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72B1 -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udio output machinery - Google Patents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udio output machinery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72B1
KR0129572B1 KR1019940008783A KR19940008783A KR0129572B1 KR 0129572 B1 KR0129572 B1 KR 0129572B1 KR 1019940008783 A KR1019940008783 A KR 1019940008783A KR 19940008783 A KR19940008783 A KR 19940008783A KR 0129572 B1 KR0129572 B1 KR 012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signal
volume control
unit
voltag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30449A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0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72B1/en
Publication of KR95003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7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H03G7/004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using continuously variable impedanc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7Control dependent on the supply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출력기기의 조절음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음량인 최대음량으로 조절되는 상태가 검출되면 그 음량을 최소음량으로 자동조절하므로서 음성볼륨이 순환되도록 동작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어부(6)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제어신호를 PWM변조부(7)와 적분부(8)를 매개로 입력받아 오디오신호처리부(1)로부터의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부(2)와, 상기 음량조절된 오디오신호를 음성출력하기 위한 스피커(3)를 구비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분부(8)로부터의 음량제어신호의 전압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을 비교하는 비교부(4)와, 상기 비교부(4)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에 상응하는 음량제어신호의 전압레벨에 대한 비교결과신호를 검출한 결과에 따른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6)에 출력하는 검출부(5)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6)는 상기 검출부(5)로부터의 검출신호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lume control apparatus for an audio output device that operates to circulate a voice volume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volume to a minimum volume whe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volume of the audio output device is adjusted to the maximum volume which is a preset reference volume is detected. do.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volume control signal output through the controller 6 via the PWM modulator 7 and the integrator 8 as a medium to adjust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1. In the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n audio output apparatus having a control unit (2) and a speaker (3) for outputting the volume-controlled audio signal, the voltage level of the volume control signal from the integrating unit (8) and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a comparison result signal with respect to the voltage level of the comparison section 4 comparing the preset reference voltage level and the volum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reference voltage level from the comparison section 4 And a detection unit 5 for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6, wherein the control unit 6 i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unit 5.

가 인가되면 상기 음량조절부(2)에 음량을 최소로 조절하기 위한 음량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is applied to the volume control unit 2,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volume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volume to a minimum.

Description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Volume control device of audio output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block diagram of a volume control apparatus for an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block diagram of a volume control apparatus for an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의 비교부와 기준전압설정부의 상세한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parison unit and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of FIG.

제4도는 종래에 따른 음량조절장치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volume control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음량조절부 3 : 스피커2: volume control unit 3: speaker

4 : 비교부 5 : 검출부4 comparison unit 5 detection unit

6 : 제어부 7 : PWM변조부6: control unit 7: PWM modulator

8 : 적분부 10 : 기준전압설정부8: Integrator 10: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본 발명은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성출력동작시 조절된 음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음량으로 조절되면 그 음량을 최소음량으로 자동조절하도록 하므로서 음성볼륨이 순환되도록 동작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lume control device of an audio output device. More particularly, when the volume of the audio output device is controlled to a preset reference volume, the volume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minimum volu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lume control device for an audio output device that operates to circulate.

현재 사용되는 예컨대 텔레비젼이나 오디오시스템 또는 카세트레코드플레이어 등과 같은 오디오출력기기의 음성출력시에는 가변저항을 사용하는 볼륨이나 버튼의 조작을 통해 그 가변저항치를 변동시켜서 음량조절하고 있다.In the case of audio output of an audio output device such as a television, an audio system, or a cassette record player, which is currently used, the volume is controlled by varying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by operating a volume or a button using a variable resistor.

