 패턴 롬 테이블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제2도에 구성된 계수 롬 테이블에 저장된 음색모드를 나타내는 도면.FIG. 3A is a diagram showing a reference pattern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configured in FIG. 2, and (B) is a diagram showing a tone mode stored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configured in FIG.

제4도는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 특성도.4 is a waveform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n audio signal waveform input through an analog signal input terminal.

제5도는 제2도에 따른 흐름도.5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FIG.

제6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 음색 조정방법 및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utomatic tone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자 20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 analog signal input terminal 20: analog / digital converter

30 : 디지탈 이퀄라이저 40 : 데이타 메모리30: digital equalizer 40: data memory

50 : 마이크로 컴퓨터 60 : 계수 롬 테이블50: microcomputer 60: coefficient ROM table

70 : 기준 패턴 롬 테이블 80 :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70: reference pattern ROM table 80: digital / analog converter

90 : 아날로그 신호 출력단자90: analog signal output terminal

이 발명은 자동 음색 조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원에 따라 일정 음색패턴을 메모리시켜 두고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원 즉 입력되는 오디오 음색패턴과 메모리된 정보의 음색패턴을 비교하여 그 값에 따라 디지탈 이퀄라이저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음색을 조정하도록 한 자동 음색 조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tone adjustment, and more particularly, a predetermined tone pattern is stored in memory according to a music source, and an input audio tone source, that is, an input tone type and a tone pattern of the stored information are compared with the valu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one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tone by controlling a digital equa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인 오디오 음색 조정방법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각각의 오디오 기기에 부착된 이퀄라이저를 조정하여 오디오 신호의 음색을 결정하였다. 따라서, 오디오 음색 조정장치는 음색 조정이 외부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이퀄라이저는 외부에 각 주파수 대역별 조정 단자가 부착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 조정단자를 조작함으로써 청취하고자 하는 음색이 출력되도록 세팅할 수 있다.In general audio tone adjusting method, the user adjusts the equalizer attached to each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input audio signal to determine the tone of the audio signal. Therefore, the audio tone adjusting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tone adjustment is performed externally. That is, the conventional equalizer has an external adjustment terminal for each frequency band, and the user can set the tone to be output by operating the adjustment terminal.

종래의 음색 조정방법 및 장치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conventional tone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1도는 종래의 음색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timbre adjusting device.

제1도를 보면,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자(10)에 연결되어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자(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에 연결되어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를 통하여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이퀄라이징하는 디지탈 이퀄라이저(30)와, 상기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탈 이퀄라이저(30)를 통하여 이퀄라이징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후단의 아날로그 신호 출력단자(90)를 통하여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80)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20 connected to the analog signal input terminal 10 and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through the analog signal input terminal 10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 A digital equalizer 30 connected to the digital equalizer 30 to equalize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20 and a digital signal connected to the digital equalizer 30 and equalized through the digital equalizer 30.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is composed of a digital-to-analog converter 80 that outputs the analog signal through an analog signal output terminal 90 at a later stage.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자(10)를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를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탈 형태로 변환된 신호는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인가되고, 인가된 신호는 외부의 음색 조정단자(도시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각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 조정된 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80)에 인가된다. 인가된 디지탈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80)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아날로그 신호 출력단자(90)를 통하여 출력된다.The analog signal input through the analog signal input terminal 10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20. The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form is applied to the digital equalizer 30, and the applied signal is adjusted for each frequency band by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tone control terminal (not shown), and then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80 Is applied to. The applied digital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through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80 and output through the analog signal output terminal 90.

여기서, 디지탈 이퀄라이저(30)는 주파수 대역을 N개로 분할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별로 조정 가능하도록 조작 스위치가 부착되어 이 조작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각각의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Here, the digital equalizer 30 divides the frequency band into N pieces, and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switch so as to be adjustable for each frequency band so that the tone can be adjusted for each frequency band by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입력되는 음악의 패턴에 따라 사용자가 번번히 디지탈 이퀄라이저를 조작하여 음색을 결정하여야하고, 디지탈 이퀄라이저의 사용방법을 모르는 사용자는 한번 세팅된 상태로 모든 종류의 음악을 들어야하며, 혹은 부정확한 이퀄라이징으로 인하여 음악을 청취하는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the user has to decide the tone by operating the digital equalizer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of the input music, and the user who does not know how to use the digital equalizer has to listen to all kinds of music in the set state once, or Due to incorrect equalization, there is a problem of degrading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음악패턴의 특성을 분석한 후 그 패턴에 따른 특성을 메모리시키고, 입력되는 음악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된 음악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되는 음악패턴에 가장 가까운 메모리 음악패턴을 찾아 이퀄라이저를 자동 세팅하도록 한 자동 음색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music patterns, and then to stor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atterns, and to analyze the patterns of the input musi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tone adjusting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an equalizer by finding a memory music pattern closest to the input music pattern compared to a pattern.

또한,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타 메모리 수단과, 여러 종류의 음악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패턴 롬 테이블과, 여러 종류의 음악 패턴에 적합한 음색 계수가 저장되어 있는 계수 롬 테이블과 입력된 음악패턴과 기준 패턴 롬 테이블에 저장된 기준 음악패턴을 비교하고 상기 계수 롬 테이블에 저장된 음색을 검색하여 적합한 계수를 찾아 상기 계수를 디지탈 이퀄라이저에 인가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여 입력되는 음악패턴에 따라 음색을 자동 조정하도록 한 자동 음색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memory means for storing an input audio signal, a reference pattern ROM table storing various kinds of music patterns, and a coefficient ROM storing tone coefficients suitable for various kinds of music patterns. Music pattern inputted with a table and the input music pattern and the reference music pattern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a microcomputer for searching for the tone stored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to find a suitable coefficient and applying the coefficient to the digital equaliz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tone adjusting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one t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자동 음색 조정방법의 특징은, 여러 가지 종류의 오디오 음색의 기준 패턴을 기준 패턴 롬 테이블에 메모리하고 현재 입력되는 오디오 음색의 패턴을 상기 기준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음색패턴과 상기 입력되는 음색패턴이 가장 가까운 음색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음색모드에 해당하는 계수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계수를 인가받은 디지탈 이퀄라이저는 계수에 따른 주파수 레벨을 유지함으로써, 입력되는 음악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음색이 조정되도록 한 점에 있다.A feature of the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store the reference patterns of the various types of audio tones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and compare the patterns of the currently input audio tones with the reference patterns. By determining a tone mode closest to the reference tone pattern and the input tone pattern and outputting a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tone mode, the digital equalizer to which the coefficient is applied is maintained by maintaining a frequency level according to the coefficient. The ton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usic patter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자동 음색조정장치의 특징은, 입력되는 오디오 음색의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음색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자동 음색 조정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탈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하는 데이타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음색패턴이 저장된 기준 패턴 롬 테이블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색모드가 저장되어 각각의 음색모드에 계수가 할당되어 있는 계수 롬 테이블과;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음색을 조정한 후, 후단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이퀄라이저와; 상기 테이터 메모리로부터 인가된 음색패턴과 상기 기준 패턴 롬 테이블에 저장된 기준 음색패턴을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상기 계수 롬 테이블에 저장된 음색모드에 검색하여 상기 계수 롬 테이블에 저장된 음색모드에 가장 가까운 음색모드의 계수를 상기 디지탈 이퀄라이저로 인가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A feature of the automatic tone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automatic tone adjustment devic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ton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audio tone being input; A data memory for converting an input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n storing the digital signal for storing the digital signal; A reference pattern ROM table storing at least one reference tone pattern; A coefficient ROM table in which at least one timbre mode is stored so that coefficients are assigned to each timbre mode; A digital equalizer for adjusting the timbre of the input audio signal and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to an analog signal through a digital / analog converter of a subsequent stage; Comparing the timbre patterns applied from the data memory with the reference timbre patterns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and searching the timbre modes stored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to find the closest timbres to the timbre modes stored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A microcomputer for applying a modulus of a mode to the digital equalizer is provided.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자동 음색 조정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 음색 조정방법 및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2도에서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tone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ke parts in FIG. 2 use the same symbols.

먼저 제2도를 보면, 상기 제1도의 구성 부분 중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의 출력이 분기되어 디지탈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가 메모리되는 데이타 메모리(40)와, 상기 데이타 메모리(40)에 저장된 음악패턴에 비교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음악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과, 각각의 음악패턴에 따라 계수가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수 롬 테이블(60), 상기 데이타 메모리(40)와 상기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 및 상기 계수 롬 테이블(60)에 동시 연결되어 상기 데이타 메모리(40)에 저장된 음악패턴과 상기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에 저장된 기준패턴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계수 롬 테이블(60)에 저장된 음악패턴을 검색하여 가장 가까운 음악패턴을 찾아 계수 롬 테이블(60)에 저장된 음악패턴에 할당되어 있는 계수를 인가받아 상기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계수를 전달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0)로 구성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data memory 40 in which the output of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20 is branched and the audio signal, which has been digitally converted, is stored in the components of FIG. 1 and stored in the data memory 40. A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storing various kinds of music patterns for comparison to a music pattern, a coefficient ROM table 60 in which coefficients are assigned and stored according to each music pattern, and the data memory 40 And a comparator coupled to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and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to compare the music pattern stored in the data memory 40 with the reference pattern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And search for the music pattern stored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to find the nearest music pattern, and receive a coefficient assigned to the music pattern stored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It consists of a microcomputer 50 for transmitting the coefficients in the equalizer 30.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자(10)를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를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탈 신호는 비ㅣ교하고자 하는 시간만큼 데이타 메모리(40)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타 메모리(40)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50)에 의해 여러 종류의 음악에 따른 기준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의 데이타들과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기준 패턴은 여러 종류의 음악패턴 중 각각의 비트 성분을 검출하여 검출된 비트 성분만을 메모리하는 경우와, 각각의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여 검출된 주파수 성분만을 메모리하는 경우의 두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An analog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analog signal input terminal 10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20.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40 for a time to be compared. The audio signal stored in the data memory 40 is compared by the microcomputer 50 with the data of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in which reference patterns for various kinds of music are stored. Here, two types of reference patterns may be conceived, for example, a case in which only a bit component is detected by detecting each bit component among various kinds of music patterns and a case in which only a frequency component is detected by detecting each frequency component.

마이크로 컴퓨터(50)에서는 입력 데이타와 기준 패턴간에 비교를 한후, 현재 오디오 신호와 가장 유사한 기준 패턴을 찾게되면, 계수 롬 테이블(60)을 검색하여 상기 유사한 기준 패턴에 적합한 음색모드에 대한 계수를 찾아 이 계수를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인가하고, 계수를 인가받은 디지탈 이퀄라이저(30)는 그 계수의 주파수 레벨로 이퀄라이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현재 입력되는 음악패턴을 판별하여 그에 적합한 이퀄라이저 모드로 자동 세팅하게 된다.When the microcomputer 50 compares the input data with the reference pattern and finds a reference pattern that is most similar to the current audio signal, the microcomputer 50 searches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to find a coefficient for a tone mode suitable for the similar reference pattern. This coefficient is applied to the digital equalizer 30, and the digital equalizer 30 to which the coefficient is applied is equalized to the frequency level of the coefficient.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currently input music pattern is discriminated and automatically set to the appropriate equalizer mode.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50)가 데이타 메모리(40)에 저장된 데이타와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에 저장된 데이타를 비교하고, 계수 롬 테이블(60)에 저장된 계수와 비교 검출하는 과정을 제3도와 제 4도 및 제 5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microcomputer 50 compare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memory 40 with the data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and compares and detects the coefficients stored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5.

제3도의 (a)는 제2도에 구성된 기준 패턴 롬 테이블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제2도에 구성된 계수 롬 테이블에 저장된 음색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제4도는 아날로그 신호 입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파형을 나타내는 파형 특성도이고, 제5도는 제2도에 따른 흐름도이다.FIG. 3A shows a reference pattern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of FIG. 2, and (B) shows a tone mode stored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of FIG. 4 is a waveform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n audio signal waveform input through an analog signal input terminal, and FIG. 5 is a flowchart according to FIG.

제3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에 저장된 데이타가 4개의 기준 패턴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기준 패턴은 각각 N개의 데이타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준 패턴과 비교해야 할 데이타 메모리의 개수는 N개가 된다. 즉,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을 N개로 분할하고, 하나의 주파수 대역마다 각각의 정보를 가짐으로써 데이타 메모리의 개수는 N개가 된다. 또한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색모드의 계수는 각각 N개의 계수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a) of FIG. 3, assuming that the data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has four reference patterns, each reference pattern has N data, so the data to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pattern The number of memories is N.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number of data memories is N by dividing the frequency band into N pieces and having each piece of information for each frequency band. As shown in (b) of FIG. 3, the coefficients of the tone color mode each have N coefficients.

제5도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0)가 데이타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는 입력 음악패턴과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음악패턴을 비교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A process of comparing the input music pattern stored in the data memory 40 with the reference music pattern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데이타 메모리(40)로부터 N개의 데이타를 검출한다(S101). 동시에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로부터 첫 번째 기준 패턴(i=0)데이타를 검출한다(S102).First, N pieces of data are detected from the data memory 40 (S101). At the same time, the first reference pattern (i = 0) data is detected from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S102).

상기 두 종류의 데이타를 각각 감산하여 그 합계를 데이타와 기준 패턴간의 에러(Ei)로 규정한다(S103). 이것을 공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Each of the two types of data is subtracted and the sum is defined as an error Ei between the data and the reference pattern (S103). If this is expressed as formula, it is as follows.

상기와 같은 작업을 4번 반복 수행한다(S104). 즉 기준 패턴이 4가지로 가정하였으므로 i를 계속 증가시키면서(S105) 4번 반복 수행한다.The same operation is repeated four times (S104). That is, since four reference patterns are assumed, i is repeatedly performed four times while continuously increasing i (S105).

상기 과정을 수행하면 i=0,1,2,3일때의 E0,E1,E2,E3를 구할 수 있다. 이 값들 중에서 가장 작은 최소값의 Ei를 찾아(S106) 그 i 값을 마이크로컴퓨터(50)에 리턴한다(S107,S110,S113,S116). 상기 i값에 따라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인가되는 계수값이 결정된다. 즉 i=0(클래식 패턴 )일때는 계수 데이타는 각 모드당 Z개이므로 계수 롬 테이블(60)의 0∞(Z-1)번지까지의 내용을 받아(S108) 이들 계수 데이타를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인가한다(S109).By performing the above procedure, E 0 , E 1 , E 2 , and E 3 at i = 0,1,2,3 can be obtained. Among these values, the smallest minimum value Ei is found (S106), and the i value is returned to the microcomputer 50 (S107, S110, S113, S116). The coefficient value applied to the digital equalizer 3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 value. In other words, when i = 0 (classic pattern), since there are Z coefficients for each mode, the contents up to 0∞ (Z-1) of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are received (S108). (S109).

또한 i =1(팝 패턴)일때는, 계수 롬 테이블(60)의 Z∞(2Z-1)번지까지의 내용을 받아(S111) 이들 계수 데이타를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안가한다(S112).When i = 1 (pop pattern), the contents up to Z∞ (2Z-1) of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are received (S111), and these coefficient data are not sent to the digital equalizer 30 (S112).

또한 i =2(디스코 패턴)일때는, 계수 롬 테이블(60)의 2Z∞(3Z-1)번지까지의 내용을 받아(S114) 이들 계수 데이타를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인가한다(S115).When i = 2 (disco pattern), the contents up to the address 2Z∞ (3Z-1) of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are received (S114) and the coefficient data is applied to the digital equalizer 30 (S115).

또한 i =3(헤비메탈 패턴)일때는, 계수 롬 테이블(60)의 3Z∞(4Z-1)번지까지의 내용을 받아(S117) 이들 계수 데이타를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인가한다(S118).When i = 3 (heavy metal pattern), the contents up to the address 3Z∞ (4Z-1) of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are received (S117) and the coefficient data is applied to the digital equalizer 30 (S118).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클래식 모드, 팝 모드, 디스코 모드, 헤비메탈 모드의 이퀄라이저 패턴을 그 음악에 맞게 재생할 수 있다.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equalizer patterns of the classic mode, the pop mode, the disco mode, and the heavy metal mode can b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music.

제6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 음색 조정방법 및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 6도에서 제2도와 동일한 부분은 구성 및 동작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소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utomatic tone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the same parts as those in FIG. 2 ar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마이크로 컴퓨터(50)에서 계수 롬 테이블(60)에 저장된 계수를 검출하여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계수를 인가하는 방식을 변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0)가 계수 롬 테이블(60)에 저장된 계수를 검출하면 계수 롬 테이블(60)에서 직접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계수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FIG. 6 converts a method in which the microcomputer 50 shown in FIG. 2 detects the coefficients stored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and applies coefficients to the digital equalizer 30, so that the microcomputer 50 counts the coefficients. When the coefficients stored in the table 60 are detected, the coefficients are configured to directly apply the coefficients to the digital equalizer 30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즉,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를 통하여 변환된 디지탈 신호는 비교하고자 하는 시간만큼 데이타 메모리(40)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타 메모리(40)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50)에 의해 여러 종류의 음악에 따른 기준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의 데이터들과 비교하게 된다.That is,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20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40 for the time to be compared. The audio signal stored in the data memory 40 is compared by the microcomputer 50 with the data of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in which reference pattern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music are stored.

마이크로 컴퓨터(50)에서는 입력 테이터와 기준 패턴간에 비교를 한후, 현재 오디오 신호와 가장 유사한 기준 패턴을 찾게되면, 계수 롬 테이블(60)을 검색하여 상기 유사한 기준 패턴에 적합한 음색모드에 대한 계수를 찾는다. 상기 유사한 기준 패턴에 적합한 음색모드에 대한 계수가 검출되면 계수 롬 테이블(60)은 이 계수를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인가한다.When the microcomputer 50 compares the input data with the reference pattern and finds the reference pattern most similar to the current audio signal, the microcomputer 50 searches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to find coefficients for the tone mode suitable for the similar reference pattern. .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applies this coefficient to the digital equalizer 30 when a coefficient for the timbre mode suitable for the similar reference pattern is detect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2도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ame result as in FIG. 2 can be obtained.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자동 음색 조정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음악패턴을 저장해 두고 입력되는 음악패턴을 비교하여 자동으로 이퀄라이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여러종류의 음악패턴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번번히 이퀄라이저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이퀄라이저의 사용방법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음색을 찾아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tone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equalize by storing various types of music patterns and comparing the input music patterns, so that even when various types of music patterns are inputted.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rate the equalizer all the time, and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how to use the equaliz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listen to the music to find the correct tone.

Claims (7)

현재 입력되고 있는 오디오 음색의 패턴과 여러가지 오디오 음색의 기준 패턴을 비교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에서 비교한 음색패턴에 가장 유사한 값을 주파수 레벨 유지 계수에서 추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음색 조정 방법.A first step of comparing a pattern of an audio tone currently being input with a reference pattern of various audio tones; And extracting, from the frequency level holding coefficient, a value most similar to the tone pattern compared in the first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색 조정 방법은 현재 입력되고 있는 오디오 음색 패턴의 디지탈 값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 메모리(40)와, 여러 가지 오디오 음색의 기준 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과, 여러 가지 음색 모드에 따른 주파수 레벨 유지 계수가 저장되어 있는 계수 롬 테이블(60)과 음색을 조정하는 디지탈 이퀄라이저(30)를 구비하여 상기 데이타 메모리(40) 수단으로부터 N개의 테이터를 검출하고, 동시에 상기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에 저장된 M개의 기준 패턴 중 첫 번째 데이타를 검출하여 감산한 값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는 제1단계(S101∼S103); 상기 제1단계의 에러 검출 과정을 M번째까지 반복 수행하여 최소 에러값을 검색하는 제2단계(S104∼S106); 상기 제2단계에서 검색된 최소의 에러값에 해당하는 음악패턴의 계수를 상기 계수 롬 테이블(60)로부터 검출하는 제3단계(S108.S111,S114,S117); 상기 제3단계의 계수 롬 테이블(60)에서 검출한 음악패턴의 계수를 상기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인가하여 음색이 자동으로 세팅되도록하는 제4단계(S109,S112,S115,S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색 조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ne adjusting method comprises: a data memory (40) storing digital values of audio tone patterns currently input, and a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storing reference patterns of various audio tones. And a coefficient rom table 60 in which frequency level holding coefficients according to various tone modes are stored, and a digital equalizer 30 for adjusting the tone, and detecting N data from the data memory 40 means. A first step (S101 to S103) of detecting an error for a value obtained by detecting and subtracting the first data of the M reference patterns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at the same time; A second step (S104 to S106) of searching for the minimum error value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error detection process of the first step up to the Mth; A third step (S108.S111, S114, S117) of detecting the coefficient of the music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error value retrieved in the second step from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A fourth step (S109, S112, S115, S118) of applying the coefficient of the music pattern detected in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of the third step to the digital equalizer 30 so that the tone is automatically set.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색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음색이 조정되도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디지탈 값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 메모리(4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음악패턴이 저장된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색 모드에 따른 주파수 레벨 유지 계수가 저장되어 있는 계수 롬 테이블(60); 상기 데이타 메모리(4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디지탈 값과 상기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음색 패턴들을 비교한 후 그 비교값과 가장 유사한 계수를 상기 계수 롬 테이블(60)로부터 검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0);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50)가 상기 계수 롬 테이블(60)로부터 검색한 계수에 따라 음색을 조정하는 디지탈 이퀄라이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색 조정 장치.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tone according to a tone pattern of an input audio signal, comprising: a data memory (40) for storing a digital value of the input audio signal; A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storing at least one reference music pattern; A coefficient ROM table 60 storing frequency level holding coefficients according to at least one tone mode; After comparing the digital value of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ata memory 40 with the reference tone patterns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the coefficient most similar to the comparison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A microcomputer 50 for searching; And a digital equalizer (30) for adjusting the tone according to the coefficient retrieved from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by the microcomputer (5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은, 여러 종류 음악의 비트 성분을 검출하여 그 비트 성분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색 조정 장치.4. The automatic timbre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detects beat components of various kinds of music and stores the beat componen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은, 여러 종류 음악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그 주파수 성분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색 조정 장치.4. The automatic ton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analyzes frequency components of various kinds of music and stores the frequency componen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이퀄라이저(30)에 인가되는 주파수 레벨 유지 계수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50)의 소정 명령에 의해 상기 계수 롬 테이블(60)에서 디지탈 이퀄라이저(30)로 입력되어 이퀄라이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색 조정 장치.The frequency level holding coefficient applied to the digital equalizer 30 is inputted from the coefficient ROM table 60 to the digital equalizer 30 by the predetermined command of the microcomputer 50 to be equalized. Features automatic tone adjustmen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50)는, 상기 데이타 메모리(40)수단으로부터 인가된 음색 패턴과 상기 기준 패턴 롬 테이블(70)에 저장된 기준 음색 패턴의 감산값을 구하는 감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색 조정 장치.4. The microcomputer (50)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icrocomputer (50) includes subtraction means for obtaining a subtraction value of the tone pattern applied from the data memory 40 means and the reference tone pattern stored in the reference pattern ROM table 70. Automatic tone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30012408A 1993-06-30 1993-06-30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KR0129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408A KR0129988B1 (en) 1993-06-30 1993-06-30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408A KR0129988B1 (en) 1993-06-30 1993-06-30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06A KR950002206A (en) 1995-01-04
KR0129988B1 true KR0129988B1 (en) 1998-10-01

Family

ID=1935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408A KR0129988B1 (en) 1993-06-30 1993-06-30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9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578B1 (en) * 1997-06-11 2000-09-15 구자홍 Automatic ton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06A (en)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52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feedback in a circuit
US4857927A (en) Dither circuit having dither level changing function
US6252969B1 (en) Howling detection and prevention circuit and a loudspeaker system employing the same
KR0129989B1 (en)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1085488B1 (en)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10022812A1 (en) Adaptive audio equalizer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filter coefficient
KR100266578B1 (en) Automatic ton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0129988B1 (en)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EP0614170B1 (en) Signal control device
US5245556A (en) Adaptive equalizer method and apparatus
US5090291A (en) Music signal time reverse effect apparatus
US82439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feedback frequency in a signal
US5864793A (en) Persistence and dynamic threshold based intermittent signal detector
KR0142262B1 (en) A circuit for automatically compressing high luminance
US5886278A (en) Apparatus for reducing change in timbre at each point where tone ranges are switched
US20020129321A1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analog signals
US5400410A (en) Signal separator
KR19990025250A (en) Automatic equalizer unit
JP4190840B2 (en) Optical receiver
RU2241305C1 (en) Psychoacoustic processor (no-feedback adaptive equalizer)
US20220189444A1 (en) Note stabilization and transition boost in automatic pitch correction system
JP3798636B2 (en) Adaptive notch filter
KR940007532B1 (en) Device and method for noise sound insulation
JP3649579B2 (en) High frequency output level correction circuit
RU2239278C1 (en) Psychoacoustic processor (adaptive equa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