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702Y1 - 자동차의 키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702Y1
KR0129702Y1 KR2019950035227U KR19950035227U KR0129702Y1 KR 0129702 Y1 KR0129702 Y1 KR 0129702Y1 KR 2019950035227 U KR2019950035227 U KR 2019950035227U KR 19950035227 U KR19950035227 U KR 19950035227U KR 0129702 Y1 KR0129702 Y1 KR 0129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ody
key
uneven portion
passage
lower e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5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825U (ko
Inventor
강태만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5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702Y1/ko
Publication of KR970023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9/00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본체의 중간에 통로를 형성한 다음 통로의 상하단으로 텀블러를 정열시키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요철부가 키본체의 상하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요철부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또한 키의 무단 복사가 어렵도록한 자동차의 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본체에 형성된 나사산 형태의 요철부에 의해 로크실린더 내부에 있는 다수개의 텀블러가 정열됨에 있어서, 상기 키본체의 전후면에 한쌍의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각 통로의 상하단에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각 텀블러에 형성된 구멍의 전후면에 상기 각 통로가 끼워져 해당 요철부가 접하는 돌기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키 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차 키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자동차 키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본체 11 : 통로
12 : 요철부 20 : 로크실린더
21 : 텀블러 22 : 구멍
23 : 돌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본체의 전후면에 통로를 형성한 다음 통로의 상하단으로 로크실린더 내부의 텀블러를 정열시키는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서, 요철부가 키본체의 상하단으로 노출되지 않게되어 마모가 감소되고 또한 키본체의 무단 복사가 어렵도록한 자동차의 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키는 점화스위치, 도어 및 트렁크의 로크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 키 장치의 사시도로서, 키본체(1)는 로크실린더(3) 내부에 내장된 다수개의 텀블러(4)와 대응되도록 나사산 형태의 요철부(2)를 갖는다. 이때 요철부(2)는 판상으로 된 것으로서, 요철부(2)와 대응되는 각 텀블러(4)에는 구멍(5)이 형성된다. 즉 요철부(2)가 로크실린더(3) 내부에 끼워지면 각 텀블러(4)가 위치 정열되어 키본체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요철부(2)는 키본체(1)의 상하단에 형성된 것이므로 나무를 자를 때 사용하는 톱 처럼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키본체(1)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요철부(2)가 마모되어 텀블러(4)의 정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요철부(2)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임의로 똑같은 키의 복사가 가능하여 키본체(1)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키본체의 전후면에 통로를 형성한 다음 통로의 상하단으로 텀블러를 정열시키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요철부가 키본체의 상하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요철부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또한 키의 무단 복사가 어렵도록한 자동차의 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키본체에 형성된 나사산 형태의 요철부에 의해 로크실린더 내부에 있는 다수개의 텀블러가 정열됨에 있어서, 상기 키본체의 전후면에 한쌍의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각 통로의 상하단에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각 텀블러에 형성된 구멍의 전후면에 상기 각 통로가 끼워져 해당 요철부가 접하는 돌기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 자동차 키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키본체(10)는 후방에 손잡이(13)가 결합되고 또한 키본체(10)의 전후면 상하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통로(11)가 형성되고 각 통로(11)의 상하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부(12)가 형성된다. 한편 로크실린더(20)의 각 텀블러(21)에는 중앙으로 키본체(10)가 끼워지는 구멍(22)이 형성되고 구멍(22)의 전후면에는 통로(11)에 형성된 요철부(12)와 대응되는 돌기(23)가 형성된다.