종래의 음량조절장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리모트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에 설치된 볼륨업/다운조정버튼이나 기기의 본체에 설치된 볼륨업/다운조정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음량제어신호를 입력받아서 그 저항치가 가변되도록 동작하는 가변저항(VR1)과, 2개의 저항(R1,R2) 및, 상기 가변저항(VR1)에 의해 음량조절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a)로 이루어진 음량조절부(2), 상기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음성출력하는 스피커(3)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nventional volume control apparatus outputs a volume output from the controller by operating a volume up / down control button installed in a remote controller or a volume up / down control button installed in a main body of the device. A variable resistor VR1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operates so that its resistance is variable, two resistors R1 and R2, and an amplifier 2a that amplifies the audio signal controlled by the variable resistor VR1. Volume control unit 2, the speaker 3 is configured to output the amplified audio signal.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음량조절장치에 있어서는, 전원전압(VCC)이 저항(R1)과 가변저항(VR1)에 의해 분압되게 되는데, 상기 가변저항(VR1)의 분압치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오디오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증폭기(2a)에 의해 전력증폭된 다음에 스피커(3)를 통해 음성출력되게 된다.In the volume contro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is divided by the resistor R1 and the variable resistor VR1, and is divided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not shown by the divided voltag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VR1. The input audio signal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2a and then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3.

한편, 이러한 음량조절장치를 채용하고 있는 오디오출력기기에 있어서는 이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어패널 또는 리모트콘트롤러에 구비된 소정의 회전식 음량조절기 또는 음량업/다운조절버튼을 사용하여 버튼조작에 의한 음량의 업조작 또는 다운조작하거나, 회전식 음량조절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조작하므로서 그 음량을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audio output device employing such a volume control device, a button is operated using a predetermined rotary volume controller or a volume up / down control button provided in a control panel or a remote controller to adjust the volume of the audio output device. The volume is controlled by up or down operation of the volume or by rotating the rotary volume controller to the left or right.

그러나, 예컨대 텔레비젼과 같은 오디오 출력기기의 제어패널이나 리모트컨트롤러에 설치된 소정의 음량업/다운조절버튼 또는 회전식 음량조절기를 사용자가 업조작하거나 좌측으로 회전조작하여 음량을 크게 설정하고 난 다음에 예컨대 전화통화 등의 다른 용무를 보기 위해 음량을 다시 최소음량으로 재조절하고자 하면, 음량다운 조절버튼을 찾아내어 음량다운조작을 지속적으로 행한다던지 회전식 음량조절기를 우측으로 역회전조작해서 음량을 순차적으로 하강조절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다.However, a user may operate a predetermined volume up / down control button or a rotary volume control installed in a control panel or a remote controller of an audio output device such as a television, for example, to set the volume to a large volume by operating the device up or rotating to the left. If you want to readjust the volume back to the minimum level to see other things, such as a call, find the volume down button and continue to adjust the volume down or rotate the rotary volume up and down to the righ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doing so.

본 발명은 상기의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오디오출력기기의 조절음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음량(최대음량)으로 조절되는 상태가 검출되면 순차적인 음량의 감소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최소음량으로 자동조절시키므로서, 음량조절볼륨이 순환되도록 동작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inconveniences, and whe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volume of the audio output device is adjusted to a preset reference volume (maximum volume) is detected,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adjusts to the minimum volume immediately without sequential decrease of the volume. By doing 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lume control device for an audio output device that operates to circulate the volume control volu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제어신호를 PWM변조부와 적분부를 매개로 입력받아 오디오신호처리부로부터의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부와, 상기 음량조절된 오디오신호를 음성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분부로부터의 음량제어신호의 전압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에 상응하는 음량제어신호를 전압레벨에 대한 비교결과신호를 검출한 결과에 따른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음량조절부에 음량을 최소로 조절하기 위한 음량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volum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receives the volume control signal output through the control unit via the PWM modulator and the integral unit And a loudspeaker for outputting sound of the volume-controlled audio signal, wherein the volume control signal corresponds to a voltage level of the volume control signal from the integrating unit and a preset reference voltage level. And a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with respect to the voltage level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minimizes the volume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unit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lume control apparatus for an audio output apparatus for outputting a volum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ignal.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컨대 텔레비젼이나 오디오시스템 또는 오디오카세트플레이어 등과 같은 오디오출력기기의 음성출력동작시에 조절된 음량이 기준음량치에 대응하는 최대 음량상태로 조절되면 그 음량을 최소음량으로 자동조절하도록 하여 음량조절볼륨이 순환되도록 동작함에 따라, 보다 편리한 음량조절동작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f the volume of the audio output device, such as a television, an audio system, or an audio cassette player, is adjusted to a maximum volum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olume, the volume is adjusted to a minimum volume. As the volume control volume is circulated so that the automatic adjustment is mad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ore convenient volume control opera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참조부호 1은 소정의 오디오신호를 검파 증폭시키기 위한 신호처리동작을 수행하는 오디오신호처리부이고, 2는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된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부이며, 3은 상기 음량조절부(2)에 의해 음량조절된 오디오신호를 음성출력하는 스피커이다.That i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n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n audio signal for performing a signal processing operation for detecting and amplifying a predetermined audio signal. 2 is 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processed audio signal, and 3 is a speaker for audio outputting the audio signal controlled by the volume control unit 2.

그리고, 참조부호 4는 음량조절부(2)에 의해 후술하는 적분부(8)로부터의 음량제어신호의 전압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을 비교한 결과에 따른 하이/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이다.Reference numeral 4 is a comparison in which the volume control unit 2 outputs a high / low level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voltage level of the volume control signal from the integrating unit 8 described later with a preset reference voltage level. It is wealth.

여기서, 상기 비교부(4)에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은 상기 음량조절부(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최대음량에 따른 전압레벨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ference voltage level set in advance in the comparison unit 4 is preferably set equal to the voltage level according to the maximum volume that can be adjusted by the volume control unit (2).

또한, 참조부호 5는 상기 비교부(4)의 비교결과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레벨이 하이레벨상태이면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이고, 6은 상기 검출신호를 인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음량조절부(2)의 조절음량을 최소음량으로 조절하기 위한 음량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이며, 7은 상기 음량제어신호의 진폭에 따라 펄스의 폭을 변조하여 변조신호를 발생하는 PWM변조부이고, 8은 펄스변조된 상기 음량제어신호의 전압파형을 시간 적분하는 적분부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5 is a detector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when the signal level output by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4 is a high level, and 6 is the volume control unit based on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detection signal. (2) i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volume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adjustment volume to the minimum volume, 7 is a PWM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width of the pulse in accordance with the amplitude of the volume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modulation signal, 8 is And an integral part for time integrating the voltage waveform of the pulse modulated volume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음량조절부(2)에서는 상기 적분부(8)에 의해 적분되어 출력되는 신호전압을 입력한 결과에 의해 최소음량으로 곧바로 조절됨과 더불어 예컨대 음량조절버튼 또는 회전식 음량조절기 등과 같은 음량조절볼륨의 순환조작에 의해 음량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volume control unit 2 is directly adjusted to the minimum volume by the result of inputting the signal voltage integrated and output by the integrating unit 8 and, for example, a volume control volume such as a volume control button or a rotary volume controller.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volume by the circulation operation of.

또한, 상기 검출부(5)는 상기 비교부(4)의 비교동작에 의해 로우테벨신호가 검출되면 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5 preferably does not output the detection signal when the low level signal is detected by the comparison operation of the comparison unit 4.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제1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오디오신호처리부(1)로부터 신호처리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음량조절부(2)에 의해 음량조절되고서 스피커(3)를 통해 음성출력되는 동시에, 비교부(4)가 상기 적분부(8)를 통한 음량제어신호의 전압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을 비교동작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시되지 않은 리모트컨트롤러 또는 제어패널에 구비된 소정의 음량조절버튼 또는 회전식 음량조절기를 조작하여 상기 음량조절부(2)의 조절음량을 상기 비교부(4)에 미리 설정된 예컨대 5V의 기준전압레벨과 대응되는 예컨대 5V의 전압레벨을 갖는 최대 음량으로 조절하게 되면, 상기 비교부(4)는 전압레벨의 비교동작의 결과로 하이레벨신호를 상기 검출부(5)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검출부(5)에서는 상기 하이레벨신호를 검출한 결과로 검출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6)는 상기 검출신호를 인식하고서 상기 음량조절부(2)의 음량을 최소로 조절하기 위한 음량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First, an audio signal which is processed and output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 is controlled by the volume adjusting unit 2 and outputs sound through the speaker 3, while the comparator 4 performs the integrating unit ( 8)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volume control signal and the preset reference voltage level are compared and operated, the user operates a predetermined volume control button or rotary volume controller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or control panel (not shown). When the control volume of the volume control unit 2 is adjusted to a maximum volume having a voltage level of, for example, 5V corresponding to a reference voltage level of 5V, which is preset in the comparison unit 4, the comparison unit 4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peration of the voltage levels, a high level signal is output to the detection unit 5, and the detection unit 5 outputs a detection signal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high level signal. The controller 6 recognizes the detection signal and outputs a volume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volume controller 2 to the minimum.

그 다음에, 상기 PWM변조부(7)에서는 상기 음량제어신호의 신호펄스의 폭을 변조하게 되고 상기 적분부(8)가 변조된 상기 음량제어신호의 전압파형을 시간적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음량조절부(2)는 상기 적분된 음량제어신호를 입력하므로서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로부터의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최소음량으로 조절하게 되고, 상기 스피커(3)는 최소음량으로 조절된 오디오신호를 음성출력하게 된다.Then, the PWM modulator 7 modulates the width of the signal pulse of the volume control signal, and the integrating unit 8 time-integrates the modulated voltage waveform of the volume control signal. The adjusting unit 2 adjusts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 to the minimum volume by inputting the integrated volume control signal, and the speaker 3 adjusts the audio signal adjusted to the minimum volume. Voice output.

하지만, 사용자가 도시되지 않은 음량조절버튼 또는 회전식 음량조절기를 조작하여 상기 음량조절부(2)에 예컨대 5V 미만의 전압레벨을 갖는 음량으로 조절하게 되면, 상기 비교부(4)는 전압레벨의 비교동작의 결과로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검출부(5)가 상기 로우레벨신호의 검출에 의해 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6)에서는 음량제어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Howev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volume control button or the rotary volume controller (not shown) to adjust the volume to the volume having a voltage level of less than 5 V, for example, the comparison unit 4 compares the voltage levels.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the low level signal is output and the detection unit 5 does not output the detection signal by the detection of the low level signal, so that the volume control signal is not generated in the control unit 6.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한 특정실시양태에서는 비교부(4)에서 설정된 기준전압레벨로서 최대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적분부(8)에 출력되는 신호레벨과 동일하게 설정하였지만, 상기 비교부(4)에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은 오디오출력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정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재설정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비교부(4)의 기준전압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전압설정부(10)가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pecific embodiment, It can implement by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correction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 the reference voltage level set in the comparing section 4 is set equal to the signal level output to the integrating section 8 to adjust the maximum volume, but the reference voltage set in the comparing section 4 is set. The level may be arbitrarily reset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the user using the audio output device. In this case,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section 10 for setting the reference voltage level of the comparison section 4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S. 2 and 3.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부(4)는 상기 적분부(8)의 출력레벨과 상기 기준전압설정부(10)의 설정레벨을 각각 입력받는 비교기로 구성되고, 기준전압설정부(10)는 전원전압(Vcc)과 접지사이에 직렬접속된 가변저항(VR2)과 저항(R3)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가변저항(VR2)과 저항(R3)의 적속점에서 형성되는 신호레벨이 기준신호레벨로서 상기 비교부(4)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가변저항(VR2)을 최대로 설정한 상태에서의 기준신호레벨이 상기 적분부(8)에서 출력되는 최대신호레벨과 동일하게 되도록 되어 있는 상기 가변저항(VR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mparator 4 is composed of a comparator which receives the output level of the integrating unit 8 and the setting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10, respectively, and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The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signal level formed at the integral point of the variable resistor VR2 and the resistor R3 while the variable resistor VR2 and the resistor R3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the ground. It is input to the comparison section 4 as a signal level. Her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variable resistor VR2 in which the reference signal level in the state where the variable resistor VR2 is set to the maximum is equal to the maximum signal level output from the integrating section 8.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텔레비전이나 오디오시스템 또는 오디오카시트플레이어 등과 같은 오디오출력기기의 음성출력시 사용자가 음량을 최대음량으로 조절하게 되면서 그 음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음량과 대응하게 되면, 그 상태를 검출하여 오디오신호가 최소음량으로 조절되도록 제어동작하므로서 음성볼륨이 순환동작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adjusts the volume to the maximum volume during the audio output of the audio output device, such as a television, an audio system or an audio car seat player, the volume corresponds to a preset reference volume, By detecting the state and controlling the audio signal to be adjusted to the minimum volume, thereby enabling the voice volume to be circul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olume of the audio output device can be adjusted more conveniently.

Claims (1)

제어부(6)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제어신호를 PWM변조부(7)와 적분부(8)를 매개로 입력받아 오디오신호처리부(1)로부터의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부(2)와, 상기 음량조절된 오디오신호를 음성출력하기The volume control unit 2 which receives the volume control signal output through the control unit 6 through the PWM modulator 7 and the integrating unit 8 and adjusts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1. And outputting the volume control audio signal. 위한 스피커(3)를 구비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분부(8)로부터의 음량제어신호의 전압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을 비교하는 비교부(4)와, 상기 비교부(4)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에 상응하는 음량제어신호의 전압레벨에 대한 비교결과신호를 검출한 결과에 따른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6)에 출력하는 검출부(5)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6)는 상기 검출부(5)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음량조절부(2)에 음량을 최소로 조절하기 위한 음량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In the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n audio output device provided with a speaker (3), the comparison unit (4) for comparing the voltage level of the volume control signal from the integrator (8)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level, and the comparison And a detection unit 5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a comparison result signal with respect to a voltage level of the volum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et reference voltage level from the unit 4 to the control unit 6, And the control unit 6 outputs a volume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volume to the volume control unit 2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unit 5 is applied. Volume control devic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4)는 기준전압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전압설정부(1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2. The volum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aring section (4) further comprises a reference voltage setting section (10) for setting a reference voltage level.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설정부(10)는 전원전압(Vcc)과 접지 사이에 직렬접속된 가변저항(VR2)과 저항(R3)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가변저항(VR2)과 저항(R3)의 접속점에서 형성되는 신호레벨이 기준레벨로서 상기 비교부(4)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3.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10 of claim 2, wherein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10 is composed of a variable resistor VR2 and a resistor R3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a ground. And a signal level formed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sistor (R3) is input to the comparison section (4) as a reference level.
KR1019940008783A 1994-04-26 1994-04-26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udio output machinery KR0129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783A KR0129572B1 (en) 1994-04-26 1994-04-26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udio output machin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783A KR0129572B1 (en) 1994-04-26 1994-04-26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udio output machin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449A KR950030449A (en) 1995-11-24
KR0129572B1 true KR0129572B1 (en) 1998-10-01

Family

ID=1938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783A KR0129572B1 (en) 1994-04-26 1994-04-26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udio output machin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7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449A (en)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9237A (en) Automatic sound level control system for audio equipment
US5327101A (en) Distortion-free limiter for a power amplifier
KR0129572B1 (en)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udio output machinery
KR1010941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utomatically in electronic device
KR940003350B1 (en) Volume automatic control system
JPH09223938A (en) Electronic equipment
KR970004408Y1 (en) Volume regulation device with illuminative adaption type
JP2734773B2 (en) Transmit burst power control circuit
KR910006695Y1 (en) Improving circuit for characteristics of low level sound signal
KR940005611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voice sounds between from tv system and from voice perception system
JPH01226205A (en) Amplifier with output swing limit
KR0147165B1 (en) Controlling circuit of monitor with dynamic speaker
KR880002752Y1 (en) Low voltage amplifier
KR100266015B1 (en) Audio signal output controller
KR100247154B1 (en) Circuit for output level control of power amp.
KR100226711B1 (en) Circuit for modulating video signal gain in a monitor
JP2737681B2 (en) Magnetic recording device
KR19990031686A (en) External device output signal control device
KR910006091Y1 (en) Sound mute and teletext reset signal generating circuit
KR930007496Y1 (en) Voice signal fade in and out circuit
KR100202028B1 (en) Apparatus for alam signal in vcr
JPH05299956A (en) Automatic level control circuit
JP2001142548A5 (en) Power supply circuit and control device
JPH09284069A (en) Audio circuit with muting function
KR970058077A (en) Television set with personal screen adjustment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