또한 각 통로(11)는 키본체(10)의 전후면에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고 구멍(22)에 형성된 돌기(23) 역시 각 통로(11)와 대응토록 엇갈리게 형성된다. 이처럼 엇갈리게 통로(11)와 돌기(23)를 형성하면 키본체(10)를 로크실린더(20) 전방의 키홀에 방향성 없이 꼽을 수 있어 편리하다. 즉 키본체(10)가 로크실린더(20) 내부에 꼽히면 각 텀블러(21)가 해당 요철부(12)에 의해 정열되어 키본체(1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로크실린더(20)의 괘,해정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키본체(10)의 전후면에 서로 엇갈리도록 통로(11)가 형성되고 또한 각 통로(11)의 상하단에 요철부(12)가 형성되므로 이들 요철부(12)가 키본체(10)의 상하단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요철부(12)가 키본체(10)의 상하단쪽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마모가 감소된다. 따라서 오래 사용하여도 텀블러(21)의 정열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로크실린더(20)의 괘,해정이 정확해진다. 또한 각 텀블러(21)에 형성된 구멍(22)에 통로(11)에 끼워져 해당 요철부(12)에 접하는 돌기(23)가 형성되므로 해당 키본체(10) 이외의 물건으로 각 텀블러(21)를 정열시키기 어렵게 된다.
즉 차량 도난의 목적으로 해당 키본체 이외의 키를 이용하여 로크실린더(20) 내부의 각 텀블러(21)를 정열시키고자 할 때 각 텀블러(21)에 형성된 구멍(22)에 별도의 돌기(23) 들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이들의 정열이 더욱 어렵게 되어 도난의 우려가 감소된다. 한편 요철부(12)가 키본체(10)의 전후면에 형성되므로 키본체(10)의 상하단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키본체(10)를 무단으로 복제하기가 어려우므로 차량도난의 우려가 더욱 감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키본체의 전후면에 형성된 통로에 요철부가 형성되므로 요철부가 키본체의 상하단으로 노출되지 않게되어 마모가 감소되고 또한 통로에 형성된 요철부는 그 복사가 어렵기 때문에 차량도난의 우려가 감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키본체에 형성된 나사산 형태의 요철부에 의해 로크실린더 내부에 있는 다수개의 텀블러가 정열되는 자동차의 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본체(10)의 전후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이루는 한쌍의 통로(11)가 형성되고 상기 각 통로(11)의 상하단에 상기 요철부(12)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각 텀블러(21)에 형성된 구멍(22)의 전후면에 상기 각 통로(11)가 끼워져 해당 요철부(12)가 접하는 돌기(2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키 장치.
KR2019950035227U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키 장치 KR0129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227U KR0129702Y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227U KR0129702Y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825U KR970023825U (ko) 1997-06-20
KR0129702Y1 true KR0129702Y1 (ko) 1999-03-20

Family

ID=1943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5227U KR0129702Y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7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401B1 (ko) * 2004-07-14 2006-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난 방지용 도어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401B1 (ko) * 2004-07-14 2006-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난 방지용 도어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825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6164A1 (en) Safety key and locking cylinder, and locking system with such safety keys and locking cylinders
IL111877A0 (en) Hierarchical lock and key system
CA2219019A1 (en) Improved cylinder lock and key assembly and hierarchical system therefor
SE0200182D0 (sv) High security lock and key blade combination
JPH0135992B2 (ko)
US9038427B2 (en) Lock cylinder
CA2122051A1 (en) Improved Pin Tumblers and Corresponding Keys for Cylinder Locks
ATE70107T1 (de) Zylinderschloss mit stiftzuhaltungen.
JPH0645013Y2 (ja) シリンダ錠
KR0129702Y1 (ko) 자동차의 키 장치
GB1560506A (en) Cylinder lock arrangement
US1685022A (en) Pin-tumbler lock
US1163470A (en) Cylinder-lock.
US5052205A (en) Lock cylinder having a slide plate with one or more rows of pin tumblers and key therefor
US3448599A (en) Key-operated lock mounting and removing arrangement
KR20160139685A (ko) 차량의 시동용 마스터키
DE3465756D1 (en) Locking cylinder
JPH07207997A (ja) 南京錠
US3797292A (en) Keys
KR970002194Y1 (ko) 도어록에 있어서 렛지의 이중괘정구조
JPH0220376Y2 (ko)
JPS5838120Y2 (ja) 鍵と錠の組合せ
ES269756U (es) Cilindro de cierre, especialmente para cerraduras de direccion destinadas a vehiculos automoviles.
JPH02304182A (ja) 安全性の高いシリンダー錠
JP3729752B2 (ja) シリンダー